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용학 <圓形의 傳說>의 서술 방식에 대한 고찰 - ‘것이다’ 구문을 중심으로 -

        고선옥 한중인문학회 2012 한중인문학연구 Vol.36 No.-

        본고는 장용학의 소설 <圓形의 傳說>의 언어 사용 양상에 주목한 결과 작품에 빈번하게 사용되는 ‘것이다’와 ‘것입니다’ 그리고 ‘것이었습니다’ 서술어의 의미와 기능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액자 구조로 된 <원형의 전설>은 다층적인 서술 방식으로 서사가 전개 되며, 서술자의 시 점이 다양하게 변모되는 양상이 드러난다. ‘것이다’ 구문의 서술어가 사용되는 문장은 주로 주 인공의 내면서술을 독백의 형태로 표현하는 장면에서 나타난다. ‘것이다’ 구문의 서술어 사용 함으로써 문맥의 흐름을 논리적으로 연결하는 효과와 함께 관념을 단호하게 강조하는 의미를 드러낸다. ‘것입니다’ 구문은 ‘-ㄹ/-를 것입니다’, ‘-ㄴ/-는 것입니다’, ‘-던 것입니다’로 나누어 살펴 보았다. ‘-ㄹ/-를 것입니다’ 구문은 ‘추정’이나 ‘짐작’의 의미를 나타내고, 독자는 등장인물과 동화될 수 있는 기회가 차단된다. 그리고 서술자가 내부액자의 서사 중간에 들어서서 관념을 직접 서술하는 ‘-ㄴ/-는 것입니다’ 구문의 서술어 문장은 독자에게 관념을 호소력 있게 전달 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간혹 ‘-ㄴ/-는 것입니다’ 구문 서술어가 인물이 처한 상황을 중개하는 장면에서는 문장의 논리적 관계를 맺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던 것입니다’ 구문 서술 어의 문장은 먼저 일어난 사건의 ‘근거’를 제시하며, 그것을 말하는 주체가 독자로 하여금 인 물과 거리감을 조성한다. 미래에 의해 돌이켜지는 ‘예상된 회고’로 인물의 행동을 과거의 사건으로 서술해 주는 ‘것 이었습니다’ 구문은 현재시제의 관형절의 의미를 부여 받은 ‘것’이 ‘이었습니다’라는 서술어로 인물의 행위를 서술한다. 독자는 서술자가의 위치에서 사건을 멀리서 조망하는 자세를 견지하 게 된다. 그러므로 <圓形의 傳說>에서 ‘것이다’ 구문의 사용은 작가가 드러내고자 하는 주제 의식 을 부각시키는데 의미 있는 서술 방식이 될 수 있었다. This paper examines the meaning and function of the narrative endings such as ‘gushida(‘것이다’)’, ‘gushimnida(‘것입니다’)’ and ‘gushieutseumnida(‘것이었습니 다’)’ which were frequently used in the novel <The Legend of The Circle> by Jang Yong Hak. The novel <The Legend of The Circle> in a structure of a story within in a story was written in multi-layered narration which shows variety of the narrator's point of view. Sentences with ‘gushida’ tend to describe scenes of monologues which reveal the mind of the main character. Using the narrative ending ‘gushida’ connects the flow of the context more logically and emphasize the ideas more strongly. ‘Gushimnida’ sentences are divided into ‘-ㄹ/- reul gushimnida’, ‘-ㄴ/- neun gushimnida’ and ‘-deun gushimnida’. ‘-ㄹ/- reul gushimnida’ sentences describe ‘conjecture’ or ‘presumption’, keeping the readers from the chance to empathize with the characters. ‘-ㄴ/- neun gushimnida’ sentences in which the narrator intervenes the inner story to directly describe the ideas effectively deliver the ideas to the readers. ‘-ㄴ/- neun gushimnida’ sentences used in scenes where the narrator depicts the character's situation connect sentences logically. Also ‘-deun gushimnida’ sentences suggest ‘grounds’ on which the previous event is based and the narrator keeps distance between the readers and the character. ‘gushieutseumnida’ sentences describe the character's behaviour as a past event, as ‘an expected recollection’ back from the future; ‘gut(‘것’)’ is given a meaning of a determiner paragraph of present tense and ‘ieutseumnida(‘이었습니 다’)’ is added at the end to describe the character's behavior in predicates. The readers view the event from afar, from where the narrator is. Therefore use of ‘gushida’ sentences in <The Legend of The Circle> offers a meaningful narration to emphasize the theme the author wished to express more effectively.

