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래의 인간’과 ‘미래의 철학’-완전주의와 행복의 관계를 중심으로

        강용수 ( Kang¸ Yong Soo )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21 철학연구 Vol.- No.64

        이 글은 최근 많은 학자들이 주목하는 니체의 ‘호모 퓨처리스’(Homo futuris)의 도래와 그것과 함께 제기되는 미래의 철학의 가능성과 방향성을 철학적으로 명료화하기 위해 ‘미래의 인간’을 니체의 ‘미래의 철학’에 근거하여 비판적으로 분석하는데 목표가 있다. 이 연구는 ‘미래의 인간과 미래의 철학’의 가능성과 의미를 찾기 위해 니체의 포스트 휴먼, 트랜스 휴먼의 쟁점을 ① 새로운 철학적 인간학 모색, ② 기술공학적 완전주의 비판, ③ 과학기술시대의 불행을 중심으로 다루고자 한다. 완전주의와 진화론을 비판한다는 점에서 니체의 철학은 포스트휴먼, 트랜스휴먼의 사상과 모순되는 부분이 있지만, 부단한 자기상승, 역량강화라는 측면에서는 미래의 인간학을 지지하는 측면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무엇보다 기존의 전통적인 철학적 인간학과 차이나는 니체의 독특한 인간규정인 ‘미규정성’, ‘미확정성’이 어떻게 포스트휴머니즘과 트랜스휴머니즘의 이념을 지지하는지 살펴보고, 기술공학적인 완전성의 개념을 현대과학에서 경험하게 되는 ‘불행’의 관점에서 비판하고자 한다. In order to philosophically clarify the possibility and direction of future philosophy raised along with the advent of Nietzsche’s ‘Homo futuris’, which many scholars are paying attention to, ‘future human’ is philosophically expressed in this article. It aims to critically analyze based on the ‘Future Philosophy’. This study focuses on Nietzsche’s posthuman and transhuman issues in order to find the possibility and meaning of ‘future human and future philosophy’: ① seeking a new philosophical anthropology, ② critique of technological perfectionism, and ③ unhappiness in the age of science and technology. I want to deal with Nietzsche’s philosophy contradicts the ideas of posthuman and transhumanism in that it criticizes perfectionism and evolutionary theory, but in terms of constant self-improvement and capacity building, it can be said that there is an aspect that supports future anthropolog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bove all, to examine how Nietzsche’s unique human definitions ‘undetermined’, which differ from the existing traditional philosophical anthropology, support the ideology of posthumanism and transhumanism, and complete technological engineering. I would like to criticize the concept of ‘unhappiness’ experienced in modern science.

      • 우연의 최소화로서의 정의: 운과 우연의 문제를 중심으로

        강용수 ( Yong Soo Kang ) 한국해석학회 2013 해석학연구 Vol.31 No.-

        Wir erfarhen das Zeitalter, in dem Unsicherheit und Zufall zunehmen. Im Bereich der Philosophie wurde das Thema des Zufalls von der Pragmatik (R. Rorty), von der Evolutionstheorie (Ch. Darwin), von der Sozialphilosophie (J. Rawls) behandelt. Der Zufall, bzw. die Kontingenz gilt als der Gegenberiff der Notwendigkeit in Bezug auf die Willenfreiheit in der moralischen Ethik. Diese Forschung untersucht, inwiefern die unkontrollierbare, graumsame und blinde Kontingenz mit der Gerechtigkit zu tun hat. Die Gerechtigkeitstheorie von J. Rawls kann als ``die Neutralisierung des Glucks`` zusammgefaßt werden, in dem der Faktor der Kontingenz in der ``original position`` eliminiert wird. Es bedeutet, daß nimand von dem zufalligen Zustand profitiert, oder davon benachteiligt wird. Gegen solche These schlage ich eine schwache These, d.h. ``Minimierung des Zufalls`` statt der ``Neutralisierung des Glucks``, weil der angeborene, soziale Zufall grundsatzlich nicht eliminiert, sondern geschwacht wird. Das Kriterium dafur ist nicht die Menschwurde im Kantischen Sinne, sondern Self-respect ohne Scham, bzw. Neid im Vergleich zum Anderen.

