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카레 분말을 첨가한 유과의 품질특성 연구

        강동철(Dong-Chul Kang),이호(Ho Lee),어풍량(Fengliang Yu),한정아(Jung-Ah Han) 한국식품과학회 2015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7 No.2

        카레분말의 주원료인 강황을 유과 제조에 이용함으로써 유과의 기능성을 향상시켜 노인용 간식으로 발전시키려는 목적으로 찹쌀가루의 각각 5, 10, 15, 20%를 카레분말로 대체하여 유과를 제조한 결과, 카레분말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경도는 증가하였으나, 바삭함에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색은 카레분말 첨가량에 비례하여 노란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과산화물가와 산가를 측정한 결과 카레분말을 15% 이상 첨가할 경우, 효과적으로 유과의 산패를 억제할 수 있었다. 관능검사결과, 카레분말을 첨가한 유과는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관능적 특성이 향상되었으나, 20% 첨가한 경우 짠 맛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여러 특성들을 종합해 본 결과, 유과에 첨가하는 카레분말의 양은 찹쌀가루의 15%가 가장 적당한 것으로 보여진다. Yukwa was prepared with different amounts of curry powder (0, 5, 10, 15, and 20%) based on the amount of waxy rice flour used, and its physical, sensory, and antioxidant properties were measured. In terms of the textural properties, the hardness began to increase when ≥15% curry powder content was used; however, the crispiness was unchanged by the amount of curry powder used. The expansion degree of yukwa significantly decreased when 20% curry powder was used. The internal microstructure was measur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which showed a more compact and homogeneous structure as the curry powder content increased. The use of increased curry powder in yukwa decreased the acid and hydroperoxide values, and this could have resulted from the antioxidant action of curcumin in the curry powder. Through sensory evaluation, yukwa containing 15% curry powder was chosen as the most acceptable by the elderly.

      • KCI등재

        공공봉사동기(PSM)와 조직분위기 간의 관계에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그리고 인간관계의 매개효과: 부산광역시 공무원을 중심으로

        강동철 ( Kang Dong Chul )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7 社會科學硏究 Vol.43 No.3

        본 연구에서는 지자체의 조직분위기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방공무원의 동기부여가 무엇인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지방공무원에게 특별히 부여된 동기를 확인할 수 있도록 부산광역시에 위치한 한 지방자치단체에 근무 중인 지방공무원 218명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하였다. 이러한 실증 분석을 통하여 지방공무원의 공공봉사동기 고취에 기여하고자 노력하였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본 연구에서는 공공봉사동기가 조직분위기에 영향을 미치게 될 때, 조직몰입과 인간관계의 매개효과를 검토할 수 있도록 구조방정식모델을 설계하였다. 구조방정식모델링을 실시한 결과, 규범적 동기_공익을 위한 헌신은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통해 조직분위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었으며, 정서적 동기_측은지심은 인간관계의 매개효과를 통해 조직분위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었다. 하지만, 자기희생은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뿐만 아니라 인간관계의 매개효과 때문에 조직분위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지방공무원에게 공공봉사동기는 지자체의 조직분위기에 중요한 선행요인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공직에 공공봉사동기를 느껴 지방공무원이 되었다면, 지자체의 조직분위기에 참여적일 수 있다는 것이다.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current body of work in this area by investigating the responses from 218 local public servants from one local government in Busan Metropolitan City to determine which specific motivation of local public servants has the largest effect on organizational climate of local government. This study also has conducted Structure Equation Modeling to review the mediated effect of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Human Relations in the process from Public Service Motivation to Organizational Climate. According to the results, Commitment to the public interest was shown to influence Organizational Climate through the mediated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 other hand, Compassion was shown to influence Organizational Climate through the mediated effect of Human Relations. However, Self-Sacrifice was shown to influence Organizational Climate through the mediated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Human Relations. Therefore, Local public servants' Public Service Motivation is a relevant factor in Organizational Climate. Local public servants who feel motivated with their public sector provide higher levels of Organizational Climate.

