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합병기업에서 지위, 출진조직정체성 및 조직문화유사성이 합병조직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한영석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08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21 No.1

        본 연구에서는 합병상황에서 합병 성공의 지표로써 조직충성도, 이직의도, 조직냉소주의 및 이직의도의 조직효과성 변인을 설정하고, 합병기업과 피합병기업 구성원간의 인적자원 통합의 지표로서 합병조직정체성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합병조직정체성의 선행요인으로 출신조직정체성과 조직문화 유사성을 설정하고, 이들 관계에서 출신조직의 지위가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서 818명을 대상으로 지위, 출신조직정체성척도(한영석ㆍ서용원, 2004)와 조직문화 유사성척도, 합병조직정체성 척도 및 조직효과성 변인을 포함하여 이들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합병조직 구성원들의 지위가 피합병조직 구성원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또한 피합병기업 구성원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지위 조직 구성원인 합병기업 구성원들은 출신조직정체성이 높을수록 합병조직정체성이 높았다. 반대로, 저지위 조직 구성원인 피합병기업 구성원들은 출신조직에 대한 정체성이 낮을수록, 조직문화 유사성이 높을수록 합병조직정체성이 높았다. 합병기업과 피합병기업 종업원 모두 합병 후 통합된 조직에 대한 정체성이 높을수록 조직효과성이 높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한국전쟁 이후 풍경: <미망인>(1955) 이미지 텍스트성에 관한 소고

        한영석,유지나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19 씨네포럼 Vol.0 No.33

        Mimang-in was the first directed work of Bak, Nam ok and the last film career. The movie was about projection contains from post-korean war image. the director Bak was view of the world can not be discussed with just one piece of work. However, this display image of Mimang-in needs to be analyzed to have a cinematic singularity. The movie takes the form of a melodrama in genre. First of all, it is the documentary method of the introductory part of the film when pointing out of the main characteristic of the movie. The opening of movie leads the documentary view of the downtown landscapes that is being ‘reconstruction’ after the war. This selected method makes the personality who appears in the movie narratives stand out clearly by making the spatial realism of the movie remarkable. Second, editing the continuity of shot by shot uses roughly borrows Hollywood film techniques to structure the movie is time and space in a similar configuration. The footsteps of the actors walk in the downtown are framed through a picture division that visually repeat that it is specific action. In the other words, a actor is body divided into shot by shot embody the characters mind anxiety and situation that changes from time to time. <미망인>은 박남옥의 첫 연출작이며 마지막 작품이다. 영화는 한국전쟁 이후의 세계상을 담고 있다. 감독의 세계관은 단 한 편의 작품만으로 논할 수 없다. 하지만 <미망인>이 보여주는 이미지는 영화적 특이점을 갖기에 분석할 필요가 있다. 영화는 장르적으로 멜로 드라마형식을 취한다. 주요한 영화의 특질을 지적하면 첫째, 영화 도입부의다큐멘터리적 기법이다. 영화의 오프닝은 전후 ‘재건’되는 도시 풍경을 다큐멘터리적 시선으로 이끌어 간다. 이 선택된 방법은 영화의 공간적 사실감을 두드러지게 함으로써 영화 내러티브에 등장할 인물을입체적으로 두드러지게 한다. 둘째, 숏과 숏의 연속성의 편집은 할리우드 영화기법을 거칠게 차용해 영화의 시공간을 유사한 구성으로 구조화한다. 거리를 걷는 배우의 발걸음은 특정한 행위임을 가시적으로반복시킨 화면분할을 통해 프레임화 된다. 즉 숏과 숏으로 분절된 신체는 시시각각 변화하는 그 인물의 마음속 불안과 처지를 형상화한다. 이러한 영상 이미지 기법의 선택은 영화 내러티브의 가치와 의미를 상승시킨다. 셋째, <미망인>은 불가피하게 아카이브 복원과정에서 하나의 필름은 16mm 유성영화와 후반 10분의 무성영화로 나누어진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영화적 조형은 전쟁미망인이 된 여성이 발화한 불안과 그 욕망의 몸짓을 예상치 못한 입체적 움직임으로 가시화된다고말할 수 있다. 말하자면 영화의 몽타주들은 박남옥이 말하고 싶은, 그럼에도 의도치 않았던 부분적 무언극이 말하는 ‘목적 없는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미망인>은 ‘전쟁 이후(après-guerre)’라는 공간적 의미의 문제 인식이 덧입혀 인간의 파토스적 삶을 보여주고읽게 한다.

