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교신 일보 연구: 김교신 일보가 살아남은 이유에 대한 역사적 추론

        전인수 한국교회사학회 2020 韓國敎會史學會誌 Vol.55 No.-

        현재 ‘김교신 일보(日步)’(김교신의 비공개 일기)는 30여 권 중 단 두 권만 남아 있다. 김교신이 1938년 2월 자신의 모든 일기를 불태워버린 것으로 알려져 왔기 때문에 두 권의 일기가 생존하게 된 이유는 아무도 설명하지 못하는 미스터리가 되었다. 그런데 최근 전인수와 류대영은 김교신 일보가 생존하게 된 이유를 새롭게 제시했다. 이들은 일기를 모두 태웠다는 기존의 견해가 잘못되었다는 점에서 동의했으나 일보의 보존 가능성에 대해서는 미묘한 입장차를 보였다. 전인수는 김교신이 일보를 전혀 소각하지 않았다는 입장이고, 류대영은 1930년 5월 이전의 일보만을 소각했다는 입장이다. 이에 본고는 김교신 일보가 어떻게 생존하게 되었는가에 대한 견해들을 재검토하고, 두 권을 제외한 대부분의 일보가 역사 속에 사라진 계기가 무엇이었는지를 추적하였다. 본고는 김교신 일보가 1938년 2월이 아닌 1942년 성서조선사건 때 압수 수색으로 사라졌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Today, ‘A Daily Walk: Kim Kyoshin’s Journal’ (undisclosed diary of Kim Kyoshin) has only two volumes remaining from some 30 volumes. It has been known that Kim Kyoshin burned all of his journals in February 1938 that it has been a mystery no one can attest for the reason for these two volumes of diary still survived. However, Jeon In-Soo and Ryu Dae-Young have recently proposed the reason for A Daily Walk: Kim Kyoshin’s Journal to be still available today. They agree that there has been misunderstanding as to the present proposition of all the journals were burned off, but there is a subtle difference of opinion as to the possibility of conservation of the journals. Jeon In-Soo is in the position that Kim Kyoshin did not burned the journals at all while Ryu Dae-Young is in a position that the journals prior to May 1930 were burned off. Therefore, this article has reviewed the opinions on how A Daily Walk: Kim Kyoshin’s Journal survived and what is the reason for all journals other than two volumes were disappeared in the history. This article presents the possibility of ‘A Daily Walk: Kim Kyoshin’s Journal’ disappearing from the search and seizure during the Bible and Chosen Incident in 1942, not February 1938.

      • KCI등재

        이용도의 시대인식과 조선적 기독교

        전인수 한국교회사학회 2014 韓國敎會史學會誌 Vol.37 No.-

        본고에서는 이용도의 시대인식과 조선적기독교를 연구하였다. 먼저 그의 시대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그가 조선교회, 선교사 및 서구교회, 그리고 일본을 어떻게 인식하였는지를 고찰하였다. 또 이런 시대인식이 예수교회의 설립과는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그의 조선적 기독교 운동의 특징이 무엇인지를 고찰하였다. 이용도는 조선교회의 정통주의적 주류 신앙에 만족하지 않았으며, 선교사 및 서구교회에 대해서도 비판적이었다. 그러나 그를 전형적인 반교회적, 반선교사적인 인물로는 평가할 수 없다. 그는 협성신학교를 입학한 후 정치적 민족주의를 포기하였다. 때문에 예수교회의 설립은 일본에 대한 민족주의적 동기가 내포되어 있었던 것은 아니다. 결론적으로 이용도가 예수교회를 설립한 이유는 조선교회의 신앙적 체질을 바꾸고자 한 그의 시도가 장로교회의 견해와 상충되었기 때문이다. 조선적 기독교 운동의 관점에서 예수교회는 서구교회로부터의 신학적, 경제적 독립보다는 신앙의 본질에 대한 견해 차이에서 발생하였다. 체험적이고 실천적인 신앙을 추구하였던 이용도 지지자들은 기성교회의 권위에 부딪히자 독자적인 교회의 설립으로 나아갔던 것이다. This essay aims to examine Yi, Yong-Do’s perspectives on his times and Koreanized Christianity. To analyze his perspectives on his times, firstly, his perspectives on Korean church, missionaries and western churches, and Japan were examined. And then characteristics of his Koreanized Christianity Movement were scrutinized by analyzing how they are connected with his perspectives on his times and founding of Jesus Church. Yi, Yong-Do did not satisfy with mainline orthodox faith of Korean church, and criticized missionaries and western churches. But he can not be considered a typical opposer of mainline churcn and missionaries. While he was studying at the Union Methodist Theological Seminary, he abandoned the political nationalism. Thus, it can be inferred that the founding of Jesus Church can not be directly related to nationalistic motives. Presbyterian church in Korea at that time did not agree with his attempts to change spiritual mood of current Korean Church. So he could not help founding Jesus Church. He founded it not because of his pursuit of theological or economical independence from western churches, but because of the conflicts on the nature of faith. In conclusion, Yi, Yong-Do and his followers put emphasis on experiences and practices of faith. When mainline churches in Korea criticized them, they founded their own church.

