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Nested PCR과 DNA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s를 이용한 Ralstonia solanacearum의 검출

        고영진,조홍범,Ko, Young-Jin,Cho, Hong-Bum 한국미생물학회 2007 미생물학회지 Vol.43 No.3

        본 연구는 polymerase chanin reaction(PCR)기법과 DNA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DNA ELISA) 기법을 이용하여 토양내 식물병원균인 Ralstonia solanacearum를 검출하고자 하였다. 토양 시료로부터 분석에 사용될 R. solanacearum DNA를 추출하기 위하여 몇 가지 방법을 비교 평가한 결과 기존의 DNA 추출 방법에 비하여 Guanidin isothiocyanate와 Chelex-100 resin을 사용하는 방법 이 토양 내에 존재하는 다양한 중류의 반응 저해 물질과 R. solanacearum만의 고유한 PCR반응 저해물질들을 제거하는 데에 효과적이었다. R. solanacearum만을 특이적으로 검출하기 위해 fliC유전자 부위에 특이적인 몇 종의 primer들을 제작하였다. 이들 중 높은 민감도와 특이도를 나타내는 두 set의 primer RsolfliC(forward; 5-GAACGCCAACGGTGCGAACT-3 and reverse; 5-GGCGGCCTTCAGGGAGGTC-3, designed by J. $Sch\ddot{o}nfeld$ et al.)와 RS_247 (forward; 5-GGCGGTCTGTCGGCRG-3 and reverse; 5-CGGTCGCGTTGGCAAC-3, designed by this study)를 선정하여 nested PCR을 수행할 수 있도록 고안하였다. Nested PCR primer에 biotin을 표지하였고 nested PCR산물의 내부 서열과 특이적으로 교잡반응을 할 수 있는 probe를 제작하여 PCR 결과를 DNA-EIA반응으로 확인 분석할 수 있도록 하였다. Primary PCR과 nested PCR의 산물을 전기영동 상에서 확인한 결과, nested PCR이 약 $10^2$정도의 높은 민감도를 나타내었고 DNA-EIA의 경우 $10^2P{\sim}10^3$정도의 민감도를 상승시켜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In this study, we used the method of guanidin isothiocyanate and boiling with Chelex-100 resin to extract genomic DNA of Ralstonia solanacearum from soil. It is more efficient than general protocols to remove inhibitory compounds in soil and R. solanacearum on. Then, we applied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DNA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to identify and detect pathogen. The fliC gene of R. solanacearum was selected for specific detection of pathogen and primer sets were designed. Among the primer sets, two specific and sensitive primer sets, RsolfliC(forward: 5-GAACGCCAACGGTGCGAACT-3 and reverse; 5-GGCGGCCTTCAGGGAGGTC-3, designed by J. $Sch\ddot{o}nfeld$ et al.) and RS_247 (forward: 5-GGCGGTCTGTCGGCRG-3 and reverse; 5-CGGTCGCGTTGGCAAC-3 designed by this study), were designed to perform nested PCR. Nested PCR primer was labeled with biotin for hybridization between nested PCR product and probe to analyze with DNA ELISA.

      • KCI등재

        건축 프로젝트의 특성을 고려한 성과 난이도 예측 시스템 개발

        고영진,차희성,Ko, Young-Jin,Cha, Hee-Sung 한국건설관리학회 2011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2 No.1

