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도덕교육에서 공적 행복의 의미

        고미숙(Mi-Suk Ko) 한국도덕교육학회 2019 道德敎育硏究 Vol.3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공적 행복의 의미를 고찰하고 공적 행복이 도덕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탐구하는 것이다. 현 시대는 행복 추구의 시대라고 말할 정도로 개인의 사적 행복이 강조되고 있다. 행복의 의미를 개인의 심리적이고 사적인 측면으로만 이해하고 행복의 공적 측면을 무시하게 될 때, 사회 전체의 공적인 문제는 사람들의 관심 영역으로부터 벗어나게 될 것이다. 아렌트에게는 공적 행복을 경험하지 못하면, 행복에 이르지 못하도록 하는 것은 물론이고 자신의 정체성에도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연구는 아렌트의 공적 행복의 개념에 기초를 두고 있기는 하지만, 더 나아가서, 공적 행복의 개념을 파악하기 위해서 공적 영역, 함께 참여함, 공적 감정, 공공선과 같은 4가지 요소들을 다루었다. 또한 공적 행복이 도덕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탐구하기 위해서 공적 행복을 경험하는 장으로서 학교의 역할과 공적 공간을 창조하는 과정에서 자신과 함께 살고 타인과 협력하며 사는 공적 존재로서의 도덕적 인간, 정의적인 측면을 고려한 공적 참여를 다루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aning of public happiness and the implication of its happiness in moral education. The importance of private happiness of individual is being emphasized like the era of the pursuit of happiness. When we make light of the public happiness and understand it in psychological, private aspects of individual, we do not have the concern about public matters of society. For Arendt, if we do not experience the public happiness, we have the difficulty of identity as well as pursuit of happiness. My idea is based on the view of public happiness of Arendt but I tried to search the meaning of public happiness with 4 components(public sphere, participating together, public feelings, public good)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public happiness. Also, I suggested the school for the experience of public happiness, the moral public being living with oneself and living in concert with others in creating public space together, and the affective aspects of public participation for the implication of public happiness in moral education.

      • KCI등재

        도덕교육에서 정 윤리와 정의 윤리의 통합

        고미숙(Ko Mi Suk)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7 敎育問題硏究 Vol.3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도덕교육에서 정(情) 윤리와 정의(justice) 윤리가 어떻게 통합될 수 있는지 그 가능성 및 방향을 탐구해 보는 것이다. 정있는 인간은 정의롭지 못하고, 정의로운 인간은 정이 없는 것으로 이해되어 왔다. 그러나 정의로운 사회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정이 배제될 것이 아니라 정이 요구된다고 생각한다. 정 관계의 상대방에 대한 유대감과 애착은 자발적으로 상대방의 복지를 추구하도록 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정 윤리와 정의 윤리를 통합하는 것이 정있는 정의로운 사회를 실현할 수 있다는 생각 하에서, 도덕교육에서 정 윤리와 정의 윤리를 통합하기 위한 방향을 탐구하였다. 첫째, 정 윤리와 정의 윤리는 어떻게 이해될 수 있는가? 둘째, 정 윤리와 정의 윤리의 분리에 대한 문제점은 무엇이고, 통합의 필요성은 무엇인가? 셋째, 도덕교육에서 정 윤리와 정의 윤리를 통합하기 위한 원리는 무엇인가? 정 윤리와 정의 윤리는 상반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윤리를 실현하기 위해서 서로를 필요로 한다. 정 윤리와 정의 윤리의 통합의 원리는 좋은 삶의 추구이다. 좋은 삶은 다른 존재와 더불어 행복하게 잘 사는 삶이고, 정 윤리나 정의 윤리 역시 이러한 삶을 추구하는 방향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정 윤리와 정의 윤리를 매개짓는 연결고리로서 정서, 특히 도덕적 정서의 역할을 강조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possibility and direction for integration between the ethic of Cheong(情) and ethic of justice in moral education. It has been understood that the person with Cheong is unjust and the person with justice has no Cheong. But we need Cheong for just society. People within Cheong-relation pursue others well-being spontaneously.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direction of an integration between the ethic of Cheong and the ethic of justice in moral education. For more details, first, what are the perspectives of the ethic of Cheong and the ethic of justice? Second, what are the problems of the perspective of incompatibility with the ethic of Cheong and the ethic of justice and the necessity of integration between them? Third, what is the principle of the integration of the ethic of Cheong and the ethic of justice in moral education? Cheong and justice are not contrary to each other but need each other. The principle of the integration of the ethic of Cheong and the ethic of justice is the pursuit of the good life. The good life is the life of well-being with others. I suggest the role of emotion, particularly moral emotion as the connecting link of the ethic of Cheong and the ethic of justice.

