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시조의 영역(英譯) 불/가능성과 영역(英譯) 시조의 정체성

        고정희 ( Ko Jeonghee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2021 先淸語文 Vol.49 No.-

        The goal of this article is to inquire into the identity of sijo in English translation. Although the linguistic and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English preclude direct translation, we can attain an alternative and precise translation by omitting particular segments of the original sijo and adding explanatory descriptions implied in the original sijo. Sijo in English translation retains the lyrical features of the original sijo. Furthermore,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sijo, such as vibrant visual, audial, and dynamic images, are more noticeable in sijo in English translation than in the original form. English punctuation added by the translators’ apprecia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poetic flow add the various hues to sijo and enhance the readers’ sensitivity to the subtle nuances of the original sijo. The collaboration of a Korean Academic who specializes in sijo and a British academic who specializes in medieval English literature has resulted in a pooling of expertise and inspiration. The translators’ complementary perspectives have produced what may be regarded as a kind of rewritten version of original sijo.

      • KCI등재후보

        시의 정서(emotion)와 기분(Stimmung)에 대한 연구 -마종기의 <낚시질>과 <중년의 안개>를 대상으로-

        고정희 ( Ko Jeong-hee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0 문학치료연구 Vol.14 No.-

        “기분(Stimmung)”은 일상에서 느끼는 사소한 기분을 가리키는 말이면서 동시에 하이데거의 철학의 주요 개념어이기도 하다. 이 글의 목적은 “기분(Stimmung)”을 통해 정서(emotion) 연구를 보완하는 데 있다. 정서(emotion)는 감정을 가리키는 여러 단어들 가운데 가장 폭넓고, 근본적인 개념으로 쓰이고 있으므로 유기적인 감정만을 한정하여 지시하는 단어가 아니다. 정서를 유기적인 감정으로 정의할 경우, 시의 정서와 독자의 정서가 일치하는 원리를 설명하는 데 유용한 개념인 “기분(Stimmung)”을 배제해 버리게 된다. 이 글은 마종기의 시 <낚시질>과 <중년의 안개>를 통해 작가의 근본기분(Grundstimmung)이 어떻게 독자에게 감동을 주는지를 살폈다. “기분(Stimmung)”은 앞으로의 정서 연구와 문학교육에서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질만한 연구 주제이다.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complement the research of emotion with the concept of "Stimmung" which indicates trivial feelings of daily routine and existential significance of Heidegger`s philosophy simultaneously. "Emotion" has a widest reach among the words which indicate human feelings or affections. Therefore it should not be narrowed down to the definition such as a organized and balanced feeling. If we define emotion in that way then we eliminate the effective concept of "Stimmung" which explains the principle that emotion of the poetry accords with that of readers. In this paper we inquired the way how writer`s "Grundstimmung" inspires that of readers through Naksijil(낚시질) and Jungnyeonui Angae(중년의 안개) written by Ma Jong-gi. "Stimmung" is worth to conduct a further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emotion study and literary education.

      • KCI등재

        배경지식을 활용한 고전시가 교육 연구 -<도산십이곡>을 중심으로-

        고정희 ( Jeong Hee Ko ) 한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2012 국어교육 Vol.0 No.138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 desirable direction for the education of Korean classical poetry through practical use of background knowledge and to achieve this, we have explored theories and methods for converting background knowledge into practical knowledge. First, we examined theoretical premises for the education of Korean classical poetry through practical use of background knowledge. Since the key to practical knowledge depends on participation of learners, we need to start from literary competence of learners such as ``binary opposition``. We define background knowledge as "an additional knowledge related to understanding the text" and can expect it to be converted to practical knowledge when it could lead learners to infer the theme of the text in-depth on the basis of learners` literary competence. Next, we explored when and how background knowledge should be provided to learners through Dosansibigok. Theoretically learners could learn Dosansibigok in 4 steps. At first, learners infer the theme of the first part of Dosansibigok from their own tacit knowledge using ``binary opposition`` before studying the text. Secondly, they complement this inference using the background knowledge which is reconstructed by the principle of ``binary opposition``. Thirdly, learners render the task of the text as their own and internalize the text by correlating it with their own ``binary opposition`` experience. Finally, learners obtain the ability to learn the remaining parts of Dosansibigok and a state of mind in which they could learn ``the irony`` of poetry developed from ``binary opposition``. In conclusion, we have found that background knowledge which is converted into a form understood by the learners and also reconstructed as the principle which makes inference possible, all based on the learners` literary competence, can promote increase in practical literary competence. Although the conclusion has limitations since it results from predicted responses of theoretical learners, discussions in this study that explored the possibilities in converting background knowledge into practical knowledge is significant in an effort to resolve a dilemma in Korean classical poetry education which recognized the need for background knowledge but doubted its educational efficacy.