        Currently, The failure of construction project is increasing to be caused by a changing construction environment. According to this circumstances, Researches of project success factors affecting performance have been presented to develop strategies for efficient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However, Conducting efficient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is difficult because project manager could not know which project success factors can be improved or not. Especially, although the project characteristics were derived the level of difficulty for performance, research of the project characteristics which could not be improved as influence factor to performance is lacking. Therefore, This paper has developed the Performance Predicting System(PPS) with Fuzzy set theory to establish. PPS has been developed to establish efficient project management strategies and to save time and effort. As Contractor inputs the project characteristics, PPS can predict the level of difficulty of performance. 최근 건설 환경의 급변화로 인해 건설 프로젝트의 실패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건설 산업에서는 합리적인 프로젝트 관리전략을 수립하기 위하여 프로젝트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성공요인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가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프로젝트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개선 여부에 따른 혼재로 합리적인 성과관리가 힘든 상황이며, 특히 개선 불가능한 요인인 프로젝트 특성은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로 성과 도출의 난이도를 결정하게 됨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과지표와 특성지표체계를 이용하여 성과와 특성간의 영향관계를 밝혀내고 그 결과를 퍼지이론으로 정량화하여 성과 난이도 지수를 산정하며 특성간의 중요도를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성과 난이도를 예측하는 연구과정을 수행하였다. 또한 성과 난이도 예측에 있어서 시간과 노력을 절감하여 효율적인 프로젝트 관리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서 시공자가 서로 다른 프로젝트의 특성을 입력함에 따라 프로젝트의 각 성과영역에 어떠한 난이도를 갖는지 미리 예측하고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프로젝트 성과 난이도 예측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 KCI등재

        건설 프로젝트 특성에 따른 성과 제고가 가능한 최적 공사 관리기법 선정 방안

        고영진,차희성,신동우,김경래,Ko, Young-Jin,Cha, Hee-Sung,Shin, Dong-Woo,Kim, Kyung-Rai 한국건설관리학회 2012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3 No.1

        건설 산업에서는 프로젝트 관리에 대한 어려움이 높아짐에 따라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성과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하지만, 성과관리체계의 개발과 적용이 미흡하여 건설 프로젝트에 스스로의 수준을 파악하기 힘든 실정이다. 또한 우수한 프로젝트를 벤치마킹하기 위한 적합한 정보 제공이 힘들어 관리 전략을 수립함에 있어서 의사결정에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프로젝트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의 개선여부가 고려되지 않고 혼재 되어있어서 성과 관리 요소로서 성공요소를 적용하기 힘들다. 따라서 본 연구는 프로젝트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시공자의 노력에 따른 개선여부에 의해 분류하였고, 성과관리 요소로 이를 적용하였다. 그리고 건설 초기단계에서 시공자의 노력으로 개선 불가능한 성과관리 요소인 프로젝트 특성을 반영한 성과를 예측하기 위해, 프로젝트 특성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성과달성 난이도로 도출하여 예측하였다. 또한 예측된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성과와 공사 관리기법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성과 영역별로 시공자의 노력으로 개선 가능한 최적 공사 관리기법(Best Practices)을 규명하고, 이를 선정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importance of project performance management as an alternative for solving problems is rising, which are followed by the hardships of managing construction project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This research classifies and applies the improvements made by the operator's work, in order to apply factors of success on the construction project, as performance management factors. In addition, in order to predict the results reflecting the project characteristic of performance management factor un-improvable by the operator in the initial stage of construction, the effect of project characteristic to the performance was drawn by performance difficulty. Also, in order to improve the predicted performance, researches on setting valid best practices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territory through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best practices improvable through the operator's work, and the performance was made.

