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농약이 담수토양(湛水土壤)중 미생물상 변화에 끼치는 영향

        한성수,백승화,김성조,최효정 한국환경농학회 1990 한국환경농학회지 Vol.9 No.2

        農藥이 土壤 微生物의 相變化에 끼치는 影響을 究明하기 위하여 湛水土壤 狀態下 水稻를 移秧한 區와 移秧하지 않은 區에 殺蟲劑인 carbofuran, 除草劑 pyrazolate 및 pyrazolate+pretilachlor 合劑를 處理한 後 pH 變化와 總細菌, 그람 陰性菌, 絲狀菌등의 數를 경시적으로 調査分析한 結果는 다음과 같다. 1. pH 變化는 水稻栽培 藥劑 處理後 時日이 經過함에 따라 若干 낮아지다 6週째에는 다시 上昇하였고, 水稻를 栽培한지 않은 境遇 藥劑處理後의 pH는 거의 變化가 없었다. 2. 供試藥劑 모두 水稻栽培 有無에 關係없이 藥劑處理 後의 總細菌數는 對照區에 비하여 적었고 處理藥量이 增加함에 따라 減少되었으나 時日이 經過함에 따라 增加되었다. 3. 農藥處理後 6週째까지 그람 陰性菌의 數는 對照區보다 적었고 時日이 經過함에 따라 carbofuran處理區의 그람 陰性菌의 數는 減少되었으나 pyrazolate 및 合劑處理의 그람 陰性菌 數는 增加되는 傾向이었다. 4. 藥劑處理區의 嫌氣性 細菌의 數도 對照區보다도 적었으나 時日이 經過하면서 增加되었다. 5. 絲狀菌의 數는 carbofuran 處理의 境遇 對照區와 비슷하였으나 pyrazolate와 그 合劑處理區의 境遇는 處理濃度가 增加하면서 4-5週째 까지는 더욱 減少되다가 6週째 까지는 더욱 減少되다가 6週째에는 增加한는 傾向이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influences of pesticides such as carbofuran[2,3-dihydro-2,2-dimethylbenzofuran-7-yl methyl carbamate] as an insecticide, and pyrazolate [4-(2,4-dichlorobenzolyl)-1,3-dimethyl-5-pyrazolyl-1,3-dimethyl-5-pyrazolyl-p-toluensulfonate], pyrazolate+pretilachlor [2-chlor-2,6-diethyl-N-(n-propoxyethyl) acetanilied] as herbicides on change in numbers of soil microorganisms and pH in planted and unplanted flooded rice paddy soils. The results of weekly investigated change of pH and populations of total bacteria, gram negative bacteria, anaerobic bacteria and fungi after treatments of pesticides were as follows : The change of pH in rice-planted soil gradually decreased in a matter of weeks after treatment with pesticide and the pH increased again from the sixth week, but no change of pH could be observed in nonplanted soil. The total numer of bacteria in the treated plots were slightly less than in the control plot, and the numbers decreased with increasing application rates of pesticides. But the microbial population increased in a matter of days after treatment with pesticide. Number of the gram negative bacteria until the sixth week after treatment of pesticide were fewer than control. The number in the carbofuran-treated plot decreased after a weeks after treatment, but numbers in plots treated with pyrazolate and pyrazolate+pretilachlor increased. The number of anaerobic bacteria in the treated plots were few by comparison with the untreated control, but the number increased after a weeks after treatment with pesticides. The populations of fungi in the carbofuran-treated plot were similar by comparison with the untreated control. The populations in the plots treated with pyrazolate and pyrazolate+pretilachlor decreased in 4 to 5 weeks with increase of application rate, but afterwards increased.

      • KCI등재

        A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Effects of a Handset Subsidy on Consumer Welfare

        한성수,Sungho Choi,Byeong-Kwan Kim,Hyun Chung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06 ETRI Journal Vol.28 No.5

        Observation of the effects of a handset subsidy on the mobile telecommunication industry has revealed two different aspects. The activation of various mobile services and the handset market, has led to the rapid acceleration of the related technological development, which is a desirable result, while rising prices and the overspending of related resources are undesirable. A great deal of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assess both desirable and undesirable factors using qualitative methods. However, quantitative studies into the effects of a handset subsidy are rare. In this study, we consider the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n consumer welfare of a change in demand and prices brought about by a handset subsidy. Then, we quantitatively compare the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and analyze their direct effects on consumer welfare.

