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후기 類書類의 세시풍속과 세시사상

        김일권 한국역사민속학회 2010 역사민속학 Vol.0 No.34

        In this article, I studied about the traditional seasonal customs shown the traditional encyclopedic literature, what we called the Ryuseoryu texts, written by many of Choseon neo-Confucian scholars. The Ryuseoryu texts appeared first in the early 17th century of the middle Choseon dynasty. Those texts had a role as a source of intellectual informaton to Choseon people. This my research show us how our seasonal customs are passed down untill recent our soceity. The recent folklore study has a strong point to fieldwork survey, in addition to that, here I tried to improve the textual understanding of our folklore phenomena through the wide references of traditional encyclopedic literature. I select five main traditional encyclopedic literature, Jibong- yusul, Sanlim-gyengje, Sungho-sasul, Ojuyenmun-jangjensango, Songnam-japji. These texts contain many of references, histories and stories about traditional seasonal customs at that time. It’s important they sometiems stated to a term of now folklore or our old folklore of East country, etc.. This show us their contemporary information of seasonal folklore well. And their texts were written in basis of a kind of traditional calendar system. In this idea of traditional time we can read the people at that time considered as the time was given from the sacred heaven. Their seasonal customs also based on that traditional time idea. As stated in my article, it is important that the traditional encyclopedic literature shows us their diverse features of seasonal customs life well. 주지하다시피, 문물전장제도 전반에 대해 박물학적이고 박학다식한 관심을 반영한 류서류는 임란 직후부터 조선조 학인들의 새로운 저술 방식으로 등장하여, 조선조 지식정보의 원천 역할을 하였다. 이 글은 바로 이 조선중후기 류서류 중 민속문화자료를 상대적으로 많이 담고 있는 5종의 류서 편찬물을 대상으로 삼아, 여기에 나타난 세시풍속과 세시사상 문제를 다룬 논문이다. 이것은 현재 우리에게 전승된 세시풍속의 자료적 준거가 어떻게 구성되었고, 어떤 흐름을 타고 전개되었던 것인가를 해명하기 위한 작업의 일환이다. 민속학이 현장연구가 강점인 것에 보태어, 그 현상의 문헌적 준거를 더욱 면밀히 확보함으로써, 우리 민속문화 현상의 체계성을 제고하려는 시도인 것이다. 지봉유설, 산림경제, 증보산림경제, 성호사설, 오주연문장전산고, 송남잡지 등은 인용빈도가 높은 조선 중후기 주요 류서류들인데, 당시 풍속으로 전승되는 여러 세시풍속들에 대해 유래와 근거 등을 수록하고 있다. 대개 중국의 당원명청대 전거를 끌어당기는 내용이 많으며, 때로 今俗 또는 東國 舊俗이란 단서를 달아 자신의 시대에 유행하였거나 우리 역사에 근거한 해명을 실으려 노력한 점은 높이 평가된다. 그렇지만 더러 「시령부」, 「세시류」 등의 류문을 세우기도 하였지만, 중국 류서류에 비해서는 독립된 세시 류문을 수립하여 의도적이고 체계적으로 천착한 측면이 떨어지는 한계가 보인다. 그럼에도 예컨대 지봉유설의 경우 시령부를 지리부의 앞에 그리고 천문부의 바로 뒤에 편장시킴으로써 우리 삶 속의 시간이 다름 아닌 하늘에서 내려준 것이라는 전통적 상천수시사상을 의도하고 있다는 점에서 전근대적 시간관을 잘 표현하고 있으며, 그러한 시간관과 세계관 위에서 세시의 여러 절속들이 다양한 원천과 내원으로 당시 사람들에게 향유되고 기려졌던 현상들임을 잘 보여준다.