      • KCI등재
      • KCI등재

        ‘공적 감정’으로서의 공감에 대한 연구

        강용수(Kang, Yong Soo)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7 철학탐구 Vol.45 No.-

        이 연구의 목적은 ‘공감’(Compassion)이 어떻게 ‘공적 감정’(Public Emotion)으로서 역량을 발휘할 것인지, 그 가능성과 한계를 공감의 ‘인지적 구조’(Cognitive Structure)을 통해 밝히는데 있다. 누스바움(M. Nussbaum)에 따르면, 공적 감정은 여과, 정화, 선택 과정을 거쳐 형성되며 ‘공동-추론’(Co-duction)이라는 절차를 통해 공적 합리성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이 연구는 공감에 대한 ‘정치적 감정이론’을 정립하기 위해 누스바움의 법철학과 그것의 비판적 토대가 되는 니체의 윤리학을 비교하여 ‘공적영역’(Public Sphere)을 구성하는 ‘공감의 인지적 구조’를 스토아주의와 자연주의 논쟁을 중심으로 밝히고자 한다. 공정한 재판관의 역량으로서 공감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누스바움의 견해는 첫째, 스토아학파에 대한 비판, 둘째, 아담 스미스(A. Smith)의 관찰자이론 수용, 셋째, 공감에 대한 인지적 구조 분석으로 요약된다. 논자는 니체의 자연주의(Naturalism) 관점을 가져와 누스바움의 공감이론의 딜레마를 분석하고 이론적 체계를 보완하려고 시도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how the ‘compassion’ will emerge as ‘public emotion’ through the ‘cognitive structure’ of emotion. According to M. Nussbaum, public feelings are formed through filtration, purification, and selection processes and can contribute to public rationality through a process called ‘co-duction’. In order to establish the ‘political emotion theory’ i try to explain ‘cognitive structure of sympathy’ that can be a basis of law philosophy Nussbaum’s and the critical foundation of Nietzsche’s ethics between stoicism and naturalism. Nussbaum’s view emphasizing the need for empathy as a just judge’s capacity is summarized: first, criticism of the Stoics, second, acceptance of A. Smith’s Theory of Observers, third, the cognitive structure-analysis of empathy. I will attempt to bring to Nietzsche"s naturalism perspective and analyze the dilemma of Nussbaum’s empathy theory and to complement the defect of theoretical framework.

      • 신의 죽음과 존재이해 -하이데거의 니체 해석을 중심으로-

        강용수 ( Kang Yong-soo ) 한국하이데거학회 2012 존재론 연구 Vol.29 No.-

        신의 죽음에 대한 니체의 선언과 함께 서구사상사의 지반을 뒤흔든 니힐리즘은 근대 이후 해체론적 담론의 틀에서 철학적 주제로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니체의 ‘신의 죽음’에 대해 새로운 해석학적 위상을 부여하려는 움직임은 ‘종말’ 담론으로 더욱 강화되고 있는 추세다. 신의 죽음의 함의를 살펴볼 때 기독교의 신은 초월성과 성스러움을 독점하는 권위의 상징으로 간주되었을 뿐만 아니라 인간의 세계 인식을 가능하게 하는 도덕적 요청으로 기능하였다. 더 나아가 신의 죽음은 유럽 문화의 정체성의 위기에 대한 진단이자 문화비판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인식론의 측면에서는 주관과 객관의 일치를 보증하는 준거가 제거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논문은 신의 죽음에 대한 논의를 하이데거의 「‘신은 죽었다’는 니체의 말」이라는 글에 나타난 니힐리즘 비판을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면서 포스트모더니즘(탈근대)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 살펴볼 것이다. 하이데거의 니체해석을 재구성하여 포스트모더니즘적인 해체론에 대한 비판적 입장을 제시함으로써 니체해석에 대한 고전적 함의를 보여주고자 한다. Mit der Ankundigung des Gottestodes, der die Sinnbasis der Denkensgeschichte schuttelt, wird der Nihilismus als das Hauptthema in der Postmodernen behandelt. Der Versuch, den Gottestod hermeneutisch zu vertiefen, verstärkt sich in Zusammenhang vom ‘Ende’ des Subjekts, der Geschichte und Metaphsik. In Betrachtung auf den Sinn des Gottestodes gilt der christliche Gott als Symbol der Autorität, Transtendenz und Heiligkeit ausschließlich, und sogar fundiert als die moralische Instanz zur Welterkenntnis. Der Gottestod diagnostiziert die Krise der Identität der abendländischen Kultur, bedeutet den Verschund der Anschließbarkeit, die die Einheit zwischen Subjekt und Welt ermöglicht. Diese Arbeit versucht Heidegger’s Interpretation vom Gottestod bei Nietzsche auszulegen und den Sinnzusammenhang mit der Postmodernen zu verdeutlichen. Durch die Rekonstruktion Nietzsche’s Bild bei Heidegger nimmt Abstand von der Dekonstruktionsstrategie in der postmodernen und gewinnt den klassischen Status.