      • KCI등재

        도덕교육에서 습관의 의미

        고미숙(Ko Mi-Suk)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8 도덕윤리과교육 Vol.- No.27

        습관은 자동적으로 반복되는 고정된 행동방식으로 이해되어 왔다. 이러한 습관에 대한 전통적 관점은 습관이 갖고 있는 지적인 측면, 정의적ㆍ태도적 측면, 인간의 능동적 측면, 인간의 성장이라는 부분을 간과하는 문제를 낳는다. 이에 본 연구는 전통적 관점에 대한 대안으로서 듀이와 메를로-퐁티의 습관의 관점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도덕교육에서 습관의 의미와 습관 형성을 위한 교육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듀이에게 습관은 유기체와 환경이 상호작용하는 과정 속에서 환경을 효율적으로 통제하는 행동방식이며, 메를로-퐁티에게 습관은 몸이 세계에 대한 이해를 습득하게 될 때 형성된다고 본다. 이들은 습관을 행동적 측면에만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세계와의 관계 속에서 인간이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활동이자 이해로 간주한다. 그러나 이들 간에도 차이는 있다. 메를로-퐁티는 습관을 선반성적이고 선인지적인 측면으로 보지만, 듀이는 지성적인 습관을 강조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습관의 의미를 토대로 할 때, 도덕교육에서는 학생들이 기존의 습관을 반성할 기회를 주어 선반성적인 습관을 인식하도록 하고, 상상력을 통해 가설적 도덕적 습관을 구성하며, 직접 실천해 봄으로써 도덕적 습관을 형성하고, 또 행위를 하는 과정 중에 반성을 통해 도덕적 습관을 정교화 하는 것이 필요하다. Habit has been understood as a routine, repeated, and automatic way of behaving. The traditional view neglects an intelligent aspect, an emotional and attitudinal aspect, an active aspect of learner, and a continued growth of being. I suggested the concept of habit, the educational direction of habit in moral education based on Dewey and Merleau-Ponty. For Dewey, habit is the effective control of the environment in an interaction between organism and environment. Also, for Merleau-Ponty, habit is formed when body understands the significance of world. They have some differences. Merleau-Ponty thinks habit as pre-reflective and pre-cognitive, but Dewey emphasizes an intelligent habit. I suggested the reflection on pre-reflective habit as well as intelligence in habit to form moral habit. Also, I suggested constructing the hypothetical moral habit through imagination, forming the moral habits by practice and reflection-in-action.

      • KCI등재

        도덕교육에서 몸의 의미

        고미숙 ( Mi Suk Ko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6 윤리교육연구 Vol.0 No.39