      • KCI우수등재

        에너지 기반 분쇄 모델 및 수학적 분급 모델을 활용한 국내 금광산 선광플랜트의 분쇄/분급 공정 전산모사

        한성수,정민욱,이원재,임근태,박재구 한국자원공학회 2018 한국자원공학회지 Vol.55 No.1

        본 연구에서는 정상 상태의 국내 금광산 선광플랜트의 분쇄/분급 공정을 전산모사 하였다. 분쇄 일지수와 에 너지 기반 경험적 모델을 활용하여 분쇄 산물의 80% 입도를 예측하였다. 실제 선광장의 볼밀 크기, 회전 속도, 볼 충전 율 등이 분쇄 모델에 적용되었다. 스파이럴 분급기는 Stoke 법칙, 습식싸이클론은 Plitt model을 이용하여 각 분급기의 분급입도 (d50c)를 산출하였다. 모델 및 변수들을 선광공정 시뮬레이터인 USIMPAC에 입력하여 공정의 전체 물질 수 지 및 입도분포를 예측하였다. 예측된 광액농도와 입도분포가 실제 결과와 높은 상관계수로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on simulation was conducted for steady state grinding and classification processes in domestic gold ore mineral processing plant. In the grinding process, the 80% particle size of the ball mill products were predicted using work index and energy based empirical model. The actual operational parameters such as the size of ball mill, rotating speed and ball filling rate were applied to grinding model. The cut size (d50c) of spiral classifier and hydrocyclone were calculated using Stoke’s law and Plitt model, respectively. The models and variables were input to USIMPAC, a simulator for mineral processing, to predict the overall mass balance and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the process. It was confirmed that the predicted pulp density and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we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actual results from a high correlation coefficient.