      • KCI등재

        예비보육교사의 스트레스 대처전략에 관한 연구

        고선옥,고진옥,고미옥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6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10

        On how to pre-service child educare teachers in a positive step to establish a coping strategy for stress from the viewpoint of pre-service education is required, the study for any coping strategy for stress that they experience aimed at pre-service child educare teachers what about the courses and training to overcome in the analysis. this was about to be proposed to be added. Questionnaire survey was a pre-service child educare teachers 529 people in the child educare teacher training center located in Jeonbuk. Sub-factors of coping strategy for stress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five factor with such physical coping, mental coping, destructive coping, direct coping, psychological coping. The t-test, F-test (one-way ANOVA) method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background characteristics variables by using coping strategy use level of pre-service child educare teachers. The background characteristics of the variable were training institution, age, personality, marital status. Pre-service child educare teachers when faced with stress ‘direct coping strategy’, the most and are commonly used. Married and preservice child educare teachers in child educare teacher training center are physically or destructive coping strategy, rather than direct, mental and psychological coping strategy. When the credit bank system and child educare training center such a relatively age than college or university that many see higher the proportion of married women, unmarried young pre-service educare teachers are using more direct and mental coping strategy while it was found that more actively cope with the stressful. Based on the findings, the pre-service child educare teachers suggested that individuals in the way of positive institutional level to cope with stress, as well as actively supporting measures have to be established to look at a personal level. Pre-service child educare teacher training courses were proposed to be added to the curriculum and educational information on adaptation and coping in pre-service education and training. 양성단계에 있는 예비보육교사들에게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대처전략을 수립하는 방안에 대한 사전교육이 필요하다는 관점에서, 이 연구는 예비보육교사들을 대상으로 자신이 경험하고 있는 스트레스에 대해서 어떠한 대처전략으로 극복하고 있는가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전라북도에 소재한 보육교사 양성기관의 예비보육교사 52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스트레스 대처전략 질문지의 하위요인은 물리적 대처, 정신적 대처, 파괴적 대처, 직접적 대처, 심리적 대처 등 다섯 가지로 구성하였다. 예비교사의 스트레스 대처전략 사용 수준에 대한 배경특성변인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평균의 차이검증인 t-test와 F-test(one-way ANOVA)방법을 실시하였다. 예비보육교사의 배경특성변인으로는 양성기관, 연령, 성격, 결혼여부 등의 변인을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예비보육교사들은 스트레스에 직면했을 때 ‘직접적 대처전략’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고, ‘정신적 대처전략’, ‘심리적 대처전략’, ‘파괴적 대처전략’, ‘물리적 대처전략’의 순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대부분 직접적이고 정신적·심리적인 대처전략을 사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보육교사 양성기관의 주류를 이루고 비교적 연령이 많고 기혼여성들의 구성비가 높은 학점은행제와 보육교사교육원의 예비보육교사들은 물리적 대처전략과 파괴적 대처전략을 더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예비보육교사 개개인이 스트레스에 적극 대처할 수 있도록 그 방법을 양성기관 차원에서 뿐만 아니라 개인적인 차원에서도 모색하도록 지원하는 대책이 수립되어야 할 것을 제안하였다. 보육교사 양성 교육과정에 보육교사의 적응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관한 교과목 및 교육내용이 추가되어야 할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아버지의 창의적 성격특성, 양육신념, 유아의 창의성간의 인과관계 분석

        고선옥,이영환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06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47

