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적재조사 조정금 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서울시를 대상으로 -

        박문재(Park, Moon Jae),김재명(Kim, Jae Myeong),최윤수(Choi, Yun Soo),안종욱(Ahn JongWook) 한국지적정보학회 2020 한국지적정보학회지 Vol.22 No.1

        본 연구는 서울 지역의 지적재조사사업 추진에 따른 경계설정과 면적증감으로 발생되는 조정금 관련 사업추진 현황을 조사·분석하고 실무 전문가들의 인식조사를 실시하여, 효율적인 고액 조정금 예산 확보 및 운영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첫째, 국토교통부의 지적재조사사업의 사업비 일부를 조정금 예산으로 확보하여 각 시도에 배분하고 조정금 징수금액을 회수할 경우 원활한 사업추진이 가능할 것이다. 둘째, 원활한 사업추진과 주민 동의율 제고를 위해 조정금의 금액대별 기간 및 횟수를 연장하여 분할 납부·지급할 수 있도록 개선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지적재조사측량시 필지별 경계조정(안)에 따라 ‘예상 조정금 조서’를 함께 작성하도록 개선하여, 사업지구지정을 위한 토지소유자 동의 전에 주민들이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조정금 사전 산정·협의 제도’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efficient measures to secure large amount of liquidation money and operate the budget through analysis in undertaking status and interview with practical experts about liquidation related boundary setting and area adjusting especially in metropolitan area, Seoul. First of all, Cadastral resurvey project in metropolitan area should be improved by securing part of MOLIT(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cadastral resurvey budget as liquidation money, allocating the budget each region and recovering the fee. Second, to facilitate the project and increase the acceptance of local residents, the period and number of installment should be extend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liquidation money since the project in metropolitan area easily be in default by high level of liquidation fee. For the last, Conducting cadastral resurvey, should indicate provisional mark on boundary and fill in the estimated liquidation report by land regulation plan with local residents.

      • KCI등재
      • KCI등재

        건물배치도를 이용한 국가기본도 수시수정 방법 개선

        신창수,박문재,최윤수,백규영,김재명,Shin, Chang Soo,Park, Moon Jae,Choi, Yun Soo,Baek, kyu Yeong,Kim, Jaemyeong 한국국토정보공사 공간정보연구원 2018 지적과 국토정보 Vol.48 No.1

        국가기본도 구축은 전국을 두 권역으로 나누어 2년 주기로 항공사진에 의한 수정도화를 실시하는 정시업무와 현지조사와 준공도면 등에 의하여 주요 변화 지형지물을 2주 이내에 수정하는 수시수정업무로 이루어지며, 이 중 국가기본도 수시수정 지형자료추출 업무에 활용되는 부동산종합공부시스템(일사편리) 건물배치도의 경우 지역측지계 기반의 좌표체계로 세계측지계 기반 국가기본도에 활용할 경우 좌표변환오차가 위치오차에 포함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국가기본도는 수치지형도 건물 등록선인 건물 최외곽선(처마선)을 기준으로 등록하고 있고, 지적 및 건축 분야는 건물 중심선을 기준으로 등록하고 있어 건물 객체 관리기준이 불일치하고 있다. 이에 개선방법연구를 위해 부동산종합공부시스템(일사편리)건물배치도 위치에 직접 네트워크 RTK 측량을 실시하여 국가기본도 평면 도화위치 기준과 비교하여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이중 벽체와 처마의 차이가 있는 일반건축물의 경우 위치정보가 상이한 것 이외에 벽체와 처마의 차이만큼 건물 객체 비율에 차이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부동산종합공부시스템(일사편리) 건물배치도를 수시수정업무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건물 중심선과 건물 최외곽선(처마선)의 이중레이어의 기초자료 제공이 필요하다 판단된다. 또한, 최신성 및 정확성을 동시에 확보 가능한 유기적인 지도갱신 프로세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The National Base Map construction consists of the regular correction work of dividing the whole country into two regions and carrying out the modification Plotting by aerial photographs every two years as well as the real time updating work of correcting the major change feature within two weeks by the field survey and the As-Built Drawing. In the case of the Building Layout Drawing of Korea Real estate Administration intelligence System(KRAS) used for real time updating work of the National base map, the coordinate transformation error is included in the positional error when applied to the National Base Map based on the World Geodetic Reference System as the coordinate system based on the Regional Geodetic Reference System. In addition, National Base Map is registered based on the outline(eaves line) of the building in the Digital Topographic Map, and the Cadastral and Architecture are registered based on the building center line. Therefore, the Building Object management standard is inconsisten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mprovement method, the network RTK survey was conducted directly on a location of the Building Layout Drawing of Korea Real estate Administration intelligence System(KRAS) and the problems were analyzed by comparing with the plane plotting position reference in National Base Map. In the case of the general structure with the difference on the Building center line and the eaves line, beside the location information was different also the difference in the ratio of the building object was different between Building center line and the eave.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Base data of the double layer of the Building center line and the outline of the building(eaves line) in order to utilize the Building Layout Drawing of Korea Real estate Administration intelligence System(KRA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tudy an organic map update process that can acquire the up-to-dateness and the accuracy at the same time.