      • KCI등재

        지방공무원의 공공봉사동기(PSM)가 인간관계를 통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강동철(Kang, Dong-Chul)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6 사회과학연구 Vol.55 No.2

        본고에서는 공공봉사동기(PSM)가 인간관계를 강화시킬 수 있는지, 이직의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검증에 활용된 표본은 부산광역시 산하 기초자치단체에 소속된 지방공무원 218명이다. 본고의 목적에 따라 제시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모형을 만들었다. 이 구조모형은 공공봉사동기가 이직의도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과 인간관계를 통해 간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비교할 수 있는 모형이다. 이 구조모형을 통하여 실증적 분석이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모든 공공봉사동기의 하위 변수는 이직의도를 직접적으로 감소시키지 못하였으며, 인간관계를 통해서만 감소시킨다. 다만, 공공봉사동기의 하위 변수들 중 규범적 동기는 유의한 영향력이 없었으며, 정서적 동기는 유의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정서적 동기는 인간관계에 긍정적 선행요인이며, 인간관계를 통해 이직의도를 감소시킬 수 있음을 함의한다. 함의된 내용을 바탕으로 제언하면, 공무원의 효과적인 인적자원관리를 위해서 정서적 동기를 고취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또한 정서적 동기를 고취시키기 위해서는 윤리적 리더십이 필요하며, 윤리적 리더십은 공명심(功名心)에 의한 발로보다 공명심(公明心)에 의한 발로가 이루어졌을 때, 효과적으로 고취될 수 있다. 효과적으로 고취된 윤리적 리더십은 정서적 동기에 긍정적이므로 조직 구성원들 간의 인간관계를 강화시킬 수 있으며, 긍정적인 인간관계를 통해 이직의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This paper presents a study that determined the relationship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human relations and turnover intentions and examined the contribution of variables,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human relations on turnover intentions. The sample consisted of 218 Local Public servants in the Busan metropolitan city. The results hypothesized that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human relation variables are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related to reduced turnover intentions. The study found that some of the public service motivation sub-variables, and human relations had a significant contribution and positive effect on reducing turnover intentions. The study revealed that affective motives accounted for larger variance in turnover intentions than from norm-based motives. Findings and implications for public administration" human resource management in the study are discussed and put forward.

      • KCI등재

        노인장기요양기관 운영능력 향상을 위한 성과관리기법 도입에 관한 연구

        강동철 ( Dong Chul Kang ) 동의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2013 공공정책연구 Vol.30 No.1

        본고는 장기요양기관의 발전을 위하여 신공공관리론의 고객 지향성과 고객주의를 이념으로 하고 있는 성과관리기법을 도입하는 것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고객주의는 시장 지향성을 가진 기업의 이념이지만 최근 정부와 공공부문에서도 신관리주의에 입각하여 기업에서 사용하고 있는 성과관리기법인 총체적 품질 경영과 목표관리제 및 균형성과지표를 활발하게 도입하여 성과관리에 이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의성에 맞추어 장기요양기관들에게 보다 더 유익하게 맞춤되어진 성과관리기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질 향상을 통한 성과관리기법인 TQM에서는 “장기요양기관 TQM 7단계 적용 방안 단계 방안”이라는 모형을 제시하고 있다. 둘째, 목표달성을 통한 성과관리기법인 MBO에서는 오디언(G. S. Odiorne)의 MBO 모형을 응용한 “장기요양기관의 목표관리제 모형”을 제시하고 있다. 셋째, 두 모형과 BSC의 관점들을 전략체계도에 의해 정렬시키어 맞춤되어진 장기요양기관의 BSC 모형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가 함의하는 바는 장기요양기관이 탁월한 운영능력을 국민들에게 보여주기 위해서는 성과관리기법의 도입이 필요하며, 또한 성과관리기법이 국민들로부터 장기요양기관이 정당성과 지지를 받게 되는데 탁월한 도구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주장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troduce performance management techniques, which are based on customer orientation and customerism of new public management, for developing long-term care institutions. Customerism is the idea of market orientation of businesses, but recently, the government and public sectors, grounded on new managerialism, have introduced for their performance management TQM(Total Quality Management), MBO(Management by Objectives), and BSC(Balanced Score Card) that are used as performance management techniques by companies. This study, meeting this demand, suggests performance management techniques adjusted for long-term care institutions. First, it suggests the model of “seven-step application plan of long-term care institutions TQM” at TQM as a performance management technique for quality improvement. Second, it suggests the model of “objectives management of long-term care institutions,” which modifies G. S. Odiorne`s MBO model, at MBO as a performance management technique for accomplishing objectives. Third, it suggests a BSC model for long-term care institutions, which is customized by arranging BSC`s viewpoints using strategy maps. This thesis implies that long-term care institutions need performance management techniques to show citizens their outstanding operational capacity and that performance management techniques can be an extraordinary tool for long-term care institutions to elicit legitimacy and support from citizens.

