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한약재의 중금속 평가 연구 : 경북북부지역 한약재를 중심으로 Cultivated Herbal Medicines at North Gyeongbuk Area

        박문기,김승영,황현욱 한국환경과학회 2004 한국환경과학회지 Vol.13 No.12

        We compared with heavy metal concentration of herbal medicines in products of Gyeongbuk and the other area of Korea. The concentration of heavy metal were studied for the estimation of quality in herbal medicines which is Bupleuri Radix, Paeoniae Radix, Dioscoreae Rhizoma and Astragali Radix in products of north Gyeongbuk area. The average levels of heavy metal of herbal medicines in Gyeongbuk area are as follows : Mercury is 0.037mg/kg, Chromium is 0.093mg/kg, Nickel is 0.108mg/kg, Copper is 0.475mg/kg, Zinc is 3.14mg/kg, Manganese is 1.52mg/kg, Iron is 7.83mg/kg, and Cadmium, Lead and Arsenic is not detected. It was very lower in concentrations than those of average Korea area. Therefore, Gyeongbuk area appear to be more proper to cultivated land than other area. Minerals such as Ca and K were extracted more than Na and P in herbal medicines products of Gyeongbuk respectively. Minerals and heavy metal concentrations distributed in herbal medicines were analyzed. Little or no relationship was observed between minerals and heavy metals.

      • KCI등재

        경북북부지역 재배한약재와 토양의 중금속 함량

        박문기,김승영,김정호 한국환경과학회 2004 한국환경과학회지 Vol.13 No.12

        The concentration of heavy metal were studied for the estimation of quality in herbal medicines which is Bupleuri Radix, Paeoniae Radix, Dioscoreae Rhizoma and Astragali Radix in products of north Gyeongbuk area. And we collected soils from several area in Gyeongbuk, and determined heavy metal concentration of soils by ICP. We compared with herbal medicines in products of Gyeongbuk and their soils. For the heavy metals contents of Gyeongbuk area, in Gong Jung Ri, represented the higher level, it may be due to a near the road. The Cd contents in soil was not a wide difference. For the As and Pb contents in soil, Song Sa Ri (Bupleuri Radix) represented the higher level (0.68mg/kg, 1523mg/kg). Heavy metal contents in cultured herbal medicines and their soils did not give reproducible results. But the degree of correlation between a few heavy metal contents of Dioscoreae Rhizoma and their soil showed the good transfer from the soil.

      • KCI등재

        경북북부지역 한약재와 재배토양중의 중금속과의 상관관계

        박문기,이현정,김광중,문영수 한국환경과학회 2005 한국환경과학회지 Vol.14 No.2

        The concentration of heavy metal were studied for the estimation of quality in herbal medicines which is Bupleuri Radix, Paeoniae Radix, Dioscoreae Rhizoma and Astragali Radix in products of north Gyeongbuk area. Also, we collected soils from several area in Gyeongbuk, and determined heavy metal concentration of soils by ICP. We compared with herbal medicines in products of Gyeongbuk and their soils. The average levels of heavy metal of herbal medicines in Gyeongbuk area are as follows : Mercury is 0.037㎎/㎏, Chromium is 0.093 ㎎/㎏, Nickel is 0.108㎎/㎏, Copper is 0.475㎎/㎏, Zinc is 3.14㎎/㎏, Manganese is 1.52㎎/㎏, Iron is 7.83㎎/ ㎏, and Cadmium, Lead and Arsenic is not detected. It was very lower in concentrations than those of average Korea area. For the heavy metals contents of Gyeongbuk area, in Gong Jung Ri, represented the higher level, it may be due to a near the road. The Cd contents in soil was not a wide difference. For the As and Pb contents in soil, Song Sa Ri (Bupleuri Radix) represented the higher level(0.68㎎/㎏, 1523㎎/㎏). Correlation coefficients of heavy metal contents in cultured herbal medicines and their soils did not give reproducible results. But the degree of correlation between a few heavy metal contents of Dioscoreae Rhizoma and their soil showed the good transfer from the soil.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경북지역 인삼 중 유기염소계 농약의 다성분 분석

        박문기,김정호 한국환경과학회 2005 한국환경과학회지 Vol.14 No.2

        To obtain the residual organochlorine pesticides in the ginseng, the methods of multi-analysis for BHC's isomer, DDT's isomer and other organochlorine pesticides by GC-ECD are surveyed. The relative retention time for α-BHC, βBHC, δ-BHC and γ-BHC is 1.000, 1.025, 1.034 and 1.056, respectively. The relative retention time for o,p-DDE, p,p-DDE, o,o-DDD, o,p-DDT, o,p-DDD, and p,p-DDT is 1.199, 1.230, 1.242, 1.286, 1.329 and 1.333, respectively. The BHC isomers, DDT's isomer and other organochlorine pesticides are separated with multi-analysis condition. The qualified defection concentration for a-BHC, Quintozene, Aldrin, Captan, a-Endosulfan, and Dieldrin is 0.95ng/g, 0.27ng/g, 1.04ng/g, 0.63ng/g, 0.55ng/g and 0.62ng/g, respectively. The qualified defection concentration for Fenhexamid, Endrin, βEndosulfan, o,p-DDT, Endosulfan-sulfate is 5.71ng/g, 0.61ng/g, 0.48ng/g, 0.44ng/g and 0.5ing/g, respectively. BHC, Aldrin, Dieldrin, Endrin and DDT, which were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advisory pesticides, are not detected in soil environment. Also it's residual organochlorine pesticides are not polluted in the ginseng on Sangju Korea.

