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검사 안내문의 시각적 디자인화가 환자의 검사 이해도 및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 평가

        강영은,정우영,홍보름,Kang, Young-Eun,Jung, Woo-Young,Hong, Bo-Ruem 대한핵의학기술학회 2019 핵의학 기술 Vol.23 No.1

        본 연구는 기존 안내문에서 사용하고 있는 문어체의 글자와 배열, 형태 등을 시각적으로 디자인 및 재배치 함으로써 환자의 이해도 및 검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평가 하였다. 서울아산병원 핵의학과 영상검사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Bone Scan과 $^{201}Thallium$ Myocardium Perfusion SPECT의 Rest Scan 안내문을 개선 대상으로 선정하고, 원내 이노베이션센터와 협의하여 새롭게 디자인 하였다. 2016년 11월부터 2017년 2월은 기존의 안내문을, 2017년 3월부터 5월은 개선된 안내문을 사용하였으며, 개선 전후의 비교를 위해 해당 시기에 Bone Scan을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안내문에 제시된 전처치 준수 및 그에 따른 영상의 질, 검사 소요시간을 측정하였고, $^{201}Thallium$ Myocardium Perfusion SPECT를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안내문의 내용 이해에 대한 설문조사와 안내 후 재질문 하는 환자 및 질문유형, 안내문의 내용을 이행하지 않은 환자수를 분석하였다. 개선 후에는 Bone Scan은 전 처치가 미흡한 환자와 그로 인해 추가 영상이 필요한 환자가 감소하였고 평균 검사 소요시간은 안내문 개선 후 추가 영상 획득 시간의 감소로 약 2분 감소하였다. $^{201}Thallium$ Myocardium Perfusion SPECT의 경우 안내문의 내용 이해에 대한 5가지 문항에서 모두 이해도가 증가한 결과를 얻었으며, 검사 관련 재질문 하는 환자와 안내문의 내용을 이행하지 않은 환자 모두 감소하였다. 검사 안내문은 일방적이고 단순한 정보 제공이 아니라 환자 및 보호자와의 원활한 소통으로 이어지며, 영상품질과 업무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검사 소요시간의 관리로 생산성 향상에도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An examination guide is a useful medium to provide the patient with an overview, pre- and post-test preparation, and precautions of nuclear testing. The design and arrangement of existing written texts and announcements were evaluated to elucidate the comprehension of patients undergoing testing. Materials and Methods Informational material describing bone scanning and $^{201}thallium$ myocardium perfusion single-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SPECT), as a secondary examination, which accounts for the largest portion of gamma imaging at Asan Hospital (Seoul, South Korea), was selected as an improvement target in consultation with a national innovation center. Existing informational material was dispensed to patients scheduled for bone scans from November 2016 to February 2017 and the revised material was issued from March 2017 to May 2017. A survey was conducted of 200 patients who underwent $^{201}thallium$ myocardium perfusion SPECT before and after the revisions (n = 100 each time period) to assess the patients' understanding of the informational material. Results When comparing the use of the conventional vs. revised material, the number of patients who received treatment before bone scanning had decreased from 130 to 60, while the number of those who required additional imaging decreased from 53 to 14. Prior to the revision, 43% of patients underwent testing before preparation and 18% underwent additional testing. The decreased need for additional image acquisition after revision of the informational material resulted in a decrease in acquisition time of about 2 min, from 16.5 to 14.2 min. In the case of $^{201}thallium$ myocardium perfusion SPECT, patient comprehension of all five items surveyed had increased, while the number of patients who had repeatedly asked about various facets of the procedure pre- and post-testing had decreased from 36% to 16% and 31% to 14%, respectively. Conclusion Lower patient comprehension is accompanied by a decrease in image quality due to non-compliance during pre-testing and may lead to repetitive questions from the patient, which may also negatively affect the fatigue and work efficiency of the examiner. Improved readability and visibility of informational material through visualization was correlated with greater patient comprehension as well as improved image quality and acquisition time.