      • KCI등재

        연민을 이끌어내는 문학과 도덕적 상상력-영화 <레 미제라블>과 소설 『레 미제라블』의 비교를 중심으로-

        고정희 ( Ko Jeong-hee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3 문학치료연구 Vol.26 No.-

        이 글은 타인의 고통을 어떤 식으로 재현하거나 묘사할 때 관객이나 독자의 연민이 더 잘 유발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뮤지컬 영화 <레 미제라블>과 빅토르 위고의 원작 소설 『레 미제라블』에서 타인의 고통을 어떻게 재현하는지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간략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타인의 고통을 시각적으로 재현한 매체들은 관객을 윤리적 곤경에 빠뜨린다. 관객은 잔인한 구경거리를 즐기는 관음증 환자가 되거나, 아름다운 이미지를 즐기는 도덕적으로 둔감한 관람자가 되기 쉽다. 영화 <레 미제라블>을 통해 볼 때, `타인의 고통을 흉내 내는` 배우를 통해 윤리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은 한계가 있을 뿐 아니라, 배우들은 관객이 지닌 상상력을 제한 하기도 한다. 문학은 영화에 비해 독자로 하여금 작품 속에 그려져 있는 타인의 고통을 떠올려볼 수 있는 `시간`과 `상상력`의 자유를 허용함으로써, 타인의 고통에 연민을 느낄 수 있는 풍부한 여지를 남긴다. 이러한 장르적 특성에 더하여, 소설 『레 미제라블』은 어떤 인물이 겪고 있는 고통을 동시에 여러 시각으로 서술함으로써 연민을 이끌어내는 특징이 있다. 예컨대 `죽은 어머니` 팡틴의 시선으로 코제트를 바라보는 독자는 코제트에 대한 연민의 감정을 금할 수 없는데, 아픈 자식을 바라보는 어머니의 고통은 누구나 상상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위대한 문학은 타인이 고통을 당하는 그 장면에 현존하지는 않지만 그 고통으로 인해 더 큰 고통을 느낄 법한 인물들까지 상상하게 만든다. 문학의 이러한 속성은 문학이 왜 `도덕적 상상력`을 불러일으키는 데 효과적인지를 말해 준다. `도덕적 상상력`은 자신을 고통당하는 타자의 입장에 놓고, 그 상황에서 타자가 느낄 감정을 상상하고, 그를 위해서 자신이 할 수 있는 행동이 무엇인지를 상상하는 능력을 일컫는다. 세계를 총체적으로 묘사하는 문학은 개인의 모든 행위가 우발적이지 않고 서로 연대되어 있는 다른 개인들의 영향 관계 안에서 일어난다는 사실을 깨닫게 해준다. 이러한 문학을 읽을 때 독자는 고통당하는 타자가 자기와 무관한 존재가 아니라고 느끼면서 도덕적 상상력을 갖게 되거나 확충할 가능성이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which mode of representation or depiction of others` agony better draws pity from the audience and the readers. For this, ways of representing agony of others in musical drama film Les Miserables are compared with the Victor Hugo`s original novel Les Miserables. The following is the brief outline of the results. Media which visually depicts others` agony puts the audience in ethical predicaments. Audience can easily become a Peeping Tom who enjoys cruel spectacles or an ethically insensitive observer who enjoys beautiful images. From the movie Les Miserables, delivering ethical messages through actors who `mimic agony of others` is not that effective and furthermore, actors limit imagination of the audience. Unlike the movie, literature allows freedom of `time` and `imagination` of the readers to picture the sufferings of others in the literary work, and therefore provides plenty of room to feel the pity. In addi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genre, the novel Les Miserables can draw pity from the readers by narrating the agony of a character simultaneously from various viewpoints. For example, readers looking at Cosette with her dead mother Fantine`s eyes cannot help but feel the pity on her because it is possible for anyone to imagine a mother`s distress in having a sick child. Great literature makes it possible to imagine characters who do not exist at the scene of one`s suffering, but may be able to feel even greater agony through such suffering. Such properties of literature show why literature is effective in raising `moral imagination`. `Moral imagination` is defined as the ability to put oneself in the shoes of the one who is in suffering, imagine what he must have felt in such situation and think of what one can do for him. Literature which depicts the world as a whole makes it possible to realize the fact that the actions of individuals do not happen by chance but in influential relationship with other individuals. In reading such literary works, it seems that the reader will not only feel connected with the one in agony but also gain moral imagination or raise the possibility for expansion of his moral imagination.

