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연성 천공기를 이용한 Bankart 병변의 골관통식 봉합

        진수(Jin-su Park),원예연(Ye-Yeon Won),유정한(Jung-Han Yoo),용욱(Yong-Wook Park),노규철(Kyu-Chul Noh),정국진(Kuk-Jin Chung),김홍균(Hong-Kyun Kim),황지효(Ji-Hyo Hwang),이용범(Young-Bum Lee),서일우(Il-Woo Suh)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10 대한견주관절의학회지 Vol.13 No.1

        목적: 견관절의 Bankart 병변에 대하여서 관절경적 수술하에서도 골경유 봉합이 가능하도록 유연성 골 천공기를 개발하였으며 이에 대한 동물 실험 및 임상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대상 및 방법: 유연성 천공기 세트는 유연성 천공기와 유도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유연성 천공기는 49개의 미세강선들이 단일 강선 (직경 1.2 mm)으로 꼬인 구조로 이루어져 유연성이 있으며 이러한 유연한 강선의 한 쪽 끝에는 천공기 (직경 1.2 mm)가 용접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유도관은 외경 3.0 mm, 내경 2.0 mm의 원통형 금속 도관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한 쪽 끝은 30도 정도 굴곡되어 있다. 기기의 내구성 및 임상적 유용성을 시험하기 위하여 돼지의 견갑골 관절와에 골 천공을 실시하는 실험을 30회 이상 실시하였다. 유연성 강선 부위의 기계적 파단이나 골 천공의 실패 등은 발생하지 않았다. 일반적 견관절 관절경 술식대로 견관절의 후방 입구 및 전 상방, 전 후방 입구들을 확보한 후 관절경하에서 Bankart 병변이 확인이 되면 면도기를 이용하여 견갑와 내측면의 변연 절제를 실시하여 골 출혈을 유도한다. 이후 관절경을 전 상방 입구로 이전 시키고, 후방 입구를 통하여서 유연성 골천공기 세트의 유도 강관을 삽입하는데 유도강관의 끝이 견갑와연에서 약 5 mm 정도 안쪽에 위치되도록 한다. 유도강관 내로 유연성 천공기를 삽입한 후 구동기를 이용하여서 견갑와의 골 천공을 실시한다. 골 천공 후에는 유연성 천공기만 유도강관에서 제거한 후에 유도 강관내로 봉합사를 삽입하여 천공된 골구로 통과시키도록 한다. 봉합 갈고리를 이용하여 관절와순에 유도봉합사를 통과시킨 후에 이 유도봉합사에 골 천공구를 통과한 봉합사를 끼워서 관절완순을 통과하도록 한 후 활주 결찰을 실시하여 골 관통 봉합을 이루도록 한다. 동일한 방식으로 견갑와의 2시, 4시 방향에 골 천공을 시행하여 견갑와순의 봉합을 실시한다. 결과: 외상성 견관절 탈구 환자 5예에서 유연성 골 천공기를 이용한 Bankart 병변의 봉합을 실시하였다. 수술 도중 또는 수술후의 신경이나 혈관 손상 등의 문제점이나 합병증 등은 발생하지 않았으며 기기 자체의 문제들도 발생하지 않았다. 평균 6개월간의 추시 결과 상에서는 재탈구 등의 증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유연성 골 천공기를 사용한 Bankart 병변의 봉합시 관절경적 수술이면서도 골 관통식 봉합이 가능하여 관절와순의 부착면적의 증대 효과 뿐 아니라 손쉬운 활주 결찰이 이루어 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Purpose: Too develop a flexible drill device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shoulder joint so that arthroscopic transosseous suture repair for Bankart lesion is possible. Materials and Methods: We created a device composed of a flexible drill unit and a guide pipe unit. The flexible drill unit was made of flexible multifilament wires (1.2 mm in diameter) that was twisted into one cord so that it can flex in any direction and a drill bit (1.2 mm in diameter) that is attached onto one end of the flexible wire. The guide pipe unit was a 150 mm long metal pipe (2.0 mm in inner diameter and 3.0 mm in outer diameter), with one end bent to 30 degrees. The flexible drill set was inserted into the shoulder joint through the posterior portal of the joint. The guide pipe component was placed onto the medial wall of the glenoid so that the pipe was placed 5 mm posterior to the margin of the anterior glenoid rim. The flexible drill was driven through the glenoid by the power drill so that holes were made in the glenoid. A non- absorbable suture was passed through the hole. Tying of a sliding knot tying was accomplished over the capsule and labrum after making a stitch through the capsule and labrum with a suture hook loaded with suture passer. The same procedures were done at the 2 and 4 O’Clock positions of the glenoid. Results: Five cases with Bankart lesion received arthroscopic transosseous repair with our flexible drill device. There were no intraoperative problems. Neither redislocation nor subluxation was reported at final follow-up. Conclusion: Arthroscopic transosseous suture repair without suture anchors and easy tying of a sliding knot are possible with a flexible drill set.

