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소설 읽기 과정의 문제와 해석 주체-고등학교 학습자를 중심으로-

        권대광 ( Kwon Dae-kwang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6 고전문학과 교육 Vol.31 No.-

        이 연구는 학습자들이 고소설 읽기 과정에서 겪는 문제 양상에 대한 조사 연구다. 이를 위해 충남 소재 N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미시적 접근을 통해 연구를 수행하고, 읽기 과정 중 겪고 있는 문제 양상을 텍스트와 학습자 측면에서 고찰했다. 학생들의 읽기 수행 과정에서 나타난 흥미의 결여 문제는 고소설 텍스트를 단순히 옛것으로 취급하면서 나타나는 심리적 거리의 문제로 귀결됐다. 더불어 지식적 차원에서부터 출발하는 흥미 진작의 필요성에 대해 논했다. 또 학습자 스스로 고소설 읽기로부터 이탈시키고 있는 현상과 이를 읽기 실패 경험과 텍스트에 대한 인지적 부조화의 측면에서 살폈다. 학습자들의 읽기 실패는 이전의 실패 경험과 연관이 있었다. 이것들은 모티프 이해의 실패로 표면화되는데, 이는 텍스트 자체에 대해 심리적 연관성이 없는 경우나, 고소설에 대한 편견 때문이었다. 하지만 고소설에 대해 학습자들이 갖고 있는 프레임은 학습자의 해석적 권위의 신장을 통해 해석적 다양성을 발생시킬 수 있는 기제다. 읽기 몰입을 방해하는 요소로 학습자들은 현대의 소설 언어와의 상이성, 장르적 이질성, 화행 파악의 어려움, 어휘 차원의 분석적 의미 이해의 실패 등을 말했는데, 실제로는 이미 제시된 텍스트 상에서 극복이 된 문제였다는 점에서, 이 문제를 학습자들이 적응한 교사 일방의 의미구성 때문으로 파악했다. 학습자가 갖고 있는 기대지평과 어긋나는 경우도 학습자들은 문제시하고 있었는데, 학습자 내적 원인이 읽기에 대한 부정적 태도와 관계가 있었다. 하지만 이는 현대 독자들의 해석적 지평 속에서 파악할 수 있는 교육적 계기로 작용할 수 있다. 학습자들이 겪고 있는 문제들은 대체로 텍스트 자체의 문제라기보다는 심리적 차원에서의 문제들이었으며, 이는 고소설 교육의 발전적 논의 속에 긍정적으로 고려되어야할 지점으로 파악했다. 고소설이 학습자에게 ‘포기하고 싶은 텍스트’로부터 ‘읽고 싶은 텍스트’로 변화하기 위해서는 교수·학습 상황에서의 학습자의 해석적 권위가 높아져야 한다. 또 이를 위해서는 교수·학습 장면에서 경험서사와 텍스트의 연관성을 높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 교육과정의 재구성과 교사들의 자율성 역시 제고되어야 한다. This study is a research about the problems learners faced in the process of reading on the Korean classical novel.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microscopic research with N high school students in Chungnam province and the problems were dealt with at the point of the reading performance and interest, reading attitude and familiarity with texts. The problem about the lack of interest in reading process was related to the psychological distance caused by treating text like an antique. The necessity of boosting interest which starts by the knowledge level was also discussed. Reading failure of leaners is related to their previous experience. This appeared as a Failure of understanding motif caused by no psychological relevance of the text itself and prejudices for the text. However, the frame learners have about Korean classical novel was also opportunity to generate the analytical Differences through encouraging interpretive authority of learners. Learners pointed out phase heterosexual, genre differences of the modern text, difficulties of understating speech acts, failure in understanding the verbatim meaning as obstacles of immersion inreading. This was interpreted as issue caused by the adaption of unilateral meaning construction by the teacher since actually problems have been overcome at the given text. Students also pointed out the motif against Horizon of expectations with text given. However, these was also regarded as literary educational matter that can be caught by modern readers in interpretive Prospects. For the classical text to changed from 'avoided texts' to 'preferred texts', interpretive authority of the learner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situation should be improved. Problems learner face is generally a problem in the psychological matters rather than a problem of the text itself and this is the point which should be considered in the discussion for the development of teaching Korean classical novel.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고전문학 교수·학습 실태 분석과 개선 방안

