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퇴계와 율곡의 명대 유학 인식

        강경현(姜卿顯) 한국국학진흥원 2019 국학연구 Vol.0 No.38

        이 글에서는 16세기 조선의 학자 퇴계 이황과 율곡 이이에게 동시대 학술의 장인 명대 유학이 어떻게 인식되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퇴계는 “사문斯文”의 계승이라는 측면에서 명대 유학에 대한 포용적 태도를 취했으며, 율곡은 “도통道統”의 전수라는 측면에서 비평적 입장을 갖고 있었다. 이러한 명대유학 전반에 대한 인식 위에서 퇴계와 율곡은 서로 다른 긍정적 평가의 지점과 비판의 경계선을 설정한다. 퇴계는 『심경부주』를 전면적으로 지지한다. 여기에는 “경敬 공부”를 중심으로 주자학을 해석하려는 그의 문제의식이 담긴다. 율곡은 리와 기를 동일한 것으로 보았다고 해석되던 나흠순을 부분적으로 인정하면서, 리와 기를 서로 다른 것이라고 보는 주장에 대한 자신의 비판적 입장을 개진하는 데 활용한다. 여기에는 “리기지묘理氣之妙”를 통해 세계와 인간을 단일한 하나의 구조로 설명하려는 그의 문제의식이 반영된다. 한편 퇴계는 만년에 _심경부주_ 편찬자 정민정이 이른바 주륙화회적 입장을 가진 학자임을 알게 되고 비판하지만, 그럼에도 여전히 『심경부주』에 대한 긍정적 평가를 거두지 않는다. 동시에 그는 명대 주륙화회적 흐름에 서 있는 여러 학자들에 대해 궁리를 거부하고 인륜을 부정한다는 측면에서 배척한다. 율곡은 『학부통변』에 담긴 진건의 주륙화회론 변척의 입장을 전폭적으로 받아들인다. 율곡의 이러한 확고한 경계선 긋기는 사실상 『심경부주』에 대한 비판의 입장을 유추할 수 있게 해준다. 퇴계와 율곡의 명대 유학 인식에는 경 공부와 리기 관계라는 주자학 해석에 대한 두 사람의 주안점이 반영되어 있다. 조선유학은 이 양자의 교섭 속에 주자학에 대한 해석의 지평을 확보해 나간 것이라고 할 수 있다. In this article, I will examine how 16th century Joseon scholars, T’oegye Yi Hwang and Yulgok Yi Yi, perceive the Ming Dynasty Confucianism. T’oegye takes an inclusive attitude toward the Ming Dynasty academic in terms of the succession of “This culture of ours”, and Yulgok has a critical stance on the Ming Dynasty academic in terms of the “Genealogy of Dao”. Based on this general understanding, they pay attention to distinct points and set different boundary lines of criticism. T’oegye places importance on Supplementary Annotations to the Classic on the Mind-and-Heart. It is because he wants to understand Zhu Xi studies mainly in the practice of Gyeong(敬). On the other hand, Yulgok partially acknowledges the position of Luo Jin Shun, and uses it to spread his own claims. This reflects his interest in explaining the world and human as a unified structure through the assertion that “Li and Gi are combined”. Meanwhile, although T’oegye comes to learn in his later life that Cheng Min Zheng, the compiler of Supplementary Annotations to the Classic on the Mind-and-Heart is a scholar that leans toward Xianshan studies, he still holds Cheng’s book in high esteem even after learning that fact. Instead, T’oegye delicately criticizes scholars of Yangming studies for denying investigating Li and Five Relationships. Unlike T’oegye, Yulgok completely agrees with the argument of Chen Jian who criticized Xianshan studies and Yangming studies. We can infer that Yulgok in fact is critical of Supplementary Annotations to the Classic on the Mind-and-Heart. Although T’oegye and Yulgok regard themselves as Zhuxi scholars and criticize the flow of Yangming studies, they understand the Confucianism of Ming Dynasty from different perspectives. As I think, their different understandings become controversial among Confucian scholars of Joseon.