        본 연구의 목적은 몸과 마음의 이분법에 대해 비판하고 몸이 도덕교육에서 어떻게 이해되고, 교육되어야 하는지를 탐구하는 것이다. 현 시대는 몸이 중요한 주제로서 다루어지고 있으나 몸은 오랫동안 도덕교육에서 소외되어 왔다. 그 이유는 몸이 감각, 감정, 욕망 등과 관련되어 있어 진리를 탐구하는데 방해가 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몸은 생물학적 몸, 감각하는 몸, 생각하는 몸, 사회적이고 문화적인 몸 등 종합적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우리는 몸으로 존재하고 몸으로 도덕적인 상황을 지각하고 앎을 얻으며 몸으로 도덕적 실천을 한다. 그리하여 몸은 도덕교육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해야 하고 몸의 의미를 되살려야 한다. 도덕교육과 관련하여 몸에 대한 부정적관점으로 『파이돈』에 나타난 도덕적 타락의 상징이 되는 몸에 대한 관점을 살펴보았고, 몸에 대한 긍정적 관점으로 유가적 접근의 수신(修身)을 통해 도덕적 몸이 가능하다는 것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양자를 넘어서, 몸을 도덕적 주체로서 인정할 필요가 있다. 몸은 마음에서의 도덕적 사유를 단지 실천하는 기관으로 이해될 것이 아니라 몸도 도덕적으로 생각한다는 점이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도덕교육에서 몸에 대한 관점은 암묵적이고 비인지적인 몸의 도덕적 경험을 활성화하는 방식, 몸의 촉감과 느낌을 되살리고 도덕적 욕망을 인정하는 방식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ize the mind and body dualism and examine the meaning and education of body in moral education. In modern times, body is an important theme but body in moral education has long been ignored. Because body as a material thing was considered as the cause of sense, feeling, desire and the obstacle in pursuit of truth. However, body should be understood by a comprehensive perspective.; the body as biological organism, the body as bearer of sensation, thinking body, social and cultural body. We are our bodies, aware of moral situation through body and acquire the knowing of moral practice with body. Therefore, we should revive the meaning of body in moral education. I have studied the negative perspective of body as the symbol of moral corruption in moral education through Phaidon and the positive perspective of body as the possibility of moral body through moral cultivation(修身) of Confucian perspective. We need to recognize the moral subject of body. Moral thinking takes place in the body through moral experience. Body is not the tool of moral thinking in the mind. The educational direction of body in moral education is the activation of tacit and pre-cognitive moral experience of body, the recovery of touch and feeling of body and recognizing of moral desire.

      • 오픽(OPIc)말하기를 위한 교재 연구 - 자신에 관한 영어말하기를 위한 내용 구성과 작문연습 중심으로

        고미숙(Mi-sook Ko) 한국영어교육연구학회 2017 영어교육연구 Vol.- No.50

        In order to teach adult EFL speaking learners to develop their proficiency into more than Intermediate Mid 2 level in OPIc, this study suggests appropriate topics the learners should talk about, which are related with their daily lives and opinions. The topics related to the learners could be more appropriate for them easily to express their own thoughts and opinions than those in business contexts like TOEIC Speaking. In addition, lots of speaking contents and language control ability of speakers’ seem to guarantee their level-up in speaking. To speak about lots of stories related to the topic and have their language control in their speaking, the researcher introduces 12 storytelling strategies and writing practices in OPIc class. Through the example of textbook or workbook for speaking, this paper could show the positive effects of writing practices and using storytelling strategies on improving speaking proficiency to more than Intermediate Mid 2 level.

      • KCI등재

        아우구스티누스의 인간론과 교육사상

        고미숙(Ko Mi-Sook),홍경희(Hong Kyung-Hee)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인문학논총 Vol.25 No.-