      • KCI우수등재

        Application Strategies of Eye-tracking Method in Nightscape Evaluation

        강영은,김민태,Kang, Youngeun,Kim, Mintai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015 韓國造景學會誌 Vol.43 No.4

        도시이미지 형성 및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국가 및 지자체별 야간경관계획 사업이 활발하게 추진되는 추세이지만, 현재까지 야간경관 관련 연구 부족 및 객관적인 평가 방법의 부재로 체계적인 야간경관계획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피조사자들의 눈의 움직임 평가 및 설문조사를 통해 야간경관 특성을 분석하여, 향후 바람직한 야간경관계획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나아가 아이트래킹 기법(Eye-tracking method)이 경관 평가에 있어 객관적인 평가 방법이 될 수 있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지는 미국 버지니아 공과주립대 캠퍼스이며, 다양한 야간경관 이미지 중 전문가 평가를 통해 대표 야간경관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야간경관 이미지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사용된 변수는 선호도, 안전함(두려움), 선명도이며, 눈의 움직임 분석을 위한 변수는 고정 지속시간(fixation duration), 순간적 움직임 지속시간(saccade duration), 주사경로 길이(scan path length), 동공 크기(pupil size)이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변량 분산분석(MANOVA)을 통하여 야간경관의 유형에 따라 선호도, 선명도, 안전함(두려움)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선호도, 안전함, 선명도 사이에 정적인 영향관계가 있음을 도출하였다. 둘째, 야간경관의 유형에 따라 눈의 움직임 변수들(고정 지속시간, 지속시간, 주사경로 길이) 차이가 유의함을 파악하였으며, 상대적으로 오픈된 경관이 폐쇄된 경관보다 눈의 움직임 변수 수치가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눈 움직임 강도 지도(Heat map) 비교 분석에서는 피조사자들이 무의식적으로 응시한 강도 지도 결과와 선호되는 구역 및 선명하게 보이는 구역 응시를 지시했던 강도 지도 결과가 유사하게 나타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는 사람들이 무의식적으로 야간경관을 응시할 때, 다른 구역에 비하여 주로 선호하고, 선명하게 보이는 구역을 강하게 응시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종합해볼 때, 본 연구에서는 야간경관의 유형에 따라 전체적인 선호도, 선명도, 안전함(두려움) 등의 지각하는 특성 및 눈의 움직임 차이를 검증할 수 있었으며, 나아가 야간경관 구역별 강하게 응시하는 구역과 해당 구역이 의미하는 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경관 평가에 있어 아이트래킹 기법 적용하여 환경별 유의미한 차이를 입증했다는 데에 의미하는 바가 크며, 향후 경관 평가에 시사점 제시 및 야간경관의 이용 만족도 향상을 위한 야간경관계획 시 전략적으로 참고할 수 있을 것이다. There's a trend towards vitalization of nightscape planning businesses nationally and locally as well for city image making and activation of regional economy, but there is still no systematic nightscape planning going on for lack of relevant researches and objective evaluations.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guideline for nightscape planning by conducting an eye tracking experiment and survey for recognizing the characteristics of a nightscape. Furthermore, the authors intended to verify the eye-tracking method as a tool for landscape evaluation. The research site was restricted in the campus of Virginia Tech, VA, and those were selected by experts' survey among various types of nightscape images. The variables for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nightscape images selected were 'preference', 'safety(fear)' and 'clearness'. 'Fixation duration', 'saccade duration', 'scan path length', and 'pupil size' were selected as the eye movement measure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first outcome found was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characteristics(preference, safety and clearness) of a nightscape by MANOVA, and these variables were correlated positively by Pearson's correlation. Secondly, there were differences on fixation duration, saccade duration and scan path depending on the nightscape setting statistically. Also, the eye tracking measurement in an open setting was recorded lower than enclosed settings. In the result of a heat map, we found the meaning of the fixated areas on both viewing without intention and viewing intentionally. It turned out that the fixated areas were consistent with the areas the subjects felt preferred and clarity in all of the nightscape images, which means people usually focus on what they prefer and see clearly in a certain nightscape. Based on this result and previous studies, the authors could make a conclusion that eye tracking method can apply to evaluate nightscape settings in terms of analyzing the whole characteristics and finding specific points for the detailed analysis as well. Therefore, these results can contribute by suggesting nightscape planning, implication of the landscape evaluation, and implication of the eye tracking study.

