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사회과교육에 있어 탐구학습의 실제

        인주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6 초등교육연구논총 Vol.22 No.1

        사회과교육에 있어 학습자들이 직접 자료와 정보를 다루며 지식의 기본구조를 파악 하고 전이를 할 수 있다는 점에서 탐구학습은 강력한 실천성을 띤 수업형태 임에는 분명하다. 다만 탐구수업은 저학년단계부터 여러 형태의 반복된 학습경험을 해야 한다는 점에서 아동들이 초등학교 단계에서부터 사회과와 관련된 지식과 기능에 친숙해 질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하겠다. 그리나 사회과의 내용 영역을 구성하는 방대한 양의 사실과 정보 때문에 이리한 접근은 용이하지 않다. 그러나 분명한 사실은 만약 사회과에서 요구되는 기본 지식과 기능이 초등학교부터 구체적으로 제공되지 않는다면, 앞으로의 더 나은 사고와 그 적용으로의 이행은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사실 탐구과정은 그 자체 바로 프로젝트 접근이라는 점에서 상당한 준비와 수준이 요구된다. 그래서 교사와 학습자 모두 그에 대해 체계적인 훈련을 받아야만 한다고 본다. 탐구는 그 자체 기다리는 것과 질문하는 것이 하나의 통일된 연관성을 지닌 것임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 KCI등재
      • KCI등재

        청말길림광무(鑛務)와변경지배재편 —협피구(夾皮溝)와 삼성(三姓)을 중심으로

        인주 만주학회 2022 만주연구 Vol.- No.33

        This paper clarifies the relation between the mining policy in Jilin(吉林) province and the reorganization of the Manchurian frontier in Late Qing period, 1860~1912. Jilin, the north-eastern frontier of the Qing empire, changed after 1860s due to, because Russian invasion and the Han Chinese illegal infiltration. The Qing dynasty began reforms aimed at to exploiting mines in Jilin province. Both the Jiapigou(夾⽪溝) and Sanxing(三姓) mines were crucial to the expansion of state power of Qing. In Jiapigou, the Qing government had to defend against ‘gold bandits(金匪)’ including the ‘Han Bianwai(韓邊外).’ From the 1880s, the Qing government embraced Han Bianwai society estabilishng Huadian province( 樺甸縣) in Jiapigou in 1910. In Sanxing, Qing empire had already estabilished rule over Tungusic native tribes including the Heje(赫哲), from the 17th century These tribes paid tribute to Qing empire with sable. However, after the Russian invasion in 1860s, these tribes broke away from the Qing, The Qing tried to recover state power in the downstream of Amur, which included Sanxing. Exploiting the mines became a crucial means of recapturing state power in Sanxing. The exploitation also helped develop a hunting economy into a mining market in the region. Through the above investigations of Jiapigou and Sanxing, this paper reveals the role mining policies can play in reestablishing state power and how such policies mattered during the Qing’s dominion in Manchurian frontier. 본고는 청말(1860~1912) 길림 지역의 광무(鑛務)와 청조의 동북 변경 지배 재편의 상관성에 대해 규명하고자 한다. 청조의 동북 변경이었던 길림지역은 19세기 중엽 이후 러시아를 비롯한 제국주의 열강의 도전과 한인(漢⼈) 유민의 이주로 큰 변화를 맞게 되었고, 청조의 길림 지배도 위기를맞게 되었다. 청조는 동북 변경의 지배체제를 전환하는 과정 중에서 광산자원의 개발에 주목하게 되었고, 광산 개발과 통제를 통해 변경 통치를 재편하고자 하였다. 본고에서는 길림 지역의 협피구와 삼성의 광산 지역을 통하여 청말 광무와 동북 변경 지배 체제 재편 작업이 긴밀한 관계를 가지고 있었음을드러낸다. 협피구 광무의 사례를 통해서는 청조가 19세기 중엽 이후 청조의 길림 통치에 심각한 문제로 대두된 한변외(韓邊外)를 비롯한 금비(金匪) 세력을 어떻게 포섭하고, 국가의 행정력을 침투시키려 했는지 규명하고자한다. 또한 삼성 광무를 통해서는 청조가 전통적으로 수렵채집 경제 지역이었던 삼성을 비롯한 흑룡강 하류 지역을 광산 개발을 통해서 어떻게 사회경제적으로 새롭게 변화시키면서 행정력을 강화시키려고 했는지 규명코자 한다. 그러한 두 지역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본고에서는 청말 동북 변경 지역체제 전환 작업에서 광산 개발과 통제 정책이 매우 중요한 요소였음을 밝히고, 청말 동북 변경 지배 체제 재편의 특수성에 대해서도 밝히고자 한다.

