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KIAS :한국형 인터넷 중독 척도와 이를 이용한 국내 실태 조사

        박경호,강만철,오익수,김건웅 한국통신학회 2001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26 No.12

        인터넷 서비스의 확산, 초고속 정보통신망의 구축은 원활한 정보 교환과 이를 통한 정보화 사회 구축이라는 긍정적인 결과도 가져올 수 있지만, 컴퓨터, 인터넷의 과도한 사용으로 인한 새로운 정신 질환인 \`사이버 중독, \`인터넷 중독\`의 등장이라는 부정적인 결과도 야기시켰다. 이러한 인터넷 중독 실태를 파악하고, 예방책을 강구하기 위해선 무엇보다도 인터넷 중독을 판정하기 위한 정확한 척도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한국형 인터넷 중독 판정도구인 KIAS(Korean Internet Addictions Scale)를 소개하고, 이를 이용한 전국적인 인터넷 중독 실태 조사 결과를 소개한다. 조사 결과 전체 대상자 중 중독 비율은 4.8%로 나타났고, 일반 성인은 1.6%, 초등학생의 중독 비율은 4.1%, 중고등학생의 비율은 6.6%, 대학생의 중독 비율은 6.6%로 나타났다. With the rapid increase of high-speed network and internet use, those who fall into Internet addictions increase. They have serious personal, familial, academic/occupational and financial problems. So it is very important to estimate the ratio of Internet addiction accurately, to establish the strategies for internet addiction effectively, and to prevent internet user from internet addiction. In this paper, we introduce the KIAS:Korean Internet Addictions Scale and a survey on the Interned Addictions in Korea. Nearly 4.8% of those totally surveyed met the strict criteria for KIAS and subgroups showed different addiction-ratios(adults 1.6%; elementary school 4.1%; middle and high school 6.6%; college 6.6%; adults 1.6%).

      • 총담관 결찰 후 집토끼 결장점막내 Enterochromaffin Cell의 미세구조 연구

        김재호,고정식,양남길,안의태,박경호 순천향의학연구소 1995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1 No.2

        이 실험은 담도가 폐쇄되었을 때 결장 점막내장크롬친화세포의 미세구조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실험동물로는 체중 1.5Kg내외의 건강한 수토끼를 사용하였으며, 이를 정상군, 수술대조군 및 수술군(총담관결찰군)으로 나누어, 수술대조군 과 수술군은 1일, 3일, 5일, 7일 및 14일군으로 구분하였다. 수술군 동물은 ether로 흡입마취시킨후, 십이지장 초부에 개구하는 총담관을 봉합사로 이중 결찰하였으며, 수술대조군은 수술군과 같은 수술 과정을 거치되 총담관을 결찰하지 않았다. 각 실험 동물을 ether 마취하에 복부를 절개하고, 회장과 결장 이행부에서 결장 쪽으로 약 3cm 떨어진 곳에 결장 조직을 절취하였다. 절취된 조직은 2.5% glutaraldehyde- 1.5% paraformaldehyde (0.1M Millonig's phosphate buffer, pH 7.3)에 1차 고정한 후, 1% osmium tetroxide액(0.1M Millonig's phosphate buffer, pH 7.3)에 2차 고정하였다. 고정된 조직은 탈수 과정을 거쳐 araldite 혼합액에 포매한 다음, 60-70cm 두께의 얇은 절편을 만들었다. 각 절편은 uranyl acetate와 lead citrate로 대조염색한 후, JEM 100CX-Ⅱ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담관결찰 후 1일군부터 장크롬친화세포의 핵막 만입현상이 관찰되기 시작하였으며, 시일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로 심하였다. 수술 1일군의 경우 핵내의 미세섬유의 다발이 관찰되었다. 2. 수술군의 경우, 시일이 경과함에 따라 세포질내에 자유리보소체들이 군데군데 모여 밀집되어 있는 모습이 자주 관찰되었다. 3. 미세사는 수술 3일군 이후 현저히 증가하여 수술 7일군과 14일군의 경우에는 핵 주위와 세포질내에서 많이 관찰되었다. 4. 전자밀도가 다양한 액포 또는 공포가 수술 1일군부터 자주 관찰되기 시작하였으며, 시일이 경과함에 따라 더 많이 관찰되었다. 위의 여러 사실로 보아 담관이 폐쇄되면 결장 점막내 장크롬친화세포는 시일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세포활성이 저하된다고 생각된다. This experiment was performed to study the morphological responses of the enterochromaffin cells in the colonic mucosa of rabbit following bile duct ligation. Adult male rabbit were divided into normal. sham operation, and experimental groups. Bile duct ligation was performed under ether anesthesia and animals were sacrificed on the 1, 3, 5, 7 and 14 days after operation. Mucosal specimens from the colon, were prefixed with 2.5% glutarldehyde-1.5% paraformldehyde(0.1 M Millonig's phosphate buffer, pH7.3), post-fixed in the 1% osmium tetroxide(0.1 M Millonig's phosphate buffer, pH 7.3), and embedded within araldite mixture. The sections were cut on a LKB-V ultratome, and observed under a JEM 100CX-II electron microscope. The results were as follow; 1. Irregularities of the nuclei of the enterochromaffin cells were noticed from the 1 day after bile duct ligation. The intranuclear filamentous inclusions were observed on the 1 day after bile duct ligation. 2. Aggregated free ribosomes were more frequently observed in the cytoplasmic matrix from the 1 day after bile duct ligation. 3. Amount of the microfilamentas in the enterochromaffin cell was significantly increased form the 3 day after bile dict ligation and they were more frequently observed in the vicinity of the nucleus. 4. Vacuoles of various electron dinsities in the enterochromaffin cell were increased in number from the 1 day after bile duct ligation. The above findings refer that the bile duct ligation depresses the activity of the enterochromaffin cell in rabbit colonic mucosa.

