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만 2세 영아 가정연계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한영숙,한영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0 유아교육학논집 Vol.2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haracter education program for infants aged 2 years an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program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1 2-year-old inf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of S nursery school A in J area and 21 2-year-old infants in the control group of O nursery school A. The study conducted a 10-month study of the effects of the two-year-old infant home-connected character education program from April 2019 to January 2020, and conducted a total of 40 home-connected activities to understand one of the main character virtues (basic lifestyle, self-concept) for a week.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the basic lifestyle and self-concept scale of infants were used to conduct preand post-test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21.0.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significantly higher effect on the basic life habits and self-concept of 2-year-old infants compared to the comparative group. Based on the analyzed results, the home-connected character education program developed the basic life habits and self-concept of 2-year-old infants and proved the effects of forming positive character of young children. 본 연구의 목적은 만 2세 영아 가정연계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램의 유아교육현장 적용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J지역에 소재한 S어린이집 A반 실험집단 만 2세 영아 21명과 O어린이집 A반 비교집단 만 2세 영아 21명이다. 본 연구의 프로그램개발을 위해 기존 영아 및 유아의 인성교육 관련 문헌을 분석하고 자료들을 고찰하였다. 개발된 만 2세 영아 가정연계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실험처치는 2019년 4 월부터 2020년 1월까지 주 1회씩 10개월에 걸쳐 진행하였다. 주간 인성덕목(기본생활습관, 자아개념 중) 한 가지씩 이해할 수 있도록 총 40회기의 가정연계 활동이 이루어졌다. 프로그램현장 적용 타당도 검증을 위해 영아의 기본생활습관, 자아개념 척도를 사용하여 사전·사후실시하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집단 영아가 비교집단 영아보다 기본생활습관과 자아개념 수준이 높아졌다. 이를 토대로 가정연계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만 2세 영아의 기본생활습관과 자아개념을 발달 시켜 어린 연령의 긍정적 인성을 형성시키는 효과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영아기 가정연계 인성교육 프로그램은 어린이집과 가정이 연계된 보다 실천적인 인성교육 필요성이 제기되는 현시점에서 효과적인 인성교육을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해 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외적 보상, 내․외재동기, 과제유형이 문제 해결에 미치는 효과

        한영숙,현성용 한국교육방법학회 2010 교육방법연구 Vol.2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외적보상이 문제 해결에 영향을 주는가 그리고 개인의 동기유형과 과제유형에 따라 문제 해결에 대한 외적보상의 효과가 유의하게 차이가 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실험참여자는 대학생 127명이었다. 실험참여자들을 내재동기집단과 외재동기집단으로 구분한 후 다시 무보상조건과 보상조건에 무선 배치하였다. 과제유형은 단계적 문제와 통찰문제이었다. 보상, 동기유형, 과제유형이 문제 해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삼원변량분석 결과, 보상과 과제유형의 주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상과 동기유형 간 상호작용효과도 유의하게 나타났다. 보상과 동기유형 간 단순 주효과분석 결과, 내재동기와 외재동기 두 집단 모두 무보상조건보다 보상조건에서 과제의 정답 수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무보상조건에서는 외재동기집단이 내재동기집단보다 문제 해결과제의 정답 수가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상조건에서는 동기유형에 따른 정답 수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외적보상이 문제 해결에 정적영향을 주며, 외적보상에 의한 동기화는 내재동기집단보다 외재동기집단이 더 강하다는 것을 시사해 주고 있다. 보상이 문제 해결시간을 증가시킴으로써 문제 해결을 촉진시키는가를 알아본 결과, 문제 해결시간은 보상 유무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investigate whether problem solving was affected by extrinsic reward and 2) to examine whether types of motivation and task moderate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xtrinsic reward and problem solving. In experiment, 127 colleg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ir motivation types (i.e., intrinsic vs. extrinsic). Then each group was again divided into additional two groups depending on extrinsic reward (i.e., reward group vs. non-reward group). Participants in each condition solved the 4 incremental and 4 insight tasks, and numbers of correct response were measured. The results revealed that extrinsic reward facilitated performance regardless of task type. Also, participants in the intrinsic motivation group showed better performance than those who were in the extrinsic motivation group when extrinsic reward was not given for their task performance. Motivating effect of the reward might be stronger in the extrinsic motivation group than in the intrinsic motivation group.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Time of problem solving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by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reward.