      • KCI등재

        조선시대 서리 기상기록 분석과 역사지진기록과의 상관성 고찰

        김일권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20 탐라문화 Vol.0 No.65

        This is a syntactic analysis of the meteorological records focused on frost history of Joseon (1392-1910) Korea. For this, a chronological chart containing 694 total observations is established based o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519 years). Upon this chart, the monthly, periodical, and regional distribution analyses of meteorological phenomena are made. The monthly analysis reveals the highest frequencies for spring frost in April (14%), May (36%) and June (17%). The fall frosts are registered in September (14%) and October (10%). The commonly known 'May-June frost' terminology is deduced from the Joseon records. By the chronology of Joseon kings the highest numbers of frost are recorded during the time of Jungjong (20%), Injo (11%) and Sungjong (15%). Examined by a 100-year interval, the 17th century (17c) is discovered to be the highest numbered (240 observations, 35%) followed by the 16c (206, 30), 15c (111, 16) and 19c (4, 0.6). A 50-year interval analysis reveals double parabola graphs, in which the early 16c during the time of king Jungjong marks the highest (156 cases, 23%). A rapid increase is noticed since Injo Restoration in the early 17c right after the Japanese invasion. In the late 17c there was a resurgence (143, 21%). The number tends to increase in the late 18c during king Youngjo and Jeongjo period. The number began to decrease to its complete demolition in 19c. A ten-year interval analysis reveals the largest number of frost calamities that occurred in the early Joseon, 1510s~1560s (Jungjong~Seonjo, 60 years). The longest record of frost calamities was recorded in the late Joseon, 1640s~1750s (Injo~Yeongjo, 140 years). The situation became stable in the period, 1760s~1900s (150 years). According to the records of Hanyang (Seoul) the first frost was gradually delayed as centuries passed, thus showing a sign of warming tendency of Korean peninsula. The registered dates, for example, are September 14th~24th in the end of 14c~early 16c; October 3rd~8th in the late 16c~early 18c; and October 9th~14th in the late 18c~early 20c. Next, this study explores the 1,490 observations of earthquake recorded during Joseon. They are compared with frost records for periodic and regional correlation analyses. A 100-year interval analysis shows parabolas for both frost and earthquake records. A 50-year interval shows the identical or similar high and low points, and a 10-year interval also shows the similarity. Finally a regional analysis for Hanyang and eight provinces is made to explore the correlation between frost and earthquakes. It resulted in two inferences. First, there is the clos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The regional frost recorded repeatedly