      • KCI등재

        컴퓨터 통신을 이용한 병원약사 정보망 구축 (Ⅰ)

        박경호,조남춘 한국병원약사회 1998 병원약사회지 Vol.15 No.1

        A Closed User Group (CUG) space (so-called HosPharm-Net) in host computer of computer communication services network (KPCA) was constructed in order to make the Korean hospital pharmacists to have the communications each other by computer. And the connection to host computer and Hospharm-Net CUG can be possible by modem and personal computer or telnet service through the LAN system. The present functions of HosPharm-Net are consist of 1) General Information and Affairs of KSHP, 2) Materials for Study and Discussion, 3) Drug Information and 4) The Lectures by Telecommunication. Especially question and answer (Q&A) service, supporting service of Pharmacy and Therapeutic (P&T) Committee,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of pharmacists and students of a college of pharmacy, preparing hospital formulary and newsletter, and also control of the investigational drugs in the clinical study are very importance. As a promising function of Korean hospital pharmacy, we are trying to develop problem oriented drug information database and telecommunication network for the efficient application of these drug informations to pharmaceutical services in hospital pharmacy. We also have plans of the educational programs for computer communication skills to hospital pharmacists and practice pharmacists. We are also trying to make databases of drug products available in Korea and newsletters of 16 hospital pharmacies by co-operation with other hospital pharmacists, and make the members of Korean Society of Hospital Pharmacist (KSHP) to use these database and CUG for exchanging drug informations each others. And now, we are trying to construct pharmaceutical service information network of hospital pharmacists by internet.

      •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효율적인 WLL 시스템 구현

        박경호,김동인 서울시립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1998 산업기술연구소논문집 Vol.6 No.2

        Multi-code DS/CDMA systems have been proposed as a very efficient method for high-rate data transmission in WLL as well as in cellular communications. But the interference caused by data channels incurs the impairment of system performance. Especially, when high-rate data transmission for IMT-2000 is accelerated, system impairments become more serious, so various techniques overcoming this problem have been presented. In this paper, two techniques such as decorrelating detector and multi-stage interference canceller are first investigated to improve WLL system performance, and then a new scheme is presented based on the analytical results. We also consider the channel structure which can be applied to IMT-2000 system.