      • KCI등재

        중여음의 형성시기에 관한 연구

        한영숙 한국국악학회 2010 한국음악연구 Vol.47 No.-

        현행 가곡의 형식은 대여음과 중여음을 포함하여 5장으로 이루어졌다. 하지만 가곡의 원형이라 불리는 만대엽·중대엽·삭대엽을 수록하고 있는 16~17세기의 고악보에서는 3장과 4장 사이에 중여음의 모습이 보이지 않는다. 실제로 중여음이 언제부터 존재하기 시작했는지 그 형성시기를 고찰하기 위하여 만대엽·중대엽·삭대엽을 수록하고 있는 16세기부터 18세기 중엽까지의 고악보를 토대로 여음부분을 검토하였다. 만대엽의 여음은 대부분 후주에 존재하는데 비하여 유일하게 한금신보는 악곡의 중간에 여음이 출현하고 악곡의 뒷부분, 즉 후주에는 여음이 나타나지 않는다. 중대엽의 여음은 양금신보에서 금보신증가령에 이르기까지 후주에만 출현하다가 백운암금보부터 三旨와 四旨 사이에도 그 모습을 보이기 시작한다. 삭대엽의 여음은 현금동문류기에서 백운암금보에 이르기까지 후주에만 나타나고, 연대소장금보에 이르러 半餘音 또는 中餘音이란 명칭으로 간주부분에 존재하기 시작한다. 만대엽과 중대엽·삭대엽의 중여음은 三旨와 四旨 사이에 언제부터 존재하기 시작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노랫말이 수록되어 있는 악곡과 간주부분에 여음이 명확하게 제시되어 있는 고악보를 비교한 결과, 만대엽은 한금신보에서만 유일하게 그 모습을 보인다. 그 이유는 금합자보에서 三旨를 종지한 연후에 바로 四旨의 선율진행이 나타났기 때문에 실제로 중여음이 존재하지 않았다. 평조 중대엽을 수록한 양금신보와 우조 삭대엽 第一을 수록한 백운암금보에서는 三旨의 노래가 끝나고 四旨의 노래가 시작될 때까지 16박 동안 진행되는 선율이 나타난다. 이 부분은 간주격에 해당하는 중여음의 역할을 담당하는 것처럼 보이는데 노래 없이 기악으로만 연주하며, 동일 또는 유사한 선율로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은 중대엽과 삭대엽이 형성되기 시작한 초창기부터 악보에 명칭을 제시하지 않았지만 실제로 중여음 선율이 이미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Currently, Gagok is formed with five chapters, including Daeyeoeum, and Jungyeoeum. From the 16th to 17th century, however, the old scores included Mandaeyeop, Jungdaeyeop, and Sakdaeyeop, which are called the original form. They did not include Jungyeoeum between the third and fourth chapters. To improve our understanding of the evolution of Gagok, this study reviews the Yeoeum parts of the old scores, including Mandaeyeop, Jungdaeyeop, and Sakdaeyeop from the sixteenth to the mid-eighteenth century is addressed in order to discuss the formative period of Jungyeoeum. The Yeoeum of Mandaeyeop has traditionally been located in the final part of the song. However, in Hangeumsinbo, it was in the middle part instead. The Yeoeum of Jungdaeyeop was only located in the final part from Yanggeumsinbo to Geumboshinzeunggaryung, but after Bakunamgeumbo, it was placed between the third and the fourth chapter. The Yeoeum of Sakdaeyeop was only located in the final part from Hyunguemdongmoonryugi to Bakunamgeumbo, but after Yeondaesojanggeumbo it was placed in the interlude part, called Banyeoeum or Jungyeoeum. This study compared the scores of Jungyeoeum of Mandaeyeop, Jungdaeyeop, and Sakdaeyeop and found that in the formative period, Jungyeoeum was located between the third and fourth chapter melodies. Since Geumhapjabo did not have Jungyeoeum between the third and fourth chapters, this study discovered that the Jungyeoeum of Mandaeyeop has only been represented in Hangeumsinbo. Furthermore, Yanggeumsinbo, including Jungdaeyeop in the mode of Pyungjo and Bakunamgeumbo, including the first chapter of Sakdaeyeop in the mode of Ujo, have the same or similar melodies played by only instruments without singing for 16 beats between the third and the fourth chapters. This evidence indicates that the melodies of Jungyeoeum had already existed from the initial period of formation of Jungdaeyeop and Sakdaeyeop.