      • KCI등재

        중학교 1, 2학년 영어 교과서의 어휘 활동 분석

        고정희 ( Ko Joung Hee ),신창원 ( Shin Changwon ) 글로벌영어교육학회(구 호남영어교육학회) 2016 Studies in English education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vocabulary activities in first and second year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to investigate how each type of vocabulary activities is presented and whether a variety of contents is included in each activity type. For this study, three first year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and three second year textbooks were randomly chosen, and seven types of vocabulary activities-definition, contextual inferencing, lexical relations, word formation, free association, audio-visual aids and vocabulary games-were used as criteria for identifying the activities. The result showed that the vocabulary activities are proportionally unbalanced. Thus, a few types of vocabulary activity, like contextual inferencing and audio-visual aids, are more frequent than other types. It was also found that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first and second year textbooks in the number of each vocabulary type. Finally, it was shown that most of the vocabulary activities fail to provide varied content in that some activity types, such as contextual inferencing, employ only one or two activities like “fill in the blank” or “choose an appropriate word.”

      • KCI등재

        신계영 시조에 나타난 실존적 ‘서정적 자아’에 대한 고찰

        고정희 ( Ko Jeong-hee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21 고전문학과 교육 Vol.46 No.-

        이 글은 사르트르의 실존주의 철학을 참조하여 신계영 시조에 나타난 서정적 자아의 실존적 의식을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둔다. <탄로가>와 <연군가>에 나타난 서정적 자아는 타자의 시선에 비친 현재 늙어 있는 모습 그대로의 즉자존재로서의 자신을 인식하는 한편, 이를 부정하면서 과거의 젊은 자신을 대자존재로 인식하고 있다. <전원사시가>의 서정적 자아 또한 즉자존재를 부정하고 소년이라는 대자존재를 추구한다. 춘하추동을 노래하는 8수에서 서정적 자아는 사시의 순환에 참여하면서 아이를 분신으로 삼아 즉자존재와 대자존재의 종합을 도모한다. 그러나 제석 2수에서 서정적 자아는 반복되는 시간에도 끝이 있으며, 분신처럼 느껴지던 아이들이 나와는 다른 타자임을 깨닫는다. 따라서 즉자존재와 대자존재의 종합은 불가능해진다. 실존적 서정적 자아가 처해 있는 전원은 겉으로는 자족적인 공간처럼 보이지만, 임금의 은혜에 대한 보답이나 자기완성의 가능성이 결여되어 있는 공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신이 젊다는 내적 감각을 끝까지 포기하지 않는 서정적 자아로 인해 전원은 치열한 실존적 분투의 장(場)이 된다. Drawing on Sartre’s theory of existentialism, this paper examines the existential consciousness of the lyric self in Sijo written by Shin Gye-young. The lyric selves in Tanroga and Yeongunga admit their present status as old men perceived by the others as “in-itself”. However, they deny their “in-itself” and regard their past status as young men as “for-itself.” The lyric self in Jeonwonsasiga also denies its “in-itself” pursuing its “for-itself.” In the first eight songs the lyric self, being engaged in the circle of four seasons, pursues the unity of “in-itself” and “for-itself” by making a young boy his alter ego. However, in the succeeding two songs of New Year’s Eve, he realizes that this circle eventually ends as the boy could not be his alter ego. Consequently, the unification of “in-itself” and “for-itself” fails. The pastoral is satisfactory only in appearance. There is no possibility to repay the king’s benevolence or complete the self-cultivation. The lyric self feels his death closely but is destined not to surrender his inner sense of youth. Therefore, pastoral here turned out to be a battlefield for the essential struggle.

