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박물관건축과 전시공간의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권순관,권혁진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 2012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 논문집 Vol.12 No.1

        Museums in Korea have a long history of 100 years. It is not too much to say, though, that in fact, they in the history have lasted only for 20 to 30 years. Daejeon World Expo in 1993 and the foundation of local governments in 1995 not only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growth of museums, but also affected the spatial development in terms of architecture and exhibition.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museums' historical, formative, and exhibition-spatial changes, this study grasps the changes in public museums established during the last 20 to 30 years, and analyzes the changing roles of museums in the future. The preliminary study shows that the formative and spatial changes of museums partially resulted from the changes in visitors' pattern. Besides, as a result of the utilization of PEST Analysis, a macroscopic competition analysis method, it turned out that the construction of public museums in Korea was promoted with in mind the political and social significance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autonomous government. For unique museums to be established in local regions, it is necessary to proceed with a consistent investigation on museums in various perspectives rather than merely relying on the administrative exhibition services led by the organizations.

      • KCI등재

        Analysis of the Capacitive Pressure Sensor with Ring Mesa Structure

        권순관,이승환,조희찬 한국정밀공학회 2014 International Journal of Precision Engineering and Vol. No.

        The capacitive pressure sensor with ring mesa structure has been simulated and fabricated in order to replace the bulky andinaccurate mechanical pressure sensor which is currently used in laundry machines. A ring mesa structure has been adopted withthe same 100 μm width and positioned at 250 μm distance from the substrate with 50 μm distance. The center displacement ofdiaphragm were measured with a good linearity and increased from 0.408 μm (M 6025) to 1.578 μm (M 6045) depending on thelocation of ring mesa structure with the same circular radius of diaphragm. When the ring mesa structure is located 250 μm distancefrom the substrate, the simulated capacitance according to the water pressure showed a good linearity with less than 1.3% best-fitnonlinearity error. However, as the location of ring mesa moved to the center of diaphragm, the characteristic curves of capacitancehas been changed from quasi-linear to nonlinear curves with the best-fit nonlinearity errors, 3.8% (M 6030) and 11.2% (M 6035),respectively. Based upon the simulation and experiments, one candidate device has been chosen and will replace the current bulkysensor in the near future.

      • KCI등재후보
      • 역사박물관에서의 디지털매체적용에 관한 고찰 -예천 충효관의 전시계획안을 중심으로-

        권순관 한국정보디자인학회 2009 정보디자인학연구 Vol.12 No.1

        한국의 박물관들은 대부분 역사박물관중심으로 건립되어왔다. 그러나 2000년대에 들어 박물관들은 두 가지 양상으로 나타나기 시작한다. 하나는 다양한 주제로 테마화되고, 또 다른 하나는 매체들이 디지털화된다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최초의 충과 효를 다룬 박물관인 충효관을 고찰하므로 역사와 디지털매체를 접목한 스토리텔링형 체험박물관의 가능성을 타진해 본다. 본 연구에서는 충효관의 개요 및 전시내용을 소개하고, 세부전시연출내용 중 전반부에 전시된 충효의 내용보다는 인터랙티브 체험관인 후반부의 충효체험을 중심으로 고찰한다. 종합적 고찰결과 7가지의 체험프로그램은 실천, 각인, 교육이라는 세 가지 기능을 담고 있으며, 단순체험보다는 교육적 체험에 입각하고 있다. 그러다보니, 과학관처럼 어떤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체험보다는 계몽적 체험이라 디지털매체가 접목된다 하더라도 흥미도는 다소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문화컨텐츠의 발전적 측면에서 볼 때 무형의 덕목을 디지털과 융합한 체험프로그램을 대중화 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는 본 프로젝트와 연구는 큰 의미가 있다고 본다.

      • KCI등재

        공립과학관의 집객특성에 따른 유형화와 운영실태 연구 -과학관의 변화, 관람객 수, 예산, 운영인력을 중심으로-

        권순관,김용승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21 조형미디어학 Vol.24 No.4

