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oT서비스제공자가 준수해야 할 개인정보보호 프레임워크의 개발 방안

        신영진 중소기업융합학회 2020 융합정보논문지 Vol.10 No.7

        본 연구는 IoT서비스제공자가 IoT 제품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반적인 과정에서, IoT서비스주체의 개인 정보를 안전하고 체계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개인정보보호프레임워크를 개발하여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문헌조사를 통해 개인정보프레임워크에 관한 구성요소틀을 도출하였으며, 전문가심층면접조사를 통해 개인정보보 호 프레임워크를 IoT서비스제공과정과 IoT개인정보처리과정으로 각 3개 단계 3개 분야 2개 지표로 선정했다. 이렇게 선정한 개인정보보호프레임워크의 구성요소간 중요도를 AHP기법을 이용한 관련분야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전자메일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IoT서비스제공과정에서는 IoT제품 및 서비스의 설계·개발단계(0.5413)가 가장 중요하며, IoT개인정보처리과정에서는 개인정보의 수집·보유단계(0.5098)에서의 개인정보보호가 가장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IoT서비스가 확산되는 가운데, 보안위협 및 개인정보 침해사고를 예방하여 안전한 개 인정보보호 프레임워크가 구현되리라 본다.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provide a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framework that enables IoT service providers to safely and systematically operate personal information of IoT service subjects in the overall process of providing IoT devices and services. To this end, a framework for personal information framework was derived through literature survey, and FGI with experts, it was divided into three stages, each of three stages: IoT service provision process and IoT personal information processing process. The study conducted an e-mail survey of related experts using AHP techniques to determine the importance of the components of the selected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framework. As a result, in the IoT service provision process, the IoT product and service design and development stage (0.5413) is the most important, and in the IoT personal information processing process,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in the collection and retention of personal information (0.5098) is the most important. Therefore, based on this research, as the IoT service is spreading, it is expected that a saf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framework will be realized by preventing security threats and personal information infringement accidents.

      • CdSe 단결정에서 Cd Vacancy Defect가 Photoconductivity에 미치는 영향(Ⅱ)

        신영진,김승곤,박병호,정태수,서영우,이재만,유평열,유기수 全北大學校 基礎科學硏究所 1991 基礎科學 Vol.14 No.2

        CdSe 단결정을 진공 중에서 600℃로 1시간 동안, 공기 중에서 400℃로 30분 동안 열처리하여 광전류 스펙트럼을 가시영역에서 적외선 영역까지 측정하고 Cd 빈자리 V_Cd와 Se 빈자리 V_Se로 유효한 광전도도를 연구하였다. Van der Pauw 방법으로 Hall 효과를 측정하였다. Carrier 농도는 ∼10^17/㎤ 정도이고 이동도는 ∼3x10^2㎠/v·s 정도이다. 이동도를 온도의 함수로 측정하고 defect의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Two samples of CdSe single crystal underwent annealing, one in a vacuum at 600℃ for an hour the other in an air environment at 400℃ for a half hour. Photocurrent spectra from the samples were obtained covering a range of visible to infrared region. Effective photoconductivity was investigated in connection with the vacancies of Cd and Se. As a result of Hall effect measurements performed Van der Pauw technique on the sample we obtained 10^17/㎤ and 3x10^2㎠/v·s for carrier concentration and mobility respectively. Mobility measured as a function of temperature was discussed in terms of defect.

      • CdSe 단결정에서 Cd Vacancy Defect가 Photoconductivity에 미치는 영향(Ⅰ)

        신영진,김승곤,박병호,정태수,서영우,이재만,유평열 全北大學校 基礎科學硏究所 1991 基礎科學 Vol.14 No.1

        육방정의 CdSe를 적당한 크기로 잘라 Ga, Cd, Se 및 Cu 증기에서 각각 열처리 하였다. 이와 같이 열처리한 시료들의 광전류를 400nm에서 1800nm까지 온도의 함수로 측정하고 V_cd의 역할을 비교 연구하였다. Van der Pauw 방법을 사용해서 이동도를 온도의 함수로 측정하였다. 그결과 150 K에서 300 K까지 사이에서는 ∼T^(-3/2)에 따라 감소하고 30 K에서 150 K 사이는 이동도가 약간 증가의 경향임을 알게 되었다. A hexagonal CdSe crystal was cut into four portions, each to be annealed in a different vapor of Ga, Cd, Se or Cu at a temperature of 100℃, 750℃, 900℃, or 900℃, respectively. Photocurrents were measured as a function of temperature on the annealed samples in the wavelength range of 400 nm to 1800 nm. The role of V_Cd in the four samples was compared and studied. Mobility measurement was performed as a function of temperature using Van der Pauw's method. As a result of this, it was found that mobility decreases as T^(-3/2)in the temperature range of 150 K to 300 K, whereas having a slope of slight increase in the range of 30K to 150K.

