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How to Develop the Private Security Industry in Korea : the Need for More Macroscopic Approach

        박현호 한국경찰연구학회 2005 한국경찰연구 Vol.4 No.2

        한국에서도 민간보안(경비) 산업은 미국이나 호주, 서유럽 국가들 못지 않게 급속한 성장세를 보여 왔다. 그러나 한국의 민간보안 분야는 서구 사회에 거의 알려지지 않아 왔으며 특히 유럽 세계에서는 더욱 그런 현상이 두드러져 이 분야의 실무적, 학문적 발전을 위해 향후 많은 연구 발표가 필요함 강조되고 있다. 본 논문은 그러한 맥락에서 한국의 민간경비의 성장, 구조, 그리고 관련 법규정에 대한 일반적인 분석을 시작으로 특히 최근 한국의 민간보안산업이 당면하고 있는 중요한 이슈와 문제점들(교육훈련의 질 부족, 오경보 문제, 보안 기술의 대외 의존도, 민간수사원 제도의 부재, 민간보안산업과 경찰의 협력 관계 등)을 짚어보고 그 해결책들을 제시하였다. 연구분석을 통해 다른 많은 선(중)진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한국에서도 가파른 성장세에도 불구하고 거시적인 입법적 틀의 부족과 보다 종합적인 법규정의 필요성이 발견되었다. The private security industry has been developing in South Korea as rapidly as many other advanced countries, such as the US, Australia and Western European countries, in term of volume. However, South Korea is one such country where there has been little published and this paper seeks to provide some baseline information on the growth, structure and regulation of the private security industry. The paper also explores some of the major issues and problems confronting the industry and the findings suggest a familiar picture found in most other security industries of spectacular growth, gaps in the legislative framework and the need for more comprehensive regulation.

      • KCI등재

        보다 안전한 사회의 확보를 위한 영국의 치안혁신

        박현호 한국경찰연구학회 2004 한국경찰연구 Vol.3 No.1

        영국정부와 경찰은 경찰개혁법(Police Reform Act 2002) 등에 의한 혁신 정책의 시행 이후 치안서비스 분야에 있어서 많은 성취와 발전을 거듭하여 왔다. 그러나 보다 안전한 지역사회의 확보는 단순히 경찰조직만의 문제가 아닌 중앙 및 지방의 공공기관과 모든 지역사회 구성원들이 공동으로 참여할 때, 그리고 핵심이 되는 책임기관과 조직들이 보다 강력한 책임의식을 갖고 있을 때에 진정한 효과를 보여준다는 점이 경찰혁신이 지속되어야 하는 이유로서 자리매김하고 있다. 최근의 영국 정부의 치안혁신의 모습과 미래의 비전을 조망해 본다. 1.The British government and the police are working together with a whole range of other agencies and partners to build safer communities. This paper raises critical questions relating to options for reform of the British police service. No institution, be it a private business, voluntary association or public service, can be immune to the changes in British society. The pace and scope of change - to the way people work, to their family life, and to how they live - present a huge range of challenges to all public services. Added to these demographic and technological changes is a rise in people’s expectations and aspirations for their services. So the police service in Britain, as with all public agencies, has been carrying on addressing the need for continuing2.modernization and reform.

      • KCI등재
      • KCI등재

        Analytic Radiation Models of a Microstrip Line on a Slotted Ground Plane

        박현호,임진호,홍영기 한국전자파학회 2022 Journal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Vol.22 No.3

        In this Letter, analytic models for EM radiation analysis of a microstrip line (trace) on a slotted ground plane are proposed. The EM radiation is separated by the effects of trace and slot, and analytic radiation models for each effect are presented. The radiated electric field in the far region is calculated at a frequency up to 10 GHz, and the effect of the slot size on the radiation is examined. The proposed models a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numerical results while requiring a negligible computation time.

      • KCI등재

        직사각형 루프 안테나를 이용한 차폐실의 자기장 차폐효과 측정 방법 개선

        박현호,형창희,권종화 한국전자파학회 2019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30 No.4

        This paper examines a disadvantage of low-frequency magnetic shielding measurement based on MIL-STD-188-125-1. A rectangular loop antenna is proposed as an improvement over conventional circular loop antennas for measuring magnetic shielding. Simulation and experiment are used to demonstrate that the proposed rectangular loop outperforms the circular loop for a more reliable shielding measurement at low frequency range.

