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카페리여객선 제주항 입출항 시 예선 사용 기준에 관한 연구 - 카페리여객선 H호를 중심으로 -

        강병선,정창현 해양환경안전학회 2024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30 No.2

        연안여객선 현대화계획에 따라 건조된 카페리여객선이 제주항 입항 시 다른 선박과 충돌 또는 부두와 접촉한 사고가 2020~2022년 사이에 4건 발생하였다. 사고는 주로 예선 없이 선수 및 선미 스러스터를 이용한 자력도선 중 조선 부주의와 바람에 의한 선박의 압류로 발생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카페리여객선 H호를 중심으로 충돌사고를 분석하고, 선박이 접안 중 발생하는 외력과 모멘트에 따라 선박이 예선 없이 자력으로 부두와 평행하게 접안하기 위한 스러스터 및 엔진의 소요출력을 기반으로 자력으로 선박을 제어할 수 없는 한계풍속과 풍속 증가에 따른 추가적인 예선의 운영방안을 제시하였다. H호의 적재상태, 접안속도에 따른 자력 또는 예선 사용 시 한계풍속을 상대풍향별로 분석한 결과, 제주항 접·이안 시 횡방향 풍속이 10m/s 이상일 때 예선 1척을 선미에 사용하고, 횡방향 풍속이 14m/s 이상일 때에는 예선 2척을 사용 것이 타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Four accidents occurred between 2020 and 2022 after car ferries built according to a coastal passenger ship modernization plan collided with other ships or came into contact with the dock when entering Jeju Port. Accidents primarily occurred owing to careless ship handling and drift by wind during ship handled by herself using bow and stern thrusters without tugboats. Accordingly,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ollision accident focusing on car ferry H and the critical wind speed at which the ship cannot be controlled using its own power, tugboat operation plan in increasing wind speed were proposed based on the power required for the ship to berth parallel to the pier without a tugboat considering the external force and moment generated while the ship is berthing. A analysis of the critical wind speed of car ferry H by relative wind direction when using tugboats or not according to the loading status and the berthing speed, showed that one tugboat should be used at the stern when the lateral wind speed is over 10 m/s and two tugboats should be used when the lateral wind speed is over 14m/s berthing at Jeju port.

      • 말합연약식반의 변형위석에 관한 수치해석

        강병선,박병기,정진섭,Gang, Byeong-Seon,Park, Byeong-Gi,Jeong, Jin-Seop 한국지반공학회 1985 대한토질공학회지 Vol.1 No.2

        본고는 기약지반변형해석에 이용될 범용 program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성토부끝에 sheet pile을 타설하거나 혹은 성토부아래의 연약정토지반을 개취하였을 때의 변형억제효과를 연구한 것이다. 본고에 적용된 압밀리론으로서 Biot의 압밀방정식과 구성방정식으로서 탄소성리론에 근거한 modified Cam-clay 이론을 적용하였고 유한요소해석으로서는 Christian-Boehmer계를 도입하여 program화한 것이다. 그 주요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속변지반의 침하효과에 관해서는 sheet pile이나 심우혼합처새깊이를 자지층까지 관입하여 시공하고 그 자신의 침하가 없을 경우에만 유효하다. 2. 흔히 사용되는 sheet pile대책공법은 통상의 steel sheet pile의 각성으로서는 성토직후의 봉기, 측방변위의 억제효과는 기대할 수 없다. 3. Sheet pile에 대한 예상론인 사용방법은 성토하부에 세밀을 촉진하기 위해 vertical drain을 설치하고 점증재하 방법만이 확실한 효과가 있다. 4. 체층혼합처리공법은 예상한 바와 같이 그 자종가 강성이 클수록 침하억제핵과가 있다. 특히 grouting을 통한 지반강화가 곧장 주변지반의 변형억제효과가 있다고 단정하는 것은 그 강성 까 관련하여 신중히 고려하여 결정해야 한다. This study aims at the development of computer Program for the deformation analysis of soft clay layers, and using this computer program, study the constraint effect of deformation- heaving, lateral displacement-of the soft clay layers reinforced with sheet pile at the tip of banking or improvement of soft clay layer up to hard strata, under intact state (natural) and the state of vertical drain respectively. For this study, Biot's consolidation theories and modified Cam-clay theory for constitutive equation for FEMI were selected and coupled governing equation, and christian-Boehmer's technique was applied to solve the coupled relationship. The following results are obtained. 1. Sheet pile or improvement of soft clay layer to the hard strata work well against the settlement of neighboring ground. B. In view of restriction of heaving or lateral displacement, sheet pile is not supposed to be of use. 3. Sheet pile is of effect only when vertical drain is constructed for acceleration of consolidation and load increases gradually. B. The larger the rigidity of improvement of layer to hard strata is, the less settlement occurs.