      • KCI등재

        유성장애음소 설정을 통한 유성음 간 평장애음 유성음화 문제 해소

        고영진 ( Ko Young-jin ) 한민족문화학회 2019 한민족문화연구 Vol.66 No.-

        기존의 한국어 장애음소 체계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유성장애음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는다. 그러나 실제 한국어는 유성음 사이에서 유성장애음이 발화된다. 이와 같은 사실을 설명하기 위해 학자들은 유성장애음이 유성음사이 에서만 발음되는 것에 근거해 한국어는 유성장애음소는 존재하지 않으나, 무성평장애음이 유성음 사이에서 유성음으로 변화하여 발화되는 음운현상이 있다고 주장한다. 이와 같은 주장은 무성음이 유성음 사이에서 유성음으로 동화하는 자연스런 음운현상으로 인식돼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이는 한국어에는 유성장애음소가 없다는 주장의 근거가 됐다.하지만 한국어의 경우 무성평장애음은 유성음 사이에서 유성음으로 동화한다는 주장과 일치하지 않거나 심지어 역행하는 음운현상까지 있어, 유성음사이 무성평장애음 유성음화 규칙은 문제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한국어 음소체계에서 무성평음으로 분류되는 ‘ㅅ’은 유성음 사이에서 유성음으로 변화되지 않으며, 미국영어를 배우는 한국어 모어 화자는 영어중간어에서 약음절의 무성장애음을 유성음으로 발음하지 않으며, 한국어의 무성평장애음으로 중화된 어말종성은 모음으로 시작하는 접사가 붙어 유성음사이의 환경이 조성되더라도 유성음으로 발음되지 않고 유기음이나 긴장음 등 본래 음소의 음가를 그대로 간직한 무성음으로 발음된다. 이는 한국어 무성평장애음 유성음화 규칙에 문제가 있음을 증명한다. 이와 같은 문제는 고영진(2015)의 주장처럼 한국어의 유성장애음소를 인정하면 해소된다. 한국어에서 유성장애음이 유성음 사이에서 발화된 것은 유성장애음소가 그대로 발화된 것이며, 기존의 연구들과 달리 한국어의 유성음사이의 환경은 어떤 음운변화도 유발하지 않는다. 그러나 유성장애음소가 무성평음으로 발화되는 음운변화현상이 있어 설명이 필요하다. 이는 한국어의 경우 유성장애음소가 형태소(단어)의 초성과 종성으로 발음될 때 무성음으로 발화되는 ‘유성장애음 무성음화 규칙’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현상은 여러 언어에서 보이고, 음성학적인 측면에서도 초성의 경우 성대의 떨림 준비가 덜 돼있고, 어말장애음의 경우 불파폐쇄음으로 중화되기 때문에 기도에서 기류의 흐름이 멈춰 성대가 떨리지 않는 매우 자연스런 음운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There is no acceptance on the existence of the voiced obstruent phonemes in Korean by almost all of the current and former studies. But voiced obstruents are uttered in the context of intervoiced in real Korean speeches. To explain the situation, scholars insist on the existence of the phonological phenomena that even though voiced obstruents are not existed as phonemes in Korean but uttered in the intervoicing context because of voicing assimilation. And the assertion is considered as a natural phonological process, since assimilating to adjacent sounds is normal and it becomes the evidence of the assertion.But in Korean, as there are some phonological phenomena not in line with or even reversal to the idea that intervoiced voiceless plain obstruents are voiced, the assertion has some problems.Even though ‘ㅅ’ is classified to voiceless plain obstruents in the system of Korean phoneme, it is not changed to a voiced sound in intervoiced context, the sounds neutralized to voiceless plain consonants at the end of a word are revived to their origin sounds of properties voiceless even though they are in the intervoiced context by adding vowel initial affixes and all of them prove ‘the intervoiced voiceless plain obstruents voicing rule’ in Korean has problem. And Korean speakers learning American English do not pronounce weak syllable intervoicing voiceless obstruents as voiced ones in their inter language of English and it is another one to contradict the rule.This study solves the problem by accepting Ko (2015) assertion that Korean has voiced obstruents as phoneme. So the voiced obstruents pronouncing in intervoced context are the sounds of origin without any change and the intervoiced context is not the trigger of any phonological changes in Korean. But we need one thing to explain the reason why voiced obstruents are pronounced as voiceless ones at the beginning and end of a word and the rule ‘voiced obstruents devoicing rule’ changing voiced obstruents to voiceless ones at the beginning and end of a word is the answer for that. And the rule is natural since voiced obstruents devoicing phenomena at the situations is normal in many languages and in phonetic idea of VOT and unexplosion of the obstruents at the end of a word stop moving airstream in the vocal track and not make possible to vibrate vocal folds.