      • KCI등재

        농촌개발정책이 농촌경관 변화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강영은,최동욱,홍성희,정윤희,김상범,임승빈,Kang, Young-Eun,Choi, Dong-Wook,Hong, Sung-Hee,Jung, Yun-Hee,Kim, Sang-Bum,Im, Seung-Bin 한국조경학회 2011 韓國造景學會誌 Vol.39 No.6

        본 연구는 근대화 이후 급격하게 변천되어온 우리나라 농촌지역 원형의 모습과 이의 변화양상을 고찰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근대 이후 농촌지역의 변천과정을 시계열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근대화 과정에서 나타난 한국 농촌농촌경관 변화의 보편적인 특성을 파악하고, 나아가 향후 농촌경관의 보전 및 관리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 본 연구의 주 목적이다. 농촌경관의 변화를 면밀히 파악하기 위한 경관유형은 해당 경관이 입지하고 있는 장소 및 속성에 따라 주거경관, 생산경관, 녹지경관, 수변경관, 가로경관, 상징 및 신앙경관의 총 6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고, 이의 유형별 총체적인 변화 내용 및 과정을 분석하였다. 문헌조사 및 현장조사에 의하여 도출한 경관의 변화 양상은 크게 경관 요소의 형성, 변경, 이전, 손실, 복원의 5가지 유형으로 도출할 수 있었으며, 경관의 전체적 구조 및 구성체계 등의 거시적 변화에서부터 개별 경관요소의 형태, 재료, 크기, 색채 등의 미시적 변화에 이르기까지 복합적인 경관변화가 지속되어온 것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농촌개발정책에 의한 농촌경관의 변화를 거시적 차원에서 분석한 연구로, 개발정책의 범주에 포함되지 않는 농촌마을에 적용시키기 어렵다는 것이 한계점으로 지적될 수 있다. 하지만 본 연구는 농촌개발정책의 흐름과 경관변화간의 상응관계에 주목하여 변화 경향을 파악함으로써 농촌경관계획 및 관리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기초로 향후 연구는 개발정책으로 인한 경관변화뿐만이 아니라 사회 경제적 요소 등 다양한 측면으로 인한 변화 양상을 고찰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basic research which aims to compare and analyze changes in rural areas in modern time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d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s in the Korean rural landscape and to suggest the implications for preservation and maintenance of the rural landscape. To help in understanding the rural landscape systematically, it should be divided into six types: housing landscape, cultivation landscape, green landscape, waterside landscape, streetscape and symbolic and religious landscape. According to this step, the contents and the procedures of changes were analyzed generally.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field survey, the styles of changes were deduced to be formation, alternation, relocation, damage and restoration on landscape elements. Lastly, it was concluded that complex changes of landscape in rural areas from the government's development policy have been continued from macroscopic changes like overall structure and system of landscape to microscopic changes like shape, material, size and color of each landscape element. Rural villages which have not had the government's development policy applied to them may not be appropriate for this study. However,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can suggest the direction for desirable rural planning. Future studies need to consider landscape change through not only the development policy but also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factors.

      • 부분골밀도 측정을 통해 산출되는 체지방률의 임상적 유용성에 대한 평가

        강영은,김은혜,김호성,최종숙,최우준,Kang, Young-Eun,Kim, Eun-Hye,Kim, Ho-Sung,Choi, Jong-Sook,Choi, Woo-Jun 대한핵의학기술학회 2011 핵의학 기술 Vol.15 No.1