      • KCI등재

        한국(韓國)의 한문폐지(漢文廢止) 논쟁(論爭)의 사적(史的) 고찰(考察)

        진수 ( Jin Su Park ) 동방한문학회 2011 東方漢文學 Vol.0 No.47

        본 연구는 100여 년 동안 끊임없이 제기되어 온 한국의 한문폐지 논쟁을 역사적으로 고찰함으로써, 한문폐지 논쟁의 성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먼저 한문폐지 논쟁에 있어 기본 문제는 논쟁의 발생 배경을 규명하여 폐지논리의 근원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 문제는 논쟁이 발생한 개화기의 시대적 상황과 당시 문체의 변화를 통해서 고찰해 보았다. 다음으로 한문폐지 논쟁이 직접적으로 일어난 애국계몽기의 한문폐지 논쟁 양상을 한문옹호와 한문폐지, 그리고 한글전용으로 세분화하여 역사적 의미를 밝혔다. 기존의 한문을 고수하려는 보수 세력과 한글을 통해 한국의 근대화를 성취하려는 진보 세력 사이의 한문폐지 논쟁은 ``獨立``과 ``自强``이라는 역사적 명제가 전제되어 있었다. 따라서 본고는 초기 한문폐지 논쟁의 성격을 역사적 명제 하에 펼쳐진 한문폐지 논리 가운데서 파악하였다. 한문폐지 논쟁은 민족의 주체적 역량에 근거한 합의에 도달하지 못하고 ``庚戌國恥``로 인하여 그 논의의 장을 일제에게 빼앗겨 버렸는데, 이로 인해 논쟁은 민족의 수난과 더불어 그 성격이 변하게 되었다. 광복 이후 한문폐지와 관련한 문제는 새로운 민족 국가 건설이라는 과제 당면 하에 어문정책으로 결정되었다. 따라서 광복 이후의 논쟁은 어문정책 변화를 통해 살펴보았고, 마지막으로 이전의 한문폐지 논쟁과 그 성격이 어떻게 변하였는가에 대해 고찰하였다. This study, by considering controversies over the abolition of classical Chinese writing in Korea which have been constantly raised over the past 100 years, attempted to understand the nature of the controversies. Firstly, the fundamental issue of controversies over the abolition of classical Chinese writing is to investigate the background on controversies and grasp source of the logic of abolition, which was considered through the periodical condition of the Enlightenment when the controversies began to emerge and the changes of literary style in those days. Secondly, the aspect of controversies over the abolition of classical Chinese writing in the period of patriotic enlightenment when the controversies arose directly was subdivided into three parts such as defence of Chinese writing, abolition of Chinese writing and Hangeul-only, and its historical meaning was unfolded. The controversies over the abolition of classical Chinese writing between the conservative force that adhered to the existing Chinese writing and the progressive force that tried to accomplish modernization of Korea through Hangeul was based upon the historical proposition, ``independence`` and ``self-strengthening``. Therefore, this thesis investigated the nature of earlier controversies over the abolition of classical Chinese writing, between the logic of the abolition of classical Chinese writing which had been set out under the historical proposition. Controversies over the abolition of classical Chinese writing did not reach an agreement based on the nation`s independent capability, and the field for argument was taken away by Japanese imperialism in ``Gyeongsul gukchi (Japan`s annexation of Korea)``, which led to changed nature of controversies along with national ordeal. After the independence from the Japan occupation, the issues related to the abolition of classical Chinese writing was determined by the language policy, facing the problem of the establishment of a new nation-state. Therefore, I examined the controversies after the independence through changes in language policy and considered how the nature of earlier controversies had changed at the conclusion.