      • KCI등재

        천명(天命)에 대한 조선유학의 주목과 퇴계(退溪)해석의 철학사적 의의

        강경현 영남퇴계학연구원 2017 퇴계학논집 Vol.- No.20

        One of the main academic issues in the 16th century Chosun is Heavenly Mandate. They explained the good nature of the human being related to Heavenly Mandate. This is of course a very traditional Confucian idea, but the elaboration of this thought is made by Chosun Confucianism. Toegye participates in that discussion dominantly. He modifies the existing The Diagram of Heavenly Mandate and emphasizes the concept of Li based on Heavenly Mandate through it. In the 16th century Chosun academia where Zhuxi’s philosophy was being adopted at a full scale, such an attempt by Toegye can be evaluated as an effort to differentiate from the understandings of the past and contemporary scholars. This analysis is confirmed by the fact that he had not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Diagram of Supreme Ultimate and The Diagram of Heavenly Mandate. Specifically, he explained Li as Heavenly Mandate with the condition that Li and Gi are wondrously united and consolidated. In that way, while he found the basis of morality from the Heavenly Mandate which is a kind of moral imperative, he definitely claimed that the Heavenly Mandate is Li only when it is combined with Gi. In other words, When combined with Gi, Li exerts the power to intervene with the world just like a kind of moral command. This means that rather than explaining morality of humans through the Supreme Ultimate, it is necessary to find the basis of human morality through the Heavenly Mandate. The division regarding these two concepts is distinguished from the interpretation of the scholars in the past. Through this differentiation, I can say that Toegye reconstructed the theory on morality systematically. 16세기 조선 학술계의 주요 주제 가운데 하나는 천명(天命)이다. 당시 발표된 「천명도(天命圖)」의 공통 문제의식은 인간의 선함을 천명 개념과 결부시켜 해명하고자 한 것이다. 물론 이러한 사유는 비단 이 시기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도덕성의 근거를 천(天)에서 찾고 명령 개념을 통해 양자 간의 연결을 밝히는 것은 물론 전형적인 유학적 성찰이지만, 그에 대한 이론적 정교화 작업은 조선유학을 통해 이루어졌다. 퇴계(退溪)는 이 논의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여 자신의 천명 이해에 따라 기존의 「천명도」를 수정하고, 그를 통해 천명에 입각한 리(理) 해석을 강조한다. 주자학이 본격적으로 수용되기 시작한 16세기 조선 학계에서 퇴계의 이와 같은 시도는 당대 학자들은 물론 기존 주자학 해석자들의 천명 이해와의 차별화를 염두에 둔 것이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는 퇴계가 「태극도(太極圖)」와 「천명도」의 차이점을 부각시킨 점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퇴계는 “리와 기(氣)가 신묘하게 응결[理氣妙凝]”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리를 천명이라 설명함으로써 주자학적 인간의 선함, 즉 도덕성의 근거를 일종의 도덕명령과도 같은 천명에서 찾으면서도, 그 천명은 기와 결합된 상태에서야 비로소 자신의 능력을 드러낸 리임을 분명히 하였다. 다시 말해 리는 신묘하게 기와 응결된 상태에서 일종의 도덕명령처럼 이 세계에 개입하는 힘을 발휘한다는 것으로, 이를 통해 퇴계가 기와의 결합 이전 단계의 리의 의미까지 포괄하는 태극(太極)을 통해 인간의 도덕성을 해명하기보다는, 천명의 함의를 갖고 있는 “리기묘응(理氣妙凝)” 상태에서의 리를 통해 인간 도덕성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했음을 읽어낼 수 있다. 이러한 분석이 가능하다면, 퇴계는 태극과 천명의 개념적 차이에 주목함으로써 도덕에 대한 이론을 재정립하고자 하였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논어상설(論語詳說)』의 편찬 목적과 의의 - 『논어』 이해를 위한 주자서(朱子書) 재구성 -

