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4차 산업혁명시대의 대학교육의 방향과 대학교원의 교수역량에 대한 분석 연구: 평생교육 패러다임을 중심으로

        강경리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1

        This study analyzed the direction of university education and the teaching capacity of professor based on the paradigm of lifelong education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This study conducted literature research focusing on the literatures related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lifelong education, and university education. First, the lifelong education paradigm and the university ed ucation paradigm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re closely related to the education system, the education subject, and the curriculum. Second, the direction of university education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were as follows. The space of university education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ppeared in connection with online space and offline space. The university education in transition, commutator period to the lifelong education paradigm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ppeared to revitalize the learning using MOOC for university education innovation and the activation of the blended learning lecture for strengthening lifelong education of university education. The subjects of university education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ppeared in various generations from adolescence to old age. The university education in transition, commutator period to the lifelong education paradigm in the fourth ind ustrial revolution era appeared as activation of the learning community for university education innovation and activation of the generation community for strengt hening lifelong education of university education. The types of learning of university ed ucation in the fourth ind ustrial revolution era appeared the fusion compound learning of formal leaning and formal learning, formal learning and non-formal learning. The university ed ucation in transition, commutator period to the lifelong education paradigm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ppeared as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the fusion compound class related to major class, liberal arts class and non-formal class for university education innovation and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the fusion compound class related to university and local authority for activation of lifelong learning. Third, the capacity of professor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were as follows.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the teaching capacity of professor appeared as the teaching capacity of blended learning class, counseling capacity and development capacity of the fusion compound class(program).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university education and the teaching capacity of the professor based on the paradigm of lifelong education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본 연구에서는 4차 산업혁명시대의 평생교육 패러다임을 토대로 대학교육의 방향과 대학교원의 교수역량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시대, 평생교육, 대학교육과 관련된 문헌을 중심으로 문헌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4차 산업혁명시대의 평생교육 패러다임과 대학교육 패러다임은 교육제도, 교육주체, 교육과정에서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4차 산업혁명시대의 대학교육의 방향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4차 산업혁명시대의 대학교육의 공간은 온라인 공간과 오프라인 공간의 연계로 나타났다. 4차 산업혁명시대의 평생교육 패러다임으로의 과도기, 전환기의 대학교육은 대학교육 혁신을 위한 MOOC활용 학습의 활성화, 대학교육의 평생교육 강화를 위한 블렌디드 러닝 강좌의 활성화로 나타났다. 4차 산업혁명시대의 대학교육의 대상은 청소년기부터 노년기까지의 다양한 세대로 나타났다. 4차 산업혁명시대의 평생교육 패러다임으로의 과도기, 전환기의 대학교육은 대학교육 혁신을 위한 학습공동체의 활성화, 대학교육의 평생교육 강화를 위한 세대공동체의 활성화로 나타났다. 4차 산업혁명시대의 대학교육의 학습 유형은 형식 학습과 형식 학습, 형식 학습과 비형식 학습의 융복합 학습으로 나타났다. 4차 산업혁명시대의 평생교육 패러다임으로의 과도기, 전환기의 대학교육은 대학교육 혁신을 위한 전공 강좌, 교양 강좌, 비교과 강좌 연계 융복합 강좌 개발․운영, 대학교육의 평생교육 강화를 위한 대학과 지역 기관 연계 융복합 강좌 개발․운영으로 나타났다. 셋째, 4차 산업혁명시대에 평생교육 패러다임으로의 전환기의 대학교육에서 요구하는 대학교원의 교수역량은 블렌디드 러닝 강좌의 강의 역량, 상담 역량, 융복합 강좌(프로그램) 개발 역량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4차 산업혁명시대의 평생교육 패러다임을 토대로 대학교육의 방향과 대학교원의 교수역량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학습동아리 활동에서 나타난 대학생들의 학습과정 분석