      • KCI등재

        제주도 방언의 양태표지 ‘-으크-’에 대하여

        고영진(Ko Young-jin) 한글학회 2021 한글 Vol.- No.332

        우리는 이 글에서 제주도 방언의 양태표지 ‘-으크-’의 형태 및 의미에 대하여 검토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으크-’와 ‘-크-’는 음운 조건에 의한 변이형태로, 자음 어간 다음에는 ‘-으크-’가, 모음 어간 및 ㄹ 어간 다음에는 ‘-크-’가 온다. (2) 위의 ‘-(으)크-’는 수의적 변이형태로 ‘-(으)커-’가 있다. (3) ‘-(으)크-’는 ‘하라체’ 종결어미 ‘-yə(ㅕ)’ 앞에서는 형태 조건에 의한 변이형태로 ‘-(으)ㅋ-’가 쓰인다. (4) ‘-(으)크-’는 ‘하라체’ 종결어미 ‘-어’나 ‘-여’ 앞에서는 형태 조건에 의한 변이형태로 ‘-(으)키-’가 쓰이기도 한다. (5) ‘-(으)크-’는 상대높임의 ‘-우-’ 앞에서는 형태 조건에 의한 변이형태로 ‘-(으)ㅋ-’이 쓰인다. ‘-으크-’의 의미는 ‘추정’이 일반적이나, 주어가 일인칭이면서 명제의 사태를 화자가 통제 가능한 경우에는 ‘의지’의 의미를 가지며, ‘알다, 모르다’ 등과 함께일 때는 ‘가능’의 뜻을 가진다. 그리고 제주도 방언의 ‘-으크-’와 ‘-을 거-’의 차이도, 표준 한국어의 ‘-겠-’과 ‘-을 것이-’와 마찬가지로, ‘현장성’의 유무로 설명할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morphological structure and meaning of “-ɨk<SUP>h</SUP>ɨ-,” the modality marker in the Jeju dialect of Korea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ɨk<SUP>h</SUP>ɨ-” and “-k<SUP>h</SUP>ɨ-” are phonologically conditioned allomorphs. “-ɨk<SUP>h</SUP>ɨ-” appears after consonants and “-k<SUP>h</SUP>ɨ-” appears after vowels. (2) “-(ɨ)k<SUP>h</SUP>ə-” is the free variant of “-(ɨ)k<SUP>h</SUP>ɨ-”. (3) “-(ɨ)k<SUP>h</SUP>ɨ-”has morphologically conditioned allomorphs, such as “-(ɨ)k<SUP>h</SUP>-” and “-(ɨ)k<SUP>h</SUP>i-.” It is used in front of the sentence ending “-yə” or “-ə”. (4) “-(ɨ)k<SUP>h</SUP>-” is used as the morphologically conditioned allomorph of “-(ɨ)k<SUP>h</SUP>ɨ-” that simultaneously occurs with the hearer’s honorific suffix “-(ɨ)u-”. “-ɨk<SUP>h</SUP>ɨ-” most commonly means “inference,” but if the subject is the first person or the speaker can control the proposed situation, it means “intention.” When the verb is alda (to know) or morɨda (to not know), “-ɨk<SUP>h</SUP>ɨ-” means “possibility”. The difference between “-ɨk<SUP>h</SUP>ɨ-” and “-ɨl kə-” depends on the context in which the speech is occurring. “-ɨk<SUP>h</SUP>ɨ-” is used when the speaking and resolution times are identified, otherwise “-ɨl kə-” is used. This situation is the same as in standard Korean.