        In this study, how fathers' creative characteristics and child-rearing beliefs are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creativity is researched. This study focuses on how father-related variables influence children's creativity. 198 of 5 years old-children in kindergartens and care centers located in Jeonju City and their fathers were chosen as subjects for this study. The test for creative thinking, to measure children's creativity, the father's creative characteristics test, and the father's child-rearing beliefs scales were used as tools for this research study. Collected data from this study were analyzed by PC-LISREL 8.7. To find out and analyze the mutual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of the fathers' creative characteristics, child-rearing beliefs, and their children's creativity, all of which were included in the connected model, LISREL was applied. The mutual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fathers' child-rearing beliefs and that children's creativity was proven important, so that fathers' child-rearing beliefs are the most important variable for the development of his children's creativity. But the direct influence of the fathers' creative characteristics to the children's creativity is rather small compared to the indirect influence of the fathers' child-rearing beliefs. 본 연구에서는 아버지의 창의적 성격특성과 양육신념, 유아의 창의성 간의 상호인과관계를 규명하였다. 전주시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만 5세 유아 196명과 이들의 아버지들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유아의 창의적 사고력 검사, 아버지의 창의적 성격특성 검사, 아버지의 유아에 대한 양육신념 검사를 실시하였다. LISREL을 통한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한 결과, 아버지의 양육신념과 유아의 창의성간에는 상호인과관계가 있음이 규명되었다. 아버지의 양육신념은 유아의 창의성 발달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이 규명되었다. 그러나 아버지의 창의적 성격특성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아버지의 양육신념에 비해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버지의 양육신념을 매개로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력이 오히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비대면 영화치료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 기독교인 대학생과 비기독교인 대학생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고선옥,강진구 기독교학문연구회 2021 신앙과 학문 Vol.26 No.3

        This study compares and verifies the effects of group cinematherapy programs for stress reduction among Christian and non-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by using Live Zoom. Participants in the study consist of 12 male and female students attending A University located in B city as an experimental group. From the last week of October to the third week of November 2020, it was held once a week for 120 minutes, a total of 4 times for 480 minute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5. In conclusion the non-face-to-face cinematherapy has significantly affected the way university students deal with stress and reduce stress.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se effects between Christian and non-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This is as meaningful result of performing cinematherapy using general cinema for both Christians and non-Christians. It has been shown that Christian Cinematherapists need to have a sense of social responsibility to take care of the difficult psychological state faced by non-Christians due to the COVID-19 pandemic, and that Christian Cinematherapists’ activities can reach non-Christians outside churches. 본 연구는 기독교인 대학생과 비기독교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집단영화치료 프로그램을 라이브 Zoom을 활용하여 그 효과를 비교하고 검증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B도시에 소재한 A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학생 12명을 실험집단으로 구성하여 2020년 10월 마지막 주부터 11월 셋째 주까지 주 1회 120분, 총 4회 480분에 걸쳐 진행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25를 사용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비대면 실시간 라이브 Zoom을 활용한 영화치료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비기독교 대학생 집단과 기독교 대학생 집단 간의 스트레스 반응 사전-사후 효과의 차이를 비교했을 때 스트레스 반응에서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비대면 실시간 라이브 Zoom을 활용한 영화치료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스트레스 대처 수준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비기독교 대학생 집단과 기독교 대학생 집단 간의 스트레스 대처방식 사전-사후 효과의 차이를 비교했을 때 스트레스 대처방식에서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비대면으로 진행한 영화치료가 대학생들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데 의미 있는 영향을 주었다고 볼 수 있다. 아울러 기독교 대학생과 비기독교 대학생 간에는 이러한 효과들의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기독교인과 비기독교인 모두를 대상으로 일반영화를 활용한 영화치료를 실행했을 때 거둔 의미있는 결과이다. 기독교 영화치료사는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비기독교인이 처한 어려운 심리상태를 돌보고자 하는 사회적 책임의식을 가질 필요가 있으며, 기독교 영화치료사의 활동영역이 교회를 벗어나 비기독교인들에게까지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

        미술활동 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자아존중감 발달에 미치는 효과

        고선옥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2

        children's self-esteem in community children centers. Selected 32 children using the community children center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applied and the art activity program was applied for 20 sessions. Then, the paired t-test was performed for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post test.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post-test score was higher in the four sub-factors that constitute the self-esteem as well as the total self-esteem.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 art activity program had an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self-esteem of the children using the community child cent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community children centers should actively utilize the art activity programs and expand efforts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psychological emotions in children using social skills training, stress management programs, self-esteem improvement programs, and group counseling programs. 이 연구에서는 미술활동 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자아존중감 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연구를 추진하였다.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고 있는 아동 32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설정하여 20회기에 걸쳐 미술활동 프로그램을 적용한 다음 각 집단별로 사전-사후 검사간의 대응표본 평균의 차이 검증을 실시하였다. 미술활동 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전체 자아존중감 발달에 미치는 효과가 어떠한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검사 평균과 사후검사 평균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실험집단의 경우 전체 자아존중감 뿐만 아니라 자아존중감을 구성하는 네 가지 하위요인들에서 사후검사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므로 미술활동 프로그램은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자아존중감 발달에 미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지역아동센터에서는 미술활동 프로그램을 적극 활용하여야 하며, 사회기술훈련, 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 자아존중감 발달 프로그램, 집단상담 프로그램 등을 확대 보급함으로써 이용 아동들의 심리정서발달을 지원하는 노력이 적극적으로 전개되어야 한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동화를 활용한 문학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고선옥,황순성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6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8