      • KCI등재

        정서 교육을 위한 예비적 고찰 -고문헌에 나타난 ‘정서(情緖)’ 개념을 중심으로-

        고정희 ( Ko Jeong-hee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0 고전문학과 교육 Vol.20 No.-

        이 글은 정서 교육을 위한 예비적 고찰로서, ‘정서’가 전통적으로 어떤 개념으로 인식되어 왔는지를 검토하는 데 목적이 있다. 고문헌의 용례를 보면 ‘정서’는 문맥에 따라서 ‘경물에 의해 촉발되는 감흥’, ‘상실의 상황에서 느끼는 복잡한 심정’, ‘노인/나그네로서 느끼는 감회’ 등의 의미로 조금씩 다르게 쓰인다. 모든 경우의 ‘정서’에 공통적으로 들어 있는 속성은 ‘수동적 감수성’, ‘애상적 분위기’, ‘인간애 혹은 우애’ 등이다. 요컨대 고문헌은 ‘주변 사물의 분위기나 타자의 감정에 대해 민감하게 감수하는 소통 능력’을 지향하는 정서 개념을 제시해주고 있다. 고문헌에 나타난 ‘정서’ 개념은 보다 정치한 논의를 거친다면 앞으로 정서 교육을 설계하는 데 의미 있는 참조자료가 될 수 있으리라 본다.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traditional concept of 'emotion(情緖)' through the examples of the classical works in order to design education of emotion. In the classical works, 'emotion(情 緖)' was used in various meanings depending on the contexts: for example, 'fancy affected by the scenery', 'complicated feelings from the deprivation', or 'sentiments of an aged or a wanderer'. The 'emotion' in all contexts has the common attributes such as 'passive sensitivity', 'bleak mood (Stimmung)' and 'comradeship (philia)'. As a result, the classical works provide the concept of emotion as an emotional communication capacity for objects and other people. This concept of emotion could be a significant reference for designing education of emotion through literature.

      • KCI등재
      • KCI등재

        사설시조의 사물 분류 방식과 그 시적 의미

        고정희 ( Jeong Hee Ko ) 한국고전문학회 2012 古典文學硏究 Vol.41 No.-

        이 논문은 사설시조에서 사물을 분류하는 방식과 그것의 시적 의미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두고, 사설시조가 일상의 사물을 끌어 들여 어떻게 긴장감 있는 시어로 활용하고 있는지를 살폈다. 2장에서는 동시대의 박물학적 취향과의 비교를 통하여 사설시조의 사물들이 지니는 의미의 변화를 추론하였다. 그 결과 사물들이 작품 밖에서 지니는 지시적 의미가 그대로 작품 속으로 들어오는 것은 아니며, 사소하고 자질구레한 사물들에 관심을 두는 동시대적 취향을 반영하면서 작품 밖의 지시적 의미가 작품 속의 함축적 의미로 바뀌는 것을 볼 수 있었다. 3장에서는 박물학적 문헌 가운데서도 物名類와 사설시조의 공통점이 많다는 점에 착안하여 양자를 대비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사설시조가 物名類와 마찬가지로 사물들을 일정한 기준에 따라 연역적으로 이원 분류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4장에서는 이원 분류 방식이 지니는 시적인 의미를 고찰하였다. 사설시조의 사물들은 이원 분류로 인해 견고한 의미론적 병렬 속에 편입되면서, 자신이 본래 가지고 있었던 지시적 의미와는 다른 함축적 의미를 부여받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지시적 의미와 함축적 의미 사이에 팽팽한 긴장이 생겨나면서 일상의 非詩的 사물들이 시적인 언어로 변환되는 것을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method used to classify objects in Saseol-sijo and its poetic meaning. In order to this, the difference between denotation and connotation of objects has been examined. In chapter 2, the transference of objects` meaning has been inferred through the comparison with the trend of encyclopedic knowledge of the era. It can be said that denotation of objects is not directly introduced to Saseol-sijo and transferred into connotation by encyclopedic knowledge of the era which showed preference for minor and trivial objects. In chapter 3, the common features between the literature of encyclopedic knowledge of the era-Mulmyeongryu(物名類)- and Saseol-sijo has been examined. Saseol-sijo deductively classifies objects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its own standard as with Mulmyeongryu(物名類). In chapter 4, it is revealed that two-dimensional classification of objects from Saseol-sijo constructs parallelism and because of this relationship, the objects are given new connotational meanings. This, in turn, creates a great tension between denotation and connotation of objects and results in transference from non-poetic objects of everyday life in Saseol-sijo into the poetic diction for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