      • KCI등재

        Bee Venom 및 Melittin 약침액(藥鍼液)이 신경아세포종(神經芽細胞腫)의 세포사(細胞死)에 미치는 영향(影響)

        강동철,정태영,서정,임성,한상원,Kang, Dong-cheol,Jung, Tae-young,Seo, Jung-chul,Leem, Seong-cheol,Han, Sang-won 대한침구의학회 2003 대한침구의학회지 Vol.20 No.2

        Objective :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the effects of bee venom and melittin on cell death in neuroblastoma cell line. Methods : MTT assay, morphologic method, DNA fragmentation, flow cytometry, immunocytochemistry analysis, RT-PCR and Western blot were performed. Results : The obtained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TT assay demonstrated that neuroblastoma cell viability was significantly inhibitted dose-dependently by treatment with bee venom and melittin in comparison with control. 2. Cell culture demonstrated that control group proliferated highestly at he 5th day in comparison with the 4th day in bee venom and melittin group. And in bee venom and melitti group cell proliferation decreased 2.5 times than control group. 3. The morphologic study demonstrated that neuroblastoma cell showed apoptosis after treatment with bee venom and melittin for 6 hours using microscope. 4. The Flow cytometry demonstrated that apoptosis of neuroblastoma cell treated with bee venom and melittin was related with stop of cell cycle in stage of $G_0/G_1$. 5 .DNA fragmenation demonstrated that neuroblastoma cell treated with bee venom and melittin showed DNA ladder below 1 Kbp. 6. Immunocytochemistry assay demonstrated that Fos and MAPK which are related with cancer were down-regulated by treatment with bee venom and melittin. 7. RT-PCR analysis demonstrated that Fos and MAPK mRNA were transcripted. Fos was down-regulated form treatment with $5{\mu}g/ml$ bee venom and MAPK was down-regulated form $1{\mu}g/ml$ bee venom. 8. Western blot demonstrated that Fos was down-regulated from $1{\mu}g/ml$ bee venom whereas MAPK was expressed by $1{\mu}g/ml$ bee venom but down-regulated by $10{\mu}g/ml$ bee venom. Conclusions : We found that some cancer related genes ware down-regulated by treatment with bee venom and melittin. Further study is needed for investigating the anti-cancer effect of bee venom and melittin.

      • KCI등재후보

        멘토링을 활용한 과학탐구프로그램에 대한 중,고등학생들의 인식 -제1회 제주과학탐구아카데미 참여 학생을 중심으로-

        고용 ( Yong Chul Ko ),김창건 ( Chang Geon Kim ),이상칠 ( Sang Chil Lee ),강동식 ( Dong Shik Kang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4 科學敎育硏究誌 Vol.38 No.1

        이 연구는 멘토링을 활용한 과학탐구프로그램인 제주과학탐구아카데미에 참가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멘토링 및 제주과학탐구아카데미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 대상은 탐구계획서를 제 출하여 심사를 통해 선발되어 본 프로그램에 참가한 중학생 50명과 고등학생 50명이다. 멘토링에 대한 조사 결과 학생들은 멘토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탐구에 대한 자신감을 가지게 되었고, 탐구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구축하게 되었다고 응답했다. 또한 과학탐구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학생들은 이 탐구프로그램 활동에 많은 흥미를 느꼈고 과학 개념을 이해하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고 응답 했다. 이 연구의 결과는 과학탐구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서 멘토링 도입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후속 연구로 과학탐구 프로그램 참여 경험이 학생들의 과학탐구력, 개념 이해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다양한 영향 요인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opinions of students who joined the Jeju Scientific Research Academy, a scientific research program with a mentoring system. The 50 middle school students and 50high school students in the study were chosen as participants after being judged on their research plans. According to the study, students became more confident in research activities and could have a new point of view on research through interaction with a mentor. They were also very interested in the scientific research program of the Jeju Scientific Research Academy and found it helpful to understand the scientific concepts. Therefore the study show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ctively the introduction of the mentoring system for the scientific research program. The follow-up study should be done to determine which factors influence on the inquiring minds and the understanding of scientific concepts of the students during the experience of the program.

      • SCOPUSKCI등재

        홍화자약침(紅花子藥鍼)의 피부자극시험 및 안점막자극시험

        임사비나,강동철,Lim, Sa-Bi-Na,Kang, Dong-Chul 대한약침학회 2000 Journal of pharmacopuncture Vol.3 No.1

        Carthami tinctorii Fructus is known for its good effect on diseases such as fracture, menorrhalgia, menoschesis, puerperium aneilema and so on. The study of irritation and toxicity of Carthami oil aquapuncture solution applied topically to the skin and the eye mucous membrane were carried out to prove the safety of Carthami oil aquapuncture solution in clinical use. Animal for the research was the rabbit and the solution for the test was made from Carthami semen. 6 animals were used for the skin test and 9 animals were used for the eye mucous membrane test. In results, both tests proved that Carthami oil aquapuncture solution makes no irritable reaction on skin and eye mucous membrane of rabbit. We consider that this result is helpful for saying about the safety of Carthami oil aquapuncture solution in clinical use.