        This study established the following research issues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literary activity using fairy tales on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This study targeted 30 four year old children attending the child-care center located in Jeollabuk-Do Jeonju city. The duration of the experiment was 10 weeks and total 10 times. To measure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this study implemented the prosocial behavior measurement tool. The results on basis of the research issues are the following: Firstly, there appeared to b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children prosocial action scores of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regarding gender. However in the children prosocial activities subordinate factor ‘being kind’ and ‘protecting’, there appeared to b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regarding gender. This can be seen as literary activity resulting in more positive effects on ‘being kind’ actions of girls than boys. Secondly, there appeared to b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that were applied literary activities and the control group that were not regarding children’s prosocial action scores. Generalizing the above results, it proves literary activities using fairy tales promote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It can be seen that prosocial behavior’s positive effects have a great influence on child education in the aspect of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Therefore, story book involved literary activities using fairy taled in the process of child education are great programs for the development of prosocial behaviors. 이 연구에서는 동화를 듣고 난 후 자연스럽게 이야기를 나누는 문학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어린이집의 만4세 유아 30명을 대상으로 10회기에 걸친 문학활동 프로그램을 적용한 다음 친사회적 행동 검사를 실시하고 사전-사후검사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유아들의 친사회적 행동점수는 동화를 활용한 문학활동을 실시한 집단과 실시하지 않은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들의 친사회적 행동요소의 하위요소인 ‘친절하기’와 ‘보호하기’에서는 두 집단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서 동화를 활용한 문학활동은 유아들의 ‘친절하기’와 ‘보호하기’ 행동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동화를 활용한 문학 활동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증진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있어서 친사회적 행동의 긍정적인 효과는 매우 중요하므로 유아교육 현장에서는 동화를 활용한 문학활동을 적극적으로 도입할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부모의 창의적 성격특성과 양육신념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고선옥 ( Seon Ock Koh ),이봉순 ( Bong Soon Lee ) 대한아동복지학회 2006 아동복지연구 Vol.4 No.1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창의적 성격특성과 양육신념이 유아의 창의성 발달과 어떤 관계가 있으며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였다. 연구대상은 전주시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만 5세에서 만 6세의 유아 196명과 이들의 어머니, 아버지를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도구로서는 유아의 창의성을 측정하기 위한 창의적 사고력 검사, 부모의 창의적 성격특성 검사, 부모의 양육신념 척도 등의 세 가지를 활용하였다.연구결과, 부모의 창의적 성격특성과 유아의 창의성 그리고 부모의 양육신념과 유아의 창의성은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변인을 구성하는 2개 하위변인이 유아의 창의성을 설명하는 전체 변량은 약 69%이며, 이 중 ‘양육신념’이 약 56%를 설명하고 있으며, 계속하여 추가로 ‘창의적 성격특성’이 13%를 설명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가 자녀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강조하는 양육신념을 지닐수록 유아의 창의성도 발휘된다는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유아의 창의적 인성을 발달시키기 위해서는 부모가 자녀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존중해주고 촉진시켜 주는 것이 중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parent`s creative characteristics, parent`s child-rearing beliefs, and children`s creativity. Anothe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ent`s creative characteristics, but also parent`s child-rearing beliefs on the children`s creativity. Research was conducted on 196 children(age 5) and their parents in kindergartens in Chonju, Chonbuk Province. Data was anlyzed using percentages, averages, standard variations, Pearson`s r,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Statistical analysis of this study revealed several intriguing findings on two major questions. The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arent`s creative characteristics and children`s creativity.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arent`s child-rearing beliefs and children`s creativity. Second, for the effect of parent`s creative characteristics and parent`s child-rearing beliefs on the children`s creativity are 69% of which parent`s child-rearing beliefs(56%) and parent`s creative characteristics (13%) has a grear effect. Fanally, the level of children`s creativity related to parent`s child-rearing beliefs increase when parent`s autonomous and independent beliefs refers to children out of the specific parents` child-rearing beliefs, so these children can increase creativity when parent give children more autonomous and independent.

