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풍하중에 의한 현수교 행어로프 꺽임각에 관한 연구

        강선진,박형기 한국풍공학회 2006 한국풍공학회지 Vol.10 No.2

        The longer main span length is relative to the transverse deflections from wind load in suspension bridge. This effect occurs a kink and high stress in girder anchorage of each hanger rope. Because of these reasons, the bridge maintenances are hard of the high cost equipments with special functions like as an universal joint. Therefore, at the planning stage of a suspension bridge, if the kink of hanger ropes will be reduced by the minimized relative displacement between main cables and girders, the bridge shall be more economical and easier maintenance. The objection of this study is looking for the optimized hanger rope setting according to the types of center stays with different sag ratios. As the result of the study, the hanger rope with a small sag ratio and without a central lock is the most optimized one. 현수교의 주경간장이 길어지면 교축직각 풍하중에 의해 현수교 보강거더의 횡방향 처짐이 크게 발생한다. 이 구조거동으로 각 행어로프의 보강거더 정착부에서 로프에 꺾임이 발생하고 이에 상응하는 응력이 로프에 발생하게 된다. 특히, 교량 중앙에 있는 짧은 행어로프의 응력이 크게 발생하여 유니버셜죠인트 등의 고가의 특수장치를 부가해야 하는 등의 유지관리의 효율이 저하된다. 따라서 현수교 계획시에 주케이블과 보강형의 상대변위를 최소화 하여 행어로프의 꺽임량을 적게하면, 경제적이고 유지관리가 편리한 현수교 행어로프의 계획을 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새그별 센터스테이의 형식을 달리하여 최적의 행어로프 계획을 확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결과로 새그비가 작고 센트럴락이 설치되는 경우가 가장 합리적인 행어로프 계획임을 알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풍하중에 의한 현수교 PWS 행어로프의 실험적 연구

        강선진,박형기 한국풍공학회 2007 한국풍공학회지 Vol.11 No.1

        Since little wind tunnel tests about cables used in hanger rope were conducted around the world, it is needed to study about aerodynamic stability due to types, batches, and spaces of cables and directions of wind. In this study, it is suggested useful design data of wind resistance of hanger rope for suspension bridges obtained by experiment of cables. From the experiment of PWS cables, we confirmed the well known results that wake galloping is happened when the space of parallel cables is 3 to 6 times to diameter of cable. Unusual vortex induced vibrations are not detected, and vortex induced vibration and wake galloping of relatively large wind speed regions are happened when wind direction is changed even in the region of the space of parallel cables where vibrations are not detected. 현수교의 행어시스템은 주케이블과 보강거더를 연결하여 보강거더측 행어 정착구조에서의 반력을 주케이블에 전달하는 기능을 하는 주요 구조이다. 현수교 행어로프에 적용된 케이블에 대한 풍동실험이 국내외적으로 미미하여 케이블의 종류, 배치, 간격 및 풍향에 대한 내풍안정성에 대한 연구가 절실하다. 이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연구발표와 사례보고가 거의 없었던 행어로프의 내풍성능에 대해 실험모형을 이용한 케이블의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여 그 결과를 현수교 행어시스템의 기본설계시 기초자료로 제공 한다. PWS 케이블의 실험결과 특별한 와류진동은 발생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알려진 결과와 유사하게 병렬 케이블의 간격이 3~6D일 때 웨이크 갤로핑이 발생하며, 진동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병렬 간격에서도 풍향이 달라지면 비교적 큰 풍속영역을 가진 와류진동이나 웨이크 갤로핑이 발생한다.

      • KCI등재후보

        현수교 PWS 및 CFRC 행어로프의 내풍안정성 실험 평가

        박형기,강선진 한국방재학회 2008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08 No.06

        In this study, to evaluate the aerodynamic stability of suspension bridge hanger ropes, the wind tunnel tests are carried out. It is found that the vortex induced vibration is detected only in single PE-coated PWS cable case. And the wake galloping is occurred in twin cables spaced 3~6 cable diameters of cable center to center when the incidence angle of wind is only zero degree. In case of other incidence angles of wind except zero degree, the wake galloping or the wake flutter are showed in twin cables even outside range of the bounds of 3~6 cable diameters. CFRC cable shows very stable for the twin cables regardless of the distance between two cables, and also for various incidence angles of wind. Thus the characteristic of CFRC rope overwhelms one of PWS cable in aerodynamic stability. 이 연구에서는 현수교 PWS 및 CFRC 행어로프의 바람에 의한 내풍안정성 평가을 위한 풍동실험을 수행하였다. 풍동실험결과, PE관으로 피복된 PWS 케이블은 단일 케이블에서 와류진동이 발생하고 복수 케이블에서는 중심간격이 3~6D일때 웨이크갤로핑이 발생하였다. 진동이 발생하지 않는 복수 케이블에서도 풍향각이 달라지면 웨이크갤로핑이나 웨이크플러터가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CFRC 케이블은 케이블 중심간격 및 풍향각에 관계없이 PWS 케이블에 비해 안정된 내풍성능을 보였다.