      • KCI등재

        아쿠타가와 류노스케(芥川龍之介) 『덤불 속』(藪の中)의 시점과 서술양식

        진수(Park Jin-Su)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02 아시아문화연구 Vol.6 No.-

        Akutagawa Ryunosuke(1892~1927) is one of the most well-known Japanese author in Taisho period(1912-26) who was brilliant, sensitive, cynical, neurotic: whose fictions sparkle with esprit and wit. In a Grove is the source of the famous Japanese movie called Rashomon which won the grand prize at the 12th International Film Festival at Venice in 1951. The study of In a Grove usually has been accomplished through the only method of content analysis or comparative literature, which concludes the message of the work. But it is more important that the form and style of the text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Because the text of In a Grove is very unique as a communicating system and not so simple on representation of fictional events. In this paper therefore, the point of view and the narrative style which reflect the structure of recognition and representation will be considered. The term 'point of view' has been understood as the relation of narrator to fictional world. In narratology, Gerard Genette(1930~) criticized this conceptional confusion, and suggested distinguishing 'who is viewing' from 'who is speaking.' However, in his classification of point of view, he also confused 'who is viewing' with 'what is being viewed.' He only dealt with 'what is being viewed' and neglected 'who is viewing.' As an alternative method, I suggest using new two terms: 'viewpoint' (the subject of recognition) and 'focuspoint' (the object of recognition) These terms solve the problem of 'who is viewing' and 'what is being viewed' simultaneously. There are four combinations of narrator's 'cutter viewpoint' and charactor's 'inner viewpoint', 'outside focuspoint' of charactor's behavior and 'inside focus point' of consciousness. The story of In a Grove is concerns with the case of murder in the suburbs of Kyoto in the end of Heian period(794~1192). A samurai named Kanazawa Takehiro was killed (or suicided) in the grove. The text is composed of the arrangement of the seven person's testimonies and confessions. Suprisingly either the suspect Tajomaru or the widow Masago insist that they killed the murderer is self. Also through a medium the murdered man Takehiro tell that he suicided. The narrator reveals the process of examination not by 'telling' but by 'showing' only. The events of In a Grove can be devided in '① past perfective events' and '② present progressive events'. ① is the incidents of rape and murder tor suicide) occured in the grove: ② is the occurence of the statements before the high police commissioner. Through the analysis it emerged that ① is the combination of inner viewpoint to inside-outside focuspoint, and ② is inner-outter viewpoint to outside focuspoint. It can be found the main message of In a Grove not only in the rape and murder events but also in the discourse concerning that events. The value of In a Grove is the one that tries to overcome the centeralized and simple viewpoint which is the limitation of modern fiction.

      • 인덕티브 라인을 적용한 광대역 이중 타원 안테나

        진수(Park Jin Su),원빈(Park Won Bin),황금철(Hwang Keum Cheol) 한국통신학회 2021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2

        본 논문은 인덕티브 라인을 적용한 광대역 이중 타원 안테나를 제안한다. 단일 타원 구조의 안테나에 소형 타원을 추가하여 안테나를 소형화하였고, 인덕티브 라인을 적용하여 저주파 대역과 고주파 대역의 임피던스 개선을 하였으며 ISM, UWB 대역에서 동작하는 광대역 특성을 구현하였다. 제안된 안테나는 2.18~10 GHz 대역에서 –10 dB 이하 반사 계수 특성을 만족하며 동작 주파수 대역 내 안테나의 최대 이득은 1.74~3.78 dBi로 분포한다.

