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인의 성공적 노화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 및 영향요인 검증

        강윤경(Kang Younkyung),문미혜(Moon Mi-Hye),홍세희(Hong Sehee)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18 한국장애인복지학 Vol.42 No.42

        본 연구는 장애인의 성공적 노화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과 이에 따른 영향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국민노후보장패널조사(KRelS) 4차 개인조사 및 부가조사를 활용하였고, 장애등급을 받은 507명의 자료로 분석하였다. Mplus 7.4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잠재프로파일 분류를 하였으며, 영향요인의 검증은 다항 로짓 계수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성공적 노화에 따라 잠재프로파일은 4개로 분류하여 각각 ‘낮은 성공적 노화 집단’, ‘보통 성공적 노화 집단’, ‘높은 성공적 노화 집단’, ‘우수 성공적 노화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또한 각각의 잠재프로파일 집단에 신체·건강 영역(주관적 건강상태), 심리적 영역(우울, 삶의 만족도), 경제적 영역(경제적 상태), 사회적 영역(여가활동), 인구통계학적 영역(성별, 장애등급, 연령, 학력, 배우자 유무, 자녀의 수)의 영향요인을 살펴본 결과, 우울, 삶의 만족도, 여가활동, 장애등급, 연령, 자녀의 수가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며 집단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결과를 토대로 장애인의 성공적 노화를 이룰 수 있는 실천적·정책적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latent profile of successful aging of the disabled and its influential factors. The 4th individual survey and supplementary survey of KReIS were used and analyzed using data of 507 people with disability grade. Latent profile classification was performed using Mplus 7.4 program. The validity factor was verified by the polynomial logit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latent profiles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the factors of successful aging: ‘low successful aging group , ‘normal successful aging group , ‘highly successful aging group and ‘excellent successful aging group . We also examined the influence of five domains on each potential profile group: physical and health domains (subjective health status), psychological domains (depression, life satisfaction), economic domains (economic status), social domains (leisure activities), demographic domains (gender, degree of disability, age, educational background, marital status, number of childre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egree of disability, depression, life satisfaction, leisure activity, age, and number of children are factors affecting successful aging, respectively. Based on the results,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the successful aging of the disabled we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고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연구 동향에 대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7차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강윤경 ( Younkyung Kang ),배상영 ( Sangyoung Bae ),하승혁 ( Seunghyeok Ha ),홍세희 ( Sehee Hong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21 중등교육연구 Vol.69 No.1

        본 연구는 고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기 위해 7차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네트워크 구조와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0년 9월까지 국내 학술지 중 고등학교 수학 교육과정과 관련된 연구 논문의 키워드를 수집하였고, 총 181개 논문으로 교육과정별 네트워크 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결 중심성은 7차 교육과정에서 수준별,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 교과서,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 평가, 스토리텔링,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교과서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하위 네트워크 구조는 주요 집단에서 두 개 이상 연구의 주제어로 구성되었고, 주요 집단 간 연결되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고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연구 주제의 핵심과 구조를 파악하였고 수학과 교육과정 연구의 흐름을 정리하여 교육과정의 변화에 따른 연구 동향의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overall network structures based on relationships among keywords mainly covered in high-school mathematics and national curriculum studies from the 7th to the 2015 revised. For the purpose, using 181 domestic studies on the high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up to September 2020, network analysis of each curriculum was conducted. Results show, first, degree centrality indexes were high for ‘level’ in the 7th, ‘textbooks’ in 2007 revised, ‘national level academic achievement evaluation’, ‘evaluation’, ‘storytelling’ in 2009 revised, and ‘textbooks’ in 2015 revised. Second, from sub-network analysis, the main group was composed of two or more main words and the main groups were connected. Based on the core and structure of research topics in high school mathematics and national curriculum, current research trends were identified and so far, the flow of mathematics and national curriculum research were summarized.