        강경현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9 泰東古典硏究 Vol.42 No.-

        『논어상설(論語詳說)』은 조선의 『논어집주(論語集註)』 해석사와 『주자대전(朱子大全)』 독해사라는 두 층위에서 조망될 수 있다. 우선 『논어상설』은 『주자대전』 수록 『논어』 관련 주자서(朱子書)를 집성한 책으로서, 주희의 『논어』 해석에 대한 완정한 이해로 나아가고자 하는 지향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이다. 다음으로 『논어상설』은 주자서를 『논어』라는 특정 주제에 따라 선별, 분류, 재배치한 문헌으로서, 『주자대전』에 대한 진일보한 독해 방식을 보여준다. 『논어집주대전(論語集註大全)』과 『주자대전』에 대한 이해의 어려움을 해소해 나가는 과정 속에서 산출된 『논어상설』을 통해, 조선 주자학계가 『논어집주』 해석 차원에서는 『주자대전』으로까지 검토 자료의 외연을 확장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주자대전』 독해 차원에서는 주희의 『논어』 해석이라는 선명한 접근 기준을 확보하였음을 살펴볼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논어상설』은 조선에서 진행된 주자학적 경전 해석의 깊이와 발전 정도를 가늠해볼 수 있는 문헌이다. Noneosangseol can be viewed on two levels, the history of Noneojibju interpretation and the history of reading about Jujadaejeon. First, Noneosangseol is a collection of Zhuxi's letters related Analects in Jujadaejeon. In this book, we can see the intention to fully understand Zhuxi's Noneojibju. Next, Noneosangseol is a work that recomposes Jujadaejeon by sorting and classifying Zhuxi's letters according to a specific subject, Analects. In some ways, it is a book that shows a better way of reading about Jujadaejeon. Noneosangseol is made in the process of eliminating the difficulties brought by Noneojibjudaejeon and Jujadaejeon to Joseon. We can see through Noneosangseol that the outline of the review material is extended to Jujadaejeon in the interpretation of Noneojibju by the Joseon confucian scholars, and that a clear approach standard of interpretation of Analects is provided in reading comprehension of Jujadaejeon. In this sense, Noneosangseol seems to be a book showing the depth and development level of Confucian Classical interpretation based on the Zhuxi Studies in Joseon.

      •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센서 노드의 에너지 예측을 위한 시뮬레이터 개발

        강경현(Kyung Hyun Kang),김수정(Sujeong Kim),정광수(Kwangsue Chung) 한국정보과학회 2010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7 No.2B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센서 노드는 배터리 파워로 동작하기 때문에 사용할 수 있는 에너지가 한정되어 있다. 따라서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구성할 때 각 센서 노드의 에너지 소비를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이 안정적인 네트워크 운용을 위해 중요한 고려 요소가 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센서 노드의 에너지소비 예측을 위한 시뮬레이터를 제안하였다. 제안하는 시뮬레이터는 데이터 송, 수신에 따른 에너지 소모와 하드웨어에서의 에너지 소모를 반영하여 구현하였기 때문에 센서 노드의 수명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

      • KCI등재

        『송계원명이학통록(宋季元明理學通錄)』의 구성과 의의

        강경현 ( Kang Kyung-hyun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한국학연구 Vol.0 No.32

