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殊異傳의 撰述本과 傳承 연구

        곽승훈 진단학회 2011 진단학보 Vol.- No.111

        There are two compilations of Suijeon(殊異傳) remaining today; one is Gobon Suijeon(古本 殊異傳) written in the 9th century during Silla(新羅) and the other Suijeon compiled by Park In-ryang(朴寅亮) during Goryeo(高麗). The former was read by Il Yeon(一然), who made lots of quotations of some of its content in his Samgukyusa(三國遺事). The latter added stories about the Gaya(伽倻) region to the former and seems to have been part of Park In-ryang's Gogeumrok(古今錄), which is considered to have been stored in a secret storage. It was read by Gak Hun(覺訓) and Lee Seung-hyu(李承休) during Goryeo and Seo Geo-jeong(徐居正) and Seong Im(成任)during Joseon(朝鮮). Gwon Mun-hae(權文海) seems to have re-quoted Suijeon instead of personally reading it. It was Confucian scholars and Buddhist priests that compiled or quoted Suijeon. They wrote history books as historiographers or figures related to history. Thus Suijeon contains two distinct parts; one is historical facts different from authentic history, and the other strange stories. It reflects the intention of historians that wanted to collect what was left out of authentic history and record it. They added strange stories too in order to warn themselves of an inclination toward Neo-Confucianism and accordingly loss of the ruler's qualifications. 고본 수이전은 9C 신라 때 편찬되었으며, 고려시대에는 박인량이 이를 증보한 것으로 확인된다. 또한 박인량의 수이전은 秘府에 간직하였다는 고금록의 한 부분이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그리고이것이 계속 전해져 고려시대에는 각훈과 이승휴가, 조선시대에는 서거정과 성임이 열람하였다. 권문해는 수이전을 직접 열람한 것이 아니라 서거정과 성임의 저술에 반영된 내용을 재인용한 것으로여겨진다. 수이전을 찬술하고 또 인용한 사람들은 유학자와 승려들이었다. 또한 그들은 史官으로서 혹은관련된 사람으로서 역사서를 편찬하였다. 이런 때문에 수이전은 正史와 다른 역사적 사실과 奇異한이야기의 두 가지 성격이 담겨있었다. 이는 역사가들이 正史에서 빠진 것을 모으고 버리지 않으려는의도에서였다. 기이한 이야기를 담은 것은 성리학에 편중되면 통치자로서의 자격을 잃게 되는 것에대한 경계였다. 수이전은 이후 여러 책에 인용되면서 사학사상으로 볼 때 많은 영향을 주었다. 삼국유사가 많은 내용을 반영한 것에서 보아 큰 영향을 받았는데, 그것은 遺事가 逸事를 모은 것이라는 점에서 그성격을 사실상 계승하고 있기 때문이다. 제왕운기와 해동고승전에도 많이 참고되었다. 고려시대에는 정치사는 물론 불교사 서술에 지속적인 영향을 주었다. 조선시대에는 삼국사절요에 정사와 다른 경우로서 역사적 사실이 존중되어 역사편찬에 남을 수있었다. 또 이 시기에는 불교적 영험 요소가 대체로 배제되었지만, 다른 내용들이 전기문학의 잡기편찬에 반영되어 유학자들의 편벽성을 극복하는 요소로서 활용되었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해동고승전』 안함전 연구

