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지회탐방-대구경북지회

        정소영,Jeong, So-Yeong 대한에이즈예방협회 2007 레드리본 Vol.75 No.-

        글을 시작하기 전에 본인은 <대한에이즈예방협회 대구경북지회 56일째 인턴사원 정소영>임을 밝히며, 지금부터 우리 지회가 잘 돌아가는 이유 3가지를 펴 놓고자 하니. 모두들 눈 쫑긋 가슴 쫑긋 하시길.

      • KCI등재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자아탄력성을 매개로진로 장벽에 미치는 영향

        정소영,김미경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3

        The Effects of Social Stigma on Career Barriers ThroughEgo-resiliency Among Out-of-school AdolescentsSoyoung Jeong & Mikyoung Kim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duce social stigma and career barriers for out-of-school adolescents and increase their ego-resilience by verifying the impact of perceived social stigma on them and providing basic data for developing the promotion program for them. To this end, SPSS 23 and Amos statistics programs were used using data from 278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NYPI’s Youth panel surve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social stigma perceived by out-of-school adolescent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on career barriers and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on ego-resilience. Second, the ego-resilience between social stigma and career barriers was partially mediated. Based on these results, countermeasures were proposed to lower the social stigma and career barriers of out-of-school adolescents. Key Words: Out-of-school Adolescents, Social Stigma, Ego-resiliency, Career Barriers, Panel Survey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자아탄력성을 매개로진로 장벽에 미치는 영향정 소 영*ㆍ김 미 경** 요약: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이 인식하는 사회적 낙인감이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진로 장벽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여 관련 변인 간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고, 학교 밖 청소년 대상 지원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NYPI의 학업 중단 청소년 패널조사에 참여한 278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SPSS 23과 Amos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학교 밖 청소년이 인식하는 사회적 낙인감은 진로 장벽에 정적 영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자아탄력성은 진로 장벽에 부적 영향을 나타내었다. 둘째, 사회적 낙인감은 자아탄력성을 매개하여 진로 장벽을 부분 매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과 진로 장벽을 낮추기 위한 대응 방안을 제언하였다. 핵심어: 학교 밖 청소년, 사회적 낙인감, 자아탄력성, 진로 장벽, 패널조사 □ 접수일: 2022년 4월 18일, 수정일: 2022년 5월 27일, 게재확정일: 2022년 6월 20일* 주저자, 경상국립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강사(First Author, Lecturer, Gyeongsang National Univ., Email: meg2208@hanmail.net)** 교신저자, 경상국립대학교 인권사회발전연구소 전임연구원(Corresponding Author, Researcher, Gyeongsang National Univ., Email: night4@hanmail.net)