        권대광 ( Kwon Dae-kwang ),유리 ( Yu Ri ) 청람어문교육학회 2022 청람어문교육 Vol.- No.87

        본고에서는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고전문학 교수·학습의 실태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경력이 다른 16명의 현직 국어교사에게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그 중 5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면담을 수행하였다. 이후 현대문학교육과의 차이를 비교하여 고전문학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고자 2차 설문을 진행하였다. 교사들에게 설문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수업 만족도와 효능감을 물었을 때 대부분의 교사는 긍정적으로 반응하였고, 교육과정 재구성의 자율성에 대한 인식이 있었다. 그러나 실제 고전문학 수업과 관련하여서는 관성적 태도를 보였다. 또 제재와 방법이 고착화되는 가운데, 교사의 고전문학 교수·학습 설계가 정형화되는 양상을 발견하였다. 문제의 대안을 위해 교육과정과 교수·학습의 느슨한 형태의 결합을 제안하였다. 또, 고전문학 교수·학습에 관계하는 여러 주체들의 협업을 통해 교육내용의 선정과 활용에 대한 역동성이 확보되어야 하며, 고전문학 작품의 역사적 실체성을 인정하는 가운데 전환과 변용을 허용하는 제재관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is paper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middle school classical teaching and learning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proposed improvement measure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6 incumbent Korean language teachers with different experience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5 of them. After that, a second surve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difference between classic education and modern literature education. When teachers were asked about their satisfaction and efficacy in the course of questioning, most teachers responded positively, and there was a perception of the autonomy of curriculum restructuring. However, they showed an inertial attitude in relation to actual classical studies classes. In addition, amid the fixation of sanctions and methods,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s teaching and learning design in classical literature was formalized. For the problem, a loose combination of curriculum and teaching and learning was proposed. In addition, it was suggested that the selection and use of educational content should be sought through collaboration with various subjects related to teaching and learning of classical literature, and that a sanctions officer is needed to allow conversion and transformation while recognizing the historical substance of classical works.

      • KCI등재

        중등학교 고전문학 학습과 교수 · 학습 설계의 방향

        권대광(Kwon, Dae-Kwang)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8 한국문학과 예술 Vol.27 No.-

        이 논문은 고등학교를 졸업한 학생들이 회상한 중등학교 고전문학 학습의 양상을 조사하고, 이를 분석하고자 한 글이다. 조사 대상인 학습자들은 고전문학교육 장면에 있어 흥미와 재미를 구분하고 있었다. 또, 고전문학 독서와 교육의 재미가 지속성을 지닌 참여의 과정을 통해 형성되는 사례가 포착되었다. 한편, 고전문학을 학습자의 독서 경험으로부터 멀게 만드는 요인으로 과다한 학습량을 지적한 경우가 있었다. 특히 중세국어관련 내용이 지나치게 강조되는 국면이나, EBS 수능 연계 교재를 중심으로 한 실체중심적 접근이 지나친 경우가 학습자와 고전문학의 거리를 멀게 만드는 요인으로 파악됐다. 교사들의 수업 방식에 대한 회상으로 학생활동을 중심으로 한 토의토론 수업을 유의미한 학습경험으로 회상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 밖의 교수학습 장면의 구성을 유의미한 학습경험으로 회상하는 경우는 조사되지 않았다. 문서화된 교육과정이 일종의 지침이라면, 이를 구체화하고 실현하는 주체는 교사다. 교사가 실현하는 교육과정은 마주한 학습자의 다양성만큼이나 개별화된 양상을 띨 수밖에 없다. 교사는 고전문학 교수 · 학습을 설계함에 있어 표준화된 교육과정과 교과용 도서를 개별적 상황에 맞게 재구성하여 운용한다. 이때 교사는 학습자 집단이 고전문학 작품이나 현상을 중심으로 하는 담화 공동체로 성립되도록 해야 한다. 고전문학 교수 · 학습 설계의 목표는 학습자들이 고전문학 교수·학습을 통해 작품을 둘러싼 다양한 담화를 시작하도록 하는 데에 있다. 교과의 내용 지식적 측면은 이때 교수 · 학습의 흥미 차원에서 접근되어야 하며, 교수 · 학습의 설계는 학습자가 고전문학 읽기를 통해 사고하고 추론하는 과정적인 요소를 내포해야 한다. 고전문학 교수 · 학습 장면에서 다뤄지는 고전문학 텍스트에 대한 교사의 책무성 역시 높아져야 한다. 고전문학 텍스트와 학습자들의 이질성의거리가 현대어역으로 극복 가능하다면, 대면한 학습자들의 특성을 가장 잘 아는 교사가 이를 담당해야 한다. 이를 통해 학교 교육에서 고전문학교육이 학습자가 삶 속에서 체험 가능한 영역으로 고전문학이 읽힐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야 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classical literature learning in secondary school by analyzing the retrospection of learners. Those students distinguished interest from pleasure in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Also indicated that pleasure in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could be achieved through student`s persistent participation. On the other hand, They point out that an excessive amount of learning was a disturbing factor in the classical literary class. When the contents related to medieval Korean language were emphasized or When EBS textbook overwhelmed the regular textbook. There was no retrospection of meaningful learning experiences other than discussion class based on student activities. If the documented curriculum is a kind of guideline, the teacher embodies and realizes it. The curriculum accomplished by the teacher is as individual as the diversity of learners they face. In instructing classical literature class, the teacher reconstructs standardized curriculum and textbooks for individual situations. At this time, the teacher should make the student group into a discourse community of classical literature. The purpose of classical literature class instruction should encourage learners to begin a discourse about the text through classical literature class. The contents knowledge should be considered as material for the interest of the class or text. Also, instruction of class should contain the process that learners think and deduce through classical literature. Besides, Teacher`s responsibility for the text of classical literature read in the classical literature class should also be enhanced. If the modern language can overcome the distance between the classical literary text and the learners, teachers are the right person to deal with it. In this way, classical literature class in the secondary school education should lay the basis for learners to read classical literature as a tangible cultural resource.

