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인 생활시설의 후원자원 개발을 위한 전략적 마케팅 기획 사례연구

        고선정,(Ko, Sun-Jung) 김성희(Kim, Seong-Hee)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04 재활복지 Vol.8 No.1

        본 연구는 장애인생활시설의 후원자 개발을 위한 전략적 마케팅 기획과정(Strategic Marketing Planning Process)에 따른 사례연구를 하고자 함이다. 최근 사회복지시설은 후원자원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으나 담당인력의 마케팅 기법에 관한 지식과 기술이 미숙한 단계에 있다. 특히 작은 규모의 생활시설은 자원개발의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후원자원 개발을 위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를 위해 장애인생활시설(J기관)의 후원자개발 사례를 종합하여, 전략적 마케팅 기획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조직을 분석하고, 그 내용을 토대로 포트폴리오 기획을 통해 핵심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였다. 특히 조직적 차원에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Andreasen과 Kotler(2003)가 제시하고 있는 기본들을 사용하였다. J기관의 조직분석 결과, 도서지역이라는 지리적 특수성은 자원개발을 하는데 저해요인이 되고 있었으나, 기관의 약점을 강점으로 활용하기 위한 기회요인(시설의 개방)을 찾고, 후원자개발을 위한 조직문화를 형성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특히 마케팅믹스에 의한 자원개발 전략을 7가지 요소로 구분하여 최적의 상태에서 자원개발을 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생활시설의 담당인력이 자원개발 업무수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점을 감안할 때, 단일기관의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생활시설의 자원개발에 따른 실천적 접근방법을 모색하는데 그 의미가 있겠다. This is a case study on the process of strategic marketing planning to develop sponsors of residential institutions for people with disability. Recently social welfare institutions are raising the necessity of developing sponsoring resources but persons in charge of relevant affairs lack knowledge and skills in marketing. In particular, small-sized residential institutions have difficulties in establishing marketing strategic for the development of sponsoring resources despite their keen necessity of resource development. Thus this study examined a case of sponsor development by an residential institu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y(J Institution), analyzing the organization focused on the process of strategic marketing planning. In addition, based on the findings, it established a key marketing strategy through portfolio planning. Particularly to establish a marketing strategy in an organizational dimension, this study used a basic frame proposed by Andreasen & Kotler(2003).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J Institution, its geographical characteristic, namely, its being at an island was a factor hindering resource development but the institution had developed organizational culture for finding opportunities (openness in residential institution) to utilize its weakness as a strength and developing sponsors. In particular, it divided its resource development strategy based on marketing mix into seven elements, and looked for resource development plans under the optimal condition. Thus, considering difficulties that persons in charge of resource development at residential institutions for the disabled have in performing their job,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looked for practical approaches for the institutions to develop resources by suggesting the case of an institution.

      • KCI등재

        1960-70년대 아파트의 생활혁명과 물질문화에 관한 연구

        고선정 ( Ko Sun Jung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구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 2020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63 No.-