      • KCI등재

        지역좌표계 성과분석을 위한 네트워크 RTK측량 사이트 캘리브레이션 기능 적용 방안

        신창수,최윤수,박문재,Shin, Chang Soo,Choi, Yun Soo,Park, Moon Jae 한국국토정보공사 공간정보연구원 2017 지적과 국토정보 Vol.47 No.1

        The network RTK surveying has been widely used in the field of cadastral surveys in recent years, and its use is gradually expanding. As a result of the implementation of GPS static surveys by civilian companies in accordance with the progress of the cadastral surveys and gradual civilian transfer plans and cadastral surveys,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civilian companies performing surveys.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process of applying the results of analysis of conformity using the network RTK site calibration function on the local coordinate system to the GPS static surveying of the cadastral reference points in Anyang city. In addition, the measurement results of the network RTK site calibration function and the results of the GPS static surveying network reconciliation in the local coordinate system were compared, and the performance was determined within 0.04m maximum of RMSE(Root Mean Square Error), and further study on the application method is needed. 최근 네트워크 RTK 측량은 지적측량분야에서도 많이 활용되는 등 그 사용 분야가 확대 되고 있다. 지적확정측량 점진적 민간이양계획 및 지적재조사측량 민간업체 낙찰에 따라 GPS정지측량의 민간업체 수행이 많아지고 있으며, 사업 적용 시 지역좌표계 기준점 성과의 상호간 불부합으로 인하여 이들 간의 부합을 점검할 수 있는 확인 방법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안양시 지역의 지적기준점을 대상으로 지역좌표계상 네트워크 RTK 사이트 캘리브레이션 기능을 이용한 부합여부 분석결과를 GPS 정지측량에 반영하여 진행한 과정을 설명하고자 한다. 추가적으로 지역측지계상 GPS 정지측량 망 조정 성과와 네트워크 RTK 사이트 캘리브레이션 기능의 측량결과를 비교하여 측량결과의 RMSE(평균제곱근 오차)가 최대 0.04m 이내에서 성과가 결정되었고, 적용방법에 대한 추가적 연구를 통한 실무 활용이 필요하다 생각된다.

      • KCI등재

        목조 구조물 접합부의 강성에 대한 근사평가를 위한 해석모델

        조소훈,이헌우,박문재,김태진,김종호,Cho, So-Hoon,Lee, Heon-Woo,Park, Moon-Jae,Kim, Taejin,Kim, Jong-Ho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15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Vol.28 No.1