      • KCI등재

        <이대봉전>의 반청의식 고찰

        권대광(Kwon Dae kwang) 어문연구학회 2016 어문연구 Vol.90 No.-

        이 논문은<이대봉전>에 드러난 반청(反淸)의식을 분석한 연구다. 17세기병자호란은전쟁의 체험의 서사로부터 재화의 과정을 통해 우리 서사 문학속에 정착되었다. 본고는 이러한 흐름 속에서 한글 고소설이 점하는 위치를 파악하고자 하는 일종의 시론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본고는<이대봉전>에 드러난 반청의식을 크게 시간과 공간의 배경 측면과 인물 차원에서 분석했다. 이를 통해 <이대봉전>이 자리한 서사적 배경이 쓰인 것과는 달리 명나라 아닌 한나라임을 알수 있었다. 공간 역시 흉노의 침공로가 제시되어 있으며, 특히 한나라와 흉노 관계에서 중요하게 다뤄지던 옥문관의 존재가 부각되어 있다. 인물적 차원에서는 이릉, 묵특의 존재가 드러난다. 이들은 주인공에 대항하기도 하며, 서술자의 목소리를 전하기도 하는데, 모두 한나라 대 흉노와의 갈등과 연관이 있는 인물들이다. 이러한 점들로 봤을 때 <이대봉전>은 한나라 대의 역사적 사실들을 서사 속에서 재현하고자 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런 한나라 대의 역사적 사실들은 남자 주인공인 이대봉의 서사에 집중되어 있으며, 한 무제 대의 역사적 사실들을 다수 내포하고 있다. 이대봉의 서사는 장애황의 서사와 달리 역사적인 구체성을 띠고 있다. 이는 한나라 초기 흉노에 대한 굴욕적인 패배를 한 무제대에 와서 설욕한 사실과 연관이 깊은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흔적은 <이대봉전> 내부의 서사에서도 찾아 볼 수 있으며, 당대 북벌론의 추진 세력이었던 송시열의 상소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반청 의식은 <이대봉전> 속에 녹아들어 조선과 청나라의 형세주의적 화친 관계를 한나라와 흉노와의 관계와 유연적인 것으로 두고, 이를 서사 속에서 해소하고자하는 욕구로 나타났다. 이런 점에서<이대봉전>은 실질적으로 이뤄지지 못한 북벌과 청나라에 대한 대외인식으로서 반청의식이 명분론적으로 서사화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is an analysis on The Anti-Qing Dynasty Consciousness revealed in <LeeDaeBong-Jeon>. The Experience of Qing Dynasty s Invasion in 17th century was settled in our narrative literature through the process of fictionizing. This paper is a kind of trial seeking the location of Korean Hangeul novels in this flow. This paper analyzed The Anti-Qing Dynasty Consciousness revealed in <LeeDaeBong-Jeon> in the aspect of the background and in the character. Through this, We could know that the real background of this novel is in Han-Dynasty, not Ming-Dynasty which is written in novel. The space has also been showed as an invasion route of the Xiongnu, and the Okmungan has been emphas ized in the narrative between the Han and the Xiongnu. Especially, I could find out that <LeeDaeBong-Jeon> is the representation of the historical facts of Han-Dynasty in the LeeDaeBong s narrative. The historic al facts of early Han Dynasty are concentrated in the narrative of Lee Daebong, the male hero. And It contain many motifs of Han-wudi’s period. LeeDaebong s narrative has historical specificity, unlike the narrative of the JangAeWhang’s. It seems to be related to the fact that the humiliating defeat of the early Han-Dynasty was revenged in the period of Han-wudi s regime. These can be found in the battle narrative inside <LeeDaeBong-Jeon> and can also be found in the appeal of SongSiYeol, who was in the society driving Northern Expedition. <LeeDaebong-Jeon> expressed the desire to dissolve The Anti-Qing Dynasty Consciousness in the narrative by mak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hosun and Qing Dynasty s Violent relationship with Han and the Xiongnu s. For These features, <LeeDaebong-Jeon> can be said to be a narrative resulted by the Justificative Chinese-Centrism and The Anti-Qing Dynasty Consciousness.