occurred all over in Jeolla province in May, 1455. The medium level earthquakes occurred in April 13th and May 18th, and the stronger Nagan earthquake, in January 15th 1455. Second, the highest number of frost in a year (30 observations) occurred during April 3rd~June 5th (64 days) in 1520. They were centered on Jeolla province and spread to Gyeong-gi, Chungcheong, Hwanghae and Gangweon provinces. This indicates a possible connection with the earthquakes in the west coast region in April 4th and other 28 observations in April and May. The huge Hanyang earthquake that effected the whole peninsula in June 22, 1518 (31 observations) and 1519 (31 observations) are thought to be also connected to the frost records. This study is a synthetic restructure of the historic meteorological records of Joseon focused on frost. It is hoped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frost and earthquakes will be further studied to enrich the study of meteorological calamities of the Korean peninsula. 이 글은 조선시대 역사서리 기상기록의 통사적 연구이다. 조선왕조실록(1392-1910, 519년간)에서 서리기상기록을 총 694건의 연대기 목록표로 구축하였고, 이를 갖고 월별 분포, 시기별 분포, 지역별 분포를 분석하였다. 연중 어느 시기에 가장 많은가를 보기 위해 월별 분포를 살펴보면, 늦서리는 5월(36%) 과 6월(17%)에 이은 4월(14%)이 많고, 올서리는 9월(14%)과 10월(10%) 중심이다. 월상하반 분포로는 5월 상반(19%)과 9월 하반(9%)에, 월상중하순 분포로는 5월 중순(13%)과 10월 상순(7%)에 집중된 양상이다. 음력월 분포는 4월(35%)과 5월(18%)에 높고, 6월(4%)은 미미하며, 가을은 8월(17%)에 몰려있다. 이런 음양력 분포 대비상 속칭 ‘오뉴월 서리’의 기상속신은 양력 관점으로 추론되고, 조선초에는 남자의 6월 서리로 시작하였다가, 영조 원년(1725) 부터 여자의 5월 서리가 회자된 것을 보았다. 왕력 분포로는 중종대(20%)와 인조(11%), 숙종대(15%)가 가장 높지만, 연간 빈도율로는 현종대(5.0건)와 태종, 단종, 중종대(3.5건)가 가장 높았다. 반면 0.5건 이하인 세조, 성종, 연산, 광해, 정조대 및 기록이 거의 없는 19C 왕들은 상재에서 벗어나 있다. 시기별 변동을 살피면, 100년단위 분포로 17C(240건, 35%)가 가장 높고, 16C(206건, 30%), 18C(122건, 18%), 15C(111건, 16%), 19C(4건, 0.6%)의 순으로 변동하였다. 50년단위 분포로는 지그재그식 쌍봉형 그래프 형태이되, 조선전기 중종대의 ③16C전반(156건, 23%) 이 가장 극심하고, 임란 후 17C전반 인조반정부터 급증하다, 경종-숙종초기의 ⑥17C후반(143건, 21%)에 더욱 절정에 이르며, 18C전반 영조초기까지 여전한 기세를 유지하였다. 18C후반 영조후기-정조대에 가서야 누그러지고 19C는 완전히 쇠진하였다. 10년단위 변동에서 조선전기는 Ⅰ극최고조기인 중종 1520년대(82건)를 포함한 종종 1510년대~선조 1560년대까지 장장 60년간 높은 최고조 재해기 양상이었고, 조선후기는Ⅰ극최고조기의 인조 1640년대(50건), Ⅱ최고조기의 현종 1660년대(49건), 숙종 1670년대 (41건)를 포함하여 인조 1620년대~영조 1750년대까지 무려 140년간 최장기 서리재해 지속 기였고, 반면 이후 1760년대~1900년대의 150년간은 안정화된 국면을 유지하였다. 다음 한양기준 가을 첫서리일의 장기추세를 보기 위해 실록에서 65년치 자료를 수립한 뒤, 이를 조선후기의 승정원일기(1623-1910) 231년치 자료로 결합하고 50년단위변동을 살펴, 전반적으로 지그재그형 저고식 상승 변동을 하는 흐름을 구하였으며, 14C말~16C 전반은 매우 이른 9월 중하순 시일(9.14~9.24일)을 보였고, 16C후반~18C전반은 10월 초순 (10.3~10.8일)으로 늦춰지고, 18C후반~20C초는 10월 중순(10.9~10.14일)으로 더욱 늦춰지는 온난화 방향의 추세 변동을 보였다. 다음은 조선조(1392-1904) 1,490건의 지진기록목록으로 서리기록과의 시기별, 지역별 상관성을 조사하였다. 100년단위 비교분석에서 서리와 지진 양자가 유사하게 가운데가 볼록한 산봉형 분포를 보였고, 다만 서리분포에서 17C가 고점인 것은 고강도지진의 발생율 분포에 대응한 것이고, 16C가 그 다음 고빈도율인 것은 저강도지진의 발생율 분포에 연동한 현상이라 분석되었다. 50년단위 시기별 비교로는 양자가 동일하게 ③16C전반과 ⑥17C후반의 두 곳이 높은 쌍봉형 분포였고, 또한 ③16C전반이 가장 높은 점도 동일하였다. 저점 구간 역시 지진은 E② 15C후반, E⑤17C전반, E⑧18C후반에서, 서리는 F②15C후반, F④16C후반, F⑧18C후반에서 형 ...