      • KCI등재

        흑삼의 신생혈관 억제활성에 대한 연구

        신영진,이숙영,서영배,이계원,정규진,송규용 대한본초학회 2011 大韓本草學會誌 Vol.26 No.3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black ginseng radix extracts (BG) and ginsenoside Rg3, Rg5 on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bFGF) induced proliferation, migration and capillary tubule-like formation of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HUVECs). Methods: HUVECs were cultured with BG and ginsenoside Rg3, Rg5 at different concentrations (60, 125, 250, 500, 1,000 ㎍/㎖) for 2 day in the presence of bFGF, respectively. XTT was used to detect the proliferation. Migration and tube formations were examined to detect the antiangiogenesis. Also, the chick embryo chorioallantoic membrane (CAM) assay was performed to detect the antiangiogenesis. Results: BG and ginsenoside Rg3, Rg5 significantly inhibited bFGF-induced endothelial cell proliferation and migra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Tube formation in bFGF-induced HUVECs were suppressed by BG and ginsenoside Rg3, Rg5. Moreover, BG and ginsenoside Rg3, Rg5 (30-50 ㎍/egg) inhibited new blood vessel formation on the growing CAM. Conclusions: Based on the present results, it can be suggested that BG has a potential chemopreventive agent via antiangiogenesis.

      • KCI등재

        개인정보 관리수준 진단제도의 진단 및 운영절차에 관한 개선방안

        신영진 한국사회안전범죄정보학회 2021 한국범죄정보연구 Vol.7 No.2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적용하고 있는 개인정보 관리수준 진단제도가 2008년 도입되어 현재까지 운영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실효성을 얻는 데 한계가 있었다. 더욱이, 국내외적으로 개인정보처리환경 은 급격히 확대되고 있는데 반해, 개인정보 관리수준 진단제도가 제도적 제약으로 인해 공공기관의 개인 정보보호수준을 향상시키는 견인적인 제도적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따라서, 2020년 데이터 3법의 개정으로 신기술 적용분야에서의 개인정보 활용이 증가하는 현시점에서, 개인정보 관리수준 진단 제도를 공공분야뿐만 아니라 민간분야에서도 활용할 수 있는 제도로 그동안의 한계와 문제점을 개선하 여 활용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정보 관리수준 진단제도의 개선을 위해 국내외 유사제도 30개를 분석하고, 실무자 및 전문가 대상의 심층분석을 통해 개선사항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진단대상기관의 확대에 따라 자체진단 및 상시진단지원시스템 등을 활용한 자발적 개선을 가져오도록 하여야 한다. 둘째, 제도적 근거 로서 개인정보 보호법에 구체적으로 명시하고 그에 대한 지원체계를 갖추어야 할 것이다. 셋째, 그동안 추진된 서면심사 및 현장심사에 중점을 두기보다는 자체진단을 통해 현장컨설팅을 강화하고, 집중적인 진단이 수행되어야 한다. 넷째, 진단시기에 있어서 타제도와의 평가기간을 중복되지 않도록 하고, 상시적 입력을 통해 진단시기에 있어서 업무간소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개선을 통해보다 효율적인 제도적 운영으로 공공분야 뿐만 아니라 민간분야의 개인정보보호를 주도하는 제도가 되기를 바란다. Although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level diagnosis system applied to public institutions was introduced in 2008 and has been operating until now, there had a few limits to obtain its effectiveness. Moreover, while the personal information processing environment is rapidly expanding in domestic and abroad,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level diagnosis system cannot play a leading institutional role in improving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evel of public institutions due to institutional restrictions. Therefore, at the present time when the use of personal information in the field of application of new technology is increasing due to the revision of three Data related Acts in 2020,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level diagnosis system can be used not only in the public sector but also in the private secto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usability. In this study, 30 similar domestic and foreign systems were analyzed to improve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level diagnosis system, and improvements were derived through in-depth analysis of practitioners and experts. As a result, first, in accordance with the expansion of diagnosis target institutions, self-diagnosis and regular diagnosis support system should be used to bring about voluntary improvement. Second, as an institutional basis, it should be specifically specified in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and a support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Third, rather than focusing on the written and on-site examinations that have been promoted so far, the on-site consulting should be strengthened through self-diagnosis and intensive diagnosis. Fourth, the diagnosis period should not be overlapped with the evaluation period of other systems and work simplification should be made in the diagnosis period through constant input. it is hoped that more efficient institutional operation will lead to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in the private sector as well as in the public sect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