      • KCI등재

        혈죽 담론(血竹 談論)의 형성 과정과 공론장적 성격

        권대광 ( Dae-kwang Kwon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5 청람어문교육 Vol.55 No.-

        민영환의 죽음은 을사조약으로 대표되는 1900년대 초 혼란스러웠던 정세를 반영한다. 민영환의 죽음은 충과 절개의 표상이기도 했지만, 오히려 서구 문물의 수용과 문명 개화의 과제와 함께 ‘혈죽’이라는 아이콘으로 표상되었다. 민영환의 죽음은 일종의 문예적 공론장을 만들어 냈다. 이 공론장은 성별과 신분 등 사회적 배제의 원리가 적용되지 않았으며, 구성원들의 자발적인 참여 속에서 만들어졌다. 공론장의 형성 과정에서 기사에 대한 객관성을 확보하는전략으로 독자들을 혈죽 담론의 공론장 속에 호명하고 있으며, 이 속에서 민영환의 죽음을 혈죽에 대한 이미지와 연결시키고 있다. 또 매체 전반에 보이는 이분화된 문자 권력을 넘어서 혈죽이라는 이미저리를 통해 통합된 공론장의 모습을 기획하고 있다. 혈죽 담론의 이러한 특성은 문학 현상을 총체적으로 볼 수 있는 조망적 시선을 제공하고, 문예 공론장 안에서 사회적 실천 행위가 일어나는 과정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death of Minyounghwan reflects the confused situation in the early 1900s, typified by Eulsa Treaty. His death became an icon of ‘Hyuljuk (blood bamboo)’ represented also loyalty and integrity but rather the embracing western civilization and enlightening. Minyounghwan’s death has created a kind of literary public sphere. This public sphere did not exclude from social statues or gender identity, and also was created in the voluntary participation. In the process of forming this sphere, Readers were called in Discourse of Hyuljuk through strategies to ensure the objectivity of the articles appeard in Newspaperslike <Korea Daily News>. In addition to this discourse the overall which is a realistic description or literary section, is willing to hatch an combined public sphere with imagery of Hyuljuk beyond the Character power. These characteristics of the Hyeoljuk discourse provide the perspective can see the literary phenomenon totally, and it has an literature value that can show us how an act of social practice occure in literary public sphere.