      • 고압선로 전자파의 효율적 관리방안 연구

        전인수,김덕원,백정기,김재기 한국환경연구원 2002 수시연구보고서 Vol.2002 No.-

        최근 전기·전자산업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해 전기·전자기기 등의 이용이 급속히 증가하여 전자파의 인체 위해성 여부에 대한 국제적인 논란이 수 십년 가까이 지속되면서 전자기장이 생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논쟁이 점점 가열되고 있다. 특히 고압선로에서 발생되는 전자파에 대한 전자기장 인체규제치가 국제적으로 통일되어 있지 않고, 국가와 지역별로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세계 각 국의 여론은 고압 송전선로망이 인체에 유해하다는데에 대체적으로 공감하고 있다. 최근에 전자파의 인체 위해성에 대한 논쟁이 심화되기 시작하여 고압선로에서 방출되는 전자파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인체손상에 대한 두려움과 소유재산가치 하락때문에 많은 민원이 제기되고 있다. 극저주파 자기장의 만성적인 노출에 의한 인체 위해성 문제를 두고 찬반의 논란이 야기되고 있는 것은 전자기장 노출과 암발생에 대한 상관관계가 명확히 규명이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0.3-0.4μT 이상의 자기장에 주기적이고 지속적으로 노출될 경우 소아백혈병 등과 같은 암질병이 발생할 수 있다는 연구논문들이 발표되고 있다. 이는 전자기장 노출과 암질병 발생과의 연관성을 통계학적으로 입증할 수 있다고 하겠다. 고압선로에서 발생되는 극저주파 전자기장에 만성적으로 노출되어 있는 일반인과 전자파노출 관련산업체에서 근무하는 직업인의 누적적 노출에 대하여 독일, 스위스 등 일부 국가들은 전자파 노출에 대한 표준 및 가이드라인을 엄격히 정하기 시작하였고, 특히 미국의 몇몇 주에서는 이러한 고압송배전시설들을 주거지역으로부터 최대한 멀게 또는 설치자체를 포기하는 정책을 입안하고 있는 경향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이러한 건강위험성에 대한 대책이 아직 마련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국내에서도 이에 대비한 중장기 계획수립 및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여야 하고, 보다 체계적인 연구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지속적인 대 응이 필요하다. 고압선로에서 발생하는 극저주파 자기장의 노출이 유아원, 초등학교, ,병원, 밀집 거주지 등에 미치는 건강위해성에 대한 효율적인 전자파관리 방안은 다음과 같이 크게 3가지로 제시되고 있다. 첫째, 신설될 고압선로 인근의 유아원, 초등학교 등의 환경민감지역에서는 전자기장 방출기준을 엄격히 설정하고, 현재 유아원 및 초등학교 인근을 통과하는 고압선로에 대해서는 기술적인 측면과 경제적으로 수용 가능성을 고려한 단계별 전자파 방출치를 제한 적용하는 방안이 있다. 둘째로는 인체권고치에 따른 고압선로 주변의 지형을 고려한 최소한의 이격거리 설정이 필요하며, 신설될 초등학교는 고압선로 및 철탑과의 최소한의 이격거리를 강력히 권고토록 하는 방안이다. 특히 유아원 및 초등학교 건물 등의 신설시에 인체권고치를 0.2μT로 정하여 그 기준치를 초과하지 않도록 최소한의 이격거리를 설정하는 방안이다. 끝으로 인구밀집지역을 통과하는 고압선로로 인한 민원이 극심한 경우에는 현명한 회피의 저감정책방안으로 고압선의 전류세기를 연차별 감소, 차폐 가능한 지중화계획, 고압선로 및 철탑에 대한 제한구역 설정 등을 관련 전력회사와 주민들간의 협의를 유도하여 해결하는 방안이 제시되어진다. 우리나라에서도 이제 고압선로 등의 전자기장에 만성적으로 노출되어 있는 일반인 및 직업인에 대하여 비록 과학적인 불확실성이 존재하고 있는 상황이지만 과학적인 연구결과만을 기다리지 말고, 잠재적인 위험성을 사전에 예견하여 차후 심각한 위험성에 대한 조치를 미리 적용하는 예방적 관리정책을 부분적이나마 도입하는 것이 절실히 필요하다. Recent years have seen an unprecedented increase in the number and diversity of sources of electromagnetic fields. Technologies have brought into concerns about possible health risks from exposure to electromagnetic fields associated with their use. Such concerns have been raised about the safety of electric power lines.