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동사이동과 do-support

        조남호 忠州大學校 1999 한국교통대학교 논문집 Vol.34 No.1

        In this paper I describe the change of Verb Movement in English and the diachronic development of Modern English(MnE) periphrastic do. In Old and Middle English, the main verb raised to INFL or C, but English lost its overt V-raising ability in Early Modern English (EMnE).The scope of Verb Movement is determined by morphological properties of INFL. Weak INFL cannot attract a heavy element such as a main verb, though it can attract a light element such as an auxiliary, while strong INFL attracts any element. INFL is argued to be strong only if there are plural markings overt and different from singular ones. The loss of V-raising resulted from the changes of morphological features. INFL in OE is rich enough morphologically to attract a heavy element such as main verb. Strong features of OE INFL remained unchanged in Middle English (ME). In ME the system of verb morphology was affected by the same changes that affected uoun morphology. However, the distinction between singular and plural was retained in ME, although there was a good deal of leveling in the verb paradigms. Therefore, the inflectional system in ME was still rich enough morphologically to attract a "heavy" element. Early in the 16th century, the plural marking disappeared in English verb morphology and INFL became weak. Consequently, V-raising disappeared gradually in the EMnE period. We have argued that the development of do as an auxiliary is closely related to the less of v-raising. After the loss of v-raising, optional do developed as MnE auxiliary do for negatives, emphatics, and questions. In case there is no auxiliary verb, do is inserted under T to support the feature[+Neg]. It is argued that there is no NegP in English. Inserted of NegP, the feature [+Neg] is assumed under T. The emphatic do is also introduced in the EMnE after the loss of v-raising. When the verb cannot move to T, do must be EMnE to support the emphatic feature. The [+Q] feature of T must move to C in questions, but it cannot move without being supported by an overt element. A carrier is needed for a feature to move. Our basic assumption is that no feature can move alone without being supported by an overt element. In case there is no modal or aspectual auxiliary, do must be inserted under T as the "last resort" in order to support a feature of T, e.g.[+Neg],or[+Emp]

      • 법조동사의 문법화 과정

        趙南虎 충주대 2001 한국교통대학교 논문집 Vol.36 No.1

        In this study, I considered the status of "pre-modals" in OE and ME, and the process of grammaticalization of Modern English modals.I argued that there was no "modal" category in OE and OE pre-modals were ordinary main verbs.One crucial reason for this is that pre-modals behave exactly like ordinary, complement-taking verbs in OE.OE pre-modals belong to the inflectional class of "preterite-presents." Auxiliary verbs in Modern English cannot occur independently of other verbs.However, pre-modals occur without other verbs and take direct objects.Furthermore, pre-modals, unlike NE modals, are found in non-finite forms.All these facts show that pre-modals are ordinary main verbs.In ME, pre-modals continued to behave as main verbs.Therefore, pre-modals were able to take direct objects in ME. In Early Modern English, however, pre-modals came to lose their characteristics of main verbs, and they were reanalyzed as a new category, "modal," Lightfoot(1979:101) postulates that this reanalysis took place in the 16th century.He(1979:101-9) argues that the reanalysis of the pre-modals was provoked by a number of apparently unmotivated changes which isolated this particular group of verbs.He also argues that the pre-modals became identifiable as a unique class by virtue of these changes and the grammar reanalyzed it as a new category "modal" rather than retaining a class of verbs with numerous exceptional features.However, I think that the syntactic changes which Lightfoot sees as causes of reanalysis are consequences of the reanalysis of modal. Lightfoot considers that the most remarkable consequence of the reanalysis is the development of "quasi-modals." He notes that the reanalysis of the pre-modals created a vacuum, which the grammar immediately filled by creating a new set of semantically equivalent verbs.But I consider that the quasi-modals represent a second stage of grammaticalization of full verbs - verbs already existing in the language, not newly created.They are selected for grammaticalization because of their semantic equivalency to modals, but because of the later onset of grammaticalization, they have not yet acquired all the syntactic features of auxiliaries which follow from their semantic function.

      • KCI등재

        타카하시 토오루, 배종호, 한국유학사

        조남호 대동철학회 2011 大同哲學 Vol.55 No.-

        타카하시는 일제 강점기 식민관료였을 뿐만 아니라 학자였다. 그의 주리주기론은 여전히 한국철학사 연구에서 중요한 개념이다. 그는 주리주기론을 통해 한국의 당파성을 설명하려 하였고, 그것이 한국이 멸망하는 계기가 되었음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주리주기론은 이론적으로 모순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것에 대한 논의 자체가 쓸모없다는 것이다. 한국의 유학을 연구하는 학자들은 이것을 무시하고 주리주기론을 무비판적으로 쓰고 있다. 배종호는 주리주기의 문제점을 알고 있고, 그것을 비판하고 있다. 그러나 그는 이이를 주기적 기발일도설이라고 규정함으로써 여전히 타카하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주리주기란 개념을 벗어나기가 쉽지 않은 것이다. Takahashi is a occupation of the colonial bureaucracy as well as the scholars. His theory is Juri-Jugi. his research is still an important concept in a history of korea confucian philosophy. His theory trying to account for party affiliation, it has led to the fall of Korea is to prove that. Juri-Jugi theory has a theoretical contradiction, because the discussion itself, it will be useless. Studying confucian philosophy in Korea ignors this and write a rest period theory is uncritical. Bae Jong Ho knows the problems of that, and it has been criticized. However, he set Yi yi as gi bal il do seol in Ju gi meaning. He still has not departing from Takahashi.