      • 유독성 미술재료가 인체에 미치는 환경적 문제점과 대책

        김일권 여수대학교 1999 論文集 Vol.14 No.2

        Toxicity substances used by the artist may enter the body by means of ingestion, respiration/aspiration, and absorption through the skin. The effects can be acute and /or chronic in nature. Exposure can cause brain damage and mental illness as well as other physical harm and illness or even death. The hazardous materials that the artist may come in contact with may be in some toxic categories. The artist who wants to take advantage of its unsurpassed properties can handle it with safety, as have countless generations of painters, by following two simple rules : (1) buy it only in oil paint or oil color form and never handle the dry pigment or employ it for any purpose: (2)after using falke white, clean the hands and fingernails thoroughly before touch food. Phrhaps the most hazardous materials encountered by painters and sculpters in recents years can be found among the large list of volatile solvents, so strictly speaking these kinds of things are toxic that need ventilation on working art for our healthy life.

      • KCI등재

        現代汉语名词性补语构式研究--- 以“V+得+一+量+AP+NP”结构为例---

        김일권,장진개 한국중국문화학회 2014 中國學論叢 Vol.42 No.-

        “V+得+一+量+AP+NP”是现代汉语中常见的一种结构,同时又有其独特特点。 本文以结构主义为基本理论基础,利用一些操作性比较强的方法来分析了本结构的语法特征,尽量对本结构进行全面的分析并进行了下位小类分析。 进入“V+得+一+量+AP+NP”结构的动词大都为二价单音节动词,而且这些动词都有【后天习得】【身体部位动作】【自主】【持续】等语义特征。能进入这个结构中的量词大都为身体部位的借量词,而且几乎全部是单音节的。这从韵律上对结构中的数词只能为“一”起到了一定决定作用。这个结构中的AP的中心词也大都为单音节形容词,且具有【—可控】/【-自主】【-自变】【+述人】【+抽象】等语义特征。AP和NP之间的“的”字出现与否,AP中心词的音节数起了很大作用,如果AP中心词为单音节,“的”字一般不会出现,如果是双音节或者四音节“的”字一般会出现。根据V+NP支配关系本文将“V+得+一+量+AP+NP”结构分为了(1)V+得+一+量+AP+NP结果(2)V+得+一+量+AP+NP工具(3) V+得+一+量+AP+NP受事等三个小类。同时根据AP的中心词的语义指向,将“V+得+一+量+AP+NP”结构分为了(1)“V+得+一+量+AP指向NP+NP”(2)“V+得+一+量+AP指向V+NP”(3)“V+得+一+量+AP指向V和NP+NP”三个小类。“V+得+一+量+AP+NP”结构的主要语法功能为充当谓语,其次为定语和宾语,偶尔可以作主语。