      • KCI등재

        먹거리문제의 해법으로서 녹색소비주의

        인주(In Joo Song) 한국농촌사회학회 2016 農村社會 Vol.26 No.1

        2000년대에 광우병 사태 같은 심각한 먹거리 파동을 겪으며 한국사회에서도 라벨링(labelling)이 식품안전문제 해결을 위한 먹거리 거버넌스의 지배적 수단이 되고 있다. 이런 흐름의 저변에는 녹색소비주의의 정치적 가치와 잠재력에 대한 암묵적 합의가 존재하는데, 대안적 먹거리 소비를 촉진함으로써 관행 농식품체계를 더안전하고 지속가능한 체계로 개선해갈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한국인의 식생활에서 녹색소비주의가 실제로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 또 그런 먹거리 소비행태를 통해 대안정치가 실제로 실현될 수 있는지를 경험적으로 살펴본 연구는 많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녹색소비주의의 소비주의적 실천 지표로서 가공식품 구매시 식품라벨의 일상적 활용여부에 따라 소비자의 먹거리문제에 대한 관심과 대안소비를 지향ㆍ실행하는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통계적으로 분석했다. 그 결과 식품라벨을 일상적으로 활용하는 소비자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먹거리ㆍ환경문제에 대한 관심, 사회적 가치 고려 같은 대안소비성향, 그리고 대안소비 행동수준이 모두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의식과 행동의 괴리 가능성을 고려하여 대안소비성향을 나타낸 소비자의 대안먹거리 구매동기를 통제해보면, 라벨 활용에 따른 대안소비 실천수준은 차이가 없으며 정작 라벨은 사적.실용적 관심이 큰소비자에게 더 유효한 수단인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한국사회 먹거리문제의 해법으로서 라벨링 위주의 녹색소비주의는 ‘녹색’보다는 ‘소비주의’의 규정을 더 강하게 받는 것이다. 즉 녹색소비주의 해법의 잠재력이 소비자의 사적.실용적 관심에 가로막혀 충분히 현실화되지 못하고 있다. 이는 녹색소비주의가 지향하는 소비자시민(성)에 내재한 긴장, 즉 자기이익을 우선하는 소비자로서의 이해관계와 자기를 넘어 공공ㆍ이타성을 지향하는 시민적 덕성의 충돌 가능성을 보여준다. Recently food labeling has become the dominant means of food governance for food safety. This trend involves a underlying implicit consensus on the political value and potential of green consumerism. It asserts the alternative food consumption can improve the agri-food system by promoting more socio-ecological thoughts and practices. But there are not so many studies that empirically examined whether green consumerism is being actually implemented in Korea. This study statistically analyzed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consumers’ propensity and behavior of food purchase depending on the daily use of food labels. The extent to which the consumer group routinely using food labels is concerned about food problem, considers alternative values, and acts alternatively,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non-using group. However, there’s a possibility that the awareness would not match with the behavior. When we control the purchase motivation of the consumers which express the alternative consuming propensity, we can find that there’s no difference in the level of the alternative consumerist behavior and the label is more useful to the consumers which have the personal and practical interest. It shows the potential of green consumerism can be blocked by private interests of consumers. This raises the question of the validity of consumer-citizenship model that green consumerist advocates, because the consumerist self-interest ideal is not easily compatible with the civic virtues oriented to public altruism.