        『宋季元明理學通錄』은 宋季元明 시기 여러 학자의 언행 및 관련 언급을 수록한 책으로, 退溪는 이를 “理學”이라는 범주로 포괄한다. 그리고 退溪는 朱子學을 宋季元明 시기 학문의 淵源이라고 보는 동시에 朱子를 시작으로 이 시기 학자를 계보화하고자 한다. 退溪의 주안점은 주로 『宋季元明理學通錄』 「太師徽國文公朱先生」과 「朱門諸子」에서 발견되며, 이는 「朱子行狀」과 朱子書, 『朱子語類』의 수록으로 구체화된다. 그리고 그 가운데 「朱門諸子」에 인용된 『朱子語類』의 내용을 살펴보면, 退溪는 「持守」편에 특히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를 통해 본 논문에서는 退溪가 敬 工夫에 주목하여 朱子의 언설을 선별하고 재구성한 문헌이라는 측면에서 『宋季元明理學通錄』을 해석함으로써, 이 책이 敬 工夫 중심의 학문을 정립하고자 한 退溪의 사유 궤적에서 주요한 위상을 갖는다는 점을 밝혀보았다. SongGyeWonMyungLiHakTongLok(『季元明理學通錄』) is a record of the sayings and doings of approximately 560 confucian scholars from the Southern Song, through to the Won and Myung. Yi Hwang gave a title of Lihak(理學) to their study and thought the confucian scholars during that period pursue the course of learning advocated by Chu Hsi(朱熹). Therefore he tried to list them starting with Chu Hsi, and mainly focused on understanding Chu Hsi’s life, doctrines, and his pupils. Yi Hwang’s important point of compiling the SongGyeWonMyungLiHakTongLok is found in the chapter of “Chu Hsi” and “Chu Hsi’s pupils”. Considering the passages quoting from Chu Hsi’s works, we can find that Yi Hwang’s emphasis is on Chu Hsi’s explanation of Jing(敬) as a way of self-cultivation. Accordingly, SongGyeWonMyungLiHakTongLok shows that Yi Hwang organizes the theory of self-cultivation centering on Jing. This observation provides a comprehensive view on understanding Yi Hwang’s philosophy based on the theory of self-cultivation.

      • KCI등재

        추만 정지운의 「천명도」 분석-“生物”과 “命物”, 그리고 “天人一體”-

        강경현 ( Kang Kyung Hyun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4 한국학연구 Vol.- No.73

        Chu Man Jeong Jiun’s “diagram of the heavenly mandate” is the first of many “diagrams of the heavenly mandate” drawn in 16th-century Joseon on the theme of the heavenly mandate. Chu Man draws the “diagram of the heavenly mandate” in a downward-to-upward direction to illustrate the process of li(理) being equipped with xing(性) in human beings and all things[命物], and to show that it proceeds based on the process of qi(氣) dimension in which the forms of human beings and all things are created[生物]. The composition of Chu Man’s “diagram of the heavenly mandate” is based on the interpretation that xing(性) of human beings and all things is derived from the yin and yang and the five elements, as explained in Zhu’s commentary on “What heaven imparts to man is called human nature[天命之謂性]” in Chapter 1 of the Doctrine of the Mean. This interpretation of the Chu Man “diagram of the heavenly mandate” invites us to consider the possibility that the various extant “diagrams of the heavenly mandate” are the product of different posi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eaven, man, and all things in the process of creation.