      • KCI등재

        실존주의 철학과 철학상담

        강용수(kang Yong soo) 대한철학회 2015 哲學硏究 Vol.135 No.-

        이 글은 실존주의 치료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고 평가받는 얄롬의 이론을 소개하고 정리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의 실존주의 철학상담의 전제는 모든 인간이 필연적으로 죽음, 자유, 고독, 의미, 네 가지의 조건에 놓여있다는 인식이다. 실존주의 철학의 출발은 기본적으로 1인칭적 관점이다. 모든 것을 자신의 주체적인 결단과 책임으로 몰아가는 실존주의와 비교할 때 철학 상담은 2인칭, 또는 3인칭적 관점을 취한다. 내담자의 고통에 대해 객관적인 시각과 해석을 제공할 수 있어야 된다. 혼자서는 해결할 수 없는 실존적 문제는 '인간관계'에 초점을 맞춰 관찰자-참여자의 역동적인 관계(상호작용)를 통해 해결될 수 있다. 얄롬은 소설의 형식을 빌어, 니체와 쇼펜하우어의 심리치료를 시도하고 있는데, 그것이 과연 성공적이었는지 가능성과 의미를 살펴보고자 철학적 주제를 의학, 정신과학, 문학과 융합을 시도한 그의 작업에 대한 올바른 평가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논자는 내담자의 삶의 체험의 이해에 초점을 맞춘 얄롬의 상담기법의 원칙을 ①개방성, ②투명성, ③진실성, ④동행자, 네 가지로 제시하고자 한다.

      • 현대 예술과 기술의 해석학 니체의 예술과 기술에 대한 해석 -모방과 구성 사이에서-

        강용수 ( Yong Soo Kang ) 한국해석학회 2008 해석학연구 Vol.22 No.-

        Die Absicht dieser Arbeit ist es, das Verhaltnis von Kunst und Tec hnik bei Nietzsche im Mittelpunkt der Mimesis in Bezug auf die Konstruktion der Realitat zu thematisieren. Die aus Latein ars stammende Kunst und Technik gelten als Synonym im Sinne des zielgerichteten, sachmaßigen Konnen, der Fertigkeit und Geschicktheit. Vor allem steht Mimesis im Vordergrund der Dikussion im philosophischen Geschichte, wahrend der Sinn der Asthetik jeweils anders gedeutet wird. Obwohl Nietzsche großen Beitrag zur Entwicklung der Asthetik geleistet hat, ist seltsam die Forschung von Nietzsche`s Technik. Ausnamensweise zahlen M. Heidegger, A. Gehlen und H. Blumenberg zu Anhanger, die Nietzsches Idee ubernommen haben. Das Wesen der Technik ist nach Nietzsche Hybris in zwei Hinsicht, d.h. Totale Herrschaft gegenuber Natur und Menschen selbst. Ich versuche, die Richtigkeit von Heidegger`s Interpretation von Nietzsche`s Ubermenschen als Technokrat in Bezug auf die Konstruktion der Massen in Politik zu uberprufen. Kunst und Technik konnen sich auf die Ethik der Selbst-Konstruktion konvergieren.