      • 한국 윷의 문화사와 윷판암각화의 천문사상 : 임실의 윷판암각화 발굴과 천문의 도시 단상을 붙여

        김일권 한국암각화학회 2014 한국암각화연구 Vol.18 No.-

        이 글은 전북 임실군 상가윷판유적의 발견과 조사(2014.4)를 계기로 한국 윷판암각화의 연구 사 및 그 분포 상황을 살펴보았으며, 그와 함께 한국사 자료에 나타난 윷의 문화사를 개괄하고 서, 윷판이 지닌 천문사상적 해석 구조를 논의하였다. 윷놀이는 가가호호 남녀노소가 어울려 노는 민족적 보편성과 매우 오래된 연원의 역사성을 지 닌 놀이문화이다. 현재까지 조사결과 윷놀이는 중국과 일본 뿐만아니라 세계 어느 곳에서도 한 국의 윷판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형을 지닌 놀이가 없을 정도로 매우 독특하고 한국적인 문화 체이다. 이런 때문에 윷을 표기하는 기록어 측면에서 대응하는 한자어가 없어 그 상형적 의미가 통하는 사(柶)라는 글자를 개발하였고, 음사할 때는 뉴(杻), 유치(遊齒), 유(臾) 등으로 기록하기 도 하였다. 또는 중국고대놀이 중에서 비슷하다고 여겨진 저포(樗蒲)로 기록되었다. 그러나 저 포는 격자형태를 지닌 오목 놀이여서 우리의 윷판과는 전혀 같지가 않다. 가장 오래된 기록은 백제에 윷놀이가 있었음을 기록한『수서』와『북사』의 기록이며, 이를 뒷 받침하는 윷판암각화 연구는 고구려와 백제 및 신라에서 공히 윷판유적이 존재함을 보여주고 있다. 윷을 노는 문화가 세시풍속으로 전승되고 있음을 채록한 문헌기록은 고려말 문집에서부터 널리 보이며, 13세기 이규보의『동국이상국집』과 14세기 이색의『목은집』등에서는 생생한 윷놀이 장면이 묘사되어 있으며, 주목되는 점은 그 시기가 조선 후기에 보이는 정초 설날과 대보 름 시기가 아니라, 도교적 수경신 문화에 따른 연말 12월 경신일에 전개된 세모놀이라는 점이다. 이렇게 연말과 연시라는 해가 바뀌는 시점에 노는 놀이문화로 전개되었는데, 여기에는 윷놀이 자체가 지니는 천문학적 원리로 인해 매년 맞이하는 시간변화의 주기성을 천문놀이로 승화하고 강화하는 관점이 깔려있는 것이라 고찰되었다. 곧 윷놀이에서 종점으로 나가는 네 길은 춘하추 동 사계절의 태양주천운동을 상징하는 바이고, 원형의 29점으로 구성된 윷판 자체는 중심점의 북극성과 이를 둘러싼 사방위 북두칠성을 결합한 북두주천도를 형상화한 것이었다. 이렇게 태 양과 북두의 천문원리를 부여한 윷놀이는 우리 한국 고대인이 개발한 최초의 우주론 모식이라 할 것이며, 그에 따라 시간의 변화 마디를 보이는 연말연초에 윷놀이를 매년 되풀이함으로써 그 천문성과 놀이성을 기리는 것이라 해석되는 것이다. 끝으로 도개걸윷모가 지닌 윷말의 의미를 고찰하면서, 통상 염소로 해석되는 걸은 실상 가축명이 아니라 고구려 오가제도에서 연원된 대 가의 의미이며, 따라서 걸은 크다라는 의미를 지닌 우리말임을 고찰하였다. 더불어 모윷걸개도 의 윷말은 고구려에서 동서중남북을 일컫는 방위명칭일 수가 있음을 국내 최초로 제기하였다. This paper is prepared for researching of Korean yut-pan petroglyph distribution and its research history, also Korean history and culture of yut-nori as a Korean typical board game upon a discovery and survey of Sang-ga yut-pan relic in Imsil Korea. In Korea the game of yut-nori is the most famous folk game. We Korean all of men and women or both young and old are playing yut game during every new year season at home and home or village and village. This yut game was recorded old as time, during Baek-je kingdom period of the Threekingdom ages in ancient Korea. Some Confucian scholars of the later Koryo dynasty have written vividly about yut game situation at their literary collections. It is important point that their gaming time was different from todays. They Koryo people have a game during the end of the year, on the other hand, now Koreans game the beginning of the year. Upon investigation, I found that yut-pan board itself was composed with combinations of one center polaris star and four constellation of the Big dipper. This astronomical composition corresponds to 29 dots of round shape of yut-pan board. Ancient Koreans observed the Big dipper diagram of diurnal motion every day, every year and may reconstitute the motion principle itself as a board of yut-pan. An amazing observation like this was projected onto the yut game and the board. Last, I discussed about the five terms origins of yut horses. As a result, I argued that the terms themselves were originated from Koguryo five tribes names. Among them, the term of gul may have means of big or center and middle. So, to my study, each the five yut terms of do, gae, gul, yut and mo are corresponding with pig, dog, big, ox and horse.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조선후기 도교 권선서의 삼제군 신격과 명청대 국가의례 전개 고찰