      • KCI등재

        다언어 상황과 문화 공존의 방식

        진수(Park Jin-Su)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1 아시아문화연구 Vol.24 No.-

        동아시아의 〈다문화 상황〉을 매우 극명하게 드러내주는 현상은 〈다언어상황〉이다. 본 논문은 이 시대에 인류의 다양한 문화와 언어가 어떻게 서로 공존해야 하는지에 대한 이론적 고찰이다. 한국, 중국, 일본에서는 근대 이후 자국?자민족 중심의 세계관을 갖게 되면서 한문에 대신하여 일상어를 문장어로 쓰자는 언문일치 운동이 일어났다. 이와 함께 일본은 주변국의 식민지화와 군국주의를 강화하는 과정에서 일본어의 표준화를 그리고 한국과 중국은 식민지 혹은 반식민지 상태에서 벗어나기 위한 정신적 노력의 일환으로 자국의 언어를 표준화해갔다. 그러한 표준화는 일국 단위의 언어관을 성립시켰고 자국 내의 다양한 언어를 배제하고 억압했던 것이다. 한편 1500년 전에는 15만 명에 불과한 소수 부족의 언어였고 16세기까지만 해도 잉글랜드 섬 안에서만 사용되던 영어가 어떻게 해서 오늘날 이처럼 전 세계에 확산되어 지배적인 언어가 되었는가? 그 추진력은 바로 영국의 제국주의와 식민지 지배에서 나왔다. 영어의 세계화에 박차를 가한 2차적 요소는 20세기에 들어 급성장한 미국의 정치ㆍ군사ㆍ경제적 힘이다. 원래 미국이 영국의 식민지였음을 생각하면 오늘날 영어의 세계적 확산은 결국 영국의 식민지 지배에 의한 것이었으며 영어는 지극히 제국주의적 언어인 것이다. 지역과 언어의 경계를 넘어 타자(他者)와 이문화(異文化)를 접촉하기를 바라는 사람을 국제인이라 한다면, 자신의 언어에 안주하는 영어 모국어 화자야말로 이러한 국제인의 개념과 가장 거리가 먼 셈이다. 근대 이후 강박적으로 형성된 국경의 의미를 되묻게 되는 21세기의 오늘날, 우리는 알아듣지 못하는 언어를 일상적으로 접하게 되는 다언어ㆍ다문화 상황에 좀 더 익숙해져야 한다. 소위 국제어로 소통하여 상대편과 통할 수 있다는 환상을 버리고 진정한 마음의 교류가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다. Focusing on the multi-language situation in East Asia as the very example of a multi-culture society, this study examines it on how cultures and languages should coexist. As Korea, China and Japan have had nationalistic and ethnocentric view of world since the modern age, there has been a campaign that replaces existing Chinese traditional characters or styles with their letters by using daily spoken language as written language. In the process of colonization or de-colonization, these nations began to standardize their languages. Such standardizations functioned as a mechanism to establish a language for only one nation and to suppress other languages in their lands. English a world-dominant language today has stemmed from British imperialism and colonialism. The second factor was the power of America from 20thcentury. Therefore, English is a very imperialistic language. When we mean by “cosmopolitan” a person who contacts people in other lands and with other cultures across the boundary of territories and languages, a person who wants to use only English is least cosmopolitan. We should get more familiar with multi-culture and multi?language environment in which we daily face languages we do not understand. We should try to communicate with heart.

      • KCI등재

        한·일 관계 개선을 위한 문화 공동체 구축 방안 - 노래를 통한 ‘마음’의 교류

        진수(Park, Jin-su)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21 아시아문화연구 Vol.56 No.-