        1960~1970년대 한국의 근대화 프로젝트는 군부가 주도하는 ‘혁명’의 제도화를 통해 ‘발전국가(Developmental State)’를 수립하였다. 농업국에서 공업국으로 전환되면서 도시의 인구증가로 주택문제가 점차 심각해지자 이를 해결하고자 정부는 ‘조국 근대화’라는 명목 하에 경제개발정책의 일환으로 주택건설을 계획하였다. 이를 계기로 단지식 아파트가 최초로 등장했고, 새로운 계층인 도시 ‘중산층’이 탄생하였다. 정부는 대규모 아파트 단지를 중산층을 대상으로 공급하고, 이들의 삶은 서구의 합리성과 근대적 편리성 그리고 주거공간의 변혁을 통해 정부가 의도한대로 ‘생활혁명’을 일으켰다. 아파트라는 공간을 통해 중산층은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을 구축하고 가정의 소비행태에 있어 커다란 변화를 야기했다. 서구식 근대 공간의 획일화는 우리의 삶을 편리하게 해주는 반면, 단조로운 생활에 사람들의 소비패턴을 증가시켰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물질문화적 관점에서 사람과 사물, 공간의 변모를 한군데 집약해서 볼 수 있는 1960~1970년대 ‘아파트’를 중심으로 조국 근대화 발전과 생활혁명이 어떻게 이뤄졌는지, 아파트와 중산층의 관계에서 만들어진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또한 획일화된 아파트 공간에서의 삶이 가정의 소비증가로 이어지는 현상을 그 당시 신문기사를 통해 밝혀보았다. 결론적으로 물질문화적 관점에서 디자인된 사물과 공간을 통해 과거와 현재를 이해할 수 있고, 한국의 역사와 사람들의 삶을 들여다 볼 수 있는 계기가 되길 기대해 본다. In the 1960s and 1970s, Korea's modernization project established a "developmental state" through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he "revolution" led by the military. With the transition from an agricultural country to an industrial country, the housing problem became increasingly serious due to the increase in urban population. The government then planned to increase housing as part of its economic development policy under the name of modernization of the country. This led to the emergence of complex-style apartments for the first time and the creation of a new "middle class" in cities. The government provided large-scale apartment complexes to the middle class, and this led to a "housing revolution" as intended by the government, through Western rationality, modern convenience, and transformation of residential space. Through the space of apartments, the middle class has created a new lifestyle and a major change in household spending patterns. While the uniformity of Western-style modern spaces has made our lives convenient, people's consumption patterns increase in monotonous lif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the modernization of the country and the housing revolution took place in the 1960s and 1970s, focusing on "apartments" that are a combination of the transformation of people, things, and space from a material and cultural perspective, and the changes in the new lifestyle cre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partments and the middle class. In addition, this study tries to reveal through a newspaper article at that time that life in a uniform apartment space leads to an increase in household consumption. In conclusion, I hope that it will be an opportunity to understand the past and the present through the medium of objects and spaces designed from a material and cultural perspective, and to look into the history and people's lives in Korea.

      • KCI등재

        근대 재봉틀과 여성의 상품문화 연구

        고선정 ( Ko Sun Jung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3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72 No.-

        전근대 여성교육은 가정 안에서 부덕함양과 가정기술의 습득이었다. 그중 바느질과 수놓기는 계층과 상관없이 모든 여성이 배워야 할 필수 사항이자 노동이었다. 이는 여성의 근대 교육에서도 크게 변하지 않았다. 학교에서는 여전히 여성에게 전통적 여성성을 강조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재봉과 수예와 같은 실업 위주의 기술교육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재봉틀’이란 사물이 보급되자 여성은 속도가 지배하는 근대사회 속에서 생산과 소비의 새로운 주체자로서 근대화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양재와 미싱자수 등 주부들의 취미생활이 부업으로 발전하며 비로소 여성은 가정경제와 국가발전에 큰 역할을 하였다. 더불어 다양한 상품개발과 홈패션 문화 형성, 옷본 보급과 양장점 등 여성이 이끌어 낸 결과물로 경제성장뿐만 아니라 삶의 질 향상과 대중의 의생활 개선에 많은 변화를 이뤄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재봉틀을 중심으로 여성이 어떻게 주체적으로 생활을 개선하고 경제적 독립을 하였는지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여성이 만들어낸 상품문화의 흐름과 상품화된 요소들을 그 당시 신문기사와 광고를 통해 고찰하고자 한다. 디자인된 사물을 통해 시대적 상황과 사회·문화적 변화를 다각적으로 조명되길 기대해 본다. The pre-modern education of women consisted of cultivating womanly virtues and learning domestic skills. It was imperative that all women, regardless of their class, learned the skills of sewing and embroidery. The modern education of women did not change much in this regard. The school system still emphasizes traditional femininity for women, and based on this, job-oriented technical education such as sewing and handicrafts is provided. However, as the sewing machine gained popularity, women laid the foundation for modernization as subjects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in a fast-paced society. Dressmaking and sewing machine embroidery developed into side jobs for domestic workers, which greatly contributed to the advancement of the country's economy and home economy. Through the development of various products, the development of a home fashion culture, the development of clothes patterns, and the establishment of tailoring shops greatly contributed to improving the public's clothing life.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d how women achieved economic independence and independent living through sewing machines. And from the latter, we examined the flow, design, and commercialized elements of the product culture created by women through newspaper articles of the time. Through the designed objects, we hope to highlight the social and cultural changes in those times from a variety of perspectives.