      • KCI등재

        가곡의 형식에 관한 연구

        한영숙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09 국악교육연구 Vol.3 No.2

        가곡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것은 악곡이 어떠한 구조로 이루어졌는지 그 형식에 대해서 고찰하는 것이다. 그 이유는 음악의 전체와 세부를 이루는 틀이 형식이고, 형식을 통해서 악곡을 이루는 구조와 원리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학생들이 가곡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는지 중등 음악교과서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변천과정ㆍ연주형태ㆍ형식 ㆍ장단ㆍ음계ㆍ구성곡수 등에 대하여 비교적 상세히 설명하였다. 하지만 대부분의 학습이 감상 위주로 이루어 졌고 가창활동은 무척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이 가곡에 내재되어 있는 음악적 특징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는 효율적인 학습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가창활동의 활성화가 무엇보다도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또한 만대 엽ㆍ중대엽ㆍ삭대엽 등 가곡의 원형 악곡에 대한 언급이 있었지만, 이러한 악곡과 현행 악곡과의 연관성을 형식 의 측면에서 언급함으로써 역사적 맥락에서 가곡을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한 내용이 없다는 것이 아쉬운 점이었 다. 만대엽ㆍ중대엽ㆍ삭대엽이 수록되어 있는 16세기에서 19세기까지에 간행된 거문고 고악보를 살펴본 결과, 만대 엽은 16세기에 편찬된 금합자보에서 처음 그 모습이 보이며, 그 이후 17세기의 고악보부터 중대엽과 삭대엽이 형성되고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또한 18세기의 고악보는 중대엽이 성행했던 시기였고 19세기의 고악보에서 만 대엽과 중대엽의 모습이 점차 줄어드는 현상이 나타났다. 반면에 이 시기는 삭대엽이 활성화되면서 농ㆍ낙ㆍ편 등 여러 가지 형태로 많은 곡을 파생하여 현행과 같은 가곡 한바탕의 틀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계기를 마련해 주 었다. 만대엽ㆍ중대엽ㆍ삭대엽의 형식을 살펴본 결과, 먼저 만대엽은 여음을 포함하여 5부분으로 나누었다. 대부분 여음부분이 악곡의 뒤에 존재하는데 비해서 한금신보는 三旨와 四旨 사이에 존재한다. 이러한 현상은 현행 가곡 에서 간주격에 해당하는 중여음의 역할을 담당하는 것처럼 보인다. 중대엽의 형식도 여음을 포함하여 5부분으로 구분하였는데, 운몽금보와 한금신보에서 중여음이 출현하며, 낭옹 신보 부터는 五旨 끝에 餘音 대신에 大余音이란 명칭을 사용하였다. 삼죽금보에 수록되어 있는 중대엽은 初章ㆍ 二章ㆍ三章ㆍ中餘音ㆍ四章ㆍ五章ㆍ大餘音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현행 가의 형식과 동일한 구조이다. 삭대엽과 그 계통의 악곡에 나타난 형식을 살펴본 결과, 선율을 5부분으로 구분하는 것은 동일하였다. 어은보는 五旨 끝의 餘音 대신에 大余를, 고대금보(A)의 경우 大餘音으로 명명하였다. 현금오음통론은 삭대엽 계통의 다 양한 악곡을 수록하고 있는데, 현행과 같이 중여음과 대여음을 포함 하여 5장 형식으로 이루어졌다. 만대엽ㆍ중대엽ㆍ삭대엽 계통의 악곡이 수록되어 있는 기존의 고악보에서 餘音 또는 大餘音은 후주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현금오음통론에서 大餘音이 第一章의 앞부분에 출현하는 것이 주목되는데, 이때부터 전주의 역할 로 그 기능이 변하였다. 또한 이 악보에서는 大餘音과 더불어 二大餘音을 함께 표기했는데, 이것은 전주의 역할 을 하는 大餘音과 후주의 역할을 담당하는 二大餘音을 분리함으로써 그 기능을 분명하게 제시하고 있다. 결국 현금오음통론에서부터 대여음의 기능이 전주의 역할, 또는 전주와 후주의 역할로 바뀌기 시작했으며, 이러한 현 상이 현행 가곡에 이르기까지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The best way to understand Gagok is to examine how it is constructed. One must understand the music both as a whole and as a combination of parts in order to grasp its structure and theory. This paper examines the presentation of Gagok in secondary school music textbooks and analyzes how effectively they transmit anunderstanding of Gagok to students. The research indicates that the textbooks emphasize