      • KCI등재

        조선시대 경연에서 『서경』 「우공」편 강독의 의미

        강경현 ( Kang Kyung Hyun ) 한국공자학회 2022 공자학 Vol.48 No.-

        조선시대 경연은 유가 경전을 군주와 신하가 함께 읽으면서 유가적 가치에 입각한 나라를 구축하기 위한 이념과 이상을 공유하고자 시행된 제도이다. 유가의 모범적 군신인 삼대의 성군과 현신에 관해 기록하고 있는 『서경』은 조선시대 경연의 주요 텍스트로서, 수기와 인정 그리고 군신공치라는 유가 왕정의 이념이 독해되었던 문헌이다. 조선시대 경연에서 『서경』은 인조, 효종 대에 집중적으로 다뤄지며, 특히 「우공」편이 본격적으로 진강되기 시작한다. 공납의 폐단을 해결하기 위해 대동법의 시행이 제안되었던 조선의 17세기에 「우공」편은 조세 제도의 근거로서 경연을 통해 재성찰된다. 더 나아가 조선의 경연에서 「우공」편은 인정을 지향하는 군주와 신하의 마음을 바탕으로 국가 공간에 대한 개발과 파악, 생업의 제안과 진작이 이뤄지고, 이를 통해 풍성한 국토와 풍요로운 민생에 최적화된 공간이 완성되었던 하나의 전범으로 해석된다. 조선의 경연에서 「우공」편이 왕정과 성학의 전형으로 해석됨으로써 조선의 경연은 유가 경전을 통해 경세의 실제적인 문제에 대한 모범과 통찰을 얻는 경세학으로서의 경학의 면모를 보인다. The Classics Mat of Joseon is an institution where the monarch and his subjects met to read Confucian Classics together, discuss the contents, thereby sharing the ideology and ideals to build a country based on Confucian values. The Book of Documents records the exemplary Confucian monarchs and subjects, and is also a major textbook of The Classics Mat in Joseon. In this book, Joseon's monarchs and subjects find the core principles of Confucian politics: self-cultivation, benevolent politics, and co-government by the ruler and the subject. In the Classics Mat of Joseon, the Book of Documents is intensively discussed during the reign of King Injo and King Hyojong, and in particular, the “Tribute of Yu” chapter began to be read in earnest. In the seventeenth century, when the implementation of the Daedong Law was proposed to solve the abolition of the public payment system, the “Tribute of Yu” is discussed again in The Classics Mat and understood as the basis for the tax system. Furthermore, in Joseon's Classics Mat, the “Tribute of Yu” is interpreted as an ideal Confucian political example: It is based on the minds of the king and his servants who are oriented towards benevolent politics. To be specific, from this ideal they see territorial development, geographic research, industrial proposals and promotions, and the realization of the “fertility of the land and the comfortable life of the people.” The way they read the chapter in question provides an example that the Classics Mat of Joseon was a place to read the Confucian Classics with statecraft in mind.

