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자연 친화적 교수 태도와 숲 체험 활동에 대한 인식의 요인 연구

        고영자(Young Ja K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10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자연 친화적 교수 태도와 숲 체험 활동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서울과 경기에 있는 유아교육과 재학생 290명을 대상으로 교육적 요인과 개인적 요인에 관한 문항과 자연 친화적 교수 태도 및 숲 체험 활동에 대한 인식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각 변인들의 기초 통계값을 측정하고, 변인 간의 집단 간 차이 및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적 요인인 숲 관련 교과목 이수 경험이 있고, 개인적 요인으로 숲 관련 교육의 관심이 높고, 숲 관련 교육 실천 의지가 높은 집단이 자연 친화적 교수 태도 및 숲 체험 활동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적 요인인 숲 관련 교과목 이수 경험과 숲 관련 교육의 관심도, 숲 관련 교육 실천 의지, 자연 친화적 교수 태도, 숲 체험 활동에 대한 인식 간의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자연 친화적 교수 태도와 숲 체험 활동에 대한 인식의 요인으로 숲 관련 교과목 이수 경험과 숲 교육 실천 의지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예비유아교사가 유아교육현장에서 자연 친화적 교수 태도와 숲 체험 활동에 대한 인식을 높게 가지기 위해서는 양성과정에서 숲 관련 교과목을 이수하는 방법으로 사전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아와 함께 자연 및 숲 교육을 위해서는 양성과정 단계에서부터 숲 관련 교과목 이수를 통해 교수 태도를 갖추고 긍정적인 인식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factors that affect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na-ture-friendly teaching attitude and perception of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Method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290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sking questions about educational and personal factors, and their per-ception of nature-friendly teaching attitudes and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program. The basic statistical values of each variable were measured, inter-group differences and correlations between variables were analyzed,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roup that has experience taking forest-related subjects, which is an educational factor for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has a high interest in forest-related educa-tion as a personal factor, and has a high willingness to practice forest-related education, has a nature-friendly teaching attitude and a higher level of awareness of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found to be high. Seco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experience of completing forest-related subjects, which is an educational factor for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ir interest in forest-related education, their willingness to prac-tice forest-related education, their nature-friendly teaching attitude, and their awareness of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erience of completing forest-related subjects and willingness to practice forest education were factors in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nature-friendly teaching attitude and awareness of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Conclusions This suggests that in order for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to have a nature-friendly teach-ing attitude and a high awareness of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prior educa-tion is necessary by completing forest-related subjects during the training course. In order to educate children about nature and forest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it is necessary to have a teaching attitude and a positive perception by completing forest-related subjects from the training stage.