activities designed to increase appreciation, including the transition process, performance manner, form, scale, movements, and Jang-dan of Gagok. However, they do not include sufficient activities for actually singing Gagok. The author recommends that more singing activities be included in the texts as a means of helping students experience the form and musical characteristics of Gagok. Traditional scores of Geomungo which were included in Mandaeyeop, Jungdaeyeop, and Sakdaeyeop were published from 16C to 19C. Mandaeyeop was first shown in Geumhapjabo published around 16C. While Jungdaeyeop and Sakdaeyeop were developed since 17C, Jungdaeyeop was prevalent around 18C. However, since 19C Mandaeyeop and Jungdaeyeop were diminished, and Nong, Nak, and Pyun were translated from Sakdaeyeop. From these transitions, Gagok was transmitted in its current form. Many traditional scores of Gagok were written by the notation system of a long beat unit or non- beat unit, and only a few scores were adapted to Jeongganbo. It was also commonly written by Hapjabo and Korean Yukbo, and some scores used Oeumyakbo or Gungsangjabo. Next, this paper demonstrates the transitional form of Mandaeyeop, Jungdaeyeop, and Sakdaeyeop. Mandaeyeop was divided into 5 parts with Yeoeum. Usually, Yeoeum was located behind the music, but occurred between the third and fourth part in Hanguemsinbo. This rare place seems to be a role of Jungyeoeum in the present Gagok. Jungdaeyeop was divided into 5 parts with Yeoeum. Unmonggumbo and Hanguemsinbo had Jungyeoeum. SinceNangongsinbo, the term of Yeoeum at the end of the fifth part was changed into Daeyeoeum, and since Samjukgumbo, it has had the same form as the present Gagok. The music of the Sakdaeyeop group had the same form, divided into five parts according to their melodies. In Eoeunbo, the accompaniment at the end of the fifth part was named Daeyeo, not Yeoeum, but in Godaegumbo, the melody was called Daeyeoeum. Hyungumoumtongron includedvarious songs of the Sakdaeyeop group, which were composed of five parts with Jungyeoeum and Daeyeoeum as in the present Gagok. Most old scores which were included in the group of Mandaeyeop, Jungdaeyeop, and Sakdaeyeop included Jungyeoeum or Daeyeoeum in theirs postlude. Since Hyungumoumtongron, Daeyeoeum was located at the beginning of the first part, and changed into the role of prelude. Furthermore, the score had both Daeyeoeum in the role of prelude and Daeyeoeum II in the role of postlude to ensure their function, Consequently, this study reveals that Daeyeoeum was changed into prelude or prelude and postlude since Hyungumoumtongron, and this role of Daeyeoeum was transmitted to the present form of Gagok.