      • KCI등재

        현대사회의 디자인과 커뮤니케이션 매체와의 상호작용 - 빌렘 플루서의 이론을 중심으로 -

        고선정 ( Ko Sun-jung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4 한국디자인포럼 Vol.45 No.-

        16세기 이후 현대사회의 등장과 더불어 19세기 산업혁명 이후 순수 미술과 응용 미술의 경계가 무너지기 시작하였다. 이는 러시아 아방가르드와 바우하우스, 독일공작연맹 등의 모던운동을 하는 예술가들에 의해 예술이 일상생활 속으로 깊숙이 침투해 들어왔기 때문이다. 이러한 방식들은 21세기 매체의 발달과 더불어 장식을 배제한 기하학적인 형태의 모던디자인이 테크놀로지와 결합함으로써 인간의 지각을 확장시켰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현상을 디자인의 의미론적 측면에서 접근하고자 한다. 예술과 기술의 결합은 종합예술뿐만 아니라 디지털상의 가상공간 속에서 빌렘 플루서(Vilem Flusser)가 말하는 `기술적 형상`과 `테크노코드`의 매체이론을 바탕으로 새로운 커뮤니케이션의 혁명을 불러 일으켰다. 현대사회의 다양한 매체를 통해 예술 문화가 새롭게 형성되었고, 인간 커뮤니케이션 영역 또한 활발해진 것이다. 이와 같이 디자인은 삶 속에서 하나의 코드로 자리 잡고 미적체험과 정보전달·제공·저장·분배 등을 하면서 새로운 매체인 인터넷 속에서도 현실의 존재 양태를 변화시킨다. 본 연구는 플루서가 그의 역사적 관점에 따라 분류한 코드(code) 가운데 하나인 `기술적 형상`을 통해 디자인을 새로운 관점에서 미학적으로 정당화시키고자 한다. 또한 기하학적인 형태의 디자인된 요소들이 매체를 통해 대화적·담론적인 인간 커뮤니케이션을 어떻게 끌어내고, 정보를 전달하며 저장, 분배 등을 할 수 있는지 살펴볼 것이다. 이는 인간관계 형성에 무한한 가능성을 보여줄 것이며, 따라서 디자인이 인간 커뮤니케이션의 발전을 위한 예술로서 가치가 입증될 것이다. Since the 16th century, the emergence of the modern society and the boundary between fine art and applied art started to collapse due to the Industrial Revolution after the 19th century. Through the Avant-garde Movement and Bauhaus, Deutscher Werkbund, art has penetrated deeply into every day life. Moreover, modernism design of geometrical shapes expanded human perception with the combination of technology. The revolution of new communication took place with combination of art and technology in cyberspace due to `Technobilder (technical images)` and `Technocodes`. After then, through modern society`s design and communication media, art culture has evolved and the way humans communicate has become vigorous and active. Currently, with design has presented aesthetic experience and information delivery / offering / storage / distribution while communicating this as a code of life`s certain process. Design within the new medium of the internet has changed the aspects of realities existence. This study can be creditive to Vilem Flusser`s media theory, where research of design and digital media`s reciprocated advancements are evident. Through Flusser`s historical viewpoint and coding of technical images (Technobilder), a new viewpoint through design has been aesthetically legitimized. Therefore, the design through media can give birth to a creative and the infinite possibilities of art. It should prove valuable as an art medium for the development of human communication.

      • KCI등재
      • KCI등재

        물질문화를 통해 본 한국 근대백화점의 스펙터클(spectacle) 미학과 소비에 관한 연구

        고선정 ( Ko Sun Jung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구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 2021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64 No.-