      • KCI등재

        김창협학파와 진경산수화

        조남호 철학연구회 2005 哲學硏究 Vol.0 No.71

        김창협 학파와 정선의 진경산수화는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 관련성을 둘러싼 기존의 인식을 철학적으로 검토해 보고자 한다. 첫째는 진경산수화와 소중화론이다. 기존의 학계에서는 정선의 진경산수화를 율곡학파와 연계하면서 소중화론에서 나온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정선의 산수화는 명·청과의 교섭 속에서 진경산수화가 태어났다. 물론 진경산수화를 명․청대의 중국 산수화로 환원시킬 수는 없다. 오히려 진경산수화는 보편적인 주자학적인 이념 속에서 나온 것이다. 둘째는 진경산수화에서 진경이라는 개념이다. 최완수 등의 영향을 받아 정선의 산수화는 진경산수화라고 하고, 기존의 산수화를 관념산수화라고 규정한다. 조선의 산수를 그렸다는 이유로 정선의 산수화를 진경산수라고 주장하는 것은 철학적으로 의미가 없다. 진경의 진은 너무나 강한 가치 평가가 들어가 있는 개념이다. 이런 식의 논리를 따라간다면 진경이 아니 산수화는 허경 또는 가짜산수화가 되기 때문이다. 또한 정선의 산수화가 실경과 정신을 모두를 포함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이는 모호한 규정이다. 왜냐하면 이런 규정은 정선의 산수화를 실경이 아니라는 반박이 생기면 정신적인 의미를 강조하는 쪽으로 피해가고, 역으로 정신적인 의미가 강하다는 반박이 생기면 실경적인 의미를 강조하는 쪽으로 피해가기 쉽기 때문이다. 정선의 그림은 회화사적인 맥락 속에서 평가되어야 한다. 조선의 산수를 제대로 표현하였다고 해서 이를 진경이라고 한다면 그것은 미술이 가지는 보편적인 성격을 민족이나 나라라고 하는 영토에 국한시키는 것이다. 이들이 조선의 자연에 관심을 기울인 것은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것을 조국애라고 설정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진경산수화는 보편적인 리를 통한 사욕의 제거에서 나오는 공부론의 결과물이다. 셋째 정선의 산수화는 천기론에서 나왔다고 한다. 천기(天機)를 감정의 순수한 발로를 규정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리의 함양을 통한 자유로움이다. 김창협학파와 교유하였던 정선의 산수화는 이러한 배경 속에서 나오는 것이다. 참됨이란 양명학적인 개별적인 감정에 의거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보편적인 감정에 의거하고 있다. 보편적인 리를 매개로한 인간의 자유로운 감정인 것이다.

