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經濟成長率에 따른 犯罪發生의 변화에 대한 理論的 考察과 相關分析 연구 : 1973년부터 2003년까지 통계자료를 중심으로

        박노철,이진권 한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7 사회과학연구 Vol.16 No.-

        The economic theory of criminal behavior predicts that the returns to legitimate activities are a primary determinant of the amount of crime. An increase in the returns to legitimate activities decreases the profitability of criminal acts because forgone income if imprisoned is part of the expected cost of committing criminal acts. Increase in returns to legitimate activity therefore result in a decrease in amount of crime. This decrease in the amount is reinforced by the substitution away from criminal acts toward legitimate activities due to the increase in the relative returns to legitimate activities. Economic conditions, particularly labor market conditions and income, largely determine the returns to legitimate work effort. Labor market conditions determine present expected earnings from legal work. Because economic conditions largely determine the returns to legitimate activities, and the returns to legitimate activities substantially affect the amount of crime, the economic theory of criminal behavior predict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conditions and the amount of crime. Increase in the unemployment rate (decrease in the rate of economic growth) are predicted to be associated with increase in the amount of crime ; conversely, decrease in the unemployment rate (increase in the rate of economic growth) are predicted to be associated with decrease in the amount of crime. This paper is a study about correlation between economic conditions and property crimes with crime-economic theory. The theory and empirical research concer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conditions and crimes are reviewed. The testing and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rate of economic growth and property crimes with SPSS package program are tried. Data of rate of economic growth(from 1973 to 2003 year) and property crirneststolen goods crime, fraud, embezzlement, breach of trust, robbery, blackmail) is used. 본 연구는 경기변동과 같이 경제적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각 개인들(또는 범죄인들)의 의사결정에 어떠한 변화가 발생하고 결과적으로 이러한 결과가 범죄실행에 긍정적 측면, 또는 부정적 측면을 부각시키는지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특히, 경기변동이나 실업률 변화에 따른 범죄율 변화에 대한 기존 연구결과들을 검토하고 주제와 관련하여 경제이론적 측면에서의 고찰하며, SPSS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경제성장률과 범죄율의 상관분석을 검증하였다. 계량적 검증을 위한 기초자료는 1973년부터 2003년 까지의 경제성장율, 범죄율을 대상으로 수집하였다. 범죄율의 경우 범죄유발 동기효과 측면을 부각시키기 위하여 財産犯罪를 주 대상으로 자료수집 하였다(장물, 사기, 횡령, 배임, 강도, 공갈 등).

      • KCI등재후보

        한국 성인에서 체질량지수에 따른 우울증 발생과의 관계: 고령화 연구 패널 조사를 이용하여

        박노철,김나연,허정화,홍승완,서영성,김대현 대한가정의학회 2019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9 No.2

        Background: Several conflicting studies exis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mass index (BMI) and depression.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BMI on the development of depression in adults aged 45 years and older using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Study (KLoSA). Methods: The data from the wave 1 (2006), wave 2 (2008), wave 3 (2010), wave 4 (2012), and wave 5 (2014) database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n Aging (KLoSA) were analyzed. Depression was assessed using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10.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BMI and depression, ANOVA and chi-square test was used. Kaplan-Meier survival curves were generated, and Cox proportional hazard regression modeling was used to estimate the risk of depression according to obesity status, by controlling for age, sex, and health-related, lifestyle, and socioeconomic variables. Results: This study included 6,811 individuals who were not found to have depression in the first survey. The incidence of depression was the highest in the underweight group (underweight, 74.3%; normal, 63.1%; overweight, 59.5%; obese, 63.0%; severe obese, 59.9%, P<0.001). The risk of depression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overweight and severe obese groups than in the underweight group after adjusting for age, sex, and demographic, social, and physical factors (overweight: hazard ratio [HR]=0.872, 95% confidence interval [CI]=0.775–0.981; severe obese: HR=0.791, 95% CI=0.648–0.966). Conclusion: The incidence of depression was the highest in the underweight group. The risk of depression was higher in the underweight group than in the overweight and severe obese groups. 연구배경: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와 우울 증상의 관계에 대하여 여러 상반된 연구들이 있는 상태로, 고령화 연구 패널 조사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study, KLoSA)를 이용하여 45세 이상의 한국 성인에서 8년간 우울 발생 빈도에 대해 BMI에 따른 차 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노동부의 고령화 연구 패널 조사(KLoSA) 1차, 2차, 3차, 4차, 5 차 자료를 이용하였다. 1차년도에 포함된 성인 중 우울증이 없는 자 를 대상으로 Kaplan-Meier 생존분석 및 Cox 회귀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1차 조사에서 우울증이 없다고 판단된 성인은 6,811명(저체중 그룹 233명, 정상 그룹 2,899명, 과체 그룹 2,097명, 비만 그룹 1,454명, 고도비만 그룹 128명)이었으며, BMI에 따른 저체중 그룹, 정상 그룹, 과체중 그룹, 비만 그룹, 고도비만 그룹에서 연령, 성별, 교육수준, 배 우자 유무, 노동 여부, 음주 여부, 고혈압 유무, 당뇨병 유무, 인지 기 능, 운동여부, 주관적 건강 상태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우울증 발생 정도는 저체중 그룹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저체중 그룹 74.3%, 정상 그룹 63.1%, 과체중 그룹 59.5%, 비만 그룹 63.0%, 고도비 만 그룹 59.9%, P<0.001). 성별, 나이 인구사회학적 요인, 생활건강 요 인, 신체 정신 요인을 보정한 후 저체중 그룹과 비교하였을 때 과체 중 그룹과 고도비만 그룹에서 우울증 발생 위험이 유의하게 감소했 다(과체중 그룹: hazard ratio [HR]=0.872, 95% confidence interval [CI]=0.775–0.981; 고도비만 그룹: HR=0.791, 95% CI=0.648–0.966). 결론: 우울증 발생 정도는 저체중 그룹에서 가장 높았으며, 우울증 발생 위험 또한 과체중 그룹과 고도비만 그룹에 비해 저체중 그룹에 서 높게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