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laboratory and epidemiologic studie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power lines and cancer rates, and to propose exposure guidelines for power-frequency fields. During the last 2 decades, a number of epidemiological studies have explored the association between childhood leukaemia and residential exposure to power-frequency electromagnetic fields. Several studies have suggested that there is a small excess leukaemia risk with magnetic field exposure above 0.2μT. The association was stongest for children under the age of 5 years. The U.S.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NIEHS) reviewed studies that observed an association between chronic lymphoblasdtic leukaemia and occupational exposure, and rated exposure to power-frequency magnetic fields as possibly carcinogenic to humans. A number of governmental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have developed exposure gudelines. Recently, the most rigid regulation with exposure levels for the elementary school and hospital has been enacted by Switzerland. Although there is no convincing supportive laboratory evidence, and the absence of a plausible biological mechanism of disease causation limits the evidence derived from epidemiological studies, because of health concerns by public, governments are increasingly called on to adopt precautionary approaches to regulating electromagnetic field exposures. Several policies which can be inferred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Establish safetydistance and guidelines on electric power lines for childhood ·Restrict schoolbuilding near electric power lines, and power line planning near schools and hospitals ·Reduce magnetic fields by regulating currenttime ·Hold a meeting between a resident and an electric power company under prudent avoidance policy ·In order to implement precautionary approaches, electromagnetic fields should not exceed the exposure limits of 0.2μT in the elementary schools, hospitals and residential environments. The Korean government would need to establish the above policies for electromagnetic fields and continually to be concerned about possible health risks from exposure to electromagnetic fields.