      • 니체의 시간에 대한 해석

        강용수(Kang Yong-Soo)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8 江原人文論叢 Vol.19 No.-

        본 논문의 목적은 니체의 시간해석을 ‘동일한 것의 영원회귀’를 중심으로 분석하는데 있다. 니체의 철학을 대표하는 키워드인 영원회귀에 대해 깊이 있는 연구가 이루어졌지만 시간의 중층적 구조에 대한 분석이 부족하다는 판단에서 논자는 영원회귀가 일상적 시간, 순환적 시간, 가치적 시간의 구조로 이루어졌음에 주목하고 세 가지 해석을 체계적으로 밝히는 작업을 진행한다. 더 나아가 기억과 망각을 통해 개인이 과거의 고통에서 해방되고 구원되는 치유의 문제뿐만 아니라 타자와의 공존관계도 모색하기 위해 들뢰즈(G. Deleuze)의 ‘선택성’이론과 反변증법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주인과 노예의 認定(Anerkennung) 문제를 다룬다. 동일성의 반복과 차이의 반복이라는 모순된 개념이 영원회귀를 통해 어떻게 정당화되는지 밝히면서 논자는 영원회귀를 통해 반복하는 것이 동일성이 아니라 차이라는 들뢰즈의 주장에 비판적 입장이다. 즉 선택적 회귀만을 인정하다보면 삶에 대한 적극적, 긍정적 태도인 운명애(amor fati)의 의미가 퇴색할 수 있고 회귀하지 않는 타자를 배제하게 된다는 문제점을 지적하고자 한다. 논자는 니체의 영원회귀가 갖는 사회철학적 함의는 다시 만나게 될 타자에 대한 긍정과 배려라는 입장이다.

      • 2차원 축대칭과 3차원 모델을 사용한 차세대 허브 베어링 오비탈 성형 해석

        강용수(Yong-Soo Kang),김현규(Hyun-Gyu Kim),구정서(Jeong-Seo Koo),임종순(Jong-Soon Lim),배원락(Won-Rak Bae) 대한기계학회 2006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06 No.11

        In this study, orbital forming of the next generation hub bearing is simulated by using two-dimensional and three-dimensional models. In the case of three-dimensional models, the partial contact which accompanies initial press fit and rotation of a rigid peen is considered. while, in case of two-dimensional models, axisymmetric simulations are performed by considering full contact without rotation of the rigid peen. The strains and stresses at important points on the orbital forming process are compared and analyzed for two-dimensional and three-dimensional results.

      • KCI등재

        니체의 정의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강용수(Kang, Yong-soo) 대한철학회 2018 哲學硏究 Vol.145 No.-

        이 글은 니체의 정의론의 차별성을 드러내기 위해 ‘힘에의 의지’라는 근본개념을 매개로 타자와 사회적 계약을 맺는 정치적 행위에 대한 내재적 분석을 시도하고 공리주의, 자유주의, 민주주의를 포함한 근대 국가의 정치이념에 대한 비판을 다룰 것이다. 즉 ‘덕’이라는 보편적 진리의 이름 뒤에 감추어진 심리적인 층위들을 벗겨내는 ‘계보심리학’으로 정의의 자명한 가치의 지반을 파헤쳐 허구성과 오류를 밝히는 작업이 될 것이다. ‘덕’에 근거한 자명한 정의 개념의 의미를 ‘비도덕적’일 뿐만 아니라 ‘도덕 바깥’에서 해체함으로써 보복이 아닌 사랑에 근거해 새로운 정서적 차원을 밝히려는 것이다. 니체가 정의를 권력관계의 역동성에서 분석하면서 그 가치의 개념을 복수, 보복, 원한과 같은 부정적인 감정이 아니라 ‘자비’와 ‘용서’라는 긍정적인 감정에 근거지을 때, 법의 집행에서 예외규정을 허용함으로써 보편성과 일관성을 상실하지 않는지 비판적으로 분석할 것이다. In order to reveal the differentiation of Nietzsche’s justice theory, this paper attempted an intrinsic analysis of the political act of establishing a social contract with others through the fundamental concept of “will to the power”, and the politics of modern nation including utilitarianism, liberalism and democracy. I will deal with criticism of ideology. In other words, it will be a work to clarify the fictitiousness and errors by digging out the ground of the value of justice as ‘genealogical psychology’ which strips off the psychological layers hidden behind the name of universal truth called ‘virtue’. By dismantling the notion of self-righteous justice based on ‘virtue’ from ‘immorality’ as well as ‘out of morality’, it aims to reveal a new emotional dimension based on love, not retaliation. When Nietzsche emphasizes the role of positive emotions such as ‘mercy’ and ‘forgiveness’ rather than negative emotions such as revenge, retaliation, and grudge, while analyzing justice in the dynamics of power relations, By allowing exception rule, we will critically analyze whether universality and consistency are lo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