      • KCI등재

        심미적 브랜드가 소비자의 브랜드 체험 및 평가에 미치는 영향

        박문기,전주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5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기존의 마케팅과 디자인 분야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졌던 심미적 브랜드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 목적이다. 목표고객에게 심미적 편익을 강조하는 브랜드를 심미적 브랜드로 개념화한 후 심미적 브랜드를 구성하는 브랜드 매력성, 현저성, 일관성, 그리고 모티프가 브랜드 체험 및 브랜드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국내 시장에서 거래되고 있는 심미적 브랜드를 선정한 후 응답자들에게 자기기입방식으로 설문에 응답하도록 유도했다. 설문 응답에는 심미적 브랜드의 구성요소(매력성, 현저성, 일관성, 모티프), 브랜드 체험 유형(감각, 감성, 행동, 지성), 브랜드 평가 문항이 포함되었다. 연구결과 브랜드의 매력성, 현저성, 일관성과 모티프는 브랜드의 총체적인 체험에 의미 있는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심미적 브랜드는 브랜드 평가에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을 밝힐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흥미로웠던 점은 그 동안 디자인 분야에서 검증되지 않았던 브랜드 모티프의 효과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는 점이다. 본 연구의 실증검증 결과는 고객들이 브랜드의 심미성을 평가하는데 있어 시각적 매력을 넘어 해당 브랜드의 모티프를 중요하게 고려한다는 시사점을 제안하고 있다. 따라서 성공적인 심미적 브랜드 관리를 위해서는 브랜드 스타일과 브랜드 모티프를 전략적으로 관리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Aesthetic brand has received much attention from considerable marketing research. This research aims to distinguish brand experiences dimensions and investigate the effects of aesthetic brand on brand experience, sensory pleasure, and brand attitude. We test research problems with data from 213 customers having brand experiences in various product categories. The empirical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aths form brand style and motif to brand experiences were found to be positively significant. Second, aesthetic brand including style and motif influences sensory pleasure and brand attitude.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contribute to develop differences between aesthetic brand and brand experience and to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on aesthetic brand management. According to this research, we suggest that effective brand management requires taking a long-term view of marketing decosions.

      • KCI등재

        브랜드 재활성화를 위한 상표권 가치 평가 모델 개발 : 와바 프랜차이즈 브랜드를 중심으로

        박문기,김준영,전주언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015 마케팅논집 Vol.23 No.2

        기업이 전략적으로 관리한 브랜드는 지식재산권(IP: Intellectual Property) 중에 하나인 상표권(tr ademark rights)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독점적이고, 배타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기업의 자 금조달을 위해서도 유용될 수 있다. 하지만 기업의 자금조달을 위한 지식재산권 활용 대상은 기술특허, 디자인, 그리고 영업비밀 등이 대부분이었으며, 상표권에 근거한 지식재산권 금융은 미비한 수준이었다. 브랜드자산을 구축하고 유지하기 위한 상표권은 산업재산권으로 소유, 매 매 그리고 상속과 같은 독점적 법률행위가 가능하다. 따라서 기업이 소유한 상표권은 그 중요 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기업 자금을 조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다양한 활용이 가능함에도 불 구하고 이에 대한 논의는 부족했다. 상표권이 매개된 기업의 자금조달은 시장지배력을 상실하 고 브랜드 재활성화가 필요한 기업에게 중요한 자금 지원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마케팅 노 력을 기울여 구축된 브랜드자산은 무형자산으로서 기업의 자금조달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즉 브랜드자산의 구축 및 유지를 위한 상표권은 지식재산권으로서 그 가치를 평가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고 브랜드자산 관리시스템 구축을 위한 상표권 가치 모형을 검증하고 이를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concept of brand equity has been widely discussed in the business context. Since brand equity is such an important factor that it can determine a company's economic growth and competitive enhancement, many companies make lots of investment and efforts for trademark rights. Intellectual property including trademark are viewed as being of increasing importance in many fields of business. However, any trademark rights related valuation is not really activated due to the lack of validated research model in Korea. Thus, it is important to carry out an objective and reliable valuations on trademark rights. The authors develop a conceptual framework of the trademark rights value model and discuss its implications for the theory and practice of marke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