        김일권 한국도교문화학회 2019 道敎文化硏究 Vol.51 No.-

        This study examines the deification process of the Three Divinities of Daoism, based on two texts published in 1880, Gwahwajonsin (Passing Influences of Immortal Existence) and Samseonghun'gyeong (Precepts of Three Immortals). This paper focuses on the most visible aspect of the time, that is the deification process of the Three Deities. For this, it explores the development of the inner spread of Daoist deification to obtain public recognition and to enter into the system of state ancestral rites of Ming and Qing dynasties. This Daoist deification may have played a role for the major shift in the religious life of the 19th century Joseon society. The study resulted in the discovery of Munchang-Jaedong Deity in the form of joint belief system of Munchang Star Deity and Jaedong Deity. This system had long existed since the Tang and Sung periods and came to reach the highest position among Daoist deities in Yuan dynasty. This joint deification intended to enhance the belief in Munchang's literary achievement and secular establishment and Jaedong's loyalty and filial piety. This perspective is reflected in the section of Munchang Deity of Samseonghun'gyeong. Another deification is related to Sunyang Buwu Deity which originates from Yeo Sun Yang, a renowned Daoist practitioner at the end of Tang and the beginning of Northern Sung. He was deified and believed to protect and help the poor, and eventually reached the highest rank in 1310. The latest of the Three Daoist Deities is Chung'ui Gwanseong, whose nomination came in 1614 late Ming. He was then designated as Chung'ui Sinmu Gwanseong Deity to enhance military characteristics in 1652 in the beginning of Qing. Hence Gwanseong became one the most revered Daoist deities during Qing, when they produced a large number of books on virtuous practice, and Gwanseong became the first Religious Preceptor in 1853. The Daoism-oriented Qing society during the 17~19th centuries with such prolific activities as publications related to the Three Deities likewise influenced late Joseon 19th century. Among many books of this kind, Joseon produced Samseonghun'gyeong, in which the Three Deities were molded into the form of three-legged cauldron. In this way the three paragons of virtue were rightly balanced: Gwanseong as the protector of the country and people, Munchang as the filial son with literary achievement and officialdom, and Buwu as the final winner who overcomes all difficulties and attains immortality. The fact that these three deities originate from real historical figures, who transformed to be divine through deification process indicates the following two points. One, the basis of deification is the history and historical records. Two, it contains the deeply rooted Daoist belief in the human-deity cycle, by which the historical heros come back to save people in this world. 본 연구는 한중연 장서각 소장본 『과화존신』(1880)과 내용상 가장 유사한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 『삼성훈경』(1880)을 중심으로 그 내용적 체제와 특히 이 시기 가장 두드러지는 도교 삼제군(三帝君) 신격의 전개 과정을 살펴보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특히 명청대 국가의례에서 이들 도교신격이 어떻게 입전되고 전개되는 지를 알아봄으로써 도교의 내적 신격 확산과 더불어 사회적 공인의 국행례 체제로 편입되는 면모를 더듬고자 하였다. 이는 청나라와 동시기인 19세기 조선후기의 종교사회를 크게 변모시키는 일정한 역할에 대해 가늠하는 일환이다. 그 고찰 결과, 삼제군 중 가장 먼저 주목된 신격은 문창재동제군(文昌梓潼帝君)으로, 내원이 전혀 다른 천문 성수로서의 문창성신(文昌星神) 신앙과 사천성 재동현의 충절효덕한 재동신(梓潼神) 신앙이 결합되면서 파생된 복합형태였다. 이미 당송대에 주목되었고, 원나라 인종대 도교에서 ‘문창사록굉인제군’(1316)이라는 최고의 제군(帝君) 반열로 가호되었다. 이 복합형태로 말미암아 문창재동제군은 문창성신이 지닌 작록과 과거 출사의 현세구복 공능에다 재동신이 지닌 충절과 효덕의 성격이 더해진 신격으로 신앙되었다. 이 관점이 『삼성훈경』의 문창제군편에 반영되어 있다. 다음 순양부우제군(純陽孚佑帝君)은 당말북송초에 내단수련가로 저명하였던 여순양(呂純陽)이 신화(神化)되어서 하계의 백성을 보우한다는 믿음을 지니고, 역시 원나라 무종대 도교에서 ‘순양연정부우제군’(1310)이라는 최고의 제군 반열로 가호되었다. 마지막 충의관성제군(忠義關聖帝君)은 명청대 『도장(道藏)』에 수록되지 않았을 정도로 삼제군 중 가장 늦게 부각된 신격이며, 명말 신종대에 비로소 ‘삼계복마대제관성제군’(1614)의 제군으로 가호된 신격이고, 청나라 초기 세조대에는 ‘충의신무관성대제’(1652)라는 무신(武神) 성격이 강화되었다. 이런 17세기의 흐름을 따라 관성은 청대 도교에서 가장 주목된 신으로 전개되어, 가장 많은 권선서를 생성하였을 뿐만아니라 국가제례에서 가장 먼저 중사(1853)로 승격되었다. 더불어서 문창제군도 곧이어 중사(1856)로 승격함에 따라 청나라 후기에는 관성과 문창 중심의 국가 치제가 이루는 국면을 보였다. 바로 이런 17~19세기 청나라 국가와 민간 도교 배경 속에서 많은 삼제군 관련 권선서가 출현하였으며, 이를 19세기 조선후기 사회가 수용하여 역시 다량의 권선서를 생성한 것이라 보게 된다. 『삼성훈경』(1880)은 이 삼제군 신앙을 세솥발 형상으로 재구성하여, 충절보국(忠節保國)과 복마대제(伏魔大帝)로서의 관성제군을 가장 중시하였고, 다음 지효숭문(至孝崇文)과 홍인대제(弘仁大帝)로서의 문창제군을 숭봉하였고, 끝으로 대중을 구겁구난(救劫救難)하고 수행등선(修行登仙)하는 부우제군을 갖추어 신행하였다. 이들 삼제군이 역사상 실제 인물에 기반을 두고 신화(神化)된 면모에서 고거주의적 역사신화론 관점이 짙게 배여있고, 또한 종국에는 하늘의 최고 신격으로서 다시 이 세상에 현시하여 대중을 구제한다는 인신(人神) 승강의 도교적 순환신화론 특성을 깊이 담고 있다.