      • KCI등재

        『왕학변집(王學辯集)』의 구성과 의의-양명학에 대한 18세기 기몬(崎門)학파의 대응 양상과 퇴계의 위상-

        강경현 한국일본사상사학회 2017 일본사상 Vol.0 No.32

        주자학과 양명학은 동아시아 사상을 이해하는 핵심적 두 사유이다. 양명학의 등장 이후, 주자학과 양명학 해석자들은 다각도에서 서로의 주장을 재검토했다. 이들의 공통 목표는 유학적 이상(理想) 실현을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을 찾는 것이었다. 이러한 흐름은 동아시아 곳곳에서 발견된다. 그 가운데 18세기 일본의 주자학계에서 진행한 양명학 비판 양상을 살펴볼 수 있는 문헌이 바로 『왕학변집(王學辯集)』이다. 『왕학변집』은 도요다 노부사다(豐田信貞)가 1712년 편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기몬(崎門)학파로 분류되는 그는 이 책에 주자학의 입장에서 양명학을 비판한 기존의 여러 비평문을 모아놓았다. 책 서두에는 조선의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양명학 비판서가 실려 있고, 그 뒤로 일본의 하야시 가호(林鵞峰), 야마자키 안사이(山崎闇齋), 사토 나오카타(佐藤直方), 아사미 게이사이(淺見絅齋), 미야케 쇼사이(三宅尙齋)의 글이 수록되어 있다. 또한 이 책에는 도요다 노부사다 자신과 사토 나오카타의 서문, 야마나까 고쇼(山中剛勝)의 발문이 함께 있다. 이를 통해 『왕학변집』이 18세기 기몬학파에서 양명학에 대한 대응을 목적으로 편찬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왕학변집』의 구성과 내용을 통해 발견되는 이 책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1. 『왕학변집』은 주자학적 입장에서 양명학 비판을 진행하면서 조선의 학자 퇴계 이황의 글을 중시했다. 『왕학변집』에 수록된 일본주자학자들의 글이 사실상 18세기 기몬학파의 이해에 따른 일본주자학 계보임을 염두에 둔다면, 이를 통해 퇴계에게 학문적 정통성을 부여하고자 했던 18세기 기몬학파의 시선을 확인할 수 있다. 2. 『왕학변집』은 주자학과 상산학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의 차원에서 양명학이 등장한 것이라고 보는 시선을 적극 수용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양명학 비판 논거를 상산학에 대한 주자학의 대응에서 찾고자 했다. 이와 함께 이 책은 중국의 주자학 옹호자들의 양명학 비판서가 활용된 글을 수록하고 있다. 이를 통해 18세기 기몬학파에서 주자학의 원형적 사유에 주목하면서도 양명학 출현 이후 진행된 중국의 주자학 계승자들의 대응에도 관심을 갖고 수용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3. 『왕학변집』은 지행(知行) 문제에 주목하여 양명학을 비판하는 입장에 기반을 하고 있다. 이는 18세기 기몬학파의 양명학 비판이 단순한 변척이 아니라 유학적 이상을 실현하는 데 효과적인 방법을 찾기 위한 시도 가운데 하나였음을 뜻한다. Zhu-Zi Studies and Yang-Ming Studies are two essential philosophical ideas about understanding East Asian thought. After the advent of Yang-Ming Studies, scholars of Zhu-Zi Studies and Yang-Ming Studies reappraised the assertions of each other from the various aspects. The common aim of them is to find the most efficient way to realize Confucian ideal. The flow like this can be found throughout East Asia. One of them is A collection of articles criticizing the Yang-Ming Studies which shows the criticism towards Yang-Ming Studies by Zhu-Zi Studies in the 18th century Japan. A collection of articles criticizing the Yang-Ming Studies is thought to be compiled by Toyota Nobusada in 1712. Toyota Nobusada who is classified as Kimon School compiled several existing criticisms about Yang-Ming Studies in the view of Zhu-Zi Studies. The criticism of Toegye YiHwang about Yang-Ming Studies is in the beginnig of the book and there are writings of Hayashi Kaho, Yamajaki Ansai, Sato Naokata, Asami Keisai, Miyake Shosai after that. This book also includes the preface of Toyota Nobusada himself and Sato Naokata and the postscript of Yamanaka Koshyo. It explains the purpose of compilation of A collection of articles criticizing the Yang-Ming Studies as an action toward Yang-Ming Studies by the 18th century Kimon school. The significance of the book that can be found through the composition and content of A collection of articles criticizing the Yang-Ming Studies is as below. 1. A collection of articles criticizing the Yang-Ming Studies criticizes Yang-Ming Studies in the view of Zhu-Zi Studies and emphasized the writing of Toegye YiHwang. A collection of articles criticizing the Yang-Ming Studies shows the genealogy of Japanese Zhu-Zi Studies understood by the 18th century Kimon School. It suggests that the 18th century Kimon School tried to establish the academic legitimacy of Toegye. 2. A collection of articles criticizing the Yang-Ming Studies interprets the advent of Yang-Ming studies as being accomplished based upon the understanding of Zhu-Zi Studies and Sang-San Studies. It tried to find the basis of criticism about Yang-Ming studies in the criticism about Sang-San Studies of Zhu-Zi Studies in the context like this. A collection of articles criticizing the Yang-Ming Studies also uses the criticisms about Yang-Ming Studies written by Chinese Zhu-Zi Studies advocates. It means the 18th century Kimon School focused on the original philosophical idea of Zhu-Zi Studies and thought the conflict between Zhu-Zi Studies and Yang-Ming Studies is the major flow of Chinese philosophical history. 3. A collection of articles criticizing the Yang-Ming Studies criticized Yang-Ming Studies pointing out the knowledge and conduct problem. It means the criticism towards Yang-Ming Studies by the 18th century Kimon School was the attempt to find the efficient way to realize their ideal valu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