        강경리 한국교양교육학회 2014 교양교육연구 Vol.8 No.6

        본 연구는 학습동아리 활동에서 나타난 대학생들의 학습과정에 대한 의미를 분석하여 대학 수업에 학습동아리 학습방법의 적용과 활성화에 대한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충북 Y대학의 학습동아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 중 2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저널쓰기와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본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 하였다. 첫째, 학습동아리 활동이 학생들의 학습동기 유발에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들은 학습동아리 학습과정에서 구성주의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학습방법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동아리 학습과정에서는 학생과 학생, 학생과 교수와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개인차원의 학습과 집단차원의 학습이 동시에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학생 학습동아리의 경우, 교수와 학생은 학습 활동 이외의 사적 관심사를 공유하는 관계로 발전되기도 하였다. 또래 학습동아리의 경우, 학생들은 학습동아리 활동을 통해 선배들이나 동료들과 돈독한 관계를 형성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기초로 다음과 같이 제언할 수 있다. 첫째, 학생들의 학습동기 유발을 위하여 대학에서는 학습동아리 프로그램과 같은 다양한 비정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지원할 필요가 있다. 둘째, 강의법 중심의 대학 수업에 학습동아리 활동에서 제시된 구성주의에 바탕을 둔 다양한 학습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구성주의에 기반을 둔 학습자 중심 수업에서 학생 리더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학생들의 리더십을 개발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셋째, 대학 수업에서 교수와 학생, 학생과 학생간의 효과적인 상호작용을 위해서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적절한 공간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learning process of the learning community. In order to investigate these experiences, 20 students who attended the learning community positively was selected. The journals that they wrote during 10 weeks of the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and the transcription of the interviews conducted afterwards were analyzed, categorized, and interpret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learning community, students gained their external motivations from the certification and good grade . In the process of the learning community, students have gained their internal motivations. Second, the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he student leadership in getting a successful learning process. Third, the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interaction between students and professors. The results suggest that it may be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learning programs for students' learning motivations. The constructivist learning methods presented in the learning community can apply in the university level class. Also it is necessary to provide appropriate online and offline space for interaction in class.

      • KCI등재
      • KCI등재

        대학교육의 독도교육 발전 방안: 대학생의 독도교육에 대한 경험과 인식을 바탕으로

        강경리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22 독도연구 Vol.- No.3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development plan for Dokdo education in university education based on the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Dokdo education.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y writing a reflection journal and in-depth interview with 17 university students enrolled in A University. The results are in terms of educational goals, the balance of the territorial education values through the objective education and the expansion of the territorial education values through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terms of the curriculum, the balance of the Dokdo education field through a step-by-step curriculum and the integration of the Dokdo education field through the convergence curriculum; in terms of educational methods, the balance the scope of Dokdo education through learner-centered education and the enlargement of the scope of Dokdo education through the use of cutting-edge media; in terms of educational infrastructure, the systematization of the Dokdo education infrastructure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system linked to Dokdo education and the specialization of the Dokdo education infrastructure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specialized system of Dokdo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독도교육에 대한 경험과 인식을 바탕으로 대학교육의 독도교육 발전 방안을 연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A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17명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인 성찰일지 작성하기와 심층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교육의 독도교육 발전 방안은 교육목표 측면에서 객관적 교육을 통한 영토교육 가치의 균형과 세계 시민교육을 통한 영토교육 가치의 확장, 교육과정 측면에서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통한 독도교육 영역의 균형과 융‧복합 교육과정을 통한 독도교육 영역의 통합, 교육방법 측면에서 학습자 중심 교육을 통한 독도교육 범위의 균형과 첨단매체 활용을 통한 독도교육 범위의 확대, 교육인프라 측면에서 독도교육 연계시스템을 통한 독도교육 인프라의 체계화와 독도교육 전문시스템을 통한 독도교육 인프라의 전문화로 나타났다.

      • KCI등재

        한국과 영국의 중등학교에서 IT의 교육적 영향에 대한 탐구

        강경리 한국비교교육학회 2006 比較敎育硏究 Vol.1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영국의 중등학교 교육현장에서 컴퓨터 사용의 결과로 나타나는 교육적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과 영국의 교육환경에 대한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질적 자료는 수업에의 참여 관찰, 반 구조화된 심층 면담 과 시각 자료를 통해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5개의 비교 준거 (교육의 중요성, 이해의 중요성, IT의 중요성, 인간관계의 중요성, 문화의 중요성)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IT 활용교육에 초점을 두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연구 과정에서 발견된 중요한 이슈는 교사, 학생, 교육관계자, 연구자 간의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학습 과정을 연구할 때 사람, 그들의 행동, 상호작용과 협동 능력이 가장 중요한 이슈로 나타났다. 문화와 교육 환경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인간적 요소와 IT사이의 관계성이 핵심적이고 중요한 문제인 것으로 발견되었다. 결론적으로, 교육에서 IT의 역할이 점점 강조되는 시기에, 공교육으로서의 학교 교육은 인간의 가치와 IT를 접목시키는데 초점을 두어야 함을 제안하는 바이다. 미래의 학교 교육은 그 안에서 다른 사람을 위하여 사랑, 배려, 관심을 표현하며 또한 그 안에서 서로 관계를 맺고 함께 행동하는 과정이어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describes the implications of the cultural setting in relation to computer use in Korea and the UK. There are many changes common to education in both Korea and the UK, and elsewhere, which suggests that education has been affected by the trends of globalisation. As a result, considering education and social contexts, this article revealed the importance of human factors in learning environments, whether it is in Korea or in the UK. This study suggests that despite the differences in culture and educational settings,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factors and IT is essential and significant.