        교육은 인간을 어떻게 이해하느냐에 따라 그 목적과 방법이 크게 달라지게 된다. 아우구스티누스는 플라톤이 그러했듯이 인간을 근본적으로 사유하면서도 성서의 가르침을 절대적으로 신봉하고 거기에서만 답을 찾으려 하고 있다. 인간은 영혼을 가진 존재이기에 선을 행하고 궁극적인 행복을 추구하고 싶어 한다. 우리는 선을 행하고 악을 행하고 하는 문제가 전적으로 각자의 자유의지에 의한 선택으로 결정되는 것이라고 믿고 있다. 아우구스티누스 자신도 마니교도로 있었을 때는 그렇게 믿고 있었으나 그리스도교로 개종하면서 이 신념이 완전히 바뀌었다. 원조가 에덴동산에서 선악과를 따먹고 범죄자가 되기 전에는 그랬지만 자유의지로 악을 선택하여 범죄자의 신분이 된 후로는 인간이 자유의지만으로는 그 힘이 너무 미약하여 신의 은총 없이는 선을 충분히 행하기가 어렵고 죄인의 신분에서 탈피할 수 없다고 믿는다. 인간이란 무엇이며, 우리가 바라는 행복을 얻기 위해 찾아야만 하는 진리는 무엇인가? 그리고 그것은 어떻게 알 수 있고 가르칠 수 있는가? 이 문제를 규명하는 것이 철학의 과제이자 교육의 과제일 것이다. 성서의 가르침 그대로 아우구스티누스는 우리가 찾으려는 선과 진리와 행복은 그 근원이 창조주 하느님이시기에 그리고 인간은 이 하느님의 모상이기에 우리가 진리를 찾기 위해 행하는 철학도 그 진리를 가르치는 교육도 모두 하느님을 알아 믿고 실천함으로써만 충족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그의 주장을 그의 주요 저작들을 통해 추적해 보았다. The purpose of education and educating methods depends on the way how human being have been understood. Augustinus, as plato did, thought about human being fundamentally and also he had an absolute faith about the bible, and he tried to find an answer only in the bible. Human beings have a sprit, and that's why they do good to persuade the ultimate happiness. We do believe that the problems when people act good or act bad are completely decided by each others own volition. Augustinus himself also believed the same way when he had faith in Manicheism but after he had converted to christianity his faith had completely changed. Before Adam and Eve took the fruit of the tree of knowledge and became a criminal they did have a own volition as well but after when they chosen bad and had the identity of a criminal, people started to believed that human beings own volition is too weak so they can't act good and shed themselves from the identity of criminal without god's blessing. What is a human being? And what is the truth that we can gain the happiness we really want? And how can it be known and can be taught? This would be the challenges to the philosophy and education to solve this problem. The good and the truth, the happiness we are trying to find out, as the bible taught us Augustinus thought the creator, god is the root of those things. And human beings are the imitation of god so the things that we do philosophy to find the truth and the education that taughts the truth we have found are both can be filled up when they have knowledge about god and have a true faith with him and act his words. In this study, the opinions that Augustinus had raised have traced through his major writings.

      • KCI등재

        자기 배려의 도덕교육

        고미숙 ( Mi Suk Ko ) 한국윤리학회 2011 倫理硏究 Vol.80 No.1

        The ethics of care is regarded as playing a positive role in resolving the problems of the ethics of justice. But the ethics also has the problems of self-sacrifice and self-effacement. To solve the problems, people suggested the care of the self, but the care of the self did not receive the attention. Moral theory focuses on the care of the other. In this study, I studied the meanings of care of the self by Foucault and feminism as well as the direction of moral education of the care of the self. The care of the self for Foucault is related to experiences of man, the relation of self to self, and the formation of subject with respect to self-mastery. The care of the self for feminism is related to experiences of woman, self-respect, self-value and response to her need. I suggested the meaning of the care of the self as ethical self-formation through conversion to self. I accepted the view of self-care of Foucault as technique of living, technique of existence, the transformation of existence and self-formation of the subject. Also I accepted the view of self-care of feminism as self-respect, self-value, self within relationship, and the emotional experience. I suggested self-examination, appropriation, and sense of the self as the principle of method as well as self-writing, narrative capacity and positive self-talk as methods of moral education of the care of the self.

      • KCI등재

        인성교육에서 역량 접근에 대한 비판과 역량잠재성 접근의 대안적 가능성

        고미숙(Ko, Mi-Suk)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7 도덕윤리과교육 Vol.- No.57

