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한 . 일 양국의 전통예술의 전승과 음악 . 미술교육

        장창환,박철준,류덕희,이홍수,이미화,십홍(□弘),궁목영행(宮木英幸),수야신남(水野信男),령목실(鈴木實),앵정농정(櫻井農正) 한국음악교육학회 1990 음악교육연구 Vol.9 No.-

        A great number of educators in the world believe that they should lead future generations to understand their native cultural heritage which has developed throughout a history of their nation and to see the cultures in cosmopolitan perspective, respecting ones from the other countries. The purpose of this project was to examine the problems regarding to the traditional music and fine arts which commonly exist in two countries, Korea and Japan, and then to find the way appropriate to solve the problems through music and fine arts education. Ten participators, music and fine arts educators from Korea and Japan, reviwed related literature, discussed, and investigated(answeres: 144Korean teachers and 105 Japaneses)to identify: (1) are there any differences between educators` opinions on the traditional arts education in their own country? (2) how have been their traditional arts and culture transmitted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3) What do educators think of current musical contents, curricular, textbooks, and teaching techniques concerning with traditional arts education? The main conclusions from the investigation are as follows: first, music and fine arts educators from Korea and Japan commonly recognize the significance of transmitting their traditional music, fine arts, and play, particularly in a time of rapid change. However, there are somewhat differences between their approachs. While Korean theachers strongly define that traditional arts should be tought, Japanese teachers expect the playing and interesting-centered spontaneous approach to local materials. Second, in both countries, educators and local governers currently take the tasks of transmitting traditional arts and cultrue, because the connection between generations became gradually thin. The educators hope, however, that craftsmen from each local should take those tasks. Third, educators in two countries estimate themselves that in general, school teachers lack of performing skills of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s and lack of ability for teaching appreciation of works. They want to have a broad perspective in order to explain the meanings of works of their traditional music. But, interestingly there are a few differences between teachers` opinions in two countries on the teaching ability of traditional fine art appreciation. While thirtysix percent of Korean answerers hope that they can systematically explain works of their traditional fine arts and crafts, fifteen percent of Japaneses answerers want to explain cultural assets of their region, seventeen percent of Korean answeres expect to do it. Ten participators of this project agreed to the conclusion that although a few differences between opinions on definitions and educators` role for traditional arts and crafts exist among educators in two countries, their educational practice has something common in many aspects and needs simillar studies in a more detail manner.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초등음악과 교수 - 학습방법의 개선연구 - Computer 의 활용을 중심으로 -

        장창환 한국음악교육학회 1993 음악교육연구 Vol.12 No.-

        In the study, I investigated two things for the improvement of the teaching learning method in the primary music education. The one was to research the tendency of music education studies by literature, the other to clarify general trends that have introduced computer and synthesizer into the music instruction. For this purpose, I researched the present situation and future expectations of music instruction method which is recognized among teachers in Korea and Japan. In the research, survey tools were questionnaire. On the basis of it, I devised a teaching model which introduced computer into the music introductio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In the music education, the teaching method was concentrated upon the singing guidance. 2. Personal computers were diffused in school and children, Therefore, coursware has took great development and software of DTM was put into practical use. 3. In Korea and Japan, teachers have very similar recognizations for the practical use of computer and synthesizer in the music education. But they recognized imperfectly the relations among music education and computer. 4. In Korea and Japan, Teachers desired to operate dexterously digital machinery and tools as the object of self - innovation. 5. As the teaching model with computer, I suggested The process of computer utilization in the music education and tentative plan I, II. 6. There were good findings by tentative plan I. That is, we could: 1) achieve small grouping and individualization in the music learning. 2) teach correctly such musical competences of teacher and children as musical time pattern, interval, rhythm, and harmony. 3) make children participate willingly in the music learning who did not have self - confidence in music. 4) lead children to forming good habits of teaching themselves at school and home.

      • 쇄파와 흐름장에 의한 와동점성계수의 변화

        장창환,강인철 국민대학교 2002 北岳論叢 Vol.19 No.-

        The effect of wave breaking and current on eddy viscosity was described by using a 1DV numerical model with one-equation turbulence closure. The turbulent kinetic energy generated from the wave breaking was supplied at the water surface, and was diffused down into the whole water column. While the breaking-induced turbulence are diffused in the water column, the vertical diffusion coefficient was modified by the additional turbulent kinetic energy. The model was applied to six wave flow cases and two wave and current flow cases to assess the effect of the wave breaking and the current. The eddy viscosity or vertical diffusion coefficient was obtained from a simple relationship between the eddy viscosity and the mixing length and the turbulent kinetic energy. The model results on the horizontal velocity profile, the turbulent kinetic energy profile, and the diffusion coefficient profile were compared with laboratory measurements, and showed reasonable agreement. The diffusion coefficient was significantly enhanced by about 40000 % at the middle of wave boundary layer due to wave-breaking for CASE 1, while it was enhanced by about 200 % due to a current for CASE 1-2.

