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退溪의『聖學十圖』와 栗谷의 『聖學輯要』의 對比를 통해본 兩者의 思想的

        潘暢和 영남퇴계학연구원 2012 퇴계학논집 Vol.- No.10

        퇴계와 율곡은 동일한 시대를 살아간 사상가들이였지만 각자의 사상 방법의 차이로 하여 한국철학사상사에서 서로 대립되는 영남학파와 기 호학파를 끌어낸 장본인이기도 하다. 때문에 그들은 비록 같은 성리학 적 지식인들이지만 存在論에서 퇴계는 主理論을, 율곡은 主氣論을, 心性 론에서 퇴계는 互發論을, 율곡은 共發論을, 實踐論에서 퇴계는 敬을, 율 곡은 誠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그들의 차이점에 대하여서 이미 많은 기 존 연구가 있어 거의 定論으로 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므로 본문은 이러한 기존연구성과를 전제로 하면서 단지 퇴계의 『聖學十圖』와 율 곡의 『聖學輯要』에 나타난 특정적인 차이점들만을 찾아보면서 그러 한 차이점들에 대한 대비를 통하여 양자의 사상적 특점과 동아세아儒敎 史에서의 퇴계『十圖』와 율곡『輯要』의 사상적 기여를 살펴보고저 한 다. 퇴계의 『聖學十圖』와 율곡의 『聖學輯要』를 대비해 보면, 퇴계는 보다 순수한 학자적인 입장에서 “聖學의 端緖”와 “心法의 要領”으로 부 터 출발하여 “太極”을 宇宙論의 기초로 하고, 천지의 “仁”을 價値적 목 적으로 하며, “綱常”을 윤리규범의 표준으로 삼으면서 인간마음의 “敬” 으로 이 모든 것을 관통시키는 聖學體系를 구성하는데 애썼고 율곡은 현실적인 정치사상가의 입장에서 帝王의 “心术之微”에 모를 박고 『大 學』을 근간으로 하면서 현실적인 제왕의 修己工夫체계와 구체적인 실 천방법탐구에 힘썼다. 다시 말하면 퇴계와 율곡은 거시적 시각과 미시 적시각에서 聖學의 현실적 정착에 기여하였으며 이러한 기여는孔孟學說 이 程朱理學의 발전을 거쳐 더 높은 차원에서 공맹의 主體적 도덕자각 과 自律性을 부상시키는 原趣旨에로의 回歸을 완성하는 면에서 동아세 아유교사에서 독자적인 큰 기여를 한 것이다.