      • KCI등재

        장재의 기학(氣學)과 수양공부론

        조남호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서강인문논총 Vol.0 No.54

        This paper study Zhang Zai Qi xue and moral cultivation. Er Cheng and Zhu Xi' Li xue can not understand Zhang Zai's Qi xue. Zhangzai of Qi xue come in with methodology of Buddhism and Taoism, but he go out with Confucianism the enactment of human society. He borrowed from Buddhism and Taoism concept, 'tai xu', 'he si he lu', 'wu wang wu zhu chang'. He does not stay in Buddhism and Taoism, but adopt Confucian theory of knowledge. Zhang Zai insist expanding knowledge with experience, but must still be needed beyond the knowledge with virtue and nature. In other words, experience knowledge needs to be converted to know virtue and nature. However, understanding nature is just beginning and has fullfilled his nature. He investigate Li. He expanded others and all things, then his mind control xian-tian and hou-tian. Zhang Zai's Qi xue is the pursuit of Mind xue, but his Mind xue is not in his heart, but requires social practice. This is the universe, the Jingtian system and the rule of law he elaborated in Xi Ming. This refers to the study of Confucius, which can also be said to be Zhang’s goal. 본 연구는 장재 철학의 기학에서 본 그의 수양공부론을 밝히는 것이다. 장재의 기학과 수양공부론은 이정이나 주희의 리학 관점보다는 기학 관점에서 부분적으로 이해될 수 있다. 간단히 말하자면 그의 기학은 선천과 후천을 포함하기 때문에 선천의 기학을 부정한 정주학에서는 그의 기학을 전면적으로 이해할 수 없다. 따라서 그의 선천 기학을 인정할 경우에 그가 제시한 덕성지를 깨닫는 수양공부론를 이해할 수 있다. 그의 선천 수양공부론은 불교와 도교의 방법론을 차용하여 들어갔지만, 궁극적으로는 유가의 인륜사회로 돌아 나왔다. ‘태허’, ‘하사하려’, ‘물망물조장’ 등의 개념들도 불교와 도교의 수양공부 관점을 빌어 이해하고 채용하였다. 그러나 장재는 불교와 도교의 사유방식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유가적 인식론과 수양공부론을 제시하였다. 장재는 견문지를 통해서 지식을 확장해야 나아가야 하지만 견문지를 초월하여 덕성지를 통해 본성을 깨달아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견문지에서 덕성지로 인식범주를 전환시켜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인식주체도 전환되어야하는데, 견문지를 아는 후천의 지각을 넘어 덕성지를 알고 깨닫는 선천의 신(神)을 마음(心)의 인식주체로 삼아야하고 또한 후천의 지각을 포함하여 주재하여한다. 마음의 신이 주체가 되어 선천의 본성을 깨달은 것은 시작에 불과하다. 깨닫는 본성의 범위를 확장시켜 채워 나아가야 하는데, 맹자가 말한 확충이며, 불교와 도교에서 말하는 성인의 원만함을 이루어야한다. 따라서 본성에 내재된 리를 궁구해야하는데, 자신에 내재된 자리(自利)의 리뿐만 아니라 타인과 모든 사물을 이해하고 도울 수 있는 이타(利他)의 리까지 확대시켜서 궁구해야한다. 그래야만 원만한 성인으로서 세상을 개혁하고 경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자신으로부터 시작해서 타인과 모든 사물까지 확대시켜 나가야 한다. 물론 지각에 의한 견문지 역시 이타의 경세를 할 수 있으나 규모와 깊이가 부족하기 때문에 덕성지가 필요하다. 다시 말해 견문지를 획득하는 과정에서는 사려분요가 일어나기 때문에 리를 궁구하는 데 제한이 있다. 이런 점에서 장재의 기학은 심학을 지향한다. 또한 장재의 심학은 개인의 평온을 찾는 것에 머물지 않고 사회에서 실천하고 경세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서명」의 우주가족과 정전법과 예치인 것이다. 이것이 장재의 성인 목표 즉 공자라는 유가의 성인을 배우자고 제시한 것이다.

      • 천부경 해석의 문제점(1)

        조남호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국학연구원 2006 선도문화 Vol.1 No.-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old interpretation of the ChunBuKyung and to present a new interpretation on it. Old interpretation was applied with Modern physics, Ho-tu-luo-shu, and number classification. But it is speculative and extemporaneous, so that it misses the potentialities and value of the ChunBuKyung. The ChunBuKyung is not speculative metaphysics but the symbolized of the individual training experience. An example for this understanding is Cheon-Bu-Sin-Kong. Training experience makes a demand not the thought of substance but the change of mind and body. This is based upon the thought of ki. The thought of ki is that of feeling. Rational reason can not apprehend it. This interpretation is the core of Korean Sundo Culture. 이 글은 기존의 천부경에 대한 해석의 문제점을 검토하고 새로운 해석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있다. 기존의 연구는 크게 현대물리학, 하도 낙서, 숫자분류도식등을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해석은 사변적이고 임시방편적인 해석이어서, 오히려 천부경이 가진 가능성과 가치를 폄하시키고 있다. 천부경은 단순히 사변적인 형이상학이 아니라, 인간의 자기 수련 경험을 상징한 것이라고 보아야 한다. 이것의 대표로는 천부신공을 들 수 있다 천부신공은 천부경을 체험적으로 해석한 것이다. 체험에서는 고정된 실체적인 사고가 아니라 끊임없는 몸과 마음의 변화가 요구된다. 그것은 기의 사고를 바탕으로 한다. 기의 사고는 느낌의 사고이다. 느낌은 이성적인 사유로는 파악이 불가능한 체험이다. 느낌이야말로 기호 또는 상징으로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천부경 해석이 중요한 것은 선도문화의 핵심이기 때문이다.

      • 전치사 수동문

        조남호 忠州大學校 2008 한국교통대학교 논문집 Vol.43 No.-

        One of the most striking manifestations of verb-preposition collocations in Modern English is the prepositional passive, where the subject of the passive corresponds to the object of a preposition in the active. However, the prepositional passive is not found in English prior to the Middle English period. In Old English, when the object of a preposition was moved by a movement rule, i.e. Relativization or Topicalization, the preposition must move along with the object. Pied Piping was obligatory. The preposition could not be stranded in OE movement rules. Therefore, there is no example of prepositional passives in OE. The origins of the prepositional passive were considered in this paper. The history of the prepositional passive is closely related to the history of Preposition Stranding. OE had a constraint on movement of NP out of PP. The first examples of the prepositional passive appeared in the thirteenth century. In ME the WH pronouns came to be used in all kinds of relative clause, and the first swa in indefinite relatives was lost. All relative clauses now used the same pronouns and looked superficially similar. Therefore, Preposition Stranding was extended to relatives which involved movement. This meant that the constraint on movement out of PP was dropped in ME, so that Preposition Stranding spreaded to other constructions, among them the previously impossible prepositional pass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