      • KCI등재

        교외형 프리미엄 아울렛 공간에 나타난 자연요소 특성에 관한 연구

        인주 ( Song Inju ),풍용 ( Feng Rong ),황연숙 ( Hwang Yeonsook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3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교외에 위치한 아울렛은 규모가 크고 주변 지역의 특징적인 이미지와 서로 맥락적으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표현되거나 환경의 특정한 요소를 강조함으로써 지역의 랜드마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단순히 쇼핑공간을 넘어 여가시간을 보낼 수 있는 복합공간으로 자연·문화·오락이 결합된 형태로 발전하여 소비자들에게 새로운 소비공간으로써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 자연요소의 도입으로 인해 공간의 이용자들에게 자연 친화적 분위기를 제공하여 심리적 만족감을 높여줄 뿐만 아니라 소비자들이 공간에 오래 머무를 수 있도록 유도하는 판매촉진의 역할을 한다. 그러나 교외형 프리미엄 아울렛에 도입된 자연요소와 관련된 선행연구는 아직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외형 프리미엄 아울렛에 나타난 자연요소의 특성을 분석하여 바람직한 교외형 프리미엄 아울렛의 자연요소의 활용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수도권에 위치한 프리미엄 아울렛 총 5곳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사례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론적 고찰을 통해 프리미엄 아울렛의 개념을 파악하고 자연요소의 효과와 필요성에 대해 고찰하고 교외형 프리미엄 아울렛에 적용된 자연요소의 특성을 중심으로 체크리스트를 도출한다. 연구대상으로 선정한 프리미엄 아울렛 5곳을 직접 방문하여 공용공간을 중심으로 현장조사를 실시한다. 분석한 내용을 토대로 결과를 종합하여 최종 결론을 도출한다. (결과) 교외형 프리미엄 아울렛에 적용된 자연요소의 특성은 쾌적성, 기능성, 심미성, 상징성으로 도출되었다. 체크리스트에 따른 교외형 프리미엄 아울렛에 적용된 자연요소의 특성에 관한 분석결과는 쾌적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능성, 심미성, 상징성 순으로 나타났다. 사례 대상지 대부분 휴게공간 및 산책공간 등 사람들이 모이는 주요 구심적 장소에 자연요소를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아울렛만의 정체성을 나타내거나 주변 지역의 특징적인 이미지를 아울렛의 이미지에 연계되어 표현되는 것은 미흡하였다. 따라서 자연요소를 통해 아울렛만의 상징적인 이미지와 아이덴티티를 사용자들에게 각인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계획이 필요하다. (결론) 분석결과 교외형 프리미엄 아울렛에 자연요소를 적용할 경우 소비자들의 환경의 질적 만족감을 높이고 시각적, 심리적으로 만족감을 높여준다. 본 연구는 교외형 프리미엄 아울렛 공간의 자연요소 특성을 파악한 연구로써 향후 교외형 프리미엄 아울렛 공간의 상업적 디자인과 연계된 자연요소의 활용 또는 사용자 중심의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Background and Purpose) Recently, large-scale premium outlets located in the suburbs have shown a close connection with the characteristic image of the surrounding area. In addition, such outlets have exceeded a pure shopping space and developed in the form of a combination of nature, culture, and entertainment. As a new consumption space for consumers, outlets provide a variety of experiences and become a comprehensive space where people can spend their leisure time. Moreover, the introduction of natural factors adds a natural atmosphere to space users, which not only improves psychological satisfaction but also induces consumers to stay in the space for a long time to promote sal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tural elements appearing in the suburban premium outlets and propose an ideal plan to utilize the natural elements of the suburban premium outlets. (Method) In this study, a total of five premium outlets locat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ere selected for the study and analyzed. Through theoretical investigations, the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premium outlets and examine the effectiveness and necessity of natural elements as well as draw a checklist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natural elements applied to suburban premium outlets. Five premium outlets selected for research shall be visited in person, and on-site surveys shall be conducted focusing on public spaces. Based on the analysis, the results are aggregated to draw a final conclusion. (Resul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