      • KCI등재

        김교신의 신사참배 인식 연구

        전인수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연합신학대학원 2020 신학논단 Vol.101 No.-

        This article aims to reexamine previous studies that argued that Kim Kyoshin opposed Shinto shrine worship. This article corrected errors of existing arguments and through this, urged the Academy of Korean Church History to conduct accurate history research. At the same time, this article argued that tertiary discussions on Shinto shrine worship should be developed to include more than previous studies that simply argue resistance or submission to Japanese colonial rule. Kim Kyoshin surely took part in Shinto shrine worship. Also, the ideological and theological perceptions of Kim Kyoshin on Shinto shrine worship can be summarized into the following three ways through his words and actions during the 1930s. First, Kim Kyoshin participated in Shinto shrine worship as a teacher and as there are no traces of him displaying serious concern about ‘Shinto shrine worship acceptance’, it would seem that he accepted the view that Shinto shrine worship was a national ceremony. From perspectives that Shinto shrine worship was the duty of citizens, he viewed thatPresbyterian believers should follow the decisions of the General Assembly of the Presbyterian Church with regard to the issue of Shinto shrine worship. This does not differ greatly from his position to publish Bible and Chosen as far as national law allowed. Second, Kim Kyoshin accepted Shinto shrine worship but he had his own religious standards regarding Shinto shrine worship. It was that he could never accept the agreement and promotion of Shinto shrine worship through Bible and Chosen. This seems to be the last stand taken religiously by Kim Kyoshin regarding Shinto shrine worship. Third, Kim Kyoshin appreciated the work and devotion of missionaries in the educational world of Chosun and deeply empathized with their pain but Kim Kyoshin considered the withdrawal of missionaries to be an opportunity for the people of Chosun to take responsibility for the educational world. Of course, the position of Kim Kyoshin was unrealistic. The withdrawal of missionaries did not reinforce the positions of the people of Chosun in the academic world but led to Japanization penetrating the educational world with more force through the removal of missionaries, who were its obstacles. At first, Kim Kyoshin had strong critical perceptions regarding Shinto shrine worship but eventually accepted it. If the Shinto shrine worship acceptance of Kim Kyoshin is viewed as a religious surrender, historical evaluations of Kim Kyoshin must be stricter than they are now. At the same time, the historical interpretations and perceptions of the Academy of Korean Church History on Shinto shrine worship should be expanded and diversified. Accurately understanding how Shinto shrine worship was actually understood at thetime and how one individual dealt with the situation is the natural work of history. 본고는 김교신이 신사참배를 반대했다고 주장한 기존 연구를 재검토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고는 기존 주장의 오류를 바로 잡고 이를 통해 한국교회사학계에 정밀한 역사연구를 촉구하였다. 동시에 본고는 일제에 대한 저항과 굴복이라는 기존의 연구 분위기를 넘어 신사참배에 대한 제3의 논의를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김교신이 신사참배를 한 것은 분명하다. 또한 신사참배에 대한 김교신의 사상적·신학적 인식은 1930년대 그가 취했던 언행을 통해 다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김교신이 교사로서 신사참배를 했고, ‘신사참배 수용’에 대해 심각하게 고민한 흔적을 남기지 않았다는 점에서 신사참배가 국가의식이라는 견해를 수용했다고 볼 수 있다. 그는 국민의 의무라는 관점에서 신사참배 문제에 있어 장로교 신자라면 장로교회 총회를 결정을 따라야 한다고 보았다. 이는 국법이 허용하는 선에서 「성서조선」을 발행하겠다는 그의 입장과 크게 다르지 않다. 둘째, 김교신은 신사참배를 수용하였지만 신사참배에 대한 자신의 신앙적 기준을 갖고 있었다. 그것은 「성서조선」으로 신사참배를 찬성하고 홍보하는 것을 절대 수용할 수 없다는 것이었다. 이는 신사참배에 대한 김교신의 신앙적 최후 보루였다고 판단된다. 셋째는 조선교육계에 쏟은 선교사들의 수고와 헌신에 감사하고 그들의 고통을 깊이 동정했지만 김교신은 선교사들의 철수가 조선인이 교육계를 책임져 갈 수 있는 기회로 여겼다는 점이다. 물론 김교신의 입장은 비현실적인 것이었다. 선교사들의 철수는 교육계에서 조선인의 입지를 강화시킨 것이 아니라 선교사라는 장애물을 제거함으로써 일제의 황민화 정책을 교육계에 더욱 강하게 침투시키는 결과로 나타났다. 김교신은 신사참배에 대해 처음 비판적 인식이 강했지만 결국 이를 수용하였다. 김교신의 신사참배 수용을 신앙적 훼절로 본다면 김교신에 대한 역사적 평가는 지금보다 엄격해져야 할 것이다. 동시에 신사참배에 대한 한국교회사학계의 역사적 해석과 인식도 보다 폭넓고 다양해졌으면 한다. 당시 신사참배에 대한 이해가 실제 어떠했는지, 거기에 한 개인은 어떻게 대처하는지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은 역사 본연의 작업이다.