        Purpose: Generally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has been used for the purpose of evaluation of osteoporosis and treatment. Recently the interest of obesity came to be high and body percent fat test is increasing. Existing measure of body fat have to scan the whole body can be evaluated, but only lumbar spine and hip measurements was assumed to be whole body fat as well as improving the software. It tries to check whether the part measured value not being whole body measurement has the validity or not compared with the value calculated with the method that it is different, it forgives through a correlation with a (BIA) and (BMI). Materials and Methods: In 2010, the body percent fat was measured among the examinee coming to the Asan Medical Center public health care center from March till August against 90 females more than 40 years old through (DXA) and BIA. BMI utilized the value which wrote an hight and weight measured through the body measuring instrument in the examinee information and is automatically calculated. In addition, it classified as the low weight ($13-18.5kg/m^2$), normal ($18.5-25kg/m^2$), and corpulence ($25-30kg/m^2$) based on BMI and so that it could check whether there was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weight or not BMI and BIA and correlation between DXA were analyzed in each group. The statistical program for the analysis used SPSS 12.0. Results: The comparison of DXA at 3 which it divides into the low weight and normal and corpulence groups and BIA did not show the difference noted statistically in all groups and the between group comparison was exposed to do not have a meaning. The body percent fat measured by the correlation analysis result DXA at the state that it doesn't divide into the group showed the high correlation (r=0.908, p0.01) noted statistically compared with BMI and showed the high correlation noted statistically in a comparison with BIA (r=0.927, p0.01). Conclusion: It confirmed that the whole body percent fat presumed from the part bone density measurement showed the excel correlation compared with BIA and BMI and information is high. There is still no clear standard about the presumed whole body percent fat and it is difficult to evaluate the fat evaluation by the bone mineral density measurement. However, it is determined that the information offering which is more objective through the comparative study with the body percent fat which is very efficient and in that it can obtain till the information about a fat as well as diagnosis of the osteoporosis through the bone density checkup is measured by the afterward telegraph bone density checkup and is clinically useful is possible. 이중에너지 방사선 흡수계측법(Dual-energy X-ray Apsorptiometry, DXA)은 일반적으로 골밀도를 통한 골다공증 평가 및 치료목적으로 이용되어 왔으며 최근 비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체지방검사 처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기존의 체지방 측정은 전신을 검사해야만 평가가 가능했지만 근래 DXA장비의 소프트웨어가 향상 되면서 요추와 대퇴부의 측정만으로도 전신체지방률을 추측 할 수 있게 되었다. 전신측정이 아닌 부분측정 값이 다른 검사방법으로 산출된 값과 비교하여 타당성을 갖는지 생체전기저항측정법(Bioelectrical Impedence Analysis, BIA)과 체질량 지수(Body Mass Index, BMI)와의 상관도 분석을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2010년 3월부터 8월까지 본원 건강검진센터에 내원한 수검자 중 40세 이상의 여성 90명을 대상으로 DXA와 BIA를 통해 체지방률을 측정하였다. BMI는 신체 계측기를 통해 측정된 신장과 체중을 수검자 정보에 기입하여 자동으로 산출되는 값을 활용하였다. 또한 체중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BMI를 기준으로 저체중, 정상, 비만의 세 그룹으로 분류하여 각 그룹에서 BMI와 BIA, DXA 간의 상관도를 분석하였다. 저체중과 정상, 비만으로 나눈 세 그룹에서의 DXA와 BIA의 비교는 모든 그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룹으로 나누지 않은 상태에서의 상관분석결과 DXA로 측정된 체지방률은 BMI와 비교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r=0.908, p<0.01) BIA와의 비교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r=0.927, p<0.01). 부분 골밀도 측정으로부터 추정된 전신체지방률이 BIA 그리고 BMI와 비교해 뛰어난 상관관계를 보여 정보의 신뢰도가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아직 추정된 전신체지방률에 관한 명확한 기준이 없어 골밀도측정만으로 체지방평가를 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골밀도검사를 통해 골다공증의 진단은 물론 체지방에 관한 정보까지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효율적이며 추후 전신골밀도검사로 측정된 체지방률과의 비교연구를 통해 더 객관적이고 임상적으로 유용한 정보 제공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재량활동 학습을 위한 총체적ㆍ경험적 영어 프로그램의 실제

        강영은(Youngeun Ka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06 열린교육연구 Vol.14 No.1