      • KCI등재

        환경차이에 따른 밭토양중 살균제 Myclobutanil 의 잔류 및 토양미생물상 변화

        한성수,백승화,정재훈,최찬규 한국환경농학회 1995 한국환경농학회지 Vol.14 No.1

        밭토양중 myclobutanil의 분해성과 이 농약이 토양미생물상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살균·비 살균토양과 수분함량, 토양 pH, 토양 온도, 약제처리농도, 토양종류 및 실내 · 포장토양등의 조건에 따라 myclobutanil을 처리한후 경시적으로 토양을 채취하여 농약잔류량과 토양미생물수를 조사하였는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회귀식에서 구한 분해반감기로 본 myclobutanil의 분해속도는 살균토양에서보다 비살균토양에서, 실내실험에서보다 포장실험에서, 20ppm처리보다 10ppm처리에서, 그리고 미사질양토에서보다 식양토에서 각각 3.9배, 1.6배, 1.4배 그리고 1.2배 정도 빨랐다. 토양 pH의 차이에 따른 myclobutanil의 분해속도는 pH 9에서 가장 빨랐고 pH 5.5에서 가장 느렸으며, 토양온도의 차이에 따른 myclobutanil의 분해속도는 27℃ > 37℃ > 17℃ 의 순으로 빨랐고, 토양수분함량별 실험에서 myclobutanil의 분해속도는 차이가 없었다. 살균토양에서의 미생물수는 매우 적었으나 비살균토양에서는 많이 발생되었다. 수분함량, pH, 온도, 처리농도 및 토성의 차이에 따른 myclobutanil의 처리구와 무처리구간의 미생물수를 T-검정한 결과 차이가 나지않았다. 포장실험토양에서 사상균 및 총균수는 myclobutanil 처리구가 무처리구보다 많았으나 실내실험토양에서는 차이가 나지 않았다. Myclobutanil 무처리구내에 있어서 pH, 처리농도, 토성 및 실내.포장조건의 차이에 따른 미생물수는 차이가 나지 않았으나, 포장용수량의 60% 수분함량에서는 40% 수분함량에서 보다 세균이 그리고 토양온도 17℃에서는 37℃에서보다 사상균이 각각 많이 발생되었다. Myclobutanil 처리구내에 있어서 pH 및 포장.실내조건의 차이에 따른 미생물수는 차이가 없었으나, 세균과 총균수가 포장용수량의 80%수분함량에서는 40%와 60%수분함량에서보다 많았으며, 방선균의 수는 17℃에서보다 27℃에서 그리고 미사질양토에서보다 식양토에서 각각 많았다. Residue level of myclobutanil[2-p-chlorophenyl-2-(1H-1,2,4-trizol-l-yl-methyl) hexane nitril] and number of soil microorganism were investigated at diffe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the sterile and the non-sterile soils, moisture content, pH, temperature, application rate, and soil types under laboratory and field to study the effect of those factors on degradation characteristics of this fungicide and change of microflora in soil. Decomposition rate of myclobutanil was 3.9 times faster in the non-sterile soil than in the sterile soil, 1.6 times in the field than in the laboratory, 1.4 times in the concentration of 10ppm than in that of 20ppm, and 1.2 times in the clay loam soil than in the silty loam soil. Degradation rate of myclobutanil was the fastest at pH 9.0 among the tested pHs and the latest at pH 5.5. Degradation rate of myclobutanil was in order of 27℃ > 37℃ > 17℃. Otherwise, the effect of soil water content on myclobutanil degradation was found not clear. Number of microorganism in the non-sterile soil was remarkedly more than that in the sterile soil. Numbers of microb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reatment plot and non-treatment plot of myclobutanil at the different conditions of soil moisture content, pH, temperature and soil type. Numbers of fungi and total microbes were more in the treatment than in the non-treatment of myclobutanil at field test but the same trends were not found at laboratory test. Within non-treatment of myclobutanil, numbers of microb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under the various condition of pH, application rate, and soil type in laboratory and upland field. The number of bacteria were more in 60% moisture content of water holding capacity than in 40% and the number of fungi were more in 17℃ of soil temperature than in 37℃. Within the application plot of myclobutanil, numbers of microb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t various pH in laboratory and upland field. The number of bacteria and total microbes were more in 80% moisture content of water holding capacity than in 40% and 60% and actinomycetes were more at 27℃ in the clay loam soil than at 17℃ in the silty loam soil.

      • KCI등재후보

        NAND 플래시 메모리 기반 환경에서 LA트리를 이용한 고장회복 기법 연구

        한성수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5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5 No.4

        The NAND flash memory has been attracting attention as anext-generation storage devicesuitable for a ubiquitous mobile environment due to its characteristics of having low power and fast access speed as compared to the other types of flash memory. In particular, flash memory is being used in many fields, such as memory for a small mobile device and a large-capacity memory like SSD (solid state disk), and many researches are being actively done for the effective utilization. However, the NAND flash memory-based storage device has unique hardware features, such erasing before writing based on the B-tree index structure, which causes degradation when writing requests are made repetitively.In order to address such problem, this paper proposes an improved technique for the NAND flash memory-based failure recovery by using the LA tre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technique has been evaluatedin comparison to the existing technique and it was found that the proposed technique resulted in 50% improved performance as compared to the existing technique. 플래시 메모리 중 NAND 플래시 메모리는 저 전력과 빠른 접근 속도의 특징 때문에 유비쿼터스 및 모바일 환경에 적합한 특성으로 차세대 저장장치로 주목 받고 있다. 특히 플래시 메모리는 소형의 모바일 기기용 메모리와 SSD(solid state disk)와 같이 대용량 메모리 등 여러 분야에서 저장장치로 이용하고 있으며, 효율적 활용을 위하여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NAND 플래시메모리 기반의 저장장치는 쓰기 전 소거 구조와 같은 독특한 하드웨어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B트리 인덱스 구조이므로 반복적인 쓰기 요청이 발생 시 성능저하가 야기된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LA트리를 이용한 NAND 플래시 메모리 기반 고장회복개선 기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제안기법과 기존기법의 성능평가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제안기법이 기존기법 보다 50% 정도 성능이 우수함을 입증하였다.