      • KCI등재후보

        고압선로에서 발생하는 전자기장의 위해성 관리 방안

        전인수 한국전자파학회 2003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14 No.10

        Recently, the use an electric apparatus has brought into concerns about health risks from exposure to electromagnetic fields. During the last 2 decades, a number of epidemiological studies have explored the association between childhood leukaemia and residential exposure to power-frequency electromagnetic fields. Several studies have suggested that there is a small excess leukaemia risk with magnetic field exposure above 2 mG. A number of governmental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have developed exposure gudelines. The most rigid regulation with exposure levels for the elementary school and hospital has been enacted by Switzerland. Although there is no convincing supportive laboratory evidence, and the absence of a plausible biological mechanism of disease causation limits, governments are increasingly called on to adopt precautionary approaches to regulating electromagnetic field exposures. The government would need to establish the policy for electromagnetic fields and continually to be concerned about possible health risks from exposure to electromagnetic fields. 최근 전기전자기기 등의 사용에 의한 전자파 발생으로 인체 위해성에 대한 논쟁이 시작되었으며, 지난 20여년 동안 고압선로에서 발생되는 극저주파 전자기장에 만성적인 노출로 인한 인체 위해성에 관한 역학적 연구가 많은 나라에서 진행되어 왔다. 2 mG 이상의 자기장에 지속적으로 노출될 경우에 소아백혈병 등과 같은 암 질병이 발생한다는 연구논문이 발표되고 있다. 고압선로로부터 발생되는 전자파에 의한 장기적인 노출과 암 발생에 관한 상관관계가 과학적으로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았고, 또한 잠재적인 건강 위험성에 대한 평가가 입증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2000년에 스위스는 민감한 정온시설 지역에 대하여 엄격한 예방적 원칙을 적용하고 있으며, 여러 국가들도 이러한 건강 위험성에 대한 저감정책의 일환으로 자기장 노출 가이드라인을 설정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다시 말하면, 과학적인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에서도 과학적인 연구결과만을 기다리지 않고, 잠재적인 위험성을 예견하여 차후 심각한 위험성에 대한 조치를 미리 적용하는 관리정책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이러한 건강 위험성에 대한 관리정책이 아직 마련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고압선로에서 발생되는 전자기장에 만성적인 노출과 소아백혈병 발생과의 상관관계를 밝히기 위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해야 하며, 유아원, 초등학교 등의 환경민감시설에 대한 단계별 전자파 방출 권고치를 설정하는 등의 예방적 관리정책을 부분적이나마 도입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알팔파 연작장해에 관여하는 타감작용 물질의 탐색 및 생물검정

        전인수,김명조,허장현,유창연,조동하,김이훈 韓國作物學會 1997 한국작물학회지 Vol.42 No.2

        알팔파 종자와 재배지 토양의 추출물이 알팔파 및 무우의 발아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물질을 구명코자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알팔파 종자 추출물의 무우생육에는 Luna, Sparta, Magnum, Husky, Milkmaker, Challenger, Anchor의 7개 품종에서 60∼80% 생육억제 효과를 보였다. 2) 알팔파 재배지 토양잔류추출물을 이용한 무우생육조사는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하면서 발아억제 및 줄기, 뿌리 등의 생장억제에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알팔파 재배토양으로 알팔파와 무우 생육실험시에는 80%의 발아억제를 보이면서 줄기와 뿌리의 길이 및 생체중에서도 큰 차이를 보여 allelopathy와 autotoxicity가 관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4) 위 실험을 통해 관여하는 물질의 활성을 분석하기 위해 조사한 결과 표준 phenol compounds와 식물부위별 추출물을 비교 분석하였더니 salicylic acid, p-hydroxybenzoic acid, vanillic acid, syringic acid, p-cou-maric acid, ferulic acid 등의 7가지 acids를 분리동정 할 수 있었다. This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allelopathy and autotoxicity in alfalfa. Among several alfalfa cultivars, the substances exudated from seven cultivars including Medicago sativa, c.v. Luna, Sparta, Magnum, Husky, Milkmaker, Challenger and Anchor inhibited the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radish, ranging from 60 to 80%. When allelopathic substances were exudated from the soil of the alfalfa-cultivated field, the increased levels of substance retarded the germination rate and seedling growth of radish and alfalfa. The inhibition rate was about 80%, compared with that of control. Thus,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allelopathy and autotoxicity substances of alfalfa influenced the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in alfalfa itself and radish. When allelopathic substances were analysed by using gas chromatograph, several kinds of phenol compounds were detected as follows; Salicylic acid, hydroxybenzoic acid, vanillic acid, syringic acid, coumaric acid, and ferulic acid.