      • KCI등재

        산재근로자의 일자리 만족도에 따른 프로파일의 잠재전이분석과 영향요인 검증

        강윤경(Kang Younkyung),김지원(Kim Jiwon),홍세희(Hong Sehee)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9 장애와 고용 Vol.29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atent profiles of job satisfaction of industrially injured workers and investigate the transition of the latent profiles. Method: Latent Transition Analysis (LTA)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the PSWCI in 2017 (4th) and 2018 (5th). 1355 responded to the job satisfaction question. To test the determinants of the latent profiles, multinomial logit analysis was conducted in a three-step approach using Mplus program. Results: Three latent profiles were derived, and they were named 'low job satisfaction group', 'average job satisfaction group', and 'high job satisfaction group'. Results of the multinomial logit analysis showed gender, age, education,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job fitness, total number of workers, current job performance ability and overall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 factors of job satisfaction in the 4th panel. In the 5th panel, education,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overall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were significant variables. In the transition from 4th to 5th, the total number of workers and overall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 And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Conclu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atent profiles of industrially injured workers’ job satisfaction. The study revealed significant determinants of latent profiles of job satisfaction and its transition, and provided important implications regarding the policy of industrially injured workers. 연구목적: 본 연구는 산재근로자의 일자리 만족도에 따른 하위유형을 분석하고 시간 변화에서 전이 형태와 영향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근로복지공단에서 제공하는 산재보험패널자료(PSWCI) 중 2017년(4차)과 2018년(5차)에 발표된 자료를 사용하여 잠재전이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대상은 일자리 만족도에 응답한 산재근로자 1355명이다. 영향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Mplu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항로짓분석을 하였고 3단계 접근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각각 3개의 잠재프로파일이 도출되었고, 그 형태에 따라 ‘낮은 일자리 만족 집단’, ‘평균 일자리 만족 집단’, ‘높은 일자리 만족 집단’이라 명명하였다. 전이 형태는 대체적으로 같은 프로파일을 유지하였으나 유형을 이동할 경우 평균 일자리 만족 집단으로 이동하였다. 영향요인의 분석 결과, 4차에는 성별, 연령, 학력,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 업무적합도, 전체 근로자수, 산재 후 현재 업무수행능력, 일상생활전반만족도가, 5차에는 학력,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 일상생활전반만족도, 자기효능감이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났으며 집단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4차에서 5차로의 전이에는 전체 근로자수, 일상생활전반만족도가 유의한 것으로나타났고 집단별로 차이가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일자리 만족도에 따른 산재근로자의 잠재프로파일을 도출하고 종단적 변화 양상이 어떠한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잠재프로파일과 전이에 영향요인의 효과성을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정책적, 실천적 방안 마련의 중요함을 시사하였다.

      • KCI등재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대학원 교육학과 세부전공 분석

        장유나 ( Jang Yoona ),강윤경 ( Kang Younkyung ),배상영 ( Bae Sangyoung ),오현정 ( Oh Hyunjung ),홍세희 ( Hong Sehee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4

        본 연구는 국내 일반대학원 교육학과 전공 개설 현황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0년 5월부터 6월까지 전국 대학의 일반대학원 교육학과 내 설치 전공을 수집하여 네트워크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대학정보를 공시하는 대학알리미 사이트에서 일반대학원 교육학과가 개설된 학교를 파악한 후, 각 학교 홈페이지와 입시요강을 참고하여 학교별 개설 전공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연결중심성과 근접중심성 측면에서 교육행정 전공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교육공학, 교육심리, 교육상담, 교육과정, 평생교육 등이 뒤를 이었다. 매개중심성 측면에서는 평생교육 전공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교육행정, 교육상담, 교육심리, 교육공학, 교육철학 등이 뒤를 이었다. 응집성 분석에서는 전공의 유사성으로 집단이 구별되기보다는 상대적으로 많은 대학에서 설치된 전공과 그렇지 않은 전공으로 구별되는 특징이 있었으며, 구조적 공백에는 고등교육 전공이 위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내 교육학과 전공 개설현황을 네트워크 분석으로 시각화하여 각 분석에서 나타난 특징을 해석하였으며, 방법론적으로는 연구 동향 분석에만 주로 사용되어 온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의 범위를 확장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current status of graduate majors in the department of education in Korea. For the purpose,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information on graduate major openings in education nationwide. Results showed that education administration major was the highest in terms of degree centrality and closeness centrality, followed by educational technology, education psychology, education counseling, and curriculum. In terms of betweenness-centrality, lifelong education was the highest, followed by educational administration, educational counseling, educational psychology, and educational technology. In cohesive analysis, majors were distinguished depending o n h ow much commonly installed in many universities, rather than depending on how much similar. Higher education majors were located in structural holes. This study analyzed and visualized the current status of majors in the department of education in Korea using network analysis, and interpret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network analysis. In methodology,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has expanded scopes of keyword network analysis, which has been mainly used for research trend analysis.