      • KCI등재

        중ㆍ장년층 실직자의구직강도 결정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영석,안상수,탁진국,유태용,한태영,신강현,박해정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06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19 No.2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predictors of job-search intensity on middle aged unemployed individuals. Among people who unemployed for less than 2 months, 1539 unemployed individuals were surveyed. Results showed that the higher employment commitment, job-search self-efficacy, financial hardship, carrier planning, social capital, and agreeableness, the higher the job-search intensit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중ㆍ장년층 실직자를 대상으로 지금까지 실직 관련된 연구에서 중요하게 나타났던 구직동기, 구직역량, 재취업 제한요건 및 성격요인이 구직강도에 어떤 관련성이 있는가를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실직자 1539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구직동기요인의 하위요인인 고용몰입, 경제적 어려움, 경력계획 및 성취욕구, 다음으로 구직역량요인인 구직효능감, 사회적 자산, 마지막으로 성격요인에서는 성실성, 개방성, 원만성, 외향성 요인이 구직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요인을 대상으로 단계적 회귀분석을 한 결과 구직강도에 가장 큰 설명량을 보이는 요인은 고용몰입, 구직효능감, 사회적 자산, 경력계획, 경제적 어려움 및 원만성 요인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제공하는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출신조직정체성과 삼투성이 정체성관리전략에 미치는 효과

        한영석,김명소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23 No.2

        본 연구에서는 합병기업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합병된 두 조직구성원의 갈등과 편견을 설명하기 위해 Tajfel(1978, 1982)이 제안한 사회정체성이론에 근거를 두고 지위, 삼투성 및 출신조직정체성 수준에 따라서 정체성관리전략이 달라진다는 가설을 검증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해 818명의 합병기업에 근무하는 종업원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지위, 삼투성, 출신조직정체성 및 정체성관리전략 요인들과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합병상황에서 합병을 한 조직구성원은 출신조직정체성이 높을수록 개인전략 및 집합행동전략을 더 사용하였다. 그리고 합병 전 조직의 지위가 낮을 때에는 출신조직정체성이 높을수록 집합인지전략을 더 사용하였다. 또한 합병 전 지위가 높을 때에는 지위경계가 삼투적 일수록 합병 전 조직정체성이 높았으며, 지위가 낮을 때에는 삼투적일수록 합병 전 조직정체성이 더 낮았다. 또한 합병 전 지위가 낮을 때에는 지위 경계가 삼투적일 수록 집합인지전략을 덜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합병기업에서 출신조직정체성이 정체성관리전략에 미치는 영향

        한영석,서용원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04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17 No.3

        본 연구에서는 합병기업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합병된 두 조직구성원의 갈등과 편견을 설명하기 위해 Tajfel(1978, 1982)이 제안한 사회정체성이론에 근거를 두고 사회구조요인과 출신조직정체성 수준에 따라서 출신조직정체성관리전략이 달라진다는 가설을 검증하였다. 먼저 합병기업에서 출신조직에 대한 사회정체성과 정체성관리전략을 측정하기 위해서 491명의 합병기업에 근무하는 종업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를 통해, 출신조직정체성에서는 집단자존심, 집단동일시, 집단몰입의 세 요인들로 구성되는 척도를 제작하였고, 정체성관리전략에서는 개인화전략, 동화전략, 적대행동전략, 내집단우월추구전략의 네 요인들로 구성되는 척도를 제작하였다. 이들 네요인은 전략의 성격에 따라 개인화전략 동화전략은 개인전략으로, 적대행동전략과 내집단우월추구전략은 집합행동전략으로 묶어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였다. 출신조직정체성의 세요인과 정체성관리전략의 네요인은 327명의 다른 합병기업 종업원을 대상으로 한 확인적 요인분석결과도 만족할만한 부합도 지수를 보였다. 합병상황에서 합병을 한 조직구성원이 합병을 당한 조직구성원에 비해 상대적으로 지위가 높다고 지각하였다. 또한 합병상황에서 상대적으로 지위가 높다고 지각한 고지위 조직구성원들은 자신들의 현재 높은 지위가 합법적이고 안정적이고 지각할수록 출신조직정체성이 높았고, 개인전략을 적게 사용하였고, 집합행동전략은 많이 사용하였다. 반대로 상대적으로 지위가 낮다고 지각한 저지위 조직구성원들은 자신들의 현재 낮은 지위가 합법적이라고 지각할수록 출신조직정체성이 낮았으며, 개인전략을 많이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지위차이에 관계없이 출신조직정체성이 높을수록 개인전략은 덜 사용하였고, 집합행동전략을 많이 사용하였다.