      • KCI등재

        악기연구의 재조명

        한영숙 한국국악학회 2001 한국음악연구 Vol.30 No.-

        It is retrospected and considered that Prof. Chang Sahoon had published the research materials related to musical instruments in his treatises and books. And then it is studied what extent the research on musical instruments were accomplished. As results, there were presented various classification for correct comprehension of the traditional instruments in the materials. And there were illustrated the characteristics in detail - a organization as well as a history, a material, a system, a tone, a tuning and a use of each instruments. On the other side, there were mentioned partially in regard to the instruments for Sanzo and the improved ones. As considering that the performances for Sanzo and the creative music take specific gravity in these days, it is thought that a detailed research is needed in these parts. Though it tends that some music scholars research into the instruments for Sanzo, the improved and the used in private, the results of active research are expected.

      • KCI등재후보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음악교과서의 영산회상 지도방안 연구

        한영숙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14 국악교육연구 Vol.8 No.1

        Since the 2009 Revised Music Curriculum, several studies regarding the teaching contents of Youngsanhoesang have been performed. However, all these studies focused only on the music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s. Thus, this paper examined the teaching contents of Youngsanhoesang in the music textbooks of middle schools using the 2009 Revised Music Curriculum, and explored new approaches to the music instruction as follows. This study selected the related elements of teaching Youngsanhoesang from three areas of the Curriculum. In the area of expression, the availability of playing using Korean instruments, singing with gueum, and dancing to the music were examined. In the area of appreciation, it can be taught through the cultural aspect in relationship to the history of Korean music understanding by its composition and the concept of it. In the area of practice, an opportunity should be made available for participation in school events in order to display students’ abilities and in concert halls in order to appreciate its performance. Next, this study analyzed the music textbooks of middles schools using three areas of the Curriculum. The teaching contents in music textbooks regarding Youngsanhoesang were limited to only Hyunak-youngsanhoesang as well as introducing, in name only, Gwanak-youngsanhoesang and Pyunjohoesang excluding their musical characteristics. The books included the teaching methods of singing Taryung choosing from among the musical pieces of Hyunak-youngsanhoesang and the playing of the danso as the areas of expression. The musical history of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Korean music by classical scholars in the late Chosun Dynasty were the focus in the area of appreciation. In addition, the musical concepts of Hyunak-youngsanhoesang have been misunderstood, and the contents of the area of practice were not mentioned in the books. As a result, this study explored more effective approaches to understanding Youngsanhoesang through the contents of three areas of the Curriculum. In the area of expression, the instruction of the music can be applied by singing along with the melodies of the melodic instruments such as by gueum or by playing the melodies with the danso or sogeum. Also, the dance movements of jeaongjae when dancing to Youngsanhoesang can be learned through the relationship of jangdan and dance. Using and incorporating these approaches, the integrated instruction of the playing, singing, and dancing of Youngsanhoesang can be planned. In the area of appreciation, this study presents the approaches to understanding the musical composition of Youngsanhoesang through the explanation of the formation process, by type and through playing style. It suggests more approaches to enjoying the music in students’ lives by participating in school cultural events and local festivals in the areas of practice and performance. Consequently, by identifying the insufficient teaching contents of Youngsanhoesang in the music textbooks of middle schools, this study presents more effective approaches by including not only Youngsanhoesang but Gwanak-youngsanhoesang and Pyunjohoesang as well as by integrating the areas of expression, appreciation, and practice. 현재 2009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이 시행되면서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영산회상의 지도방안에 대한 연구가 일부 이루어졌다. 반면에 중학교는 영산회상의 지도방안에 대한 연구가 전혀 없는 상태이다. 본 연구는 음악과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중학교 음악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영산회상의 지도내용을 검토하면서 내재되어 있는 문제점을 고찰한 연후에 개선된 지도방안을 모색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음악과 교육과정의 영역별 내용 중에서 영산회상을 지도할 때 필요한 관련 요소를 추출하면, 표현영역은 악기로 연주하며 구음으로 노래 부르면서 춤을 추어보는 활동이 가능하다. 감상영역은 음악사와 연계해서 문화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지도하며, 음악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와 그 개념을 이해시킨다. 생활화영역은 학교의 행사에 참여해서 기량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주거나 연주회장에서 공연을 감상시킨다. 음악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영산회상의 지도내용은 현악영산회상에 국한되어 있으며, 관악영산회상과 평조회상은 명칭만 소개하였을 뿐 음악적 특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았다. 표현영역은 현악영산회상 중 타령을 중심으로 노래 부르기와 단소 연주에 비중을 두었다. 감상영역은 음악사에서 조선후기 선비들을 중심으로 한 음악의 형성과 발전에 국한하여 소개하였으며, 음악의 요소는 개념을 명확하게 이해시켜야 함에도 불구하고 빈번하게 오류가 나타났다. 생활화영역은 음악교과서에 그 내용을 수록하지 않았다. 음악과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영산회상을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한 영역별 지도방안을 모색하였는데, 표현영역은 가락 악기의 선율을 구음으로 따라서 노래 부르고, 단소와 소금을 연주한다. 장단과 춤을 연계하여 지도하면서 반주음악으로 사용하는 정재의 춤 동작을 익히고 따라서 추어보는데, 이러한 활동 속에서 악․가․무가 통합적으로 이루어진 지도가 가능하다. 감상영역은 영산회상의 특징을 이해하며 감상할 수 있도록 형성과정과 종류와 연주방식 등에 대한 설명과 함께 이 음악의 구성요소를 이해시키는데 비중을 두었다. 생활화영역은 생활 속에서 음악을 즐기고 학교의 문화행사와 지역축제에 참여하도록 지도한다.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영산회상의 지도내용은 어느 한쪽으로 편중되어 있기 때문에 올바르게 이해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효과적인 영산회상 지도를 위해서는 현악영산회상에 국한시키기보다 관악영산회상과 평조회상의 구성 악곡을 포함하면서 여기에 표현과 감상 및 생활화영역의 연계성을 고려한 지도내용이 구성되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