      • KCI등재

        국민학교 어린이들이 애창하는 동요 및 일반 노래의 분석 연구

        장창환 한국음악교육학회 1973 음악교육연구 Vol.1 No.-

        A. The Purpose of the Study: Through the necessary musical experience in daily life, we want to make the purpose of music education as the performing the gentle emotion and perfect personality, and in the other hand, editing the curriculum of the primary school music subject. The children in recent days, leaving the standard school music (Children Songs), would like to enjoy the popular songs or CM songs through Television or Radio and we should make some confirm plan for improving such mis-lead musical tendency for the good education of the primary school children. To make the standard curriculum of the music subject, we should make some policy to prevent the children from the harm of Television or Radio, and also we should edit good songs for the children. B. The Problem of the Study: 1. The tendency for the population of Children Songs and general and popular songs should be classified into some type of favorite. 2. To inspect the tendency of appreciation for music in the children who receives private music teaching (or lesson), and in the children who don`t take such special lessons. 3. To inspect the popularity for the children songs and other regular songs which was taught at school. 4. To inspect the popularity according to the taste with 50 songs each in children songs and general and popular songs. C. The Objects and Method of the Study: 1. To make broad examine on the musical tendency of our country, I took the High standard-level primary school in Seoul-(A), and middle-level primary school-(B), and a low-level primary school in countryside-(C), as the standard sample of this study, and each school selected some boys and girls, totally 1,460 boys and girls were examined as samples of this study. 2. Using the questionnaires, have selected most popular songs of 15, that were chosen by the children under free selection, and also I checked the taste of musical appreciation of the children and the circumstances of their living level. 3. With the collected samples, I classified the popularity, and the number of melody, using the percentage in accordance with the condition of life, difference of grade of the children. D. Findings and Conclusions: 1. The number of children songs which is favorite for the children is approximately 1/5 of the general and popular songs, and the frequency of children songs is 2/5 of the general and popular songs. Concerning to the circumstances of the children, in sample A, the number of the children who likes general and popular songs than children songs has shown 2/3 of the whole, but in sample C, most children liked the children songs than general and popular songs. 2. The classification of the children songs are spread to the whole music text-books of the primary school. And the general and popular songs, wore consisted of popular songs, CM songs and National songs, in turn. 3. The tendency of taste of music appreciation among the children are almost same degree in samples A, B, and C, and especially the children who receive the special teachings shown more good taste in music appreciation. 4. The places where the children learnt the children songs were school class-room, but the high-level school children songs were school class-room, but the high-level school children has shown the strong affection of the music, and they said it was at their home to have the good taste of music appreciation, due to the Television and Radio at their homes. 5. The person who taught the children songs was mostly school teachers, and the next, their sisters and brothers at home had taught them songs, As for the popularity of general and popular songs in A and B school, they said they could learn the songs through Television or Radio, but in C school, the children said they learn the songs from their teachers. 6. The place where the children sing songs is at home alone shown most frequently, and the next was at school recreation hour , and the tendency of general songs appreciation is incr