          제7차 수준별 교육 과정은 학생들의 능력에 맞춘 수준별 학습뿐 만 아니라 교과서에 포함 되어 있지 않은 내용 중 지역사회, 학교, 학생들의 특징을 살려서 교사의 재량으로 다양한 학습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명시하고 있다. 그러나 현장 교사들은 이러한 획기적인 학습활동에 익숙지 않아서 가르쳐야 할 내용과 방법을 모색 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는 이론적인 제안보다는 실제로 교사들이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영어 학습 활동을 학예 발표회를 통하여 제시해 보고자 한다. 영어 발표는 총체적, 경험적 언어 학습 접근법을 활용하고 학생들의 수준에 맞추어서 발표 내용을 조절 하며, 학급 내에서는 친구끼리 돕고 도움을 받는 짝도우미(Buddy system tutors)를 통하여 연습할 수 있다. 발표할 내용에는 ①초청장 영어로 쓰기, ②발표 휴식시간에 필요한 과자를 영어 요리법을 익혀서 만들고, 영어 표현을 사용하면서 과자를 권해 보기, ③합창 및 합창낭독(Choral reading), 단막극 등을 발표 한 후 경험 학습의 접근법을 활용하여 학생들이 발표에서 체험한 것을 교사와 함께 읽기 자료로 만드는 내용까지 포함한다.   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 focuses on teaching students of different abilities separately and suggests providing optional activities, especially activities for students in special environments such as remote farming or fishing villages.<BR>  Unfortunately, while the additional freedom on teaching material is welcomed by teachers, many of them aren"t familiar with the new curriculum and what to teach or how to teach it. There have been many theoretical researches on this, but little material to help teachers in real life.<BR>  This paper stays away from the theories, and provides ideas through a concrete program that could be used by students in the first grade in middle school.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paper is based on the whole language approach, integrating the four language skills. Students learn the target language by experiencing different situations. The program designed here presents a special performance for the students" parents and friends, and includes learning how to write an invitation card, baking cookies using a recipe in English, singing songs in English, having a choral reading and putting together a skit in English.<BR>  The program also was designed so that the teacher can adapt it to students with different skill levels. Finally the teacher and the students together can develop a reading material based on the performing experience which is the fruit of experienced language teaching approach.

      • 신문기사 분석을 통한 우리나라 기후변화 리스크별 상호 영향 관계 연구

        강영은 ( Youngeun Kang ),신지영 ( Jiyoung Shin ),박창석 ( Chang Sug Park ) 한국환경경제학회, 한국자원경제학회 ( 구 한국환경경제학회 ) 2017 한국환경경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7 No.하계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에 대한 피해가 극심해지고 있는 실정이며, 이에 국가, 지역적으로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이 필수적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기후변화를 위한 국제적 대응 전략은 불확실한 미래의 손실을 예측하고 관리하는 리스크 관리 체계로 개편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우리나라 기후변화 적응대책에서는 분야별 핵심 기후변화 리스크 항목들을 도출하고, 리스크별 대응방안을 강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도출된 기후변화 리스크 항목 간 위계 차이, 리스크 항목 간 높은 연관성, 리스크 발생 후 추가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2차적인 파급 리스크 등에 관한 문제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과거 24년간 기후변화 영향과 관련된 신문기사를 추출하여, 기후변화 리스크 항목 간 연관성이 높은 리스크를 도출함으로써, 향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주요 리스크를 선정하는데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우선, 기후변화 항목 간 연관성을 도출하기 위한 리스크 항목은 기존 연구(박창석, 2014)의 분야별 181개 리스크 항목을 대상으로 하였다. 신문기사별 연관되는 리스크 항목을 매칭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빅데이터 분석 중 하나인 텍스트마이닝을 수행하였으며, 파이썬 (Python)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후변화 리스크 주요 키워드를 포함하고 있는 항목들을 추출하는 과정을 거쳤다. 신문기사별 연관되는 리스크 항목 배열 후, 추가적인 검토 과정을 통하여 적절한 리스크 항목들이 배분되었는지를 확인하였다. 리스크 항목 간 상호연관성 검토는 네트워크 분석 도구 중 하나인 Netminer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리스크 항목 간 연결 강도, 빈도 수가 높은 리스크 항목을 추출하였다. 즉 연결 강도 및 연계 빈도수가 높은 리스크 항목이 다른 리스크 항목 들 간의 연관성이 높은 리스크로 인식될 수 있는 것이다. 본 과정을 통하여 리스크 항목 간 상호 연관 관계가 매우 높은 주요 리스크 항목으로는 ‘재난으로 인한 사망률 증가’, ‘연안 범람으로 인한 침수지역 증가’, ‘홍수로 인한 수리 시설물(하천제방 등) 파괴’ 등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주요 리스크 항목들은 향후 기후변화 적응 계획 시,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주요 리스크 항목으로 선정할 때 타당성 높은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농촌관광 활성화를 위한 모바일 농촌자원정보 앱(App) 수용태도 및 이용의도 연구