      • KCI등재

        문학 교육의 전통론과 문화정체성 교육

        권대광(Kwon Dae Kwang)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7 교육연구 Vol.68 No.-

        이 글은 고전 문학 교육에 있어 기존 전통론이 가진 한계를 지적하고, 기존 전통론의 지위를 문화정체성 교육으로 이양해야 하는 것을 논하는 시론이다. 고전문학은 전통론에 내재한 역사적 계속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이 때문에 문학 교육에서 전통론의 큰 부분을 담당하고 있다. 현재 전통론은 현대사회의 문화적 다원주의로부터 도전 받고 있다. 기존의 전통론은 정치적 헤게모니에 종속되어 있었다. 또 단일 민족의 민족문학으로서 한국문학을 보는 입장에서 전통의 본질적 요소를 제시하는 방법으로 교육과정과 교과서 속에 드러났다. 하지만 이는 6차 교육과정부터 변화를 겪기 시작한다. 6차 교육과정의 전통론은 그 목표에서는 본질주의로부터 탈피를 꾀하지만, 전통론의 내용에 대해서는 기존의 방법과 내용을 벗어나지 못했다. 7차 교육과정 이후 교과서 속 전통론의 특징은 ‘불명확성’이라고 말할 수 있다. 기존의 본질주의적인 입장이 고수되고 있으면서도, 그 내용요소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서 전통론에 대한 유보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 글은 이러한 전통론이 문학 교육에 대한 사회적 과제에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고 생각했다. 따라서 본질주의적 전통론에 대한 대안적 관점으로 문화정체성 교육을 제안했다. 문화정체성 교육은 본질주의가 갖고 있던 구조주의적 방법론에서 벗어난 논의다. 또 하향적인 성격의 문화정체성 논의에서 벗어나 문화적 공동체 안에서 전통에 대해 논의를 할 수 있다는 점에서 협의적 성격의 전통론을 제안한다. 문화정체성 교육에서는 학습자와 텍스트 사이의 차이가 강조되며, 차이의 확인과 이해 그리고 사회적인 협의 자체가 학습 목표 그 자체가 될 수 있다. 이는 텍스트에 대한 주체의 이질성 확인, 문학적 전통에 대한 협의적 논의, 텍스트에 대한 의미 부여의 과정을 통해 실현될 수 있다. This study points out the limits of existing traditionalism in classical literary education. And, discusses the necessity of traditionalism as cultural identity education in literary education. Classical literature is closely related to the historical continuity inherent in traditionalism, and therefore it is responsible for a large part of traditionalism in literary education. Today, the traditionalism is challenged by the cultural pluralism of modern society. The existing traditionalism was subordinate to political hegemony of nationalism. It was also presented the essential elements of tradition in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However, it is beginning to change from the 6th curriculum period. While the traditionalism in the 6th curriculum intends to emerge from the essentialism at its goal, it does not deviate from the existing methods and contents of the contents of the traditionalism. After the 7th curriculum, the characteristic of traditionalism in textbooks seems uncertainly. It appeals reserved position on the traditionalism that it doesn’t present the essential element while maintaining the existing essentialist position. This features make traditionalism in literature education not respond to the social agenda of literary education. Therefore, cultural identity education was suggested as an alternative on essentialism. Cultural identity education deviates from the structural method of essentialism. It suggests the consultative traditionalism rather than established downward traditionalism. Cultural identity education emphasizes egoistic recognition through reflective recognition through the acts of literature reading. Therefo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arner and the text is highlighted,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heterogeneity, and social consultation themselves can be the learning goal of traditionalism.

      • KCI등재

        대학에서 ‘나를 위한 글쓰기’ 수업의 가능성과 의의 탐색

        가은아(Eun-a, Ka),권대광(Dae Kwang, Kw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4