      • KCI등재

        의사소통역량 함양을 위한 대학수업의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 대학생의 의사소통 경험을 중심으로

        강경리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2 교육문화연구 Vol.2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의사소통역량 함양을 위한 대학수업의 개선 방안에 대해 연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의사소통관점에서 대학생의 대학수업에 대한 경험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대학수업에 대한 개선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A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14명을 대상으로 성찰일지 작성과 심층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사소통 관점에서 대학생의 대학수업 경험은 강좌의 도입 단계에서 학습자의수업계획서를 통한 강좌에 대한 파악, 교수자의 학습자의 특성에 대한 이해, 교수자의 학습자의 수업 참여 분위기조성, 강좌의 전개 단계에서 교수자의 수업내용에 대한 설명, 교수자의 수업내용에 대한 질문, 학습자의 교수자의피드백을 통한 학습활동 수행, 학습자의 조별활동 수행, 교수자의 학습자의 의견에 대한 경청, 교수자의 학습자와의친밀감 형성, 교수자의 교수매체 활용, 강좌의 정리 단계에서 교수자의 학습자의 수업활동에 대한 평가, 교수자의좋은 수업을 위한 노력, 학습자의 좋은 수업에 대한 성찰로 나타났다. 둘째, 의사소통 관점에서 대학수업의 개선점은수업에 대한 자율성과 책임, 편견 배제를 통한 수업 환경의 구축; 시대의 가치 공유, 공동체 의식 함양, 의사소통역량함양의 수업목표 설정; 의사소통역량 기반 교육과정, 프로젝트 수업방법 중심의 수업 설계; 시대의 변화에 적합한교수매체의 활용, 교수자와 학습자의 관계성 형성을 통한 수업 운영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의사소통역량함양을 위한 효과적인 대학수업에 대한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치매와 구강 건강의 관계

        강경리,Kang, Kyung Lhi 대한치과의사협회 2018 대한치과의사협회지 Vol.56 No.4

        According to the burst of aged people, researchers have focused on aging-related diseases. Cognitive impairment including Alzheimer's disease (AD), one of the representative diseases related to aging, has no treatment option until now. Recently, it has been revealed that systemic inflammation plays a fundamental role in the pathogenesis of AD. Previous studies have suggested the association between poor oral health and cognitive impairment. Poor oral health can cause dental caries, chronic periodontitis, multiple tooth loss, and poor chewing ability, etc. Especially, periodontitis is a well-known chronic inflammatory disease and affects cognitive impairment directly and indirectly by inflammatory products mediators. Therefore, reduction of pathogenic microbial burden and inflammatory products by treating periodontitis can be a therapeutic modality to prevent cognitive impairment or to slow down the progression of it. Future studies are necessary to elucidate the causal relations and plausible mechanisms between poor oral health and cognitive impairment.