      • KCI등재

        유아교사의 유아학대 인식 및 학대예방노력, 유아권리존중 실행에 관한 연구

        고영자 ( Ko Young Ja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8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5 No.3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유아학대 인식 및 학대예방노력, 유아권리존중 실행에 대해 알아보고자 서울과 경인지역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17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유아교사의 개인변인(연령, 학력, 경력)과 교육인지변인(유아학대예방교육이수, UN유아권리협약 인지, 유아인권교육이수)에 따라 유아교사의 유아학대인식과 학대예방노력, 유아권리존중 실행 정도를 F 검증과 t 검증을 통해 차이분석을 하고 변인간의 상관관계 및 영향관계를 알아보고자 Pearson의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행하였다. 그 결과 유아교사는 과반수 이상이 유아학대예방교육과 유아인권교육을 이수하고, UN아동권리에 대해서도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학대 인식은 개인변인인 연령과 학력, 경력에 따라 유아학대인식 및 학대예방노력, 유아권리존중 실행에 차이가 나타났으며, 유아교사의 교육인지변인에 따라서도 유아학대인식 및 학대예방노력, 유아권리존중 실행에 차이가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연령이 낮을수록 교육인지변인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으며, 유아학대인식은 학대예방노력과도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나 변인간의 영향관계는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유아교사의 개인변인과 교육이수 정도를 고려하여 유아학대예방교육과 유아권리존중에 관한 연수가 이루어져 유아권리가 존중되는 유아교육현장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s of child abuse, abuse prevention, and respect for children’s rights. In this study, 174 kindergarten teachers in Seoul and Gyeong-in areas were surveyed. The research tool were the researcher’s modified abd reinforced reconstruction of Cho(2017), Jeong(2016).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more than half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reported that child abuse prevention education, child rights education, and awareness of UN children’s rights were recognized. In addition,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efforts to prevent physical abuse and the efforts to prevent child abuse entirely by age. There were differences in autonomy and individuality among the abuse of physical abuse and respect for children’s rights. The correlation between three variables showed a high correlation. The results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variables did not show statistically meaningful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plan more detailed education for the prevention of child abuse and education of children’s righ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o improve the effect of the relevance.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이 행복감과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고영자(Young Ja K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9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과 행복감, 놀이성의 수준을 파악하고, 놀이교수효능감이 행복감과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방법 연구목적에 따라 서울과 경기지역에 있는 4년제 대학의 유아교육과에 다니는 재학생 144명을 대상으로 놀이교수효능감과 행복감, 놀이성의 수준을 알아보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목적에 따라 상관관계 분석과 회귀분석을 통해 변인 간의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과 행복감, 놀이성은 평균 이상의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놀이교수효능감과 행복감, 놀이성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예비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은 이들의 행복감과 놀이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예비유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교육과정을 제공하여야 한다. 또한 놀이교수효능감을 통한 행복감과 교사의 놀이성을 증진시키는 교사지원 연수를 제공할 것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level of play teaching efficacy, happiness, and playfulnes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eaching efficacy on happiness and playfulness. Method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level of play teaching efficacy, happiness, and playfulness among 144 students attend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s at four-year universities in Seoul and Gyeonggi. Results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teaching efficacy, happiness, and playfulness appeared to be above average, a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lay-teaching efficacy, happiness, and playfulness. In additi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efficacy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ir happiness and playfulness. Conclus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a curriculum that can enhanc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ense of play teaching efficacy should be provided. In addition, it suggests that teacher support training should be provided to enhance happiness and playfulness of teachers through play teaching efficacy.

      • KCI등재

        유아교사의 유아동작교육에 대한 인식과 창의적 동작교육 실행에 관한 연구

        고영자(Ko, Young-Ja)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6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96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변인과 유아동작교육에 대한 인식이 창의적 유아동작교육 실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서울과 경기지역에 있는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12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유아교사의 배경변인 중 연령과 경력이 창의적 유아동작교육 실행과 관련이 있고, 동작교육에 대한 인식 중 동작교육의 효과와 지식수준에 따라 창의적 유아동작교육의 실행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의적 유아동작교육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알아본 결과 교사의 경력과 동작교육의 효과인식 및 연령이 의미있는 주요 변인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육현장에서 창의적 유아동작교육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유아교사의 경력관리와 유아동작교육의 효과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r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background variables of movement education and the actual state of creative action. education of preschool teachers. One hundred twenty-three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at preschool institution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ere surveyed. The results show that the ages and levels of experience of the kindergarten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are associated with creative behavior training run. Also, there is difference in educational effectiveness and in the recognition and execution of creative education, depending on the teachers’ knowledge level of child behavior.

      • KCI등재

        유아의 안전지식과 안전문제해결사고능력 증진을 위한 동시 활동 모색

        고영자(Ko, Young-Ja),김민정(Kim, Min-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7

        본 연구는 2017년 3월 20일부터 6월 30일까지 경기도 부천시에 위치한 J유치원과 T유치원의 만5세 유아 총 42명을 대상으로 유아의 안전지식과 안전문제해결사고능력 증진을 위한 동시 활동 접근을 모색했다. 그 결과, 유아의 안전 지식과 안전문제 해결사고능력의 하위 요인, 즉 교통, 화재, 위험한 물건, 자연재해, 식품 측면에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유아의 성별에 따른 안전지식과 안전문제해결사고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유아의 안전지식과 안전문제해결사고능력은 성별보다는 교육유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특히 동시를 활용한 안전교육 활동이 유아의 안전지식과 안전문제해결사고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유아교육 현장에서 안전교육의 방안으로 동시 활동을 활용하여 교육적 효과를 도모하기를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safety education activities utilizing children s poetry on safety knowledge and safety problems-solving competence of children. To do it, the thesis conducted a survey of total 42 children aged 5, at J Kindergarten and T Kindergarten located at Bucheon City, Gyeonggi Province, from March 20, 2017 until June 30, 2017. According to an analytic research outcome on sub-factors of safety knowledge and safety problems-solving competence of children, in other words, traffic, fire cases, dangerous stuffs, natural disasters and foods, there has bee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Meanwhile as for safety knowledge and safety problems-solving competence of children, according to sex, there has not bee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us, it is analyzed that safety education should be steadily conducted, considering children s developmental characters rather than their sex, and safety education activities utilizing children s poetry have the positive effects on safety knowledge and safety problems-solving competence of children. Safety education activities utilizing children s poetry can be considered important pedagogical learning activities necessary for enhancing safety knowledge and safety problems-solving competence of children.