      • KCI등재

        형사사법에서의 인공지능 사용에 대한 유럽의회 결의안 - ‘인공지능에 의한 결정’ 금지에 관하여 -

        정소영 한국형사정책학회 2022 刑事政策 Vol.34 No.2

        As artificial intelligence(AI) is used in criminal justice, experts in the field of technology who value the objectivity of AI and people of color who have been victims of discriminatory judicial judgments have shown a preference for judicial decisions of AI over human judges. However, the data that AI learns through machine learning is nothing more than a collection of past law enforcement records. In other words, it is data that reflects the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of the past. AI learned from such data is difficult to derive fair prediction results. Therefore, using the output as it is without making any corrections poses a risk of doing great injustice under the guise of technical, objective, and neutral science. The European Parliament's Resolution 2020/2016(INI) of October 2021 is located at this point. It insisted that the decisions made by AI should not be used as it is in criminal matters until it can be trusted that AI with transparency and accountability does not harm the fundamental rights of citizens. Above all, EU citizens have the‘right not to be subject to decisions based solely on automated processing’by GDPR Article 22 and Law Enforcement Directive Article 11. This resolution of the European Parliament has a special legal character reaffirming this right in the field of criminal justice. However, in the long term, it is expected that the number of cases of AI support in the criminal justice system will increase due to lack of budget, human resources and delayed cases. So, what position should we take on the hybrid decision of machines and humans? The European Union is reluctant to follow the past cases that triggered legal and ethical problems with AI by entrusting it to self-regulation by private companies. They seek to protect the fundamental rights of citizens and align with the ideals of criminal justice by strengthening the transparency and accountability of AI through public intervention. The European Parliament resolution 2020/2016(INI) of October 2021 is a noteworthy document that sets out such a goal in the field of criminal justice. 인공지능의 객관성을 높이 평가하는 사람들은 형사사법에서도 인공지능이 순기능을 할 수 있다고 평가하고, 그동안 차별적 사법판단의 희생양이었던 유색인종 등사회적 약자들은 인간 판사보다 인공지능의 사법적 판단을 선호한다고 한다. 그러나인공지능이 머신러닝으로 학습하는 데이터들은 과거의 법집행 기록들을 모아놓은것에 불과하다. 즉 과거의 편견과 차별이 그대로 반영된 데이터인 것이다. 이런 데이터로 학습한 인공지능은 공정한 예측 결과를 도출하기 힘들며, 인공지능이 내린 결정을 형사사법에서 그대로 사용하는 것은 기술적·객관적·중립적 과학이라는 탈을쓰고 엄청난 불의를 행하는 것이 될 수도 있다. 2021년 10월의 유럽의회 형사사법 인공지능 결의안은 바로 이 지점에 위치하고있다. 즉, 투명성과 책임성을 탑재한 인공지능이 도입되어 시민의 기본권에 아무런해도 입히지 않는다는 것을 신뢰할 수 있을 때까지 형사재판에서 인공지능이 내린결정을 그대로 사용해서는 안 된다고 못박은 것이다. 또한 유럽의회의 이번 결의안은 기존의 유럽연합 개인정보보호법 체계를 형성하고 있는 GDPR과 법집행지침(LED)이 각각 제22조와 제11조에서 보장하고 있는‘자동화된 처리에만 의존하는결정의 대상이 되지 않을 권리’를 형사사법 분야에서 다시 한 번 확인하는 특별법적성격을 가지고 있다. 본고는 편견과 차별, 투명성, 책임성이라는 3가지 측면의 선결 과제들이 해결될 때까지는 형사사법에 인공지능이 도출한 결과를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는 유럽의회의 결의안과 궤를 같이 한다. 이러한 결론은 편견과 차별로 오염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예측 치안(predictive policing) 인공지능이 인간의 존엄성과 무죄 추정에위배되므로 앞으로 제정될 유럽연합 인공지능법의 ‘금지되는 인공지능 관행(Prohibited Artificial Intelligence Practices)’에 추가되어야 한다는 2022년4월의 유럽의회 인공지능법안 수정안의 발표로 더욱 그 타당성이 뒷받침된다. 본고는 최근 발표된 일련의 문서들에 대한 검토를 통해 그동안 주로 가이드라인이나 인공지능 윤리 차원에서 인공지능을 규제했던 유럽연합이 이제는 법률을 통해강력한 규제를 꾀하고 있으며, 특히 현재로서는 형사사법에 인공지능에 의한 결정을도입해서는 안 된다는 결론을 최종적으로 내렸다는 점에 주목한다. 2021년 10월의유럽의회 형사사법 인공지능 결의안은 이러한 최종적 입장을 잘 드러낸, 주목할 만한 문서라 할 것이다.

      • KCI등재

        유비쿼터스 환경의 프로브 차량 정보를 활용한 표본 OD 전수화 (제주시 시범사업지역을 대상으로)

        정소영,백승걸,강정규 대한교통학회 2008 大韓交通學會誌 Vol.26 No.4

        최근 교통ㆍ물류 분야에서도 유비쿼터스 환경의 정보수집체계 및 이를 응용한 서비스 개발의 필요성이 매년 높아지고 있다. 프로브 차량과 무선통신기술을 활용한 교통정보 수집체계는 그 대표적인 사례로 차량의 기종점 자료를 이용하여 시간대별 OD를 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프로브 차량 정보를 활용하여 산정된 OD는 시간적ㆍ공간적으로 변동되는 표본OD이기 때문에 이를 정적OD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수집정보를 집적하여 적정 표본율을 산정하고, 표본OD를 전수화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제주시를 대상으로 수집된 실제 데이터를 표본OD 산정 및 전수화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표본OD를 산정하고 이를 전수화하였다. 각 링크별 관측교통량과 배분교통량과의 오차를 비교 검토한 결과 링크별 관측교통량과 배분교통량의 평균 오차율은 22.9%, 상ㆍ하위 10%의 이상 자료를 제거한 후의 평균 오차율은 17.6%로 각각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OD가 존재하지 않는 지역에서 프로브 차량의 경로정보를 활용하여 정적OD를 산정하였다는 점과 적정 오차율 내 수렴을 위한 적정 표본율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Information collection systems and applications in a ubiquitous environment has emerged as a leading issue in transportation and logistics. A productive application example is a traffic information collection system based on probe vehicles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Estimation of hourly OD pairs using probe OD data is a possible target. Since probe OD data consists of sample OD pairs, which vary over time and space, computation of sample rates of OD pairs and expansion of sample OD pairs into static OD pairs is required. In this paper, the authors proposed a method to estimate sample OD data with probe data in Jeju City and expand those into static OD data. Mean absolute percentage difference (MAPD) error between observed traffic volume and assigned traffic volume was about 22.9%. After removing abnormal data, MAPD error improved to 17.6%. Development of static OD estimation methods using probe vehicle data in a real environment is considered the main contribution of this paper.