        강영은 ( Young Eun Kang ),박미정 ( Mee Jeong Park ),김은자 ( Eun Ja Kim ) 대한관광경영학회 2013 觀光硏究 Vol.28 No.4

        최근 스마트폰 이용의 급격한 증가와 더불어 모바일을 통한 정보 공유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으며, 이를 제공하는 인터넷 환경이 정보 중심의 환경에서 사용자 중심으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서 사용자 위주의 콘텐츠 및 디자인 개발이 중요한 화두로 떠오르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농촌어메니티자원, 농촌관광정보 등을 제공하는 농촌자원정보앱(App)의 활발한 이용을 제고하기 위한 효과적인 대안을 마련하고자 농촌자원 관련 앱기이용자 367명을 대상으로 해당 앱의 항목별 속성, 만족도, 행동 의도를 변수로 설정하고, 기술수용모형(TAM)을 본 연구에 적용하였다. 우선, 농촌자원, 관광을 소개하는 농촌 자원정보 앱의 콘텐츠 평가 항목으로 농촌자원정보 앱의 ‘유용성’, ‘용이성’, ‘UI(User Interface) 디자인’, ‘서비스 품질’이 도출되었다. 실증 분석의 결과, 농촌자원정보 모바일앱의 속성들 각각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만족도는 최종적으로 모바일 앱의 재사용 의도에 정적인 영향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아래, 각 속성별 신뢰도 및 타당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도출하였다. 경로계수 분석 결과, 해당 모바일 앱 속성 중 유용성 및 용이성은 만족도에 영향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UI 디자인(경로계수 =0.328, p=0.000) 및 서비스 품질(경로계수=0.446, p=0.000)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만족도가 재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경로계수=0.708, p=0.000)이 유의하게 도출됨으로써 연구가설을 채택하였다. 이밖에 향후 농촌자원정보 모바일 앱의 발전 방향 제시를 위하여 요구되는 항목들을 조사한 설문에서는 ‘게임 기능 추가’, ‘관광 명소 추가’, ‘지속적인정보 업데이트’, ‘소셜 네트워크와 연계’, ‘경관 사진 및 체험사진 추가’, ‘테마별 여행 정보 추가’ 등의 항목이 대표적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모바일 앱 속성 중요변수, 추가되어야 할 콘텐츠 등은 향후 농촌자원정보 모바일 앱의 발전적 방향 제시에 상당한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나아가 다양한 정보 제공으로 관광지 매력을 제고시킴으로써 농촌관광의 발전에도 파급효과를 미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user`s(n=367) accommodation attitude(satisfaction) and behavior toward mobile application that provides information regarding rural amenity resources or rural tourism for revitalization of rural tourism. First of all,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UI design’, ‘Quality of service’ were concluded as the evaluation variables on mobile application for rural resources information. The authors verified both reliability and validity towards each variable in this study were significant statistically under hypothesis that each variable of mobile app would influence on satisfaction of mobile app and then it would continue to intention of reuse positively. In path coefficient analysis, it showed that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did not affect satisfaction of mobile app on rural resources information. UI design(B=0.328, p=0.000) and the quality of service(B=0.446, p=0.000) had influence on satisfaction of mobile app positively. Additionally, it found that satisfaction of mobile app affected the intention of reuse of this app positively(B=0.708, p=0.000). For more detailed service factors of mobile app, ‘adding game category’, ‘adding information about tourist attractions’, ‘continuous updating’, ‘association with social network’, ‘adding landscape pictures’, ‘adding tourist information by theme’ were produced as the representative factors through investigating what subjects have to be required for this app.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suggest the development direction for mobile app. Furthermore, it would have a great ripple effect on rural tourism through considering tourist attractions with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it.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전통마을 원형경관 보전에 관한 연구 - 경기 안성시 양성면 덕봉리 선비마을을 중심으로 -