      • KCI등재

        인성동화를 활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이 유아의 배려적 사고와 사회적 유능성 및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고영자(Ko Young Ja)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6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5 No.3

        인성동화를 활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이 유아의 배려적 사고와 사회적 유능성 및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서울지역에 있는 P유치원의 만 4세 유아 40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여 실험집단에 인성동화를 활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을 15회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 유아의 배려적 사고와 사회적 유능성, 사회적 기술이 사전검사에서는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으나 실험처치가 실시된 후, 사후검사에서는 실험집단의 평균값이 통제집단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를 통해 인성동화를 활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이 유아의 배려적 사고와 사회적 유능성, 사회적 기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was aimed at finding out the effect of discussion activies with the use of picture books related to character education on considerate thinking, social competence & pro-social behavior. The study conducted an experimental study on 40 children of age 4 in A and B P kindergarten in Seoul.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15 session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in each session lasted for about 30 minutes discussion activies with the use of picture books related to character education. The control group had an ordinary activity with general children’s stories in accordance with the national Nuri-course topic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discussion activies with the use of picture books related to character education had positive influence on considerate thinking, social competence & pro-social behavior.

      • KCI등재

        유아인성교육활동이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배려행동에 미치는 영향

        고영자(Ko Young J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1

        본 연구는 유아인성교육활동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만 5세 유아를 대상으로 실험집단에게는 유아인성교육활동을 실행하고, 통제집단은 일반적인 누리과정을 진행한 후 자기조절력과 배려행동에 관한 검사도구를 활용하여 사전, 사후검사를 실시한 후 집단간 차이를 통계적으로 알아보았다. 그 결과 유아인성교육활동을 진행한 실험집단의 자기조절력과 배려행동 평균 점수가 통제집단보다 높게 나타나 유아인성교육 활동이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배려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배려행동을 증진하기 위해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인성교육을 활발하게 시도할 것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ersonality education activities on young children in 5 - year - old children, to carry out the activities of preschoolers on the experimental group, After the pre-and post-test,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was statistically examined. As a result, the self - control and self - control behavior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and it was found that the activities of the child `s Personality educ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elf - regulationl and care behaviors of the infa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early childhood education should be actively attempted at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 to promote self - regulation and caring behavior of children.

      • KCI등재

        유아의 연령과 성에 따른 애니메이션 캐릭터 선호도

        고영자(Young-Ja Ko),김민정(Min-Jung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3