        최근 문제가 되는 한국과 일본의 정부 간 갈등을 해결하려면 장기적 안목에서 국민감정을 해소할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노래’를 통한 한·일 양측 국민 간 정서적 교류의 확대·심화 방안을 강구했다. 방법적으로 교육 문화 분야의 규제와 편견을 개선하여 마음의 벽을 허물고, 문화의 공통점을 찾아 양국의 동질성을 일깨우며, 구체적인 문제를 놓고 미래를 위해 협력할 일을 모색한다는 3단계를 밟아 해결해야 한다. 한국과 일본은 고대부터 예술 문화 특히 음악 분야에 있어서도 밀접하게 관련되어 왔다. 근대 이후에는 더욱 활발한 상호작용이 일어났다. 오늘날 트로트와 엔카로 불리는 대중음악 장르는 1920년대 이후 한·일 대중음악인들 간의 협업 내지는 공동 작업에 의해 성립, 발전해왔다. 한 때 퇴폐적이고 저속하다는 평가를 받았던 트로트-엔카는 1990년대 이후 한국과 일본에서 각각 ‘고유’한 전통적 대중음악으로 인식되기에 이르렀다. 이제는 이를 서양 문명과 동아시아 문명의 접점에서 발생한 인류의 독특한 문화적 자산으로 바라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향후 한·일 국민간의 진정한 마음의 교류를 위해 ①국민 애창곡 100곡씩을 선정하여 상호 번역하고 ② 한·일 대중음악 공연 행사를 정기적으로 개최하며 ③ 한·일 공동으로 트로트-엔카의 유네스코 세계 무형문화유산 등재를 추진할 것을 제안한다. In order to resolve the recent conflict between the Korean and Japanese governments, it is necessary to take fundamental measures to eliminate national sentiment from a long-term perspective. In this paper, we have taken measures to expand and deepen spiritual exchanges between the people of both Korea and Japan through “songs.” Methodically, we have to take three step to solve it. ①Improve regulations and prejudices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culture, break down the barriers of mind. ②Find commonalities in culture, become aware of the homogeneity of the two countries. and ③ Seek common challenges to cooperate for the future. Korea and Japan have been closely involved in art and culture, especially in the field of music since ancient times. Since modern times, more active interactions have occurred. The genre of popular music called trot and enka today has been established and developed through collaboration with Korean and Japanese popular musicians since the 1930s and 1940s. Trot and enka, which were once considered decadent and vulgar, have been recognized as “unique” traditional popular music in Korea and Japan since the 1990s. Now, we need to look at this with the unique cultural assets of mankind that arose at the point of contact between Western and East Asian civilizations. Therefore, for the true exchange of hearts with the Korean and Japanese people in the future, (1) select 100 national favorite songs and translate them into each other, (2) hold regular Korean-Japanese popular music performances, and (3) We propose that Japan and South Korea jointly promote the registration of trot and enka as a UNESCO Worl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 KCI등재

        동아시아 대중음악과 근대 일본의 “조선 붐”

        진수(Park, Jin-su)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3 아시아문화연구 Vol.29 No.-

        본 논문은 20세기 전반의 동아시아 대중음악, 특히 한국과 일본의 대중음악 형성 과정과 함께 이와 관련하여 근대 일본이 식민지 조선에 대해 가졌던 문화적 관심의 양상과 정도를 살펴보려는 시도이다.우선 일본의 ‘엔카’와 한국의 ‘트로트’장르를 중심으로 20세기 전반기에 한국과 일본의 대중음악이 어떠한 과정을 통해 성립되었는지를 알아본다. 이 두 가지는 19세기 말부터의 서양 음악 수용 과정을 거쳐 1920년대 말과 30년대 초에 레코드와 라디오의 미디어 혁명과 함께 일본과 한국에서 확립된 동아시아의 대중음악 장르라고 할 수 있다. 이들은 동아시아적 관점에서 볼 때 동일한 하나의 장르를 지칭한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따라서 일본의 ‘엔카’가 한국에서 공감을 얻고 한국의 가수가 일본에서 인기를 얻는 현상은 충분히 가능하다. 그것은 동아시아 공통의 전통 음악적 기반과 정서공동체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조선의 대중음악이 ‘조선악극단’이라는 형태의 공연회를 통해 1930년대의 일본에서 많은 사람들의 호응을 얻었다. 이는 단순한 이그조시티즘의 차원을 넘어서 조선 예술가들의 노력과 기량도 작용했고 무엇보다 한일 양국의 정서적 기반이 유사하기 때문이었다. This paper is a trial which is going to investigate cultural interested the aspect and grade which modern Japanese got to colony Korea in relation to this with the East Asian popular music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especially the formation of popular music in Korea and Japan. It is focusing on ‘enka’ of Japan and ‘trot’ of Korea. These two can be called popular musical genre of East Asia established with the media revolution of a record and radio in Japan and Korea early in the end of the 1920th, and the 30th through the Western music acceptance process from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hese may conclude that it points to the same genre, when seeing in the viewpoint of East Asia. Therefore, the phenomenon in which ‘enka’ of Japan obtains sympathy in Korea, and a Korean singer acquires popularity in Japan is possible enough. That is because the traditional music base common to East Asia and the “emotional community” are formed. Good response was obtained to many people in Japan of the 1930s through the public performance meeting of the form which Korean popular music actually constructed with “the Korean comfort theatrical company”(朝鮮?劇?, cho-seon-ak-keuk-dan). This was because the Korean artist"s efforts and skills also acted exceeding the dimension of simple exoticism and the affective base of Korea-Japan both countries is similar above all.