        강영은 ( Kang Young Eun ),이보람 ( Lee Bo Ram ),민수희 ( Min Su Hee ),조우현 ( Cho Woo Hyun ),김상범 ( Kim Sang Bum ),임승빈 ( Im Seung Bin ) 한국경관학회 2011 한국경관학회지 Vol.3 No.2

        본 연구는 경기도 안성시 양성면에 위치한 선비마을을 대상으로 해당 마을의 특성을 파악하고, 마을 내 원형경관을 조사·분석하여 관리가 양호하지 못한 원형경관을 보전하고 활용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지인 선비마을은 해주 오씨가 모여 살던 집성촌으로서 관련 문화, 역사 자원을 비롯하여 자연 생태 자원 및 인적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마을주민들은 유교에 대한 가르침과 옛 문화를 보전·유지하고 외부인들에게 홍보함으로써 예부터 내려오는 우리나라 고유의 풍습을 이어나가는 시도를 하며, 이와 관련된 프로그램을 활발하게 수행해오고 있다. 본 연구는 현재 선비마을 내 산재하고 있는 다양한 원형경관을 조사·발굴하고, 이의 변천과정을 면밀하게 파악함으로써 체계적인 구역별 기본 계획안을 도출하고자 하였으며, 타당성 있는 기본 계획안 도출을 위해 문헌 조사, 현장조사, 주민인터뷰, 원형경관별 가치평가가 수행되었다. 문헌 조사에서는 원형경관 활용과 전통마을 보전 방법론과 관련된 기존 연구 분석과 함께 기존의 지형도를 토대로 선비마을의 과거 경관과 이의 변화과정을 조사하였다. 현장조사는 조사대상지 구역별 원형경관 보전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으며, 주민인터뷰를 병행함으로써 마을 경관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와 과거 경관의 변화 흐름에 대하여 면밀히 파악할 수 있었다. 이의 과정을 바탕으로 안성시 양성면 덕봉리 선비마을 보전 기본 구상 및 기본 계획안이 도출되었으며, 구역 내 원형경관 요소, 주변 환경 및 여건 등에 따라 보전, 복원, 활용의 3가지 기본방향을 설정하여 구역별로 융통성 있는 보전 및 활용방향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전통마을의 지속적인 보전 및 활용을 위한 기초적인 연구로서, 본 연구에서 적용된 보전 방향 및 기법은 타지역의 전통마을 보전 기본 계획 시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tried to make the preservation plan for sustainable preservation·restoration of Sunbimaeul, Deokbong-ri, Anseong-si, Gyeonggi-do through analyzing characteristics and prototype landscape of that site. Sunbimaeul is the village where the family of haejuoh have lived. There are various historic resources and traditions including ecological resources and human resources. In addition, there are many projects and enterprises to adorn a village for introducing the traditional culture and teachings of the Confucian.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stigation is to drew a master plan to make the best use of various prototype landscape which was dotted around village and manage it consistently. And in this paper, the literature search and the field survey, expert evaluating and the interview of local resents were used to deduct a valid master plan. In literature search, it was analyzed the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is study and collected past picture, antique book, articles and so on to estimate prototype landscape of that site. In field survey, it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present condition and problems of prototype landscape on preservation. In addition, we could get more informations about village's landscape and landscape change progress through interviewing with local residents. The estimation of prototype's value was carried out to set up the appropriate preservation directions and preservation scope through selecting more valuable prototype landscape. Through these steps, the master plan of Sunbimaeul was deducted and it was divided into 3 type; preservation zone, restoration zone and utilization zone according to landscape components, scope, surroundings and so on. Consequentially there are growing concerns for preservation of traditional rural landscape in Korea and the approach method adopted in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other traditional villa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