        본 연구는 만 3세 - 5세 유아 255명을 대상으로 연령별?성별에 따른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선호도를 조사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유아가 선호하는 애니메이션 캐릭터를 그림으로 표상하고, 캐릭터 선호 이유에 대해 개별 면접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SPSS 18.0 Window 통계 프로그램의 χ²검증을 통해 선호도 차이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만 3 - 5세 유아들은 국내 제작 애니메이션을 35.7%, 국외 제작 애니메이션을 64.3%로 국외에서 제작된 애니메이션의 선호도가 높았다. 또한, 국내 캐릭터 22.4%, 국외 캐릭터 77.6%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유아의 선호하는 애니메이션 캐릭터는 연령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χ²=302.474<SUP>***</SUP>, P<.001), 만 3세 유아는 뽀롱뽀롱 뽀로로의 ‘뽀로로’, 만 4세 유아는 꼬마버스 타요의 ‘타요’와 캐릭캐릭 체인지의 ‘아무’, 만 5세 유아는 짱구는 못말려의 ‘짱구’ 캐릭터의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유아의 선호하는 애니메이션 캐릭터는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χ²= 120.864<SUP>***</SUP>, P<.001), 남아는 뽀롱뽀롱 뽀로로의 ‘뽀로로’, 도라에몽의 ‘도라에몽’, 토마스와 친구들의 ‘토마스’, 꼬마버스 타요의 ‘타요’ 순으로 선호하였으며, 여아는 뽀롱뽀롱 뽀로로의 ‘뽀로로’, 리틀 프릿의 ‘사과’, 캐릭캐릭 체인지의 ‘아무’, 뽀롱뽀롱 뽀로로의 ‘루피’ 순으로 선호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제작되는 유아용 애니메이션의 개발이 좀 더 발전되길 기대하며, 이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길 바란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and analyze children’s preference on animation characters according to age and gender of the subjects, by surveying 255 children aged from 3 to 5. The animation characters were represented in pictures, and the reasons of preference were collected through individual interview with the children. The χ² verification of SPSS 18.0 Window statistic program was used to verify the difference in preference. As a result, children aged from 3 to 5 showed higher preference on animations produced in foreign countries than the ones produced in Korea, as Korean animations and foreign-country animations had preference rate of 35.7% and 64.3%, and Korean characters and foreign-country characters had preference rate of 22.4% and 77.6% respectively. Depending on the age of children,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animation characters that the children prefer (χ²=302.474<SUP>***</SUP>, P<.001), and it was shown that children at the age of 3 showed preference on ‘Pororo’ of Pororo the Little Penguin, children at the age of 4 on ‘Tayo’ of Tayo the Little Bus and ‘Amu’ of Shugo Chara, and children at the age of 5 on ‘Shin Chan’ of Crayon Shin Chan. It was also reveal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animation characters according to the gender of children (χ²=120.864<SUP>***</SUP>, P<.001); boys preferred ‘Pororo’ of Pororo the Little Penguin the most, followed by ‘Doraemon’ of Doraemon, ‘Thomas’ of Thomas and Friends and ‘Tayo’ of Tayo the Little Bus, and girls preferred ‘Pororo’ of Pororo the Little Penguin the most, followed by ‘Apple’ of Little Princess, ‘Amu’ of Shugo Chara and ‘Loopy’ of Pororo the Little Penguin. Through this study, it is hoped that the development of children animation would advance further, and that this study could be used as the preliminary resource.

      • KCI등재

        유아의 리듬악기 활동을 통한 통합적 음악교육의 의미 고찰

        고영자(Ko Young-Ja)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0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5 No.6

        본 연구는 리듬악기 활동을 계획하여 유아들과 전개해 가면서 유아 음악교육 영역과 교육적 통합의 과정을 탐색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경기도 B시에 위치한 유치원 만 5세반 유아들로 남아 18명과 여아 15명이며 담임교사와 보조교사로 구성되었다. 자료수집 과정은 2010년 5월 10일부터 7월 26일까지 약 3개월간 주 1회씩 리듬악기를 이용한 음악활동을 진행하였고, 당일 자유선택활동에서의 유아와 교사, 유아간의 상호작용을 비디오로 녹화하여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각 활동에서 보이는 유아의 반응적 특징을 분류하여 유목화하였고, 그 안에서 발현되고 있는 중심 주제를 찾아 음악교육의 가치와 교육적 목표에 비추어 기술하고 해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첫째, 유아들은 리듬악기를 통한 음악활동에서 소리의 탐색과 소리 만들기, 노래 부르기, 악기 다루기, 음악 감상의 5가지 부분에서 자발성과 주도성이 증가되었다. 둘째, 유아들은 리듬악기를 활용해 가면서 교육영역간의 통합적 활동을 전개할 수 있었다. 리듬악기로 연주하고, 노래 부르며, 음악감상을 하는 과정에서 유아들은 교육 영역적 요소를 접목시키고, 다른 교육영역에서의 경험과 활동을 음악과 연계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유아가 능동적 학습자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고, 유아의 음악적 잠재성을 개발시켜줄 수 있는 리듬악기의 교육적 의의를 새롭게 하며, 유아의 발달적 특성을 반영한 음악교육의 통합적 의미를 모색해 볼 수 있었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integrated music education for children by planning music activities using rhythm instruments and practicing them with children. For collecting data, music activities using rhythm instruments were carried out once a week for about three months from May 10, 2010 to Jul. 26 and then, interactions between children and teachers, and among children during the free choice activities were recorded by videotapes. In order to analyze data collected, reactiv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in the activities were classified into, and central topics of the activities were described and analyzed based on value of music education and its educational goa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ly, it was found that of music activities using rhythm instruments, children's spontaneity and leadership improved in five activities such as exploration of sound, making sound, singing, playing instruments and music appreciation. Secondly, children could practice integrated music activities by using rhythm instruments. ese results show that children can be active learners in music education using rhythm instruments. Also, in this study, educational meaning of rhythm instruments to develop musical potentials of children was newly defined and meaning of integrated music education reflecting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as examined in detail.

