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楫取魚彦の『古言梯』の編集意識について収録語の配列に注目して

        姜盛文 ( Kang Seong-mun )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21 일본연구 Vol.35 No.0

        本稿は楫取魚彦の『古言梯』について考察したものである。『古言梯』は古典仮名遣い(いわゆる歴史的仮名遣い)を普及した資料で、仮名遣いの歴史を論じる際に必ず言及されるほどの資料であるが、資料の内容に注目した研究は少ない。そこで本稿では『古言梯』の収録語の配列と、それに関わる『新撰字鏡』との関係に注目した。 『古言梯』の収録語が五十音順と仮名数順で並んでいることは知られている。しかし、緩やかではあるが意味によっても配列されていることが稿者の調査でわかった。『和名類聚抄』と対照して調査した結果、全体的に「天→人→動物→植物→食べ物→地面→道具→動詞·形容詞など→官職名·地名」の順番で収録されていることが指摘できる。また、この順番から「より高所からより低所」「生物から無生物へ」という傾向が読み取れる。ただ、五十音順と仮名数順ほど厳密に施されておらず、場合によって順番が異なる。 『古言梯』における意義分類を見ると「天」と「地面」の分類に属する語が距離を離れて示されているが、これは当時として稀なことだった。一方、魚彦が『古言梯』を著す際に参考にした『新撰字鏡』では「天」と「地面」の語が離れて収録されている。おそらく『古言梯』における意義分類は『新撰字鏡』からの影響であると考えられる。 This paper examines Kogentei by Nahiko Katori. Kogentei is a material that spread historical Kana orthography in Japan, and although it is so often mentioned when discussing the historical Kana orthography, few studies have focused on the content of this material. Therefore, this paper paid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rangement of the words contained in Kogentei and the related Shinsen Jikyo. It is known that the words in Kogentei are arranged in the order of Gojuon and the length of the word. However, it is discovered that the words in Kogentei were somewhat arranged according to their meaning. After the investigation in contrast to Wamyoruijusho, it can be pointed out that the order is “Heaven→Man→Animals→Plants→Food→Ground→Tools→Grammar language(such as verbs, adjectives)→Government post, Place name.” in general. Also, from this order, the tendency to “from a higher place to a lower place” and “from an organism to an inanimate object” can be read. However, this order is not as strict as the order of Gojuon and the length of the word, and different depending on the situation. Looking at the semantic classification in Kogentei, the words belonging to the classification of ‘heaven’ and ‘ground’ are shown at a distance, which was rare at that time. On the other hand, in Shinsen Jikyo, which Nahiko referred to when writing Kogentei, the words belonging to the classification of ‘heaven’ and ‘ground’ are recorded separately. Perhaps the semantic classification in Kogentei was influenced by Shinsen Jikyo.

      • KCI등재
      • 미국의 행정사상: 해밀턴의 ‘큰 정부론’을 중심으로

        강성남 ( Seong Nam Kang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통합인문학연구소 2021 통합인문학연구 Vol.13 No.1

        정부개혁의 패러다임은 ‘강한 정부론’ 과 ‘약한 정부론’의 교차경로에서 선택된다. 이 논문에서는 해밀턴의 ‘강한 정부론’의 형성 맥락을 천착하고 있다. 모든 행정이론이나 사상은 시대적 맥락에 기초한 상황 구속성을 갖는다. 이런 관점에서 해밀턴의 행정이론과 사상을 시대상황과 함께 그의 지적 맥락을 따라 그 시원을 밝히려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해밀턴은 미국독립전쟁의 경험과 함께 그의 학습 및 사회적 교류에서 얻은 지적 성취가 그의 이론과 사상을 떠받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는 추상적인 관념을 제도적인 현실로 바꾼 제도의 설계자이자 미국 정부의 아버지였다. 그리고 미국의 미래에 대해 명확한 비전을 제시한 선구자였다. 지금의 기준으로 그의 이론을 평가하는 것은 매우 신중해야 한다. 그의 강력한 대통령제 정부론은 당시의 시대적 맥락에서 최선의 대안으로 인정되어야 한다. 해밀턴은 계층, 지역, 인종, 종교, 사상 간의 답답한 갈등 속에서 새로운 정부 모델을 탄생시키는 발화점 역할을 했다. 해밀턴의 대통령제 정부론은 미국에만 한정하지 않고 시대와 장소를 넘어 그 보편성과 탁월함이 인정되고 있다. The paradigm of government reform is chosen from the cross-path between “strong government theory” and “weak government theory”. This thesis explores the context of Hamilton's “strong government theory”. All administrative theories and thoughts have contextual constraints based on the context of the times. From this point of view,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larify the origin of Hamilton's administrative theories and ideas along with his intellectual context along with the situation of the times. Hamilton can confirm that the intellectual achievements gained from his learning and social exchange along with his experiences of the American Revolutionary War support his theories and ideas. He was the father of the American government and the architect of the institution that turned abstract ideas into institutional reality. He and he was a pioneer who gave a clear vision of the future of America. It should be very prudent to evaluate his theory against the current criteria. His strong presidential government theory should be recognized as the best alternative in the context of the times. Hamilton served as a spark to create a new model of government in the frustrating conflict between class, region, race, religion, and ideology. Hamilton's theory of presidential government is not limited to the United States, but is recognized for its universality and excellence across times