        1920~30년대 경성은 일본의 독점자본이 본격적으로 유입되면서 상공업 발달과 함께 근대의 도시사회가 성립되었다. 근대 물질에 의한 서양식 건축물 건립과 상품진열장, 쇼윈도, 네온사인, 광고 등 새로운 이미지들이 도시 경성을 뒤덮으며 대중을 지배하고 유혹하였다. 하지만 일본의 파행적 도시개발로 경성은 전통성과 근대성이라는 이원화된 공간으로 나뉘게 되는데, 이는 소외와 개발이라는 사회·문화·경제적 분리뿐만 아니라 조선인들의 울분과 욕망이 공존하던 도시였다. 다시 말해서 일제의 억압으로 암울했던 도시 경성은 스펙터클한 이미지들로 뒤덮여 조선인들의 보는 방식과 감각 그리고 인식체계가 전환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 근대 ‘백화점’을 중심으로 물질문화적 관점에서 사람과 사물, 공간의 변모를 스펙터클 미학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물질적 장치인 백화점의 모습과 매장 내부의 상품진열방식, 쇼윈도 등의 이미지와 광고 매체를 활용해 소비자의 심리가 어떻게 자극되고 그들의 욕망이 표출되는지 그 당시의 신문기사를 통해 밝혀보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물질문화적 관점에서 근대 ‘백화점’의 스펙터클 이미지들을 살펴보고, 그것이 유행과 소비문화를 어떻게 형성해 나가는지 이미지를 통해 시대적 상황과 사람들의 삶, 인식세계를 들여다 볼 수 있는 계기가 되길 기대해 본다. Modern and urban society was established in Gyeongseong between the 1920s and 1930s with the development of commerce and industry, as Japanese monopoly capital started flowing in. New sights such as Western-style buildings, display cabinets, show windows, neon signs, and etc. covered the City Gyeongseong and took the public by storm. However, due to the disruptive urban development by Japan, Gyeongseong was divided into two sections: traditional and modern. The city not only represented the social, cultural, and economic alienation and development but also the anger and desire Koreans had amongst themselves. In other words, the gloomy atmosphere of City Gyeongseong caused by the Japanese occupation was filled with spectacle images, which brought about a change in the method by which Koreans view the world, their senses, and the paradigm.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transformation in people, objects, and space from a material culture perspective by focusing on the modern department stores in Korea through the aesthetics of spectacle. It aims to reveal how the appearance of department stores and the different media used for advertisement such as product display methods, show windows, etc. stimulates consumer psychology through a newspaper article from that time period. In conclusion, I hope this study will provide an opportunity to examine the spectacle images of modern “department stores” from a material cultural perspective and and to look into the times, people's lives, and the world of perception through images of how it shapes trend and consumption culture.

      • KCI등재

        1980~90년대 ‘한국형’ 가전제품의 소비와 물질문화 연구

        고선정 ( Ko Sun-jung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21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75 No.-

        본 연구는 1980년~1990년대 한국 경제성장에 따른 유통시장 개방과 해외여행 자유화, 수입개방 등에 따라 ‘한국형’ 가전제품이 어떻게 개발되고 소비되었는지 물질문화 연구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민주화 운동을 통한 노동자들의 임금인상은 국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산업자본주의 사회에서 안정된 계층인 ‘중산층’을 폭넓게 확산시켰다. 더불어 개방화와 세계화를 통해 정신적·물질적인 생활양식이 서구화되면서 그들의 소비생활은 꽃을 피웠다. 하지만 내구소비재의 수입과 후발개도국의 저가제품 사이에서 한국의 가전업계는 경쟁력을 잃고 무역수지 적자를 기록하였다. 이때 외국제품의 시장공세에 맞서 경쟁력을 갖추고 차별화할 수 있는 핵심을 업계에서는 ‘한국적인 것’에서 찾았다. 한국 고유의 생활양식과 기호에 맞게 응용된 ‘한국형’ 가전제품 개발은 한국 경제성장을 통해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인 것이다’라는 말을 증명해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980~90년대 ‘한국형’이라는 단어가 나오게 된 배경과 ‘한국형’이라는 문구를 담아 신문광고 한 가전제품을 찾아 어떠한 방식으로 한국인의 정서와 생활양식에 맞게 디자인되었는지 살펴보았다. 이는 단순히 외국제품의 모방이 아닌 한국에 맞게 고안된 한국형 제품으로 당대 사람들의 인식체계와 시대적 상황이 고스란히 담겨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물질문화 연구가 당대 생산된 디자인된 대상을 통해 한국의 역사와 사람들의 생활양식, 정신사 등을 들여다 볼 수 있는 계기가 되길 기대해 본다.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Korean style home appliances were developed and consumed according to distribution market opening, liberalization of trip abroad and import opening by Korean economic growth in the 1980s to 1990s through a study of material culture. A wage increase of employees through pro-democracy movement has improved the quality of people's life and widely spreaded 'middle class', a stable class in industrial capitalism society. In addition, as the spiritual and material lifestyle is westernized through liberalization and globalization, their consumption life became in full bloom. However, Korean home appliances has lost its competitiveness due to the import of consumer durables and low-priced products of least less developed countries, recording trade deficit. At this time, the industry found 'Korean thing' as the core to be competitive and differentiated against market promotion of foreign products. By developing 'Korean style' home appliances using Korea's unique lifestyle and preferences, the phrase of 'the most Korean thing is the most global thing' has been proved through the economic growth of Korea. Therefore, I expect that this study on material culture will be an opportunity to look into the history of Korea as well as lifestyle and intellectual history of Korean people through deigned objects produced at that time.