      • KCI등재

        직장인 성인학습자인 교육대학원 재학생의 무형식학습 과정 탐색: 발달적 전이를 중심으로

        강경리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nformal learning process of the working adult graduate students in the workplace and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o this end, data was collected and analyzed by writing a reflection journal for 10 working adult graduate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ploring the self-reflective learning process of adult learners in the workplace based on the learning transition, the realization of the importance of professional role and the experience of growth experience in the workplace have a positive effect on job promotion. Second, as a result of exploring the self-reflective learning process of adult learners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ased on the learning integration, the realization of the importance of learning and the experience of growth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study. Third, as a result of exploring the self-reflective learning process of adult learners in the workplace and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ased on the developmental transition, it was found that in terms of time, the graduate students introspect the past, present and future and in terms of the situation, it have been considered to connect the workplace and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ased on the above findings, implications for informal learning of the working adult graduate students in the workplace and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ere proposed. 본 연구의 목적은 직장인 성인학습자의 일터와 교육대학원에서의 무형식학습 과정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교육대학원에 재학 중인 직장인 성인학습자 10명을 대상으로 성찰일지 작성하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전이를 중심으로 직장인 성인학습자의 일터에서의 자기성찰적 학습과정을탐색한 결과 일터에서 직업적 역할의 중요성에 대한 깨달음과 성장의 경험에 대한 깨달음은 업무 추진에 긍정적인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통합을 중심으로 직장인 성인학습자의 교육대학원에서의 자기성찰적학습과정을 탐색한 결과 교육대학원에서 학습의 중요성에 대한 깨달음과 성장의 경험에 대한 깨달음은 학업에 긍정적인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발달적 전이를 중심으로 직장인 성인학습자의 일터와 교육대학원에서의 자기성찰적 학습과정을 탐색한 결과 시간적 측면에서 일터와 교육대학원에서 과거, 현재, 미래를 관통하는 성찰을 하게 되는것으로 나타났다. 상황적 측면에서 일터와 교육대학원에서 일터와 교육대학원을 연계하는 성찰을 하게 되는 것으로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일터와 교육대학원 맥락에서 직장인 성인학습자의 무형식학습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대학 교양 교육에서 독도 교육의 방향

        강경리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1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direction of Dokdo education in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This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data through a survey of university students. The purpose of Dokdo education is set with the ideology of Dokdo education centered on educated people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goal of Dokdo education centered on forming an identity as an educated person. Considering civic education, convergence education, and history education, the curriculum Dokdo education is organized into type of Dokdo education based on the education values, content of Dokdo education based on the education contents, and organization of Dokdo education based on the education related subjects. The operation of Dokdo education is based on systematic educational support in connection with elementary, secondary schools and educational improvement through horizontal cooperation.

      • KCI등재

        대학교육혁신의 관점에서 효과적인 대학수업의 특성 연구

        강경리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1 교육혁신연구 Vol.31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effective university class from the perspective of university education innovation focused on the innovation proliferation theory. Method: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were third-year 10 students in university D, the data is collected through introspection journals and in-depth interview, which are qualitative approaches. Results: At the beginning stage, prior knowledge about university class for innovation in university education was a new class that has not been experienced and a class required by the future society, which was closely related to the suitability of innovation proliferation theory. At the execution stage, the university class course for innovation in university education was found that the change from the instructor's teaching-centered class to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centered class, the instructor's lecture-centered class to learner's interaction-centered class, simple class structure to complex class structure, and instructors class management to class management linked to university support, which was closely related to the suitability, relative benefits, and complexity of innovation proliferation theory. At the outcome stage, the outcome of university education for innovation in university education was the result of increased concentration through interest induction, self-directed learning capacity, and usable results, which was closely related to the relative benefits and observability of innovation proliferation theory.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ions for effective university class from the perspectives of innovation in university education were as follows. First, the willingness of instructors and learners to practice university classes for innovation in university education is required. Second, in terms of teaching and learning, it is required to develop the competency of the instructor. Third, it is required to develop a differentiated teaching method model for each university in terms of university specialization.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육혁신의 관점에서 대학생의 대학수업의 경험을 통해 효과적인 대학수업의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Rogers(2003)의 혁신확산이론을 이론을 개념적 틀로 선정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연구 참여자는 D대학교에 재학 중인 3학년 학생 10명으로 질적 접근인 성찰일지 작성과 심층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학수업의 시작 단계에서 대학교육혁신을 위한 대학수업에 대한 선행 지식은 이전에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수업,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수업으로 혁신확산이론의 적합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수업의 실행 단계에서 대학교육혁신을 위한 대학수업과정은 교수자의 교수 중심에서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 중심 수업, 교수자의 강의 중심에서 학습자의 상호작용 중심 수업, 단순한 수업 구성에서 복잡한 수업 구성, 교수자 개인의 수업 운영에서 대학의 지원과 연계된 수업 운영으로의 변화로 혁신확산이론의 적합성, 상대적 이익, 복잡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수업의 결과 단계에서 대학교육혁신을 위한 대학수업의 성과는 흥미유발을 통한 집중력 향상, 자기주도학습 역량 함양, 활용가능한 수업의 결과물로 혁신확산이론의 상대적 이익, 관찰가능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대학교육혁신의 관점에서 효과적인 대학수업을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교육혁신을 위한 대학수업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실천 의지가 요구된다. 둘째, 교수-학습 차원에서 교수자의 역량 개발이 요구된다. 셋째, 대학 특성화 차원에서 각 대학마다 차별화된 교수법 모델의 개발이 요구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