      • 압전효과를 이용한 교통특성별 도로 에너지발전량 추정모델에 관한 연구

        강성인(Kang Seong In),류숭기(Seung-Ki Ryu),윤여환(Yeo-Han Yoon),서종해(Jong-Hae Suh),여화수(Hwa-Soo Yeo) 대한전기학회 2016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6 No.3

        In this paper, we introduce the estimation models of road electric power generation by installing a piezo power generator using piezo effect. In addition, we propose an analysis system for piezo power generation including the estimation models of road electric power generation according to the traffic characteristics. The piezo power generator with 10cm thickness was laid underground down to a depth of about 5cm. In this paper, we focus on developing the estimation models of power generation efficiency variation according to the traffic characteristics using the average power generation of a bulk type"s piezo sensor. The traffic patterns are different based on the different places and times on roads. Thus, we developed the estimation models of piezo power generation by analyzing the representative traffic indexes such as flow, speed, and vehicle types. Moreover, the developed estimation models are equipped on our analysis system by which we present specific methods for simple operations.

      • KCI등재

        소셜 미디어의 확산과 정책 거버넌스의 변동

        강성남(Kang, Seong Nam) 서울행정학회 2014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24 No.4

        이 연구는 소셜 미디어의 확산에 따른 정책 환경의 변화와 정책 거버넌스의 변동내용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소셜 미디어의 등장과 확산은 그것의 독특한 특성으로 인해 기존의 정책 환경에 큰 변화를 초래했다. 또한 정책 환경의 변화는 기존의 정책 거버넌스에 변동을 가져오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소셜 미디어의 확산에 따른 정책 환경의 변화와 기존의 정책 거버넌스의 변동이 지니는 이론적 함의를 사례분석을 통해 도출하고 있다. 정책과정에서 행위주체, 활동영역, 이슈성격, 이슈 확장 수단, 정책의제의 설정시점, 정책결정내용 등에서 종래의 이론적 설명의 틀을 벗어난 사례가 등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개인의 이슈제기의 증가, 사적 생활공간의 문제, SNS를 통한 이슈 확장, 신속한 의제설정과 정책결정은 기존의 정책결정이론으로 설명하기 곤란하다. 따라서 기존의 의제설정 및 정책결정이론에 대한 보완작업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This paper investigates changes in policy governance arising from the proliferation of social media. The advent and diffusion of social media, along with its unique characteristics, has resulted in a changed policy environment. In turn, the transformation of the policy environment impacts upon policy governance. This study aims to describe the theoretical meanings, both of the change in policy environment with the spread of social media, and of the transformation of conventional policy governance. The relations between the attributes of social media and changes to the policy environment are described. Subsequently, a cognitive framework is detailed and applied to real cases to describe the logical structure in the series connection of the spread of social media, the change of policy environment, and policy governance. The conclusion emphasizes that conventional theoretical media and frameworks for analyzing the policy process require further examination and remedies for their theoretical shortcomings.

      • KCI등재

        A Study on Optimal Solution of Short Shot Using Modular Fuzzy Logic Based Neural Network(MFNN)

        강성남(Seong-nam Kang),허용정(Yong-jeong Huh),조현찬(Hyun-chan Cho)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01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11 No.6

        사출성형공정에서 나타나는 대표적인 성형불량의 하나인 미성형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퍼지의 논리 및 추론기능과 신경망의 학습 기능을 융합한 퍼지-신경망을 도입하였다. 미성형을 빠른 시간내에 해결하고 신경망의 학습속도를 높이기 위해 모듈형 두 단계의 학습 알고리즘이 본 논문에서는 제안되었다. 첫 번째 학습 모듈단계에서는 사출성형의 공정조건들이 서로 영향을 미치는 점을 고려하여 충전시간과 용융수지 온도가 결정되면 그에 상응하는 금형온도를 학습하고, 두 번째 모듈 학습단계에서는 실제로 사출성형해석을 통해 얻은 미성형 체적의 비율을 에러로 하여 에러를 줄이도록 하였다. 제안된 모듈형 퍼지-신경망을 평가하기 위해 사출성형해석이 황금분할 탐색법과 모듈형 퍼지-신경망을 이용해 각각 수행되고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In injection molding, short shot is one of the frequent and fatal defects. Experts of injection molding usually adjust process conditions such as injection time, mold temperature, and melt temperature because it is the most economic way in time and cost. However it is a difficult task to find appropriate process conditions for troubleshooting of short shot as injection molding process is a highly nonlinear system and process conditions are coupled. In this paper, a modular fuzzy neural network(MFNN) has been applied to injection molding process to shorten troubleshooting time of short shot. Based on melt temperature and fill time, a reasonable initial mold temperature is recommended by the MFNN, and then the mold temperature is inputted to injection molding process. Depending on injection molding result, specifically the insufficient quantity of an injection molded part, an appropriate mold temperature is recommend repeatedly through the MFN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