      • KCI등재

        근대 한일 대중가요의 성립 과정과 번역

        진수(Park, Jin-su)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5 아시아문화연구 Vol.39 No.-

        본 논문은 한국과 일본 양국의 대중가요 성립기에 일본어 노래가 한국어로 번역된 케이스를 놓고 텍스트 번역의 방법적 문제를 검토한 것이다. 특히 일본의 레코드 유행가 제1호로 이야기되는 〈카추샤의 노래〉에 대한 고찰을 시도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누가 번역했나’ 혹은 ‘무엇을 번역했나’가 아니라 ‘어떻게 번역했나’ 하는 문제이다. 여기서는 문학 텍스트로서의 대중가요 가사의 중요성에 주목하여 연구를 진행했다. 번역은 이문화 접촉의 가장 대표적인 예로서 한국과 일본의 대중가요 성립기에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했다. 국가 주도로 서양 음악 받아들여 ‘창가(唱歌)’와 ‘군가(軍歌)’를 성립시킨 연장선에서 일본은 레코드 기술의 발전과 방송이라는 새로운 미디어 환경을 통해 매우 독특한 ‘가요곡(歌謠曲)’ 장르를 형성했다. 한국의 경우도 서양과 일본 등 외래의 곡들을 번역 · 번안하여 ‘찬송가’와 ‘애국창가’ 및 조선 대중가요로 발전시켜갔다. 〈카추샤의 노래〉의 일본어 원곡은 7 · 5조의 기본적 음수율과 두운과 같은 ‘か’ [ka] 음의 반복적 형식을 지니고 있다. 화자는 주인공 카추샤와 상대역 네흘류도프에 초점화하기도 하지만 전체적으로는 전지적 존재로서 카추샤의 인생 역정을 원경으로 그리면서 장대한 서사적 흐름을 펼쳐 카추샤에 대한 연민을 불러일으켰다. 1916년에 이루어진 예성좌의 〈카추샤의 노래〉의 한국어 번역은 번역자의 창의성을 발휘한 명번역으로 평가된다. 원곡의 기본적 음수율을 고수하고 화자와 시점의 서술 구조를 최대한 살리면서도 어떤 면에서는 원문보다 더한 재미와 감동을 이끌어냈다. 일본 최초의 유행가가 된 〈카추샤의 노래〉는 서양적 멜로디에 일본적(또는 동양적) 정서를 실어 성공을 거두었다. 한국어 〈카추샤의 노래〉는 ‘서양화된 일본’을 신문화의 하나로 여겨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자기화하고 일상화하고 소비했다. 1916년은 한국의 이른바 근대 언문일치체가 나타나기 이전이었으며 한국의 대중가요 태동하기도 한참 전이었다. 모든 문학 장르를 통틀어서 일본어를 한국어로 ‘번역’한 텍스트가 흔치 않은 시기인 만큼 가사의 한 글자 한 글자가 매우 소중하다. This paper took up the case from which a Japanese song was translated into Korean language by time of formation of a popular song in Korea and Japan and considered a methodology of translation of text. Katyusha’s song has been called the 1st number of Japanese record popular song. The important thing here is not ‘Who translated?’ and not ‘what was translated’, but ‘How was it translated?’. I paid attention to the importance of the lyrics of a popular song as literary text here. Translation achieved the very important role at that time of coming into existence of the popular song as the most typical example of different culture contact. Katyusha’s song was made as a plot song in a dramatic stage in Resurrection which is novel in Tolstoy. Japanese original piece of lyric was formed with 7 · 7 or 7 · 5 syllable meters, and has the repeating form of the sound ‘か’ [ka] as a kind of alliteration. The narrator sometimes focused on main character Maslova Katyusha, but the narrator caught all her life by the distant view from an omniscient viewpoint overall. Korean translation of Katyusha’s song which stood up in 1916 was a translation more wonderful than the original. Thus Katyusha’s song put the Japanese feelings on a Western melody and succeeded. Korean translation digested and Korea-ized ‘westernized Japan culture’, and made it a part of everyday life and consumed.