      • KCI등재

        청소년의 사회적 자본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와 휴대전화 의존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배상영(Bae, Sangyoung),강윤경(Kang, Younkyung),안소영(Ahn, Soyoung),홍세희(Hong, Sehee)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0 한국청소년연구 Vol.31 No.2

        본 연구는 청소년의 사회적 자본이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하여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특히 최근 대두되고 있는 휴대전화 의존도의 조절된 매개효과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으로는 한국아동 · 청소년패널조사(KCYPS)에서 중학교 1학년 패널의 6차 조사한 2015년의 고등학교 3학년 2351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측정 변수는 진로정체감을 종속변수, 사회적 자본(부모, 친구, 교사, 지역사회와의 관계)을 독립변수, 자아탄력성을 매개변수, 휴대전화 의존도를 조절변수로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 친구, 교사와의 관계는 진로정체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사회적 자본이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였다. 셋째, 부모와의 관계가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이 휴대전화 의존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넷째, 부모와의 관계만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휴대전화 의존도에 따라 그 영향이 유의한 차이를 보여 조절된 매개효과가 존재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청소년의 진로정체감의 긍정적 발달 및 영향을 위해서는 휴대전화 의존도를 감소시켜야 하며, 이를 통해 부모와의 관계가 자아탄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예측하였다. 또한 친구, 교사, 지역사회의 관계를 증진시킨다면 자아탄력성과 진로정체감이 모두 증가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진로정체감에서 사회적 자본의 영향력을 확인하고, 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도가 높으면 부모와의 관계가 자아탄력성과 진로정체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 못하므로 이를 예방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evels of adolescents social capital with ego-resilience as a mediator in the process of influencing their career identity. In particular, the study focused on different mediation effects, depending on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mobile phone depende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2351 12 graders in 2015. The study produc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ir relationship with parents, friends, and teachers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career identity. Second,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on their career identity through ego-resilience was significant. Third, the effect of their relationships with their parents on ego-resilience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ir mobile phone dependence. Forth, there was a moderated mediating effect in the process of influencing ego-resilience, but only through the relationship with parents, the influence of the mobile phone dependence. This study confirmed the influence of social capital on career identities, and revealed that if mobile phone dependence is high, relationships with parents do not have a positive effect on ego-resilience or career identities.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청소년의 회복탄력성 연구동향

        홍세희(Hong, Sehee),조기현(Jo, Kihyun),이현정(Lee, Hyunjung),손수경(Son, Sookyoung),김효진(Kim, Hyojin),윤미리(Yoon Miri),강윤경(Kang, Younkyung)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9 한국청소년연구 Vol.30 No.2

        본 연구는 청소년 회복탄력성의 연구동향 분석을 목적으로 전체 구조를 확인하고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으로 국내 모든 학술지에서 주제에 ‘resilience’를 포함하는 논문을 수집하여 청소년 대상의 연구만 선별하였다. 연구 결과, 중심성은 학교적응, 사회 탄력성, 사회적 지지가 높았다. 이는 청소년의 회복탄력성 연구에서 학교와 또래, 가족, 교사 관계가 중요한 주제로 다루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클러스터 분석 결과, 23개로 분류되었고 이 중 5개의 클러스터 집단을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 주로 학교적응과 가족과 사회적 지지와 심리, 문제행동, 학업성취와 학업중단, 청소년활동과 긍정적 심리변인, 시설청소년과 탄력성으로 분류되었다. 구조적 공백은 자아존중감인 것을 확인하였다. 주제별 분석은 문제행동, 개인내적 심리요인, 개인외적 환경요인으로 중심성과 에고 네트워크 분석을 한 결과, 문제행동의 핵심 주제어는 비행과 문제 행동, 개인내적 심리요인은 자아존중감, 학교적응, 개인외적 환경요인은 학교적응, 학교 탄력성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에고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연구동향의 흐름을 거시적으로 파악하였다. 시기별 분석은 2001-2009년에는 보호 요인, 2010-2018년에는 학교 적응이 중심성이 높았고 구조적 공백은 삶의 의미와 자아존중감으로 각각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청소년 회복탄력성과 관련한 핵심 연구주제의 특징과 지식 구조를 분석하여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특히, 방법론적으로 네트워크 분석의 다양한 방법을 적용하여 청소년 회복탄력성의 핵심 주제를 분석하여 청소년 실천 및 연구 분야의 발전에 다양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urrent research trends in resilience by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For the purposes of network analysis, journal articles that presented “resilience” as a keyword were used. Our results showed that the centrality was high in terms of school adjustment, social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indicating that school, peer, family, and teacher relationships were considered as important topics in the resilience research amongst adolescents. In terms of cluster analysis, 23 clusters were classified and 5 major clusters were identified. The structural hole was found to be self-esteem. The thematic analysis focused on problem behavior, individual internal psychological factors, and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Moreover, the flow in research trends is grasped at the macro level through ego network analysis. During the periods of 2001-2009 and 2010-2018, protective factors and the school factor showed high levels of centrality, and life meaning and self-esteem represented structural holes, respectivel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