      • KCI등재후보

        현수교 PWS 및 CFRC 행어로프의 내풍안정성 실험 평가

        박형기,강선진,Park, Hyung-Ghee,Kang, Seon-Jin 한국방재학회 2008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8 No.6

        In this study, to evaluate the aerodynamic stability of suspension bridge hanger ropes, the wind tunnel tests are carried out. It is found that the vortex induced vibration is detected only in single PE-coated PWS cable case. And the wake galloping is occurred in twin cables spaced $3\sim6$ cable diameters of cable center to center when the incidence angle of wind is only zero degree. In case of other incidence angles of wind except zero degree, the wake galloping or the wake flutter are showed in twin cables even outside range of the bounds of $3\sim6$ cable diameters. CFRC cable shows very stable for the twin cables regardless of the distance between two cables, and also for various incidence angles of wind. Thus the characteristic of CFRC rope overwhelms one of PWS cable in aerodynamic stability. 이 연구에서는 현수교 PWS 및 CFRC 행어로프의 바람에 의한 내풍안정성 평가을 위한 풍동실험을 수행하였다. 풍동실험결과, PE관으로 피복된 PWS 케이블은 단일 케이블에서 와류진동이 발생하고 복수 케이블에서는 중심간격이 $3\sim6D$일때 웨이크갤로핑이 발생하였다. 진동이 발생하지 않는 복수 케이블에서도 풍향각이 달라지면 웨이크갤로핑이나 웨이크플러터가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CFRC 케이블은 케이블 중심간격 및 풍향각에 관계없이 PWS 케이블에 비해 안정된 내풍성능을 보였다.

      • 장애학생 초등교원 진입확대 방안 연구

        이성규,양숙미,전혜연,이종아,강선진,최성이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2007 용역연구 Vol.- No.6

        I.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장애초등교원의 임용 확대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세 가지 차원 즉 현재고등부 장애학생, 장애인특별전형을 통해 교대에 다니고 있는 장애 학생, 그리고 2007년도에 임용된 신규장애교원과 기존의 장애교원을 대상으로 현재 초등교원의 의무고용 미충족 원인에 대해서 살펴보고, 장애교원의 교대 진입 과정과 장애학생의 교대의 수업 이수에 있어서 보안책 그리고 2007년 신규 임용된 장애 교원과 기존의 장애 교원을 통해 시험과정 및 일반 초등학교의 장애초등교원을 위한 방안을 모색해 보고, 나아가 장애교원진입확대를 위한 중·장기적 지원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I. 연구문제 1. 초등교원 의무고용인원의 미충족 원인은 무엇인가? 2. 초등교원직에 대한 장애학생의 선호 및 의견은 무엇인가? 2-1. 교육대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 대학생의 초등교원에 대한 선호 및 의견은 무엇인가? 2-2.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 고등학생의 초등교원에 대한 선호 및 의견은 무엇인가? 3. 장애인 당사자 및 관계자들이 인식하고 있는 장애인 교원진입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4.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중·장기 방안(지원체계)은 무엇인가? III. 연구방법 현재 장애인특별전형을 실시하고 있는 6개 경인·서울·전주·제주·춘천·청주교육대학교의 담당자의 도움을 받아 조사에 동의한 학생들 총 8명(청각장애 3급 1명·5급 2명, 지체 장애 3급 1명·4급 1명·5급 1명·6급 2명)과, 장애인고용촉진공단의 도움을 받아 2007년에 임용된 장애교원, 기존의 장애교원 총 10명(지체 2급 3명·지체 4급 1명·지체 6급 2명·시각 6급 2명·뇌병변3급 1명, 시각 1급 1명)을 심층면접 조사하였다. 또한 설문지를 읽고 작성함에 있어서 어려움이 없는 고등부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장애학생의 초등교원 진입에 관한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은 총 155부(일반학교 13부, 특수학교 142부) 수집되었다. IV. 연구결과 교육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의 심층면접 결과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장애인 특별 전형에 대한 정보 획득 경로는 수능 본 후 원서 쓸 때, 부모님한테 들어서, 고등학교 때 알았다는 경우가 있었으며 이후 교육대학교사이트에서 확인하거나 직접 연락하고 찾아가서 확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학생의 교대 진입 확대 방안에 대해 기본적으로 장애인 특별전형에 대한 홍보가 전체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홍보 방법으로는 공문 발송, 가정통신문, 장애학생의 진학 상담을 위한 카페 등이 있었고, 홍보 시기로는 중·고등학교 때부터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장애초등교원의 경우 교육대학에 지원하기 전에 사전 심사 제도를 통해 지원 가능여부를 판단 한 뒤 이에 적합한 경우 지원을 하게 된다. 장애초등교원이 임용 후 교원으로서 역할을 훌륭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교대 진학, 과목이수, 임용 시험, 배치, 교원 활동에 대한 일련의 세부적 지원부터 마지막단계까지 장애교원이 낙오되지 않고 활동 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첫 번째, 기본적으로 교육대학교와 일선 초등학교의 장애인 편의 시설이 마련되어야 한다. 두 번째, 교대에서 시행하고 있는 사전 심사 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 세 번째, 장애학생이 교과목을 이수함에 있어서 장애유형과 정도에 따른 배려가 있어야 한다. 네 번째, 다양한 장애 유형과 등급에 따라서 시험 방법이 다양화되어야 한다. 다섯 번째, 장애교원을 배려한 배치가 이루어져야 한다. 여섯 번째, 장애교원의 원활한 수업 진행을 위해 교과전담제와 보조교사제가 마련되어야 한다. 일곱 번째, 장애인 교원 임용 확대를 위해 한 목소리를 낼 수 있는 단체가 조성 등의 방안이 제시되었다. 무엇보다 장애인 교원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을 통해 나아가 중증장애인을 위한 초등학교 진입 방안도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V. 연구의의 본 연구는 초등장애교원의 진입확대를 위한 방안 모색을 위해 현재 고등부 장애학생들의 장애초등교원에 대한 생각과, 현재 교대에 다니고 있는 교육대학교 학생들의 교대 진학 과정 및 교대 진입 확대 방안에 대한 선호 및 의견을 정리함으로써 장애학생들의 교대 진입 과정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현재 교대 진학 중인 학생들과 기존의 장애교원 및 2007년에 임용된 장애교원의 욕구 및 현재의 상황을 파악해 봄으로써 초등장애 교원의 진입 확대를 위한 실질적인 대안 및 방안을 모색해 볼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