        Modern wooden structures usually are connected with steel fastener type connectors. And joints using multiple connectors in wooden structures will form semi-rigid connection. If connection in wooden structure would be designed to be pinned joint, the underestimate for loads transmitted through connection, would result in the deficient capacity of resistance in connection. And if joints in wooden structures would be assumed to be fully-rigid joint, amount of fasteners needed at the connection could be excessively increased. It will give a bad effect in the view of beauty, constructability and economy. Estimate for the reasonable stiffness of connection might be essential in design of reasonable connection in wooden structure. This paper will suggest analysis modelling technique that can represent approximate stiffness of connections using a common analysis program for double shear connection in order to give help in performing easily the design of wooden structure. It is verified that the suggested approximate analysis modelling technique could represent the behavior in connection by comparing the analysis results with test results for tensile, bending moment. 현대 목조 구조물은 일반적으로 접합철물인 연결재를 이용하여 접합된다. 그리고 목조 구조물에서 다수의 연결재를 사용한 접합부는 반강접 접합부를 만든다. 목조 구조물에 접합부가 핀접합으로 설계될 경우에 접합부를 통해 전달되는 하중이 과소 평가되고 이것은 접합부의 저항능력 부족을 초래한다. 목조 구조물의 접합부를 완전 강접합으로 고려할 경우에 접합에 필요한 접합철물의 양이 과도하게 증가 할 수 있다. 이것은 미적인 요소 뿐만 아니라 시공성과 경제성을 저하시킨다. 접합부의 합리적인 강성에 대한 추정은 목조 구조물의 합리적인 접합부의 설계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이 논문은 목조 구조물의 구조설계를 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 위하여 2면 전단접합에 대하여 구조설계에서 널리 이용되는 상용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접합부의 근사적인 강성을 나타낼 수 있는 해석 모델링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근사해석 모델링 기법은 휨 모멘트, 인장에 대한 실험 결과와 해석결과를 비교하여 접합부의 거동을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낙엽송집성재 기계프리컷 주먹장의 인장내력

        황권환(Hwang Kweon-Hwan),박문재(Park Moon-Jae),박주생(Park Joo-Saeng) 대한건축학회 2009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Vol.29 No.1(구조계)

        Traditional joints have been processing by handicraft with domestic red pine species. For the effective applications of domestic plantation wood species, larch glulam processed by machine pre-cut was tested by tensile tests with dovetail joints that is one of Korean traditional joints. For the primary tests with 150×150㎜ dimensioned larch glulam, the female edge was cracked mainly with low strengths. The maximum tensile strengths of reinforced specimens proposing real connections, increased by two times with shear failures. Contrary to the solid larch, 180×180㎜ dimensioned glulam specimens showed high initial stiffness and strength properties with low variations. Furthermore, the maximum tensile strengths of larch glulam specimens with 12% moisture content surpassed 2㎫, but those of larch solid specimens with relatively higher moisture contents discontented with the value. It is concluded that drying should be conducted sufficiently for the structural use of solid wood.

      • KCI등재

        낙엽송집성재를 이용한 기계프리커트 주먹장접합부의 인장성능

        박주생 ( Joo Saeng Park ),황권환 ( Kweon Hwan Hwang ),박문재 ( Moon Jae Park ),심국보 ( Kug Bo Shim ) 한국목재공학회 2010 목재공학 Vol.38 No.3