      • KCI등재후보

        강압형 컨버터를 이용한 70W CDM 램프용 전자식 안정 기의 개발

        김일권,길경석,김진모 한국정보통신학회 2002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6 No.7

        본 논문은 70[w]급 세라믹 방전관 메탈할라이드 램프용 전자식 안정기의 설계 덴 제작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개발한 안정기는 정류회로, 능동성 역률개선회로, 하프브리지 인버터, LC 공진회로 및 제어회로로 구성되며, 램프의 재점등에 필요한 타이머 기능을 부가하였다. 점등시 램프에는 음향공명현상 과 플리커 현상 을 피하기 위하여 40[kHz]의 고주파 전압이 인가되도록 하였다. 실험결과로부터 역률과 효율은 각각 99.8[%] ,93.1[%]로 평가되었다. This paper deals with a design and fabrication of an electronic ballast for 70[W] ceramic discharge metal halide lamps. The proposed ballast is composed of a rectifier, an active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PFC), a half-bridge inverter, a LC resonant circuit and a microprocessor. The developed ballast also includes a specially designed time circuit which provides reignition signal of lamps. Running frequency of the ballast is .jet at 40[kHz] to avoid acoustic-resonance and flickering.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input power factor and efficiency of the ballast are estimated 99.8[%] and 93.1[%], resp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