      • KCI등재

        카메라 영상의 기하학적 해석을 통한 YOLO 알고리즘 기반 해상물체탐지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강병선,정창현 해양환경안전학회 2022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8 No.4

        For autonomous ships to be commercialized and be able to navigate in coastal water, they must be able to detect maritime obstacles. One of the most common obstacles seen in coastal area are the farm buoys. In this study, a maritime object detection system was developed that detects buoys using the YOLO algorithm and visualizes the distance and bearing between buoys and the ship through geometric interpretation of camera images. After training the maritime object detection model with 1,224 pictures of buoys, the precision of the model was 89.0%, the recall was 95.0%, and the F1-score was 92.0%. Camera calibration had been conducted to calculate the distance and bearing of an object away from the camera using the obtained image coordinates and Experiment A and B were designed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the maritime object detection system.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performance of the maritime object detection system, it can be seen that the maritime object detection system is superior to radar in its short-distance detection capability, so that it can be used as a navigational aid along with the radar. 자율운항선박이 상용화되어 연안을 항해하기 위해서는 해상의 장애물을 탐지할 수 있어야 한다. 연안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장애물 중의 하나는 양식장의 부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YOLO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해상의 부표를 탐지하고, 카메라 영상의 기하학적 해석을 통해 선박으로부터 떨어진 부표의 거리와 방위를 계산하여 장애물을 시각화하는 해상물체탐지시스템을 개발하였다. 1,224장의 양식장 부표 사진으로 해양물체탐지모델을 훈련시킨 결과, 모델의 Precision은 89.0%, Recall은 95.0% 그리고 F1-score는 92.0%이었다. 얻어진 영상좌표를 이용하여 카메라로부터 떨어진 물체의 거리와 방위를 계산하기 위해 카메라 캘리브레이션을 실시하고 해상물체탐지시스템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Experiment A, B를 설계하였다. 해상물체탐지시스템의 성능을 검증한 결과 해상물체탐지시스템이 레이더보다 근거리 탐지 능력이 뛰어나서 레이더와 더불어 항행보조장비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지체장애 및 뇌성마비 중고등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에 대한 자기 평가 분석

        강병선,박경옥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3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62 No.3

        본 연구는 디지털 시대로의 대전환을 맞아 지체장애 및 뇌성마비 학생의 자기 평가를 통해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에 대한 인식과 행동에 대한 현재 실행 수준을 파악하고 향후 필요한 적절한 교육 지원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에 대한인식 및 행동 영역의 지기 평가를 분석한 결과, 첫째, 지체장애 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변인에서는 중학교 학생보다는 고등학생이, 그리고 여학생보다는 남학생이, 심하지 않은장애 학생이, 스마트기기 및 인터넷 사용 시간이 긴 학생이, 정보화대회 경험이 있는 학생이, 그리고 컴퓨터 교과목 이수 경험이 있는 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수준이 높았다. 둘째, 구인별 평균값을 비교한 결과, 뇌성마비 학생보다는 지체장애 학생이 디지털 리터러시역량 수준이 전반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역량에서 보이는 패턴은 동일하게 나타났다. 디지털 리터러시 인식 영역의 역량 수준은 가치, 자기효능감, 정서 구인의 순이었고, 행동 영역에서는 윤리, 보안, 자기조절, 참여, 비판적 읽기의 순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미래교육 전환 시대에서 추구해야 할 교육적 방향에 대한 시사점과 후속 연구에 대해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current implementation level of digital literacy awareness and behavior through self-assessment of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cerebral palsy in the face of the transition to the digital age. It also explores the appropriate educational support measures that will be needed in the future. The results of self-reported digital literacy awareness and behavior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digital literacy competency variables,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high school students rather than middle school students, boys rather than girls, students with less disabilities, students with long smart device and Internet usage time, and students with computer experience all had higher levels of digital literacy. Second, when comparing the averages between occupations, although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had superior digital literacy skills than students with cerebral palsy, their skill patterns were similar. The cognitive domains of digital literacy included values, self-efficacy, and emotional exploration; furthermore, the behavioral domains included ethical, safety, self-regulatory, engagement, and critical reading.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directions to pursue in future educational transitions,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made.

      • 자연과학을 통해 본 광주 평동유적의 이해

        강병선 공주대 문화재보존과학연구소 2012 문화재과학기술 Vol.12 No.1/2

        광주광역시 광산구 평동일원은 산업단지 조성을 위해 2008년 4월~2009년 10월까지 약 1년6개월여에 걸친 발굴조사 결과 다양한 시기와 형태의 유구와 유물들을 확인되는 성과가 있었다. 확인된 유구의 이해와 해석을 위해 자연과학적 분석으로 이들의 성격을 이해하고자 시도하였다. 자연과학적 분석결과를 토대로 볼 때 광주 평동유적의 중심시기는 BC 5~AD 6C 사이인 대략 1,100여년 정도로 추정되며, AD 6C 말~7C 초엽 경 대규모 범람의 가능성 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시기를 기점으로 하여 평동유적 일대는 더 이상 생활의 터전내지는 묘지로서의 기능을 상실한 채 농경지화 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 유적에서 인간이 직·간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기간은 인위적인 식 생이 우세한 반면 사람의 영향력이 감소하게 되면 자연은 다시 원래의 상태를 회복하고자 하는 재생활동을 활발하게 진행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