      • 1991학년도 서울교대 신입생의 실태조사 결과분석

        장창환 서울敎育大學校 學生生活硏究所 1992 學生生活硏究 Vol.18 No.-

        1991학년도 서울교육대학 신입생 469명(전체 신입생의 90.2%)을 대상으로 실시한 실태조사 결과를 영역별로 간단히 요약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인적 사항 ① 신입생의 연령은 18세가 49.8%, 19세가 26.9%, 20세가 12.8%로서 18세∼20세가 전체의 약 90%를 차지하고 있다. ② 신입생의 약 81%가 도시지역에서 주로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③ 신입생의 28.5%정도가 1년이상의 재수 경험이 있으며, 성별로는 남학생의 약 42%와 여학생의 약 24%가 재수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남학생의 재수 비율이 여학생의 경우보다 훨씬 더 높음을 알 수 있다. ④ 신입생들은 대부분(96.2%)이 인문계 고등학교를 졸업한 것으로 나타났다. ⑤ 신입생의 약 57%정도가 지방에 소재한 고등학교를 졸업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 볼 때는 남학생의 45.6%와 여학생의 60.2%가 지방에 소재한 고등학교를 졸업한 것으로 나타나 남학생의 경우보다 여학생의 경우에 지방에 소재한 고등학교를 졸업한 비율이 더 높음을 알 수 있다. ⑥ 신입생의 약 20%가 타대학에 재학했던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⑦ 신입생 중 33.7%가 종교를 갖고 있지 않으며, 나머지는 기독교(43.5%), 천주교(11.3%), 불교(10.7%)등의 종교를 갖고 있다. (2) 가정의 배경 ① 신입생 중 부모가 모두 살아계시는 학생이 84.8%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모친만 살아계시는 학생도 13.5%나 되고 있다. ② 아버지의 학력은 66.6%가 고졸이상인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아버지의 학력이 고졸이상인 학생의 비율이 남학생(약 49%)보다 여학생(약 72%)의 경우에 더 높게 나타나 남학생들의 아버지보다 여학생들의 아버지가 학력이 높은 편임을 알 수 있다. ③ 어머니의 학력은 고졸이상이 36.4%로 나타나 아버지의 학력보다 낮은 편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어머니의 학력이 고졸이상인 학생의 비율이 남학생(26.4%)보다 여학생(39.7%)의 경우에 더 높게 나타나 남학생들의 어머니보다 여학생들의 어머니가 학력이 높은 편임을 알 수 있다. ④ 보호자의 직업은 주로 상업(22.9%), 회사원(16.5%), 농업(12.8%), 교육공무원(12.4%), 일반공무원(9.9%)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⑤ 본인을 포함한 형제·자매수는 3명(36.7%)-4명(23.5%)-2명(14.7%)-5명(12.2%)-6명(7.2%)-7명(2.3%)-1명(1.9%)-8명(1.1%)-9명(0.4%)의 순으로 나타났고, 평균 4명정도인 것으로 밝혀졌다. 비교적 형제·자매가 많은 편이라고 할 수 있다. ⑥ 신입생의 약 29%가 가정의 평균 월수입이 50만원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⑦ 신입생들의 학비조달은 대부분(84%)이 부모에 의해서 이루어질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자신이 스스로 학비를 조달하겠다는 학생도 5.3%를 차지하고 있다. ⑧ 재학 중 학비조달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신입생이 25.3%인 반면에 여유가 있거나 충분하다고 생각하고 있는 학생은 13%에 불과하다. ⑨ 가족의 주거형태는 자택(75.5%)-전세(18.3%)-월세(4.3%)-기타(1.9)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24.5%가 남의 집이나 방을 빌려서 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가족들이 자택에서 살고 있는 학생이 남학생의 경우 64.9%이고, 여학생의 경우는 78.9%인 것으로 나타나 여학생의 가정이 남학생의 가정보다 주거형태가 비교적 양호한 편이라고 할 수 있다. ⑩ 신입생 중 과반수이상인 55%가 부모의 양육태도에 대해 민주적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⑪ 신입생 중 54.7%가 자신의 교육에 대해 부모의 관심이 아주 높다고 하였으며, 28.0%는 조금 높다고 하였다. 