        곽승훈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4 한국고대사탐구 Vol.17 No.-

        Anhamjeon(安含傳) of Haedong Kosung Chon( 海東高僧傳) was written by Gak Hun(覺訓) based on the biographical writings estimated to be Anhambi(「安含碑」) and Anhamjeon(「安含傳」). Anham(安含) went to China for further study in 601 and studied there for five years. After returning with Indian Buddhist priests such as Kapimala(毘摩羅), he spread the Buddhism in the country. Since then, many Buddhist priests went to India to study the Buddhism. Gak Hun thus evaluated Anham as the saint that spread the Propagating Buddhism. Anham wrote Chamseo( 讖書) that predicted the future and contained content all related to the authority of the king and the safety of the country. Gak Hun thought highly of his power to foresee, saying that all the content of the book was accurate. Gak Hun wrote Anhamjeon to grant the legitimacy of Silla becoming a Buddhist nation through the high priest"s power to foresee. It exalted the greatness of Buddhism and also highlighted the need for the defense of the constitution for the country. Ilyeon(一然) did not include biographies of Anham and Anhong(安弘) in his Samgukyusa( 三國遺事) probably because he failed to obtain new materials. In that context, Gak Hun"s compilation of Anhamjeon based on the content of Anhambi holds great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historiography studies as well as in the understanding of Buddhist history of Silla. 『海東高僧傳』 安含傳은 「安含碑」와 「安含傳」으로 추정되는 전기물을 바탕으로 覺訓이 찬술하였다. 安含은 601년 중국에 유학하여 5년간 공부한 뒤, 인도 승려 毘摩羅등과 함께 귀국하여 佛法을 전한다. 이후 신라에서는 인도로 佛法을 공부하러 가는 승려들이 많이 나왔다. 이에 각훈은 안함을 弘法을 펼친 聖人으로 평가하였다. 안함이 앞날을 예견하는 讖書를 지었는데, 모두 국왕의 權威와 국가의 安危와 관련된 내용이었다. 각훈은 讖書의 내용이 모두 명확하게 맞아들었다고 하면서 안함의 預知力을 높이 평가하였다. 각훈이 안함전을 찬술한 의도는, 高僧安含의 預知力을 통해 신라가 국가불교로 나아가야 하는 정당성을 부여하는 것이었다. 이는 불교의 위대성을 선양하는 한편으로, 국가를 위해서는 護法이 필요함을 역설한 것이다. 一然은 『三國遺事』에 안함과 安弘에 대한 전기를 立傳하지 않았다. 이는 일연이 새로운 자료를 얻지 못한 때문으로 여겨진다. 이런 점에서 각훈이 「안함비」의 내용을 토대로 안함전을 찬술하여 전한 것은 신라불교사의 이해는 물론 史學史上에 있어서도 그 의미가 적지 않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해동고승전』 각덕‧지명전 연구

        곽승훈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0 한국학논총 Vol.34 No.-

        This paper is what examined about the composing in Gakdeok(覺德)‧Myeonggwan(明觀)‧Jimyeong(智命)‧Damyuk(曇育) chon(傳) out of 『Haedong Kosung Chon』. Gakdeok and others returned after studying in China during King Chinhung(眞興王) and King Chinpyong(眞平王), then taught younger students and enlightened mankind, thereby having helped the king' sovereign. These monk's activity was what contributes to the early Buddhism, which was developed in Silla since Buddhism was officially approved during King Pophung(法興王). Since then, Buddhism was on behalf of traditional faith in Silla society, resulting in having led to prosperity of Buddhism. Furthermore, Gak Hun(覺訓) gave the thought-based significance that these monk's activity has as the completion of the early Buddhism in Silla. This matter can be known in light of the contents that Gak Hun compared these monk's studying in China to Propriety(禮) and Music(樂) in Confucianism learnt by Confucius and Chi Cha(季札). Through this, Gak Hun aimed to show the image of the ideal Buddhist nation through the description of the early Buddhist history in Silla and the harmony between nation and Buddhism, which had been developed since the official approval of Buddhism. In the meantime, Gak Hun's description of biography in these monks was what was formed in the middle of few materials. Nevertheless, Gak Hun examined the value that these people's activity has in the thought-based position, and gave its significance. In this sense, the criticism, which has been made in the meantime, namely, what Gak Hun failed to fully play a role as a historian while writing 『Haedong Kosung Chon』 is thought to be necessarily reconsidered. 이 글은 『해동고승전』 가운데 각덕‧ 명관‧ 지명‧ 담육전의 찬술에 대해 살핀 것이다. 각덕 등은 진흥왕대와 진평왕대에 중국에 유학하고 돌아온 뒤, 후학을 가르치고 중생들을 교화하여 국왕의 통치를 도왔다. 이들의 활동은 법흥왕대 불교 공인 이후 신라에 전개된 초기불교사에서 공헌을 하는 것이었다. 이후 신라사회에는 전통신앙을 불교가 대신하였으며, 불교가 번성하게 되었다. 나아가 이들의 활동이 가지는 사상사적 의미를 각훈은 신라 초기불교의 완성으로서 부여하였다. 이 점은 각훈이 이들의 유학을 공자와 계찰이 배운 유교의 예와 악에 비유한 내용에서 미루어 알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각훈은 불교공인 이후 전개된 초기 신라불교사의 서술과, 국가와 불교의 조화를 통한 이상적인 불교국가의 모습을 나타내고자 하였다. 한편 각훈의 이들 전기 서술은 자료가 적은 속에서 이루어진 것이었다. 이럼에도 각훈은 이들의 활동이 지니는 가치를 사상사적 위치에서 검토하고 그 의미를 부여하였다. 이런 점에서 그동안 비판해왔던 즉, 각훈이 『해동고승전』을 찬술하면서 역사가로서의 역할을 다하지 못하였다고 한 점은 재고해야 된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