        현 사회에서 역량은 학문적으로뿐만 아니라 실제적으로도 경쟁력있는 인간이 되기 위해서 길러져야 하는 핵심능력으로 이해되고 있다. 이것은 인성교육에서도 마찬가지어서 인성 역량이 다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역량 접근을 비판적으로 인식하여 역량과 역량잠재성의 개념을 구분지어 이해하고, 역량이 아닌 역량잠재성 접근으로 인성교육을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역량 접근은 사회의 복잡한 요구 및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해내는 능력으로서 기능적으로 이해된다. 하지만 역량잠재성 접근은 인간이 존엄한 삶을 살기 위해 발달시켜야 하는 선택의 기회, 자유로서 규범적으로 이해된다. 인성교육에서 역량 접근은 수행능력을 길러줄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인성을 개인적인 성공의 도구로 간주하는 과정 속에서 인성의 본질적 의미를 놓칠 수 있다. 역량잠재성 접근은 인간다운 삶을 살기 위해 역량잠재성의 발달을 권리이자 도덕적인 문제로 이해한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역량과 역량잠재성의 개념을 탐구하고, 인성교육에서 역량 접근의 한계와 역량잠재성 접근의 가능성을 탐구하였다. In modern society, the competence is regarded as the core ability to cultivate for a human being to be a competitive person, academically and practically. This situation is the same in humanity education emphasizing the development of humanity competence. But I considered the necessity of a distinction between competence and capability approach by the critical understanding of the competence approach, and emphasized the possibility of capability approach, not competence approach in humanity education. The competence approach can be understand in aspect of functioning as the ability to perform successfully the complex demand and task in society. But capability approach normatively can be considered as the opportunity of choice, freedom to develop with a purpose to live a life as dignified human being. The competence approach in humanity education has the merit to cultivate performance ability but can lose the essential meaning of humanity because of the humanity considered as the instrument for individual success. The capability approach see capability as the moral thing and the right which should be developed to live a humane life. I studied the concept of competence and capability, limits of competence approach and the possibility of capability approach in humanity education.

      • KCI등재

        자아실현의 도덕적 의미

        고미숙(Ko, Mi-Suk)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4 敎育問題硏究 Vol.27 No.1

        In this article, I studied the moral meaning of self-realization based on humanistic psychology and ecological philosophy. Self-actualization means actualizing one’s potentialities, it has come to be regarded as the goal of education for a long time. But self-realization have missed the moral meaning by approaching through mainly individualistic, psychological and talented aspects. Although a person has the opportunities to use more one’s talents, possibilities, capacities and potentialities, the person can be impersonal and immoral being. To solve the problem, we need to recover the moral meaning of self-realization. Self-actualization of humanistic psychology has the ontological characteristic of ‘to be that self which one truly is’ in addition to actualization of potentialities. Deep ecologist, Naess understands self-realization as the realization of the comprehensive, widening and deepening Self through identification. The ecological self shows the altruistic behavior based on inclination. Humanistic psychology emphasizes the individual self-actualization by means of individualism and autonomy but ecological philosophy stresses the ecological Self-realization based on interdependence of all kinds of beings. Despite their differences, they understand self-realization as a matter of being. Self-realizing person can be moral naturally. To recover the moral meaning of self-realization, we should consider the ontological self-realization, ecological thinking, aesthetic and emotional experiences, authenticity. 본 연구는 인본주의 심리학과 생태주의 철학을 토대로 자아실현의 도덕적 의미를 탐구해 보았다. 자아실현은 인간의 잠재된 능력이나 가능성에 대한 최대한의 실현이라는 차원에서 오랫동안 교육목적으로 이해되어 왔다. 그러나 자아실현이 주로 개인적, 심리적, 능력적 측면에서 접근되는 과정 속에서 도덕적인 의미는 퇴색되어 왔다. 그리하여 인간의 잠재 능력은 실현되고 있지만, 비인격적인 존재가 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아실현의 도덕적 의미를 회복할 필요가 있다. 인본주의 심리학은 잠재성의 실현이라는 의미 이외에도, 진정한 자기가 되는 존재적 측면을 주장한다. 심층생태론자인 네스는 자아실현의 의미에 대해 동일시를 통해 포괄적이고 더 넓고 더 깊은 자아가 되는 것으로 이해한다. 이러한 생태적 자기는 성향에 근거한 이타적인 행위를 드러낸다. 인본주의 심리학은 개인주의와 자율성에 바탕을 둔 개인적 자아실현에, 생태주의 철학은 모든 존재의 상호의존성에 바탕을 둔 생태적 자아실현을 주장하지만, 양자는 근본적으로 자아실현을 존재의 문제로 이해하고, 자아실현인은 자연스럽게 도덕적인 것으로 본다. 본 연구는 자아실현의 도덕적 의미를 회복하기 위해서 존재론적 자아실현을 제안하며, 이는 생태적 사유, 미적․정의적 경험, 본래성의 특징을 지닌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