      • 組織環境에 關한 考察

        韓榮錫 건국대학교 1979 論文集 Vol.10 No.1

        The word "environment" is similar in its meaning with "situation" and "circumstance", but the former is terminologically imagined to indicate dynamic factors surrounding an organism. There are someone who divides the environment into two categories-one as inner environment, another outer environment. But I think it is more reasonable to contrast environment, as the whole outer phenomena, with a certain living organ. Thus environment is sometimes called a behavioral environment, ecological environment or psychological environment. We all know that the studies on organizations in its early darts had been limited mainly to inner structuring, planning and management of organizations. And then we have come to find the structure and management of an organization might be influenced and varied depending on the environmental factors. In reality, the decisions made in any enterprise about prices, inputs-outputs and budgets etc, are partly of the outcome of the problems posed by the economic environment, and partly the result of the way various groups and individuals attempt to influence the processes of decision-making. Anyway, organizations do not just only function and operate but also survive through challenges with and responses to the environment. In a word, none of the organizations can go without relations with environment. Some scholars postulate that the environment contains people, place, physical technologies, social technologies, wishes and ideas, catastrophe, and personality : others contend it includes political, social, economical, cultural, geographical and customary factors. Fairly it might be said that it means all of the spiritual and physical factors surrounding an organization. We can notice the resemblance of an organization to a living organism. It has ability to adapt to a dynamic environment through its reaction to the stresses and tensions created by conflict, uneasiness or uncertainty. Furthermore, organizations, like human beings, have the power to learn from experiences how to protect themselves and survive. It means they can revise work procedures, deployments, and also readjust their goals in accordance with new and important informations. In the meanwhile, public administration can be defined as a common social process. We usually find the principle of "POSDCORB" in most forms of private administration. That is, the technical apparatus, organizational structures and work methods in both sectors are not much different. The differences could be seen substantially in its normative and environmental aspects. Among the differences of both sectors, I would pick up two major items. Public agency might be said to enjoy almost unlimited finances through its special revenue system, and also retain considerable legitimacy among wide sectors of the public, even if under legislative and public control. Anyhow most governments can assume and launch virtually any program in the long run that seems worth undertaking, especially in rich countries. Concerning legitimacy, we must look about for some sophisticated way of theorizing. From the universal point of view, the output of one aspect in a given social system will be consumed by the other aspects of the system. So, in common sense, so long as an organization produces something desired and consumed, it continues to operate its enterprise. On the contrary, if an organization can net find out anybody who wants or can be persuaded to Reed its product, it will not and can not go on to survive any more. So, in a pure theoretical sence, prostitution, gambling association, organized crime, or the numbers racket are not supposed to be exception. In dai1y life, we can easily find that many economic organizations spend lots of resources to keep customers for their output. It is said that legitimacy for nonprofit organizations is sometimes an even greater problem. Government apparatus are reorganized or quit to exist more frequent because of their legitimacy than we imagine. In conclusion, it may be said that the study on organizational environment belongs to rather sociology than public administration. But for an abundant and flourishing content on any particular discipline, it is inevitable to coordinate with and exert cross-pollination from neighbour science. I have presented some examples of fluctuations of government organizations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But in the result, 1 cannot help but admit that this study could not surpass a limit just touching upon the subject generally and roughly. It would be better to analyze, check and labor under intensive view how a specific organ functions and operates, gets and loses life under real and actual circumstances. I think it would be allowed to leave it for the next chance of study in near future.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