      • KCI등재

        1960년대 한국 라디오의 사회문화사 연구 - 금성라디오 ‘A-501’을 중심으로 -

        고선정 ( Ko Sun-jung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2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81 No.-

        1960년대 한국사회와 문화를 지배하던 매체는 바로 ‘라디오’였다. 신문물인 플라스틱PVC의 도입으로 최초의 국산 라디오 ‘A-501’이 탄생하면서 한국은 제조업에서 전자산업으로 발전하고 새로운 산업 국가를 건설하는데 앞장섰다. 새롭게 디자인된 대상(object)인 ‘금성 라디오’가 전국적으로 보급되면서 농어촌의 문화적 공백을 메울 뿐만 아니라 군사정권을 선전·선동하는 공보수단으로 활용되는 등 한국의 사회·경제·정치·문화적으로 많은 변화를 가져 왔음을 그 당시의 신문과 기록 등을 통해 살펴보았다. 국산 라디오가 만들어지게 된 계기와 디자인의 탄생, 라디오가 전국적으로 확산된 계기 등을 살펴보며, 이를 통해 나타난 다양한 현상들이 ‘라디오’를 중심으로 다양하게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계층과 젠더의 경계를 넘어 사회구성원들의 기술문화적 현상들과 자작문화의 형성 그리고 ‘청취 양식’의 다양화 등을 본 연구를 통해 자세히 살펴볼 수 있었다. 따라서 ‘라디오’라는 매체를 통해 그 당시의 사회·경제·정치·문화적 현상과 변화 그리고 사람들의 생활사가 하나로 연결되어 다각도에서 1960년대를 살펴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The medium that dominated the society and culture of Korea in the 1960s was ‘radio’. With the introduction of PCV, a new culture, the first domestic radio ‘A-501’ was created, and Korea developed from a manufacturing country to an electronic industrial country and took lead in progress toward a new industrial country. This study examined through newspapers and records of the time that the newly-designed object ‘Goldstar radio’ was distributed nationwide to bring about lots of social, economic, political, and cultural changes as not only bridging the cultural gap in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but also being used as public means that promoted and instigated the military government. In particular, the technological and cultural phenomena of social members, which are beyond the boundary of class and gender, the formation of culture of one’s own composition, and the diversification of ‘listening pattern’ were identified in detail. Therefore, this study gives an opportunity to look at the time in the 1960s from various angles by bringing the social, economic, political, and cultural phenomena and lifestyles of the time together through the ‘radio’ medium.

      • KCI등재후보

        한국 개화기 신문에서 본 남성모자광고 분석

        고선정 ( Sun Jung Ko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5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42 No.-