      • KCI등재후보

        退溪의『聖學十圖』와 栗谷의 『聖學輯要』의 對比를 통해본 兩者의 思想的 特徵

        반창화 영남퇴계학연구원 2012 퇴계학논집 Vol.- No.10

        Though Yi Hwang (Toegye) and Yi I (Yulgok) are two contemporary philosophers, because of their different thought styles, they became prime movers for two opposite schools in the Korean history of philosophy: Yeongnam School and Kiho School. Hence, even though they are both great scholars of Neo‐Confucianism, in ontology area, Yi Hwang placed emphasis on the I as the existential force that determines gi, while Yi I placed emphasis on gi rather than I. In Temperament theory area, Yi Hwang emphasized I‐Gi‐interaction theory, while Yi I emphasized I‐Gi‐coaction theory. In Practical Theory, Yi Hwang focused on respect, while Yi I focused on sincerity. Differences of thought styles of these two philosophers as listed before have been extensively studied and have been considered as being fixed. This study looked through specific differences between Yi Hwang’s The Ten Diagrams on Sage Learning and Yi I’s The Essentials of the Studies of the Sages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 to see their philosophical characteristics and contributions to Confucian history of East Asia. 퇴계와 율곡은 동일한 시대를 살아간 사상가들이였지만 각자의 사상방법의 차이로 하여 한국철학사상사에서 서로 대립되는 영남학파와 기호학파를 끌어낸 장본인이기도 하다. 때문에 그들은 비록 같은 성리학적 지식인들이지만 存在論에서 퇴계는 主理論을, 율곡은 主氣論을, 心性론에서 퇴계는 互發論을, 율곡은 共發論을, 實踐論에서 퇴계는 敬을, 율곡은 誠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그들의 차이점에 대하여서 이미 많은 기존 연구가 있어 거의 定論으로 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므로 본문은 이러한 기존연구성과를 전제로 하면서 단지 퇴계의 『聖學十圖』와 율곡의 『聖學輯要』에 나타난 특정적인 차이점들만을 찾아보면서 그러한 차이점들에 대한 대비를 통하여 양자의 사상적 특점과 동아세아儒敎史에서의 퇴계『十圖』와 율곡『輯要』의 사상적 기여를 살펴보고저 한다. 퇴계의 『聖學十圖』와 율곡의 『聖學輯要』를 대비해 보면, 퇴계는 보다 순수한 학자적인 입장에서 “聖學의 端緖”와 “心法의 要領”으로 부터 출발하여 “太極”을 宇宙論의 기초로 하고, 천지의 “仁”을 價値적 목적으로 하며, “綱常”을 윤리규범의 표준으로 삼으면서 인간마음의 “敬”으로 이 모든 것을 관통시키는 聖學體系를 구성하는데 애썼고 율곡은 현실적인 정치사상가의 입장에서 帝王의 “心术之微”에 모를 박고 『大學』을 근간으로 하면서 현실적인 제왕의 修己工夫체계와 구체적인 실천방법탐구에 힘썼다. 다시 말하면 퇴계와 율곡은 거시적 시각과 미시적시각에서 聖學의 현실적 정착에 기여하였으며 이러한 기여는孔孟學說이 程朱理學의 발전을 거쳐 더 높은 차원에서 공맹의 主體적 도덕자각과 自律性을 부상시키는 原趣旨에로의 回歸을 완성하는 면에서 동아세아유교사에서 독자적인 큰 기여를 한 것이다.

      • KCI등재

        通过 『圣学辑要』 看栗谷对 『大学』 体系的发展

        반창화(潘暢和),강운(姜云) 대한철학회 2015 哲學硏究 Vol.135 No.-

        栗谷의 <聖學輯要>는 儒家의 구체적인 修己治人의 공부론 체계로서, <大學>의 三綱領, 八條目을 기본틀로 삼고 있지만 이것에 대한 단순한 모방이 아니라 栗谷 나름의 해석과 발전이 포함되어 있다. 우선 栗谷은 이론적으로 전통 儒家의 수양공부론을 더욱 세밀하게 규정하였고 또한 그 실천가능성을 크게 확보하였다. <聖學輯要>는 修己와 治人을 다함께 중요시하는 유가철학의 전통에 서서, '德位合一'을 목적으로 하는 군주의 修己治人論 즉 格物, 致知, 誠意, 正心, 修身, 齊家, 治國, 平天下의 이론을 체계화하였다. 여기에서 栗谷은 <中庸>과 <大學>을 서로 表裏의 관계로 보았으며, 敬을 공부론의 범주 차원에서 다룬 반면 誠에다 좀더 본체론적인 의미를 부여하였다. 이상과 같은 몇 가지 점들은 율곡성리학의 특징으로서 동아시아 유학사에서 율곡학의 특징적인 기여라 할 수 있다. As Confucianism's specific 'self-discipline for governing others' system, Yulgok's 'Summary of Shengxue' was based on three guiding principles and eight entries of 'The Great Learning', although it did not simply model or copy its pattern. First, he made a more detailed development of the theory to make it more practically applicable. Secondly, he laid equal stress on both Confucianism's self-discipline and governance of others to make the two become a complete textbook for a qualified king who deeply studies the objects to gain knowledge, accumulate sincerity, compose the mind, chase perfection and happiness in homes, and maintain harmony throughout countries to finally welcome world peace. Moreover, in his summary 'The Doctrine of the Mean' and 'The Great Learning' there lives together and appears a combination which indicates that for Yulgok, respect basically belongs to the area of Confucian Orthodoxy while honesty is closer to Ontology. These points are Yulgok's special contribution to the history of East Asian Confucian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