        전통공법에서는 주로 소나무를 수가공하여 구조부재로 사용하고 있다. 주먹장 접합(이음, 맞춤)은 일반 가구나 구조부재의 접합에 사용되고 있으며, 수가공이나 간단한 기계가공에 의해 쉽게 가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비록 외관상 선형적인 가공이 주를 이루지만, 손쉬운 짜맞춤이 될 수 있어야 하는 고도의 가공정밀성이 요구된다. 더욱이, 장부와 장부받이는 틈새없는 긴결한 접합이 이루어져야 한다. 주먹장접합부에 대한 과학적인 연구는 체계적으로 수행된 예가 많지 않으므로 전통공법과 국산재 활용이라는 관점에서 낙엽송집성재를 기계가공하여 이용하였다. 통주먹장이음 접합부의 인장성능을 파악하기 위하여 150 mm 정각 낙엽송 집성재를 사용하였으며, 내력성능에 영향을 끼치는 주먹장의 다양한 기하학적 요소(장부 너비, 길이, 각도)에 대해 조사하였다. 보강목을 설치하지 않은 시험편은 장부받이(장부홈)의 모서리부에서 할렬이 발생하며 내력도 낮게 나타났다. 기둥머리의 화통맞춤 및 주두와 같은 상황을 고려한 보강시험편은 최대인장내력에서 2배 이상의 성능을 발휘하였다. 장부의 적정각도는 25도 수준이었으며, 어깨폭의 변화와는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Members used for the Korean traditional joints have been processed by handicraft, especially with domestic red pine species. Dovetail joint is most commonly used in woodworking joinery and traditional horizontal and vertical connections. It is able to be processed much easier to cutby handicraft and machines. However, although it is processed straight forwards, it requires a high degree of accuracy to ensure a snug fit. Also, tenons and mortises must fit together with no gap between them so that the joint interlocks tightly. A few scientific studies on the dovetail joints have been conducted so far. For the effective applications of traditional joints and domestic plantation wood species, dovetail joints were assembled by larch glulam members processed by machine pre-cut. To identify the tensile properties of through dovetail joints, larch glulam with 150150 mm in cross section were prepared. Furthermore, various geometric parameters of dovetail joints such as width, length, and tenon angle, were surveyed. The ends in the mortise was cracked mainly at a low strength level in the control specimens without reinforcements. The maximum tensile strengths of reinforced specimens considering real connections such as capital joint and headpiece on a column, increased by two times with shear failures on the tenon than the control specimens. The maximum tensile strength was obtained in the specimen of 25 degrees, and no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changes of neck widths.

      • 대형요소의 기계적 접합법을 이용한 공학목재 개발

        박주생(Joo-saeng Park),심국보(Kug-bo Shim),김광모(Kwang-mo Kim),박문재(Moon-jae Park),조성택(Sung-taig Cho),김외정(Wae-jung Kim) 한국산림바이오에너지학회 2006 산림바이오에너지 Vol.25 No.2

        본 연구에서는 국산 중소경재를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재 수율이 높은 대형요소를 이용하여 구조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공학목재를 개발하였다. 중소경 원목으로부터 생산된 상대적으로 큰 단면의 Flitch재를 이용하여 세 가지 기계적 접합방법을 적용한 구조용 대단면 공학목재를 개발하고 휨시험을 통해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개별 요소를 접합하기 위한 기계적 접합방법으로는 강철 볼트와 목재 다우얼, 철제 래그 볼트가 각각 검토되었다. 개발된 공학목재의 휨성능을 평가한 결과, 강철 볼트를 적용한 경우에 MOR은 평균 514㎏f/㎠, MOE는 129,000㎏f/㎠로 대표적인 구조용 공학목재인 집성재에 비해 조금 낮거나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목재 다우얼과 철제 래그 볼트를 적용한 경우에는 하중이 증가함에 따라 층재가 분리되어 개별적으로 하중에 저항함으로써 MOR과 MOE 모두가 절반정도로 감소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대형요소의 기계적 접합으로 제조되는 공학목재의 휨성능은 개별 요소의 접합 성능에 의해 가장 크게 영향 받음을 알 수 있었다. In this study, new engineered woods, which can be used as structural members, are developed using three different mechanical jointing methods with large elements produced from logs in a high yield. Flitches of relatively large cross-section are produced from small or medium diameter logs, and are joined with steel bolts, wood dowesl and steel lag bolts. Static bending tests are performed for these three types of built-up beams. Built-up beams joined with steel bolts show 514㎏f/㎠ for MOR and 129,000㎏f/㎠ for MOE, which are close to those of typical structural glulams. In case that wood dowels and steel lag bolts are used, elements are isolated as load increases and resists the applied load individually. Therefore, built-up beams joined with wood dowels or steel lag bolts show almost half of steel bolts for both MOE and MOR.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indicated that bending properties of engineered woods manufactured using mechanical jointing methods with large elements are influenced mainly by jointing performance between each element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