      • KCI등재

        최태용의 조선적 기독교 연구

        전인수 한국기독교역사학회 2013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39 No.-

        This article examines Choi Tae Yong’s viewpoints on Korean Church, Western Church, missionaries and Japan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se all influenced later development of his Koreanized Christianity. Also it tries to clarify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his perception of his time and his Koreanized Christian Movement. Choi thought all the existing problems of Korean Church during the 1920s resulted from the absence of faith. He distinguished faith from creed, faith from church, proclaiming Korean Church ought to revive the vitality of faith. He opposed fossilized church in the name of faith, sought Christianity with inner vitality and pursued a paradigm shift, by separating faith on creed from genuine faith which indicated the intimate relationship with God. He called this ‘revolution of faith.’ Later, his ‘Spiritual Christianity’ which was regarded as Korean theology theorized this ‘revolution of faith.’ In the process of this theorization, he argued Jesus was a perfect flesh on the earth and criticized that Korean Church was worshiping the Bible. These were against common Christology or biblical viewpoints at that time, which made him condemned as a heretic. He searched for ways to induce political, economical and spiritual independence from Western Church. He argued Korean church had mission to achieve independence from Western Church and missionaries, overcome fundamentalism of the West and eventually accomplish spiritual Christianity. His critical thoughts made it possible to establish ‘Gospel Church’ in 1935. He, however, did not foster a critical mind toward Japanese reign over Korea. He rather gave up political nationalism and made pro-Japanese remarks after he experienced conversion in 1916. Gospel Church was a fruit of his perception of churches in Korea. The establishment of Gospel Church can be attributed to his pursuit of spiritual vitality and independence from Western Church. Ironically, while h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unique Korean theology, he was barely interested in indigenizing Christianity in the soil of Korean religious traditions and culture. Rather, he supported church systems, mollified his extreme attitude toward the Bible and abandoned his theory on Jesus’ perfect flesh after the establishment of Gospel Church. That meant Gospel Church rapidly became similar to main churches. 본 소고는 최태용의 조선교회 인식이 조선적 기독교로 어떻게 발전되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곧 최태용의 조선교회 인식과 조선적 기독교 운동이 어떤 상관관계를 가지는지를 사상적으로 재고찰하고자 하는 것이다. 최태용은 1920년대 조선교회의 근본문제를 신앙의 부재에서 찾았다. 그는 신앙과 신조, 신앙과 교회를 구분하면서 조선교회가 신앙의 생명성을 회복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제도, 조직화된 교회에 신앙의 이름으로 반발하면서 내적으로 살아있는 기독교를 추구했고, 신조를 믿는 ‘믿음’과 성령을 통한 하나님과의 교제인 ‘신앙’을 구분함으로써 “신앙이 무엇인가”에 대한 패러다임의 변화를 추구했다. 그는 이를 ‘신앙혁명’이라고 불렀다. 한국신학이라고 평가되는 ‘영적 기독교’론은 이러한 신앙혁명을 신학적으로 이론화한 것이었다. 그러나 최태용은 자신의 신학을 전개하는 과정 중에 예수께서 이 땅에서는 완전한 육이었다는 ‘순육론’을 주장하고, 조선교회가 성서를 숭배하는 성서주의에 빠져있다고 비판하게 된다. 이는 조선교회의 보편적인 기독론이나 성서관과는 배치되는 주장으로서, 그는 이 때문에 이단으로까지 비판받게 되었다. 최태용은 서구교회로부터의 정치적, 경제적, 신앙적인 독립을 추구하였다. 그는 조선교회가 서구교회와 선교사들로부터 독립하고, 서양인의 근본주의적 신앙의 한계를 극복하는 ‘영의 기독교’를 산출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이러한 문제의식은 1935년 복음교회의 설립으로 이어진다. 그러나 최태용은 일제에 대해서는 치열한 문제의식을 갖지 못했다. 그는 오히려 전도의 사명을 받은 1916년 이후 정치적 민족주의를 단념함으로써, 일제말 친일적인 글을 쓰게 되는 사상적 단초를 제공한다. 복음교회는 최태용의 조선교회 인식이 고스란히 묻어난 결과물이었다. 즉 신앙의 생명성을 담보하되, 서구교회와 선교사로부터는 독립된 교회의 추구가 복음교회의 설립으로 이어진 것이다. 그러나 최태용은 조선인의 창출신학을 주장했지만, 기독교를 조선의 종교전통과 재래문화 안에서 토착화하는 데에는 거의 관심이 없었다. 또한 복음교회 설립 이후 최태용의 신학은 제도교회를 더욱 옹호하고, 극단적인 성서관도 완화되며, 순육론은 포기하게 되는 등 전체적으로 보수화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복음교회가 빠르게 기성교회화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 KCI등재SCOP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