      • KCI등재

        국어 움라우트 현상에 대한 고찰

        고영진 ( Young-jin Ko ) 대한영어영문학회 1996 영어영문학연구 Vol.21 No.2

        In general, Korean Umlaut occurs between two non adjacent vowels, noncoronal consonant appears between them, that is, the former back or central vowels assimilate across the noncoronal consonant to the latter front vowels. But there is no any account to the reason why Korean Umlaut cannot occur across the coronal consonant. Moreover, in some cases, Korean Umlaut occurs across the coronal consonant such as ‘1’. However, there is no any answer about them. In this paper, I search the Korean Umlaut with Feature Geometry(Clements 1991), Plane Conflation of consonants and vowels point of articulation features plane(Ko 1994), and OCP. Such a theory explains clearly why Korean Umlaut cannot occur across the coronal consonant. Furthermore, some counter-examples are explained explicitly through the modified theory. In the second section, I survey the Korean Umlaut and show the problem of it. In the third section, I propose the tools to analyze the Korean Umlaut such as Feature Geometry and Plane Conflation of consonants and vowels point of articulation features plane. In the forth section, I survey the relation of OCP and Phonological Processes. And, in the fifth section, I analyze the Korean Umlaut through the suggested methods. Finally, in the sixth section, I explain some counterexamples.

      • KCI등재

        음양오행설의 언어이론 가능성 모색

        고영진 ( Young Jin Ko ) 한민족문화학회 2009 한민족문화연구 Vol.29 No.-

        서양인들의 삶속에 깊숙이 내재되어 그들의 삶을 지배하고, 서양 학문의 근간이 되는 철학적 사상이 있는 것처럼, 동양에도 그와 같은 사상이 있다. "음양오행사상" 혹은 "음양오행설"로 불리는 것이 그것이다. 음양오행설은 동양의 수많은 사람들이 오랜 세월 동안 자연과 우주를 관찰하여 이룩한 과학적인 사상이다. 이와 같은 사상은 서양의 철학적 사상이 서양인들에게 그랬던 것처럼 동양인들의 삶을 지배하였으며, 동양학문의 철학적 근간이 되어 학문의 발전에도 크게 기여 하였다. 이와 같은 음양오행설은 인간의 언어에도 깊이 투영되어 있을 것임은 분명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대의 언어이론은 서양사상과 철학에 바탕을 둔 언어이론만 있을 뿐, 동양사상에 근거한 언어이론은 전혀 없는 상황이다. 동양사상에 깊이 젖어있는 동양의 언어학자들까지도 동양사상에 근거한 언어이론의 창출에는 관심이 없고 심지어 백안시 하며, 오로지 서양사상에 근거한 언어이론으로 언어현상을 분석하는데 여념이 없다. 이에 본고는 동양의 고유사상이자 철학인 `음양오행설`의 개념과 원리를 활용하여 여러 언어현상들을 설명함으로써, 음양오행설의 언어이론 활용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한글 자음과 모음의 창제 근거, 한국어의 모음조화현상, 변별자질이론 등을 살펴본 결과 이미 음양오행설은 언어현상을 분석하는 이론으로 기능하고 있었으며, 인간이 사용하는 언어들의 음운체계, 자음의 모음적인 특성의 내포, 하나의 음운단위인 음절의 구성, 문장의 구성요소들 분석, OCP 효과의 음양오행설로의 대체 가능성 등의 점검을 통해 음양오행설이 언어현상 분석이론으로 충분히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As the western world has its own traditional philosophy governing it`s own study and life, so the eastern world has it`s own traditional idea. It is `the doctrine of the five natural elements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The idea had been the basis of study in the east for a long time and it is deeply impressed in the mind of the orientals until now. So this study tries to find out the possibility using the Eastern idea as a linguistic theory. To search the possibility, this study first checked some linguistic phenomenon already explained depending on the idea such as Hangul letter system, Korean vowel harmony and the distinctive feature theory. And this study investigated if the philosophy could be used as an alternative theory to explain some linguistic phenomenon such as the structure of a syllable, vowel-like features of some consonants, composing elements of a sentence and segments system in a language, etc. and finally compared with OCP. Through this investigation this study shows the possibility that the idea can be used as an alternative linguistic theor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