      • KCI등재
      • 분리된 뇌조직의 수초화세포에 관한 연구

        고선용,안의태,양남길,고정식,박경호 순천향의학연구소 1995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1 No.2

        중추신경계통의 신경세포들은 긴 축삭돌기로서 다른 신경세포와 연접을 이루기 때문에 뇌손상시 나타나는 반응도 신경로의 방향과 관계가 깊다. 대부분의 긴 축삭은 수초집으로 둘러싸여 보호를 받고 있고 또 수초는 축삭의 대사활동에 중요한 기능을 발휘한다. 뇌가 손상받아 축삭들이 절단될 때 퇴행되는 축삭을 둘러싼 수초집의 다양한 변화는 손상부위의 괴사과정, 치유과정 및 부분적 재생기능에 중요한 요소가 된다. 본 실험에서는 뇌속에 주위의 다른 신경세포와 의 연결이 단절된 뇌조직의 기둥을 만들고 그속에서 일어나는 형태학적 반응 가운데서 특히 수초구조물의 특수한 반응을 연구하였다. 3Kg 정도의 고양이를 nembutal로 마취시키고 뇌정위고정대에 고정시킨 다음 전두골의 일부를 절개한 후 직경 5mm 크기의 원통형칼날을 내려 눌러서 뇌조직의 기둥이 주변으로 부터 분리되도록 했다. 이때 부위선택은 뇌지도를 이용하여 중간줄무늬체동맥이 아래로 부터 올라오는 것이 손상되지 않도록 해서, 분리된 뇌조직이 계속하여 혈액공급을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3~4주동안 생존 시킨 후 1% glutaraldehyde 와 1% paraformaldehyde 용액으로 뇌를 고정시켰고 일반적인 술식으로 표본을 작성하여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관찰 결과 손상된 줄무늬체기저핵 안에서는 많은 수초구주물들이 불규칙한 모습을 지녔으며, 특히 수초집이 팽되되고 심하게 쭈그러드는 것들이 많았으나 이때도 수초의 기본구조는 흐트러지지 않고 정상에 가까운 것이 많았다. 이는 비록 절단된 축삭이 괴사하여 소멸되더라도, 이를 둘러싼 수초집을 만들고 유지해 온 희돌기아교세포가 건재하기 때문에 아직도 기본구조를 유지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특히 전체적인 모양 심하게 변하는 것은 희돌기아교세포가 오히려 활성화되어 새로운 변형을 시도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그 대표적인 예로서 여유분의 수초집이 신경종말을 비롯한 다른 구조물을 흡인하거나 둘러싸는 현상을 보였다. 가장 특이한 경우로는 거대화된 수초집 속에 상당수의 세포들이 들어 있는 수초화세포의 출현이었다. 이들 세포의 성분을 확정하기는 어려우나 형태학적 특징과 세포의 이동특성, 포식형태등으로 볼때 이 세포들이 별아교세포 성분인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와 같은 별아교세포의 수초화는 이 세포들이 손상받은 뇌조직이 치유과정에서 수초집 안팎의 섬유화를 유도하고, 새로이 재생되려는 축삭의 자라나갈 자리를 차지하므로써 손상된 축삭의 재생을 막는 원인이 될 수 있다고 결론지었다. Since the neurones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make contact with other neurones through their long axons, the tissue reactions following brain damage are complicate, and the reactions appear largely along the course of transected axons. Myelin sheaths around transected axons have to show curious reactions. because they belong to oligodendroglia instead of belong to component. In this experiment, a tissue column of fundus striati nucleus was made by pressing a tube-knife of 5 mm diameter down toward the basal forebrain area, where the middle striatal arteries penetrate the brain. Three to four weeks after the stereotaxic isolation, tissue blocks are punched out from fundus striati nucleus. Ultrathin sections are obtained through the observations are discussed and the following results are obtained. Many axons and their myelin sheaths showed various transformations, including the redundant myelin sheaths and myelinated cells. Many redundant myelin sheaths are wrapped around, or sucked in the axon terminals or other structures. Redundant myelin sheath should be very active structures, even after the degeneration of axon within it, since the myelin sheath is a component of oligodendroglia instead of axonal component. Myelinated cells, the cells dwelled within some giant-swelled myelin sheaths, are observed. They contained relatively light cytoplasm with scanty cell other cell components or axon terminals, within the giant myelin capsule.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the moldability into the myelin sheath, of these myelinated cells suggested that they are activated astroglial cells. Astroglial activities within or out of the transected myelin may prohibit the new axonal sprouts growing into the myelin sheath during regeneration course of nerve fiber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