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기후변화로 인한 신지도 근해 해양먹이망 변동예측

        강윤호,주세종,박영규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012 Ocean and Polar Research Vol.34 No.2

        The food web dynamics in a coastal ecosystem of Korea were predicted with Ecosim, a trophic flow model, under various scenarios of primary productivity due to ocean warming and ocean acidification. Changes in primary productivity were obtained from an earth system model 2.1 under A1B scenario of IPCC CO2 emission and replaced for forcing functions on the phytoplankton group during the period between 2020 and 2100. Impacts of ocean acidification on species were represented in the model for gastropoda, bivalvia, echinodermata, crustacean and cephalopoda groups with effect sizes of conservative, medium and large. The model results show that the total biomass of invertebrate and fish groups decreases 5%, 11~28% and 14~27%, respectively, depending on primary productivity, ocean acidification and combined effects. In particular, the blenny group shows zero biomass at 2080. The zooplankton group shows a sudden increase at the same time, and finally reaches twice the baseline at 2100. On the other hand, the ecosystem attributes of the mean trophic level of the ecosystem, Shannon's H and Kempton's Q indexes show a similar reduction pattern to biomass change, indicating that total biomass, biodiversity and evenness shrink dynamically by impacts of climate change. It is expected from the model results that, after obtaining more information on climate change impacts on the species level, this study will be helpful for further investigation of the food web dynamics in the open seas around Korea.

      • KCI우수등재

        Simulating Bacterial Dispersion from Coastal Sewage Outfalls Using the QUICKEST Scheme

        강윤호,이문옥,Kang Yun Ho,Lee Moon Ock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1999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지 Vol.2 No.2

        영국의 북서 Fylde 연안역에서, 수영객들을 위한 수질을 개선하기 위해, 방류구에서 흘러나온 오수를 수치모의실험을 통하여 연구하였다. 수질모델의이류확산방정식에서 확산항과 이류항은 양해법 이차정밀도의 중앙차분법과 삼차정밀도의 QUICKEST 법을 사용하여 표현하였다. 수리역학모델은 광역과 세부역으로 나누어지며, 이때 격자는 각기 1km와 200m를 사용하였고, 모의실험의 (유속과조위)결과는 관측값과 잘 일치하였다. 그 다음 단계로서 수질모델을 사용하여 faecal coliform 의 농도분포를 예측하였다. 이 때 4가지의 시나리오가 사용되었다:-(i) Fleetwood outfall,(ii) River Ribble for summer condition,(iii)River Ribble for winter condition 그리고 (iv) Combined Sewer Overflows. 모의 실험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i) Fleetwood 방류구에서 방류된 coliform은 Fylde 연안에 거의 미치지 않는다:(ii)여름과 겨울, Ribble에서 유입된 coliform은 Lytham St.Annes에서 10-500(counts/100ml)농도분포를 보였다;(iii)CSO에서 방류된 오수는 해안에서 벗어나 offshore로 이동되지 못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To improve water quality particularly for sea bathers along the Fylde coastal zone near Blackpool, North West England, waste water from a sewage outfall is studied using a mathematical model. The explicit second order accurate central scheme and the third order accurate QUICKEST scheme are used to represent the diffusion terms and the advection terms of the advective-diffusion equation, respectively. Hydrodynamic model is run for a coarse and fine grid, of 1km and 200m, respectively, obtaining good agreement with measured data. Water quality model is then used to predict faecal coliform levels in the region for four different scenarios, including discharges from: - (i) Fleetwood outfall, (ii)River Ribble for summer condition, (iii)River Ribble for winter condition, and (iv)combined sewer overflows for the Blackpool and Fleetwood communities. Main findings from the simulations are:- (i) Fleetwood outfall has a negligible impact on the beaches with respect to pathogen levels; (ii) Discharge from River Ribble for both summer and winter conditions is predicted in the range of coliform levels 10 -500 counts/100ml along the beach at Lytham St. Annes; and (iii) The CSO effluent discharges are predicted not to advect out into offshore by stronger tidal currents.

      • KCI등재

        우리나라 통합해양행정체계의 논리와 설립방향

        강윤호,최성두 한국항해항만학회 2012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36 No.10

        본 연구에서는 통합해양행정체제가 필요한 논리적‧실증적 근거를 분석하였다. 또한 우리나라의 해양행정체제의 변화과정과 주요 외국의 해양행정체제의 경향을 비교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우리나라 통합해양행정체계의 설립방향을 제안하였다. 통합 해양행정체제의 근거로 연안 및 해양의 통합관리, 통합의 시너지 효과, 국민적 지지를 들었다. 우리나라의 해양행정체계는 시대에 따라 통합 체제와 분산체제를 번갈아 이용 해왔다. 최근 세계 주요 해양강국들은 해양의 중요성을 감안하여 해양행정기능과 조직의 통합화를 지향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우리나라에서 통합해양행정체계의 형성 대안으로 새로운 통합해양행정부처의 설립, 조정위원회의 설립, 지도부처의 지정 등 세 가지를 제안하였다. The paper analyzed the logical and empirical grounds for integrated ocean administrative system and conducted comparative analysis of the ocean administrative systems of a few major foreign countries. Also the paper suggested the alternative systems of integrated ocean administration, based on the analyses. The analyses indicated that integrated coastal and ocean management, synergy effects of integration, and people's support could be the grounds for the integrated ocean administrative system. They also indicated that nowadays, major foreign ocean countries are oriented to integrated ocean administrative systems. The paper suggested the following three alternatives of integrated ocean administrative system: i) the creation of a new ministry, ii) the creation of an interministerial and intergovernmental coordinating committee, iii) the naming of a lead ministry.

      • KCI우수등재

        지방자치와 기초자치단체의 사회복지정책 정향 : 시 군 자치구간 비교분석

        강윤호 한국행정학회 2000 韓國行政學報 Vol.34 No.1

        본 연구는 지방자치제 도입(1991년 제 1기 지방의회 구성과 1995년 민선 자치단체장 선출)이 기초자치단체의 사회복지정책 정향(사회보장비 비율)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규명하고 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지방자치 미실시기(1989-91년), 제1기 지방의회 구성기(1992-95년), 민선 자치단체장 선출 이후기(1996-98년) 등 세 개의 기간(혹은 제도적 유형)간의 사회복지정책 정향의 차이를 시, 군, 자치구 등 자치단체 유형별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1991년 지방의회 구성은 시, 군, 자치구 모두의 사회복지정책 정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1995년 민선 자치단체장 선출은 군의 사회복지정책 정향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자치구의 사회복지정책 정향에는 긍정적인 명찰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의 사회복지정책 정향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치단체 유형별로, 그러고 세 개의 시기별로 사회복지정책 정향에 대한 영향요인이 다르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지역주민의 복지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정책적 대응방안이 일률적이기보다는 자치단체 유형별로 달라야함을 시사해주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