따라서 본교 신입생의 부모들은 자녀의 교육에 대해 관심도가 높은 편이라고 할 수 있다. ⑫ 신입생 중 65.1%는 가족들이 화목하게 지내고 있다고 하였고, 11.1%는 가족간에 불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남학생의 15.8%와 여학생의 9.6%가 가족간에 불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여학생의 가정이 남학생의 가정보다 가족간의 분위기가 다소 더 좋은 편임을 짐작할 수 있다. ⑬ 신입생들의 가정의 가장 심각한 문제로 생각하고 있는 것은 경제적 어려움이 27.7%로 제일 많다. 38.2%의 학생들은 가정에 심각한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대학진학 동기 및 태도 ① 신입생들은 대학의 기본성격을「학문탐구와 전수」(44.0%)-「인간교육」(19.7%)-「사회봉사 및 현실참여」(19.4%)-「고급인력의 양성」(9.6%)-「취업준비」(4.9%)-「기타」(2.4%)의 순으로 지각하고 있다. ② 신입생들은 일반사람들의 대학진학 목적에 대해 주로 취업(42.9%)이나 사회적 대접(20.1%) 등 현실적이고 실리적인 면을 중심으로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③ 신입생이 대학을 진학하게 된 가장 큰 동기는 주로「장래 직업준비」(43.3%),「사회봉사 및 현실참여」(21.8%),「학문과 진리 탐구」(14.6%),「자신의 인격도야」(10.3%)등인 것으로 나타나 취업준비와 사회참여의 동기가 강하고 상대적으로 학문적 동기가 약하다고 할 수 있다. ④ 신입생들이 교육대학을 선택한 이유는 주로「초등교사가 되고 싶어서」(51.5%)와「비교적 취업이 쉬울 것 같아서」(29.4%)인 것으로 나타났다. ⑤ 신입생들이 본교를 선택한 최종 시기는「고3초∼원서접수전」(51.5%)이 가장 많고, 그 다음이「원서접수기간중」(20.8%)으로 나타났다. ⑥ 신입생들이 본교를 선택하는 데 있어 결정적인 영향을 준 사람은 부모 40.1%, 학생 본인 32.0%, 교사 12.4%, 형제 ·자매 7.9%, 선배나 친구 4.5%, 기타 2.3%로 나타나 약 68%의 학생들이 본교를 선택하는 데 있어 타인의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남학생의 경우 본교선택에 결정적인 영향을 준 사람으로 본인(39.5%)이 가장 많고, 두 번째가 부모(31.6%)인 반면에 여학생의 경우는 부모(42.8%)가 가장 많고, 그 다음이 본인(29.6%)인 것으로 나타났다. ⑦ 신입생들은 서울교대생이 된 것에 대해 73.1%가 만족하게 생각하고 있으며, 불만스럽게 생각하고 있는 학생은 3.4%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남학생의 경우 만족스럽게 생각하고 있는 학생이 80.7%인데 비해 여학생의 경우는 70.6%로서 여학생보다 남학생들의 만족도가 더 높은 편임을 알 수 있다. (4) 대학생활의 계획 ① 신입생들이 재학 중 주거할 곳은 자택 46.8%, 기숙사, 27.8%, 형제 ·자매집 10.7%, 친척집 6.2%, 자취 6.2%, 하숙 1.7%, 기타 0.6%로 나타났다. 한편, 남학생은 학교에 남학생 기숙사가 없는 관계로 자택(52.6%) 다음으로 자취(14.9%)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여학생은 대부분 자택(44.9%)과 기숙사(36.7%)에서 주거할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② 신입생들이 대학생활에서 가장 중점을 두고 싶은 것은「인간관계」(43.1%)-「학문적 탐구」(29.0%)-「교양활동」(11.5%)-「써클활동」(8.7%)-「이성교제」(4.1%)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학문적 탐구」에 중점을 두겠다는 비율이 남학생(21.1%)보다 여학생(31.5%)의 경우에 높고,「인간관계」에 중점을 두겠다는 비율에 있어서는 남학생(47.4%)이 여학생(41.7%)의 경우보다 높게 나타났다. ③ 신입생들이 교수님께 가장 기대하는 사항은 주로「훌륭한 인생관 확립의 안내」(48.8%)와「학생입장의 이해와 관심」(27.9%)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문적인 면 보다는 인간적인 면을 더욱 기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④ 신입생 중 써클가입을 희망하는 학생이 56.9%이며, 써클가입을 희망하지 않은 학생은 7.5%로 소수에 불과하다. 즉, 써클활동에 많은 관심과 호기심을 갖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⑤ 가입하고 싶은 써클의 분야는 교양분야(25.1%)-예술분야(18.6%)-친목 ·오락분야(14.0%)-종교분야(11.4%)-학술분야(10.9%)-체육분야(8.8%)-기타(2.8%)의 순으로 나타났다. ⑥ 신입생의 대부분(83.8%)이 부직(아르바이트)을 갖기를 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남학생(80.7%)의 경우보다 여학생(84.8%)의 경우에 더욱 부직을 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⑦ 부직을 원하는 이유나 목적은「학비를 마련하기 위해」(30.9%)가 가장 많고, 다음이「사회경험을 하기 위해」(25.8%),「잡비를 마련하기 위해」(22.4%)로 나타났다. 많은 학생들이 돈을 벌기 위해 부직을 원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⑧ 신입생들이 대학생활 중의 문제에 대해 같이 의논하고 싶다고 생각하고 있는 사람은 친구나 선배가 55.2%로 가장 많고, 그밖에 부모 18.2%, 형제 ·자매 15.4%, 지도교수 3.2%, 학생생활연구소의 상담교수 2.4%로 나타났다. 여기서 대학생활 중의 문제를 지도교수 혹은 학생생활연구소의 상담교수와 의논하고 싶다는 학생이 5.6%에 불과해 바람직하지 못한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