      • KCI등재후보

        FISLD 기법을 이용한 모바일 컴퓨팅 환경 기반 회복기법

        한성수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5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5 No.5

        Recent advancement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led to active research of real-time transaction process and transaction model in mobile computing environment. However, the study on the recovery model is still insufficien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bile computing environment, failure in the wireless network and devices during transportation can lead to the disconnection in data, which in turn may result in severe damage. Therefore, mobile recovery technique is essential in terms of securing safety of data in the mobile database environment. The BISLD (B+Tree Index Segment Log Directory) technique is the existing mobile recovery technique, which uses the B+Tree index. However, using the B+-Tree index delays the recovery time as overhead is generated during log analysis for recovery. Thus, the present study proposes the FISLD (F-Tree Index Segment Directory) technique, which uses the F-Tree index to remove overhead during log analysis and improve recovery time. The propose technique is found to have improved the recovery time as compared to the existing BISLD technique. 최근 이동통신기술의 발달로 모바일 컴퓨팅 환경에서 실시간 트랜잭션 처리와 트랜잭션 모델에 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회복모델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모바일 컴퓨팅 환경의 특성상 이동 중 무선망 장애 및 기기 장애로 인하여 데이터 단절과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데이터의 단절은 심각한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데이터베이스의 환경에서 데이터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모바일 회복기법은 매우 중요하다. 기존의 모바일 회복기법은 B+Tree 인덱스를 사용한 BISLD(B+-Tree Index Segment Log Directory)기법이다. B+-Tree 인덱스를 적용할 경우 회복을 위한 로그 분석 시 오버헤드가 발생되어 회복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로그 분석 시 오버헤드를 제거하여 회복시간을 개선하기 위하여 F-Tree를 이용한 FISLD(F-Tree Index Segment Log Directory)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 기법을 사용할 경우 기존 BISLD기법 보다 회복시간을 개선할 수 있다.

      • KCI등재

        이동통신서비스 요금변화가 가계통신비지출에 미치는 영향분석 - ARPU를 중심으로 -

        한성수,박추환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회과학원 2014 사회과학연구논총 Vol.4 No.-

        It is obviously true that there exists a tremendous demand for the decreasing price of telecommunication service recently. However, it is not sure whether the low charge of telecommunication service is helpful to the customer's surplus or not. To get the answer for the above question, we need to see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pricing structure and customer's surplus. The previous studies seek to find the relationship by analyzing subscription demand and call demand elesticity. But, this study chooses a ARPU as an index varible for the service price and use it for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pricing structure and ARPU and household's telecommunication service expenditures. The results of analysis show that call demand affected the ARPU, but subscription fee and subsidy do have a different effects for each carriers. Also, the specturm of househod's communication expenditure and ARPU show that low spectrum of househol's income has a very elastic demand but the high specturm of household's income shows an inelastic demand in telecommunication service. 통신서비스 요금 인하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존재하고 있는 것이 국내시장의 현실이다. 이러한 통신서비스 요금인하가 소비자에게 혜택을 줄 수 있는가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해 요금인하가 소비자 후생에 어떤 영향을 줄 것인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기존의 요금과 소비자후생간 관계분석 연구에서는 가입수요와 통화수요를 구분하여 각각의 수요에 대한 가격탄력성을 추정하여 소비자 후생을 추정하는 방법론을 제시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요금변수로서 가입자당 평균 매출액(ARPU)을 통해 요금구조가 가입자당 평균매출액(ARPU)에 미치는 영향과 ARPU가 가계통신비 지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통화수요가 ARPU에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가입비, 보조금 등은 사업자마다 그 영향이 달리 나타났다. 또한 소득구간별 ARPU와 통신지출비간의 관계에서는 저소득계층에서는 탄력적인 반면 고소득층에서는 비탄력적인 특성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분석 결과는 음성통화는 필수재로서 비탄력적인 반면 데이터서비스의 경우 일반재와 같은 탄력성을 가진다는 점에서 음성통화 요금수준에 대해서는 점진적 인하를 통해 소비자 후생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한 요금정책이 요구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