      • KCI등재

        장애학생의 일반교육과정 접근을 위한 AAC 활용에 관한 국내외 문헌분석

        정소영,김주성,이영선,박은혜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22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8 No.2

        This study aimed to explore AAC application strategies for general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by reviewing AAC research conducted in the context of inclusive and subject-matter education for the last 10 years. Through the systematic selection procedure, 6 Korean and 18 international studi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e reliability was secured by repeatedly checking whether there was any discrepancy between researchers. From the result of analysis, we found that the AAC research promoting access to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ve been continuously conducted, and the research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utism and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the most frequently reported. Second, high-tech and apps with fixed displays were used in many AAC studies. Third, the AAC intervention with evidence-based practices were able to facilitate and enhance phoneme knowledge, spelling knowledge, acquisition of sight words, and text comprehension as well as communication. Last, only international studies dealt with AAC linked to IEP and curriculum. Based on these results, discussion and implications for practices and future research were provided as follows: 1) link AAC to the IEP/curriculum in Korea, 2) application of AAC in the inclusive classes and learning activities for more subjects, 3) use of AAC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t various school levels and for students with moderate disabilities, 4) building evidence-based practices of using AAC in inclusive educational settings, and 5) empowering various communication partners, specifically raising awareness of partners and enhancing their capabilities. 본 연구는 최근 10년간 보완대체의사소통(AAC) 관련 국내외 연구의 통합교육 및 교과교육 적용을 분석하여, 통합교육 내에서 활용되는 AAC의 전반적인 동향, 기기 활용, 교수 목표에 따른 중재 방법 등 최선의 적용방안을 도출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국내 6편, 국외 18편의 논문을 분석하고, 연구자 간 불일치 여부를 반복적으로 확인하여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연구 결과, 장애학생의 일반교육과정 접근을 위한 AAC 활용 논문은 꾸준히 이뤄지고 있었으며 초등학교 자폐성장애, 지적장애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하이테크와 앱을 사용하여 도구적 상징을 포함한 고정 디스플레이로 중재한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AAC는 증거기반의 실제와 같이 제공되었을 때 의사소통뿐 아니라 음소지식, 철자지식, 일견단어 습득, 글 이해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국외 연구에서 개별화 교육계획과 교육과정에 AAC를 적용하려는 노력이 많이 이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사항을 논의하였다; 1) 국내 AAC 연구의 개별화교육계획(IEP) 및 교육과정과 연계 필요성, 2) 통합학급 수업 및 교과 학습 활동에 적용 노력의 필요성, 3) 중도장애 학생뿐 아니라 다양한 학교급의 장애학생 대상 AAC 연구의 필요성, 4) 통합환경에 적합한 AAC 활용 증거기반의 실제 확립 필요성, 5) 통합환경 내 다양한 의사소통 상대자의 인식 변화와 역량 강화 필요성.

      • KCI등재

        "료(了)"의 문법적 다의성에 관한 소고 -미래시간표현을 중심으로

        정소영,이명숙 한국중국언어학회 2012 중국언어연구 Vol.0 No.42

        本文主要考察"了"在將來時使用的語法意義和所受到的限制。發現"了"在下面六種情況下和副詞或助動詞一起使用才能出現在將來時態。1)和具有將來意義的時間副詞一起使用的情況, 2)沒有時間名詞只有副詞的情況, 3)和否定副詞一起使用的情況, 4)在假設的情況下, 5)和能愿動詞一起使用的情況, 6)沒有其타副詞或時間名詞, 只有"了"的情況, 這種情況的意義是表達說話人和聽話人之間的一種親密感, 幷提供這種情況馬上就要發生。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