      • KCI등재

        경찰실습학점제에 대한 평가 : 실습생의 관점에서

        박현호,조준택 한국경찰연구학회 2015 한국경찰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2014년 상반기에 3개 대학에서 시범운영된 경찰실습학점제를 수강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분석하여 실습프로그램에 대해 실증적으로 평가하였다. 분석결과, 참여 대학생들은 경찰실습학점제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매우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실습담당경찰관과 실습운영 변수가 실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습체계 변수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범운영 대학들 사이의 실습만족도와 실습운영, 실습담당 경찰관에 대한 인식에서 차이가 발견되었다. 그리고 대학생들은 실습학점제가 전공학습, 경찰실무와 형사사법체계에 대한 이해, 협력치안의 중요성 인식, 향후 경력설계에 효과가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무엇보다 향후 경찰관으로 취업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지속될 필요성이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경찰실습학점제의 개선을 위해 실습 전담경찰관 지정, 실습운영 개선을 위한 구체화된 표준가이드라인 설정, 학점이수자에 대한 인센티브 고려를 비롯하여 실습시간과 현장수업과 야간실습 비율의 확대, 사전홍보 활성화 등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mpirically assessed the internship credit system based upon the data gained from those trainees of the police practicum credit system’s pilot programs at three different universities in South Korea. The research found that overall the college participants in the program were highly satisfied with the program. The police tutors and the practicum operation as independent variables did affect the level of the trainees’ satisfaction while the system itself did not influence i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trainees’ satisfaction and the operation of the system and the perception of the police tutors among those three university student groups. Furthermore, it was revealed that the trainees expected the police practicum credit system would be effective for learning of a major field, comprehension of police practice and criminal justice system, perceptions about cooperative policing and making plans for trainees’ future career. Above all, students consider the police practicum credit system will be helpful for their police job application in the future and so the program should sustain later on. In conclusion, main suggestions which were gained from the findings are the designation of police practicum officers for the improvement of the system and program, the establishment of specific and standardized guidelines for the program operations, the consideration of incentives for successful trainees, the extension of the time period of practicum and practical field training and night practice sessions, and more publicity of the system in advance.

      • KCI등재

        경찰실습학점제의 개선을 위한 실습생과 경찰관의 인식 비교 연구

        박현호,조준택 한국치안행정학회 2015 한국치안행정논집 Vol.12 No.2

        본 연구는 2014년 1학기에 3개 대학에서 실시된 경찰실습학점제의 시범운영에 참여한 실습생과경찰관을 대상으로 실습프로그램의 문제점과 개선에 초점을 둔 설문조사를 실시하는 한편, 경찰대학관서실습, 미국 형사사법학과 인턴십 프로그램 사례와의 비교를 통해 보다 종합적인 관점에서 경찰실습학점제의 발전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경찰관들은 실습기간은 짧게 하더라도 주당 실습시간을 더욱 늘려서 단기간에 집중적인(intensive) 실습이 필요하다고 인식한 반면, 실습생들은 실습기간과 주당 실습시간 모두 증가시켜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경찰관들은 실습생에 비해 현장수업 비율이 이론수업보다 더 높아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실습생들은 경찰관에 비해 야간수업 비율이 주간수업 비율보다 더 높기를 희망하고 심야시간에 실습하기를 원하였으며, 이러한 집단간 응답결과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그리고실습생과 경찰관 모두 실습학점제의 평가방식으로 이수제가 적절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실습생은 실습학점으로 3학점을 부여해주기를 바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습생과 경찰관들을대상으로 경찰실습학점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대학과 경찰관서로부터 필요한 지원사항 등에 대하여 주관식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경찰실습학점제의 문제점으로 실습생들은 현장수업의 비중이 낮다는 점, 경찰관들은 실습생의 안전문제에 대한 대비가 부족하다는 점을 가장 큰 문제로 인식하고있었고, 공통적으로 실습시간이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실습생들은 현장수업의 비중 확대, 경찰관은 실습시간 확대를 가장 많이 제기하였다. 또한 실습생과 경찰관들은 실습학점제를 개설한 대학 측으로부터 예산지원을 바라고 있었으며, 특히 경찰관들은 대학측에서 실습생에게 실습 전 사전교육을 충실히 해줄 것을 희망하였다. 그리고 실습생과 경찰관들은 공통적으로 경찰관서에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특히 경찰관들은 실습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전담인력과 예산지원, 교재 및 교수법 지원 등도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상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경찰실습학점제의 개선을 위하여 실습생의 안전문제에 대한 대비 강화, 실습시간 및 현장수업 확대,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대학과 경찰청의 투자 확대, 충분한 사전교육 및 기관간 협의, 체계적인 장기발전방안 수립 등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problems and alternatives of police practicum credit system based upon the survey data gained from those trainees and police officers participated in the pilot programs at 3 different universities in South Korea. And we try to draw policy implications for development of police practicum credit system by comparison with police practice training of Korean National Police University and internship program operated by criminal justice department in the US. Findings of the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Police officers perceive that more intensive practice should be implemented for the students by increasing practice hours per week and reducing the period of practice. Compared with the trainees, policemen think that the proportion of practice-based lecture ought to be more than theory-based lecture, and students hope that portion of practices at night be more than practices in the day and they also want practices to be carried out late at night. The differences of the responses in the both grou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both students and police officers perceived that pass or fail system for the evaluation of students is appropriate and students want to take 3 credits in compensation with practice. We also inquire students and police officers by open-ended questions about problems, alternatives of police practicum credit system and support requirements from universities and police agencies. Trainees pointed out the little portion of practice-based lecture as the most serious problem of the system and policemen mentioned the lack of preparation for the trainees’ safety. And both group think that practice hours are insufficient. And students suggest extension of practice-based class the most as the alternatives and police officers extension of practice hours. In regard to the support from universities, both groups want budget support and policemen want the universities to carry out prior training to the students substantially. And both groups perceive that various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by the collaboration with police agencies and universities and police officers think that coordinators of programs, aid of teaching materials and teaching method to the front-line officers in charge of practice should be needed. Based on the results, to improve police practicum credit system, we can propose a couple of measures, including reinforcement of preparation for the trainees’ safety, extension of practice hours and practice-based lectures,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various programs, investment expansion by universities and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sufficient prior education and interagency coordination. And establishment of systematic and progressive plan for the future also can b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