        According to a report published in 2020, there are 147 domestic science museums and 96 national and public science museums. Of the 96 science museums, 31 are visited by an average of less than 100 visitors a day. Science museums in large cities attract 200,000 visitors a year, but local science museums barely maintain an average of 14-38 people a day. Looking at the status of visitors' visits submitt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nd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the operation of viewing cultural facilities is serious. In particular, public museums and science museums are more worrisome. From 2020, the number of visitors has been drastically decreasing to less than 80% due to the Corona Pandemic, so a fundamental solution is needed. In this study, the types and policies of domestic science museums were examined, and objective evidence was presented based on the organization and operating budget after selecting upper and lower science museums based on the number of visitors in 2019. First, the regional infrastructure science museum has excellent accessibility from large cities, so it is a type that many visitor visit. Second, the tourism-linked science museum has many tourists from other regions and is a type that is linked to tourist complexes or large-scale parks and festivals. Third, most of the nature-friendly types are a lower science museums. It includes astronomical science museums mainly visited by visitors with very low accessibility and connectivity and special purposes. In conclusion, the upper science museum is located in a place with excellent accessibility to cities and connection with various events, and the lower science museum has difficulty in operating due to lack of accessibility and manpower expertise. 국내의 과학관은 2020년 발간된 보고서에 의하면 147개이며, 국공립 과학관은 96개이다. 96개의 과학관 중 31개 과학관이 하루 평균 100명이하의 관람객이 방문하고 있다. 대도시 과학관은 연간 20만명의 관람객을 유치하고 있으나, 지방과학관은 하루 평균 14-38명 정도를 겨우 유지하고 상황이다. 문화체육관광부와 과학기술정통부에서 제출한 관람객 방문 현황을 살펴보면 , 관람형 문화시설들의 운영이 심각한 상태이다. 특히, 공립박물관이나 과학관은 더 우려스러운 상황이다. 2020년부터는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하여 관람객 수가 80%이하로 극감하고 있어 근본적인 해결책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과학관의 운영형태와 정책을 살펴보고, 공립과학관의 2019년 관람객 수를 근거로 상위 과학관과 하위 과학관을 선정하여 집객특징을 유형화한 후 조직과 운영예산을 기준으로 객관적인 근거를 제시하였다. 첫째, 지역인프라형 과학관은 대도시로부터 접근성이 뛰어나 많은 관람객이 찾는 유형이다. 둘째, 관광연계형 과학관은 타 지역관광객이 많고, 관광단지 또는 대규모 공원 및 축제 등과의 연계를 가진 유형이다. 셋째, 자연친화형 과학관은 접근성과 연계성이 매우 낮고, 특수 목적을 갖는 관람객이 주로 찾는 과학관으로서 천문과학관이 포함된다. 결론적으로 상위과학관은 도시와의 접근성과 다양한 이벤트와의 연계성이 탁월한 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하위과학관은 접근성 및 인력전문성 등이 부족하여 운영의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 KCI등재

        지역 자원을 활용한 마을박물관의 운영형태 분석

        권순관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7 조형미디어학 Vol.20 No.2

        In the 2000's, our society is overflowing with individualism, and nuclear families have increased. This often makes us get to feel a sense of loss, alienation, or loneliness. In the past, when we had the community concept as a ‘town’, we had ‘affection’ towards each other. But with the absence of that communicative concept, a variety of social problems have occurred. Suffering from those social problems, now we take the formation of a community to restore the culture of ‘affection’ as a crucial issue. One of the representative projects related to it is ‘town making’. This author sees that it is important to operate ‘town museums’ as an effective policy for ‘town making’. In Korea, however, town museums are hardly dealt with in the project of ‘town making’. Accordingly, this study is going to examine currently existing town museums and suggest directions regarding the functions and roles of town museums to settle down town making projects successfully. In the beginning of it, this research will consider the process of traditional museums transforming into museums with new concept and figure out the concept of town museums grounded on that. Next, out of the concepts of town museums, this author will focus on their operation and analyze town museums operated in Korea. According to the results, town museums operated within private-public cooperation are producing greater synergy than other types of town museums. Town museums are the place of memory and space for communication that connect the town’s residents with their history. But still, a number of town making projects are carried out while town museums are considered as a mere facility. Focusing on that current status, this author will suggest directions for town museums as follows. First, it is needed to raise consciousness about town museums. Second, it is demanded to make town museums following the trends of eco-museums. It is also necessary to make towns based on stories gradually after making town museums equipped with functions as a center. Third, it is needed to develop a resident-led operation system for town museums. 2000년대 접어들어 사회가 개인화, 핵가족화 되면서 사람들은 상실감, 소외감, 고독감 등을 느끼게 된다. 과거 우리에게‘마을’이라는 공동체개념이 있었을 때의 ‘정’이라는 소통개념이 사라지면서 다양한 사회문제들이 발생하게 된다. 이런 사회문제가 확산되면서 ‘정’의 문화를 복원하기 위한 지역공동체 만들기가 이슈화 되고 있다. 대표적인 사업이 바로‘마을만들기’이다.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마을만들기’의 정책을 위해서는‘마을박물관’운영이 중요하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는 ‘마을만들기’ 사업 속에 마을박물관을 다루는 경우가 극히 드물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존하는 마을박물관을 조사하여 마을만들기 사업의 성공적 정착을 위한 마을박물관의 기능과 역할에 대해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시작은 전통적인 박물관이 신개념의 박물관으로 변화되는 과정을 고찰하고 그것을 근거로 마을박물관의 개념을 찾는다. 이어서 마을박물관의 개념 중 운영부분에 초점을 맞춰 국내 마을박물관을 분석한다. 분석결과 민관협 속에 운영되는 마을박물관들이 타 마을박물관보다 시너지효과를 만들어내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협업형으로 분석된 이화동마을박물관, 장수마을박물관 그리고 창신동봉제거리박물관의 상세하게 분석한다. 마을박물관은 마을과 주민들 그리고 그들의 역사를 이어주는 기억의 장소이자 커뮤니케이션 공간이다. 그러나 아직도 마을박물관을 시설로서의 박물관으로 여기는 마을만들기 사업들이 많다. 이러한 현황에 주목하여 마을박물관에 대해 다음과 같은 방향성을 제시한다. 첫째, 마을박물관에 대한 인식강화가 필요하다. 둘째, 마을박물관은 에코뮤지엄 형태를 닮아가야 한다. 마을박물관이 센터로서의 기능을 가진 후 순차적으로 마을을 이야기화 해야 한다. 셋째, 마을박물관은 주민주도형 운영체계를 가져야 한다. 단, 외부전문가 및 관의 적극적인 협업이 없이는 발전도 없다는 것을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