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구려 安原王 대의 정국 동향과 대외정책

        강진원 동아시아고대학회 2018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51

        In the beginning years of his reign, King Anwon concentrated on the relationship with the Chinese South Dynasty(Liang), not differing from the ruling style of the late king.This is first because King Anjang’s supporting groups remained in the state and secondly because internal conflict constantly occurred in the Northern Wei dynasty. But after the middle part of his reign, King Anwon promoted different foreign policy, giving weight to the relationship with the Chinese North Dynasties(Eastern Wei). The first main reason for this is that King Anwon’s supporting groups united with the installation of the Crown Prince; the second main reason is that the north dynasties‘ situation was settled considerably after the division of the Northern Wei Dynasty. At the same time, King Anwon did not neglect the intercourse with the Liang dynasty, maintaining the fundamental foreign policy that had been fixed since the middle of 5th Century. But at that time extraordinary natural phenomena repeatedly occurred in Goguryeo, which was sizable burden on King Anwon’s government management. 安原王은 재위 초 남조와의 교섭에 힘을 기울이고 있던 것에서 보이듯, 처음에는 이전 시기의 정국 운영 방식을 이어갔다. 대내적으로는 安臧王 대 집권 세력이 상당수 잔존하였고, 북위는 극심한 내분에 시달렸기 때문이다. 다만 일정 기간이 지난 뒤에는 북조와의 교섭에 비중을 둔 대외 기조를 추진해 나갔다. 이는 태자 책봉을 계기로 지지 세력이 결집되었고, 북조의 정세 역시 다소 진정되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물론 안원왕은 남조와의 통교 역시 게을리 하지 않았으며, 5세기 중엽 이래의 기본적인 대외 정책을 유지해 나갔다. 그러나 거듭되던 天變地異는 결국 안원왕의 발목을 잡았고, 이는 국정 운영에도 상당한 부담으로 다가왔다.

      • KCI등재

        7세기 고구려 도교의 실상과 배경

        강진원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22 한국고대사탐구 Vol.40 No.-

        In the period of King Yeongnyu’s reign, Goguryeo embraced Taoism, which was a new trend, in order to maintain amicable relations with Tang dynasty. The adoption of Taoism at this time was carried out as a diplomatic policy. As a result, Taoism could hardly take root in the society. In the period of King Bojang’s reign, Yeon Gaesomun promoted Taoism, keeping the relationship between Goguryeo and Tang dynasty in mind. Nevertheless, Taoism played a substantial role in Goguryeo from this time on. Ascetics prayed for the survival and peace of the state-community through technical tricks and mystic prediction. This was requested by Goguryeo, and it helped to settle down the agitated social atmosphere. 영류왕 시기 도교라는 새로운 사조의 유입이 이루어진 것은 당과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고자 하였기 때문이다. 이때의 도교 수용은 외교적 방침으로 행해졌으므로, 사회 깊숙이 뿌리내리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보장왕 시기 연개소문의 도교 진흥 또한 당과의 관계를 염두에 둔 조치였다. 다만 그렇다 하더라도 이 무렵부터는 도교가 비중 있는 역할을 하였다. 도사들은 방술과 비결을 통하여 국가 공동체의 존속과 무사태평을 빌었다. 이는 고구려 측의 요청에 따른 것이었는데, 동요하던 사회 분위기를 진정시키는 데 일정한 도움을 주었다.

      • KCI등재후보

        백제 仇台廟의 성격과 부상 배경

        강진원 계명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동서인문학 Vol.0 No.56

        Gutae is referred as the progenitor of Baekje in the Chinese history book. Since the Chinese people add a comment that Gutae is Dongmyong’s descendent, we thought Gutae and Dongmyong were separate persons. However, as the progenitor of Baekje was Dongmyong at that time, I argue that Gutae and Dongmyong were the same person. ‘Gutae’ is a corrupt form of ‘Wootae,’ which meant one’s elders. Therefore, the Gutae Shrine can be called as the Wootae Shrine. Not only was the Wootae Shrine located in the capital-wall, but also its name was used in much the same sense as ‘Taimiao’(Grand Shrine). Thus, it played the role of a royal ancestor’s shrine. The Gutae Shrine rituals were conducted based on Baekje’s own solar terms. 仇台는 중국 측 사서에서 백제의 시조로 언급되고 있다. 기왕에는 구태가 東明의 후예라는 중국 측의 부회로 인하여 구태와 동명을 별개로 파악하였으나, 당시 백제의 시조는 동명이었으므로 구태는 동명이다. 구태는 웃어른을 의미하는 优台가 와전된 표현이다. 따라서 仇台廟는 優台廟다. 우태묘는 도성 안에 위치하였을 뿐 아니라, 그 의미가 太廟와 통하기 때문에 宗廟와 다르지 않다. 구태묘 제사는 백제의 자체적인 절기에 맞추어 이루어졌다. 백제에서는 애초 무덤 중시 풍조가 자리하고 있었으나, 5세기 전반 이후 轉生思想의 확산과 자유혼 관념의 성행, 유교 문화에 대한 이해 증진, 대외적 위기의 지속으로 인하여 무덤의 입지가 동요되었다. 반대로 왕통의 흐름을 통하여 자신의 정통성을 확인하고 권위를 강화하려는 의도 속에 종묘에 대한 관심은 높아졌다. 그 결과 墓祭(東明廟 제사)가 침체되고 宗廟祭(구태묘 제사)가 대표적인 국가제사로 부상하게 되었다.