      • KCI등재

        영화치료를 활용한 기독교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고선옥 ( Ko Sun Ok ),강연정 ( Kang Yeon Jeong )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 2020 복음과 상담 Vol.28 No.1

        본 연구는 영화치료를 통하여 기독교 가정의 자녀를 성경적 가치관을 가진 기독교인으로 양육할 수 있도록 기독교인 부모들을 교육시키는 효과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기독교인 부모를 대상으로 Horace Bushnell(2004)의 기독교적 양육 이론과 Birgit Woltz(2006)의 영화치료 이론 그리고 John Gottman(2007)의 감정코칭 이론을 기틀로 영화 치료를 활용한 기독교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C시에 소재한 C/D교회에 출석 중인 9-12세 학령기 자녀가 있는 기독교인 부모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각각 15명씩을 무선 배치하여 주 2회, 각 120분, 총 12회기로 진행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25를 사용하였다. 결론적으로 영화치료를 활용한 기독교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기독교인 부 모의 양육행동, 부모 자녀의 의사소통 및 부모의 영적 안녕감에 있어서 통계 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음이 입증되었다. 따라서 영화치료를 활용한 기독교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기독교 부모의 양육에 대한 전문적 지식을 중심으로 자녀와 의사소통을 통한 영적 안녕감의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교회 내 활용 가능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임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develop a Christian parent Education program using cinema therapy based on Birgit Wolfz (2006)’s Cinema Therapy theory, Horace Bushnell (2004)’s Christian Nurture theory and John Gottman (2007)’s Emotional Coaching theory and to investigate its effects. This program were conducted expert validity investigation and preliminary research, and the participants were selected Christian parents with school aged children 9 to 12 at the C/D church in C city.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 two groups of 15 people each that were alloted randomly. One is a test group and the other is a control group. The program were conducted two sessions a week, 120 minutes per session and total 12 session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5 program, In conclusion, the Christian parent education program using cinematherapy developed by this researcher prov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parenting behavior,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spiritual well-being of Christian parents. Therefore, the Christian parent education program using cinematherapy suggests that it is an in-church viable program that can help improve spiritual well-being through communication with children based on the professional knowledge of parenting of Christian parents.

      • 양배추 Peroxidase에 의한 효소적 포도당 분석에 미치는 환원제의 영향

        고선옥,박인식 東亞大學校 大學院 1990 大學院論文集 Vol.15 No.-

        The enzymatic glucose assay using cabbage peroxidase was inhibited by various sulfhydryl reagents. Among test sulfhydryl reagents, reduced glutathione was most effecitive for the inhibition of enzymatic glucose assay. The sulfhydryl reagents were not decomposed at lower concentration of hydrogen peroxide, but it was decomposed partially by addition of higher concentration of hydrogen peroxide. Therefore, the sulfhydryl reagents seem to inhibit the glucose assay by inhibiting cabbage peroxidase used in the assay.

      • KCI등재

        리더십 독서프로그램이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친사회적 행동 및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고선옥(Go Seon-Ock),전경아(Jeon Kyung-Ah)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0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61

        본 연구는 리더십 독서프로그램이 유아의 자아 존중감과 친사회적 행동 및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연구대상은 J시 2개 유아교육기관에서 선정된 만 5세 유아 총 40명이며, 이 중 B유치원에 다니는 유아 20명을 실험집단으로 D유치원에 다니는 유아 20명을 통제집단으로 배정하였다.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공격성은 질문지법으로 측정하였고,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은 면접법을 활용하여 검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리더십 독서프로그램이 유아의 자아존중감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리더십 독서프로그램이 유아의 친사회성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리더십 독서프로그램이 유아의 공격성 감소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study was intended to practically verify the effect on children's self-esteem, pro-social behavior, aggressive behavior based upon the leadership program centered fairy tales. The subject in the study were 40 children attending nursery located in J city. Experiment group children were 20 of the age of 5 years old and compared group were 20 of the 5 years old. children's self-esteem and aggressive behavior were measured by questionnaire and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was measured by interview.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leadership program centered fairy tales had positive effect on improvement of children's self-esteem.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leadership program centered fairy tales had positive effect on improvement of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Third, it was found that the leadership program centered fairy tales had positive effect on reduction of children's aggressive behavi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