      • KCI등재후보

        자기주도적 야외탐구활동에 대한 중학생의 인식 및 과학적 태도 분석

        김창건 ( Chang Geon Kim ),고용 ( Young Chul Ko ),이상칠 ( Sang Chil Lee ),강동식 ( Dong Shik Kang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3 교사교육연구 Vol.52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자기주도적인 야외탐구활동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과 과학적 태도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2012년 7월 3박 4일간 제주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주관으로 운영한 자기주도적 야외탐구활동에 참여한 50명의 중학생이다. 이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야외탐구활동에 대한 인식과 과학적 태도를 조사했고, 기존 야외탐구활동 경험이 있는 집단과 야외탐구활동 경험이 없는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t-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자기주도적 야외탐구활동에 대한 흥미도를 조사한 결과 야외탐구활동 경험이 있는 학생 집단의 평균 점수가 경험이 없는 학생 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t-검증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자기주도적 야외탐구활동과 교실수업과의 관계에 대해 야외탐구 활동 경험이 있는 학생들이 야외탐구 활동의 가치를 더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주도적 야외탐구활동을 통한 과학적 태도에서는 야외탐구활동 경험이 있는 집단과 경험이 없는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다. 그러나 과학적 태도 영역별 검사에서는 자기주도적 야외탐구활동은 과학적 태도 하위요소 중 적극성, 솔직성, 준비성 영역에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지속적으로 자기주도적 야외탐구활동 프로그램을 운영한다면 학생들의 과학적 태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erception and scientific attitudes of middle school students toward self-directed field inquiry activi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50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self-directed field inquiry activities for three nights and four days in July, 2012, which were run by Jeju National University-Affiliated Gifted Education Center. In this study, the perception and attitudes of the students in relation to inquiry-based field activities were examined and the differences between a group with a prior experience of field inquiry activitiesi and a group with no experience of field inquiry activities were analyzed using t-tests.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 on the students` interest in self-directed field inquiry activities, the group with an experience of ifield inquiry activities exhibited a higher average score than the group with no such experience. A t-test confirmed that the abov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Moreover, in terms of the relations between self-directed field inquiry activities and classroom teaching, the students with an experience of field inquiry activities were revealed to recognize the value of field inquiry activities more highly than the students with no such experience. In terms of scientific attitudes according to self-directed field inquiry activitie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group with an experience of field inquiry activities and the group with no experience. However, through a scientific attitude test by sub-categories, the group with an experience of field inquiry activities revealed differences in terms of activeness, truthfulness, and preparedness. Therefore, the consistent operation of self-directed field inquiry activities is expect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in the scientific attitudes of students.

      • KCI등재
      • 청소년의 속어 사용과 자아개념과의 관계

        최성욱,강동철 木浦大學校 敎育硏究所 2004 교육연구 Vol.16/17 No.-

        본 연구는 목포지역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속어사용과 자아개념과의 관계를 밝혀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일반적으로 청소년들이 사용하는 말은 오락적이고 해학적인 성격을 띠고 있는 것도 있지만, 매우 폭력적이고 저속한 속어의 성격을 띠고 있는 말이 많다. 이것은 학생들의 생각이 거칠어지고 저속해져 가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인성지도 면에서 보더라도 매우 심각한 형편이다. 언격은 인격이라는 말이 있는데 말을 들어보면 그 사람의 인격과 성격을 알 수 있고 심리 상태를 알 수 있다. 사람의 말은 전인격의 반영이기 때문에 우리는 말의 교육을 통하여 사고방식을 훈련하고 나아가서는 인격을 도야하는 데까지 이르러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을 통하여 청소년들의 언어실태를 파악하고 어떻게 지도할 것인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The aim of this report is to survey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usage of slang and self-concept in Mok-po. Followings are the hypotheses of this report. First, how do boys' and girls' usage of slang emerge? Second, how does their self-concept emerge? Thir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usage of slang and self-concept? To solve these hypotheses, I observed 248 male pupils in high school, and 222 female pupils in high school. Followings are the results. First, boys use slang more than girls. In particular, frequency related with sex was high. Second, there was no distinctive difference between boys and girls in self-concept. Third, other factors are not meaningful except social self-concept in between usage of slang and self-concept(p<.05). In contrast, there is no distinctive relationship among moral self-concept, personal one, domestic one and educational one. In this report, first, we can observe that adolescence's usage of slang is related with sex. This indicates that boys are interested in sex. Second, self-esteem between boys and girls is little different. This indicates a sense of value isn't much different between them. Finally, social self-concept which is only meaningful between usage of slang and self-concept indicates adolescence's psychological state is negative against social system and not to perceive 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