      • KCI등재

        한일 근대 대중가요의 관련 양상 서설

        진수(Park, Jin-su)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6 아시아문화연구 Vol.42 No.-

        대중가요에 관한 많은 학술적 논의가 국민국가를 단위로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문화적 일국중심주의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다. 필자는 한국과 일본의 근대 대중가요를 하나로 묶어 바라보는 관점을 취하고자 한다. 그 전단계로서 우선 한국과 일본 근대 대중가요 성립기의 양자의 관련양상에 주목한다. 본 논문은 특히 노래 가사에서 보이는 언어적 상호 교섭 현상을 문학적 · 번역학적 측면에서 이해하고 고찰하는 연구의 서설적 성격을 갖는다. 다음 세 가지 이유에서 1930년대는 매우 흥미로운 시기이다. 첫째는 한국과 일본 모두 레코드와 라디오 방송이라는 새로운 미디어를 확보하여 노래의 생산 · 유통 · 보급을 위한 회로를 갖고 대중가요가 대중적 오락의 중요 장르로 대두했다는 점이다. 둘째는 노래가 유통되는 범위가 오늘날 이상으로 넓었던 것으로 판단되며 당시의 대중가요는 수많은 국제문화적 요소의 총합으로서 성립했다는 점이다. 셋째는 번역과 번안을 통해 멜로디가 공유되고 새로운 언어텍스트로 활발하게 재생산 · 재해석되었다는 점이다. 본 연구를 통해, 첫째, 1910년대에서 1945년 사이에 레코드와 라디오 등 근대 미디어의 발달로 등장하여 한국과 일본 대중 사회에서 불러진 가창(歌唱) 위주의 대중음악을 가리켜 ‘한일 대중가요’ 및 ‘한일 근대 대중가요’라는 용어로 부를 수 있다는 점, 둘째, 대중가요라는 문화현상을 연구함에 있어서 현재의 국경 개념을 상대화할 필요가 있다는 점, 셋째, 대중가요의 가사에서 보이는 언어적 상호 교섭 현상을 문학적 · 번역학적 측면에서 이해하고 고찰해야 한다는 점을 확인했다. Many academic discussions about popular music, has been formed one-song-one-nation as a unit. It is necessary to escape from such a principle. I am going to get a point of view watching Korea and Japanese modern popular music in a lump. At first, as the pre-stage, I am going to pay attention to an aspect of the modern popular music establishment period of Korea and Japan concerned. This article is an introduction of the study the language negotiations phenomena that the lyrics as a literal text show from translation. From the standpoint of studying these area, it is very interesting period in the 1930s for the following three reasons. First, Korea and Japan secured new media such as record and radio broadcasting, complete circuits for production, circulation, consumption of songs, the popular music became an important genre of mass entertainment. The second is judged that the circulation range of the song was wider than today, and popular songs were created by many international cultural elements. The third point is that melodies were shared through translation and adaptation and were actively reproduced and reinterpreted with new language texts. Researching the translation of lyrics between Korea and Japanese mondern popular music is a study of history itself of the heart of the people at that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