      • KCI등재

        어린이집 장기 미 종사자직무교육 만족도 연구

        고영자(Ko, Young-j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4

        목적 본 연구는 보육 교직원으로서 자격을 취득하였으나 2년 이상 보육 현장에서 근무하지 않은 미 종사자들이 다시 보육교사로 근무하기 위해 받아야 하는 장기 미 종사자직무교육의 교육 접근성과 교육내용, 교육 기대효과를 중심으로 교육의 만족도 수준을 탐색하는 목적을 둔다. 방법 연구목적에 따라 교육 만족도를 알아보고자 양적 연구 방법과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합적으로 실행하여, 먼저 양적 연구 방법으로 서울 및 경기도 지역에서 장기 미 종사자직무교육을 이수한 33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연구자료로 활용하였다. 또한, 질적 연구 방법으로 장기 미 종사자직무교육을 이수한 10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 면담을 진행하고, 그 자료를 질적 연구 자료로 수집하였다. 양적 자료는 SPSS WIN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신뢰도, 기술통계, ANOVA로 검증하고, 사후검정을 위해 Scheff’e test를 실시하였다. 또한, 질적 자료를 연구의 타당성에 맞게 분석하기 위해 Merriam(2009)의 질적 자료 분석방법론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장기 미 종사자직무교육의 만족도와 관련하여 본 연구의 양적 연구 결과에서는 교육 이수자의 모든 배경 변인에서 교육 접근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근무경력과 자격급수에 따라 교육내용과 기대효과에 집단 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한 질적 연구 결과도 교육 이수자들이 교육을 신청하고 접수하는 과정에서 교육정보가 부족하고 교육 신청 방법이 어려워 곤란함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을 통해 보육교사의 직무를 이해하고 취업의 의지를 높이며, 공보육에 대한 책임감을 갖는데 교육의 기대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장기 미 종사자직무교육은 비 현직자의 배경 변인을 고려하여 교육 접근성을 높이고, 교육내용을 보완하여 이들의 보육 현장 진입을 적극적으로 지원하여 직무교육의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운영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for non-workers who have obtained childcare teacher licenses but have not worked in daycare centers for more than 2 years. In order to find out the satisfaction level of job training for long-term unemployed worker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about the accessibility of education, satisfaction with the content of education, and satisfaction with the expected effect of education for those who completed the education. Methods According to the research purpose,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an integrated way wi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irst, as a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337 people who completed job training for long-term unemployed work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Second, a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people who completed long-term job training for unemployed workers, and the data were used as qualitative research data. For data analysis, quantitative data was verified by reliability, descriptive statistics, and ANOVA using the SPSS WIN 23.0 program, and Scheff e test was conducted for post-test. For data analysis, quantitative data was verified by reliability, descriptive statistics, and ANOVA using the SPSS WIN 23.0 program, and Scheff e test was conducted for post-test. In addition, in order to analyze qualitative data according to the validity of the study, it was analyzed based on the qualitative data analysis methodology of Merriam(2009). Results The results of the quantitative study showed that the educational accessibility of job training for long-term unemployed workers was low,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educational content and expected effects according to work experience and qualification level. Qualitative research results also showed that education information was lacking and education application was difficult. Regarding satisfaction with job training for long-term unemployed workers, first, in the quantitative research results of this study, education access was low in all background variables of those who completed training, and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educational content and expected effects according to work experience and qualification level.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qualitative research results also show that those who have completed education experienced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applying for and receiving education, due to the lack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the difficulty in applying for education. Through education, it was found that the expected effect of education was high in understanding the duties of child-care teachers, increasing the will to find employment, and taking responsibility for public child-care. Conclusion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it is necessary to conduct job training for long-term unemployed in consideration of the background variables of non-incumbents. This suggests that the educational objectives of long-term unemployed job training should be achieved by increasing the accessibility of education and subdividing the educational contents according to the child-care fie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