        목적 본 연구는 대학에서 나를 위한 글쓰기 수업의 가능성과 의의를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방법 이를 위하여 2018년에서 2021년도까지 4년 간 개설된 ‘복합양식 텍스트와 리터러시’의 교과목에서 나를 위한 글쓰기 수업을 운영한 후 수업 내용과 쓰기 결과물, 수업 소감문을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나를 위한 글쓰기를 수행한 학생들의 긍정적인 변화를 통해 교육적 효과를 확인했으며, 나를 위한 글쓰기가 대학 글쓰기 수업으로 확장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전자로는 자신과 마주하는 과정에서 내면의 상처를 회복하고 자신을 긍정하게 된 점, 자신과 타인에 대해 이해가 깊어지고 응원할 수 있게 된 점, 예전에는 용기가 없어 머뭇거렸던 일들에 대해 자신감을 가지게 된 점을 들 수 있다. 후자로는 글을 쓰기 전에 사유의 시간을 충분히 가진 점, 브런치 앱을 활용하여 언제 어디서든 글쓰기가 가능했던 점, 공개 글과 비공개 글 두 편을 쓴 점, 발표를 통해 서로의 글을 공유한 점, 채팅으로 피드백을 주고받은 점으로 요약된다. 결론 실제 수업 사례를 통해 대학에서 소홀하게 다루어 온 나를 위한 글쓰기의 의의를 확인할 수 있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and significance of the ‘Writing for me’ class in higher education. Methods The ‘Writing for me’ class was operated in the ‘Multimodal Text and Literacy’ course delivered for four years from 2018 to 2021. In this class, students take the lectures, including facing, expressing, and sharing. This paper analyzed those processes and participant s writing tasks.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educational effect was confirmed through positive changes in the students who took the ‘Writing for me’ class. Furthermore,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extending ‘Writing for me’ to college writing classes as education content. The educational effect was confirmed especially in recovering inner wounds by facing themselves, understanding and encouraging others, and Attaining self-confidence while doing what used to hesitated once due to lack of courage. In addition to the positive changes, the students evaluated the ‘Writing for me’ class was significant in the following five aspects. (1) Having enough time to think about themselves. (2) The accessibility to writing anytime, anywhere using a smart application. (3) Writing experience in two articles, one for publish and one for not. (4) Presenting their writing and listening to other students writing (5) Giving and receiving feedback through online chatting. Conclusions The significance of ‘Writing for me’, which has been neglected in college writing class, can be confirmed through actual cases.

      • KCI등재

        중국 대학 한국어학과 고전문학 교재 사용 현황 : ’20-’21학년도 길림성 소재 대학을 중심으로

        정반반(Pan Pan, Ding),권대광(Dae Kwang, Kwo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7

        이 글에서는 길림성 소재 대학의 한국문학 개설현황을 점검하고, 사용 교재의 내용의 적절성과 체계성을 검토하였다. 이들 대학에서 고전문학교육은 주로 문학사 강의를 통해 이뤄지고 있으며, 작품을 감상할 수 있는 절대적인시수 확보가 어려운 상황이다. 또 학사구조 개편이나 한국어학과에 대한 사회적 요구로 점차 고전문학교육이 소외되어 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길림성 소재 대학에서 ’20-’21학년도에 개설 중인 문학 수업의 내용을 교재를 중심으로 교재의 사용자라 할 수있는 교사와 학생들에 대한 인터뷰를 토대로 고전문학을 교재 속에서 어떻게 다뤄지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개설중인 17개 고전문학 강의에서 문학사 교재 4종, 선독 교재 2종이 쓰이고 있음을 확인했다. 학생들은 대체로 문학사 강의를 통해 고전문학을 접하고 있었으며, 선독 강의의 경우 대부분이 현대문학 작품을 대상으로 교수 학습의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20-’21학년도를 기준으로 했을 때 길림성 내에 설치된 대학의 한국어학과에서는 중국 내에서 출판된 책들만을 사용하고 있었다. 교재의 개발 단계에서 보조자료를 제시하는 경우 교수자 중심의 수업 용이성이 강조되는 경우가 있었으며, 학습자에게 다양한 보조자료를 제시하면서 이전 시기 교재와는 차별화하는 경향도 살펴볼 수 있었다. 또한, 제재의선정에 있어서 기존 교재에 반영됐던 북한 문학의 연구성과와 한국의 연구성과 역시 점차 반영되어 가고 있는 점을 확인하였다. In this article,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literature in universities in Jilin Province was investigated, and the school hours and textbooks for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were examined. In these universities,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is mainly given in the lectures on the history of literature, and it is not easy to secure proper school hours to study. In addition, it seems that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is being neglected due to the reorganization of the curriculum and the social demand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Based on interviews with teachers and students, focusing on the contents of the literature class being given in the 20-21 academic year at a university in Jilin Province, we examined how classical literature is realized in the textbook. It was confirmed that four types of literature history textbooks and two types of reading Korean literature textbooks were being used in the 17 classical literature lectures. Students were commonly exposed to classical literature through lectures o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and the reading Korean literature. Most of the lectures focused on teaching modern literature moreover, those lectures using only books published in China. In the development stage of the textbook, teachability was often considered a significant focus, and there was a tendency to differentiate from the previous period textbooks by presenting various auxiliary articles and word lists to learners. When selecting works or articles, it was confirmed that the research results of South Korea were increasingly reflected. Moreover, It can be said as changing in the existing convention that North Korea’s research was centered in Korean literature education. The textbook confirmed changes in the design of systematic learning activities gradually becoming more preci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