      • KCI등재

        다양한 공간정보 웹 2.0 플랫폼 Open API의 벡터 레이어 기반 매쉬업 성능 분석

        강진원,김민수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4

        As GeoWeb 2.0 technologies are widely used, various kinds of services that mashup spatial data and user data are being developed. In particular, various spatial information platforms such as Google Maps, OpenStreetMap, Daum Map, Naver Map, olleh Map, and VWorld based on GeoWeb 2.0 technologies support mashup service. The mashup service which is supported through the Open APIs of the platforms, provides various kinds of spatial data such as 2D map, 3D map, and aerial image. Also, application fields using the mashup service are greatly expanded. Recently, as user data for mashup have been greatly increased, there was a problem in mashup performance. However, the research on the mashup performance improvement is currently insufficient, even the research on the mashup performance comparison of various platforms has not been performed. In this paper, we perform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ashup performance for large amounts of user data and spatial data using various spatial information platforms available in Korea. Specifically, we propose two performance analysis indexes of mashup time and user interaction time in order to analyze the mashup performance efficiently. Also, we implement a system for the performance analysis. Finally, from the performance analysis result, we propose a spatial information platform that can be efficiently applied to cases when user data increases greatly and user interaction occurs frequently. GeoWeb 2.0 기술이 활성화됨에 따라 공간정보와 사용자 정보를 매쉬업하는 응용 서비스들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특히 GeoWeb 2.0 기술 기반으로 Google Maps, OpenStreetMap, Daum Map, Naver Map, olleh Map, VWorld 등의 다양한 공간정보 플랫폼들이 매쉬업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공간정보 플랫폼의 Open API를 통하여 제공되는 매쉬업 서비스는 2차원 지도, 3차원 지도, 항공영상 등과 같이 다양한 공간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그 응용 분야도 크게 확장되고 있다. 최근 빅데이터 서비스와 더불어 매쉬업되는 사용자 정보가 크게 증가함에 따라 매쉬업 수행에서 성능상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그러나 현재 이러한 매쉬업 성능 개선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며, 심지어 다양한 플랫폼들에 대한 매쉬업 성능 비교 연구도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접근 가능한 다양한 공간정보 플랫폼들을 기반으로 공간정보와 대용량 사용자 정보의 매쉬업 성능을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매쉬업 성능 분석을 위하여 매쉬업 시간과 사용자 인터랙션 시간의 두 가지 성능 지표를 제안하고 시스템을 구현하여 성능 분석을 수행한다. 끝으로 성능 분석 결과를 통하여 사용자 정보가 크게 증가하고 사용자 인터랙션의 발생 빈도가 높은 경우에 대하여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공간정보 플랫폼을 제시한다.

      • KCI등재

        백제 한성도읍기 동명묘(東明廟)의 실체와 제사

        강진원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15 서울학연구 Vol.- No.61

        東明廟는 백제 시조 동명의 장지로 전해지는 곳에 조성된 구조물로서, 넓은 의미에서는 이를 포함한 東明陵 전체를 아우르는 개념이다. 동명묘 제사는 애초 왕실 族祖에 대한 치제였으나, 고이왕~책계왕 대 이후 국가제사로서 행해지게 되었다. 즉위 후 오래지 않아 치러진 동명묘 제사는 즉위의례로서의 성격을 갖는다. 해당 의례를 통하여 新王은 정통성을 인정받고 권위를 강화하였다. 이때는 여러 정치행위들도 이루어졌다. 이때도 종묘와 그곳에서의 의례는 존재하였다. 그럼에도 동명묘 제사가 즉위의례로 행해진 것은 무덤 중시 풍조 속에서 墓祭의 위상이 宗廟祭보다 강고하였기 때문이다. Dongmyong Shrine indicates a structure built in the burial site of Dongmyoung, the progenitor of Baekje. It also indicates the entire area of Dongmyong’s tomb in a broader sense. While the ancestral rites of Dongmyong Shrine were originally performed for the ancestors in the royal family, it came to be performed as a national rite since the reign of King Gho-ee and King Chaek-kye. The ancestral rites of Dongmyong Shrine that were performed just after enthronement functioned as enthronement ceremony. Through this ceremony the new king attempted to establish his authenticity as well as reinforcing his authority. Ceremonies were still being performed at the ancestor’s shrines during this time. The reason why the ancestral rites of Dongmyong Shrine were performed as the enthrone-ment ceremony is because the tomb-worshipping culture considered the memorial service held before the grave more important than the rites of the royal ancestor’s shri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