        개항 이후 우리나라는 사회 전반에 걸쳐 새로운 사상과 문물, 제도 등을 받아들이며 사회·문화적으로 큰 변화를 겪어왔다. 개화기라는 시대적 흐름에 따라 일본에 의해 시행된 의제개혁과 단발령은 조선 전국을 혼란에 빠트렸고, 백성들의 반발과 저항이 거세졌음에도 불구하고 상투가 없어져 단발이 된 백성들은 갓 대신에 서양식의 모자를 착용하기 시작하였다. 더불어 외래문물의 유입으로 양복의 부속품인 벨트와 셔츠, 시계 등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근대적인 인쇄기술에 힘입어 모자에 대한 한국의 소비문화가 확산되기 시작하였다. 근대적 문물을 가시화하여 익숙하지 않은 신문물에 대한 설명으로 이미지를 반복적으로 보여줌으로써 대상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줄 수 있었다. 따라서 문자와 그림의 결합으로 현대의 광고디자인의 맥락에서 읽어 낼 수 있다. 다시 말해 물질문화의 변화 속에서 디자인된 물체(대상)가 그 시대의 사회·문화적인 요인들을 반영하여 한 시대의 문화를 표현하게 되는 것이다. From 1876 to 1945, Korea has accepted new ideas from Western culture, system, etc. the whole society has experienced major changes through social and cultural relations. According to the passing of time, costume reform and the ordinance prohibiting topknot that was enforced by Japan attempted to disrupt all parts of the country. Despite fierce resistance and backlash to Japanese interference, the people had to wear man’s hats instead of got because their topknot was cut. Moreover, with the influx of western civilization, there was a demand for clothes accessories, for example, belt, shirt, watch and so on. Korean consumption culture about man’s hats was disseminated on the strength of the modern technology of printing. There were able to increase the understanding of the object by showing the images repeatedly about the unripened products of civilization. Therefore, it can translate in the context of modern advertising as a combination of text and images. Namely, object that was designed in total flux of material culture will represent the culture of an era reflecting on the social and cultural factors of the age.

      • KCI등재

        장애유형별 장애노인의 특성에 관한 연구

        김성희(Seoug Hee Kim),고선정(Sun Jung Ko) 한국노년학회 2004 한국노년학 Vol.2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social service support plan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ed of the elderly with disability by disability type, grasping the general situation of them over 65 years old using the research data of the disabled at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in the year 2000.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335 disabled people whose age ranged over 65 years old out of 4,125 by the research data. This study is examined by disability type using a technical analysis method classified by demographic, economic, disable, medical treatment as well as medical diagnosis, support, social service utility, and job characteristics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of the elderly with disability. The result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First, the disabled over 65 years old are more vulnerable than any other disable people in every characteristic especially they undergo all sorts of hardships in economic aspect. Second, the elderly with disability are more poor financially, they are more dependant upon their family, they are more negative on their general health, as compared with all the elderly. Third, the degree of recognition and utilization was very low in respective service offered to the elderly with disability, and that also made a difference by disability type. Therefore, It means that diverse and distinguished policy is need to developed and enacted in offering social service according to the disability type. In particular, It is very important to consider the elderly with cerebral injury, mental retardation, and kidney disorder placed in difficult circumstances among the disabled over 65 years old. And also It is much considered that the elderly with hearing impairment needs the interpretation of the finger language. 본 논문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실시한 2000년도 장애인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65세 이상 장애노인의 전반적인 실태를 파악함으로서, 장애유형별 장애노인기의 욕구특성에 따른 서비스지원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의 분석대상은 장애인 실태조사 결과에 의한 장애인 4,125명 중 65세 이상 장애노인 1,335명이었다. 장애노인의 전반적인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인구사회적 특성, 경제적 특성, 장애특성, 의료적 진단 및 치료특성, 부양(보호)특성, 사회복지서비스 이용특성, 취업특성으로 구분하여 기술적 분석방법을 통해 장애 유형별로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장애노인들은 제 특성에서 모두 전체 장애인보다 취약한 상태였으며, 특히 경제적인 측면에서의 어려움이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노인과의 비교에서도 장애노인의 경제적 측면은 더욱 어려웠고, 가족에 더 의존적이었으며, 자신의 일반적인 건강상태에 대해서도 더욱 부정적이었다. 또한 장애노인들은 제공되고 있는 각각의 서비스에 대한 인지도 및 이용도가 매우 낮았으며, 장애유형별로도 차이가 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동일 장애노인 집단이라 하더라도 사회복지서비스 제공에 있어서는 차별화된 정책들이 개발ㆍ시행되어야 함을 의미한다고 하겠다. 특히, 장애노인 중 뇌병변장애노인, 정신지체노인, 신장 장애노인의 경우 여러 측면에서 어려움이 많은 장애노인 유형으로 나타나고 있었고, 청각장애노인의 경우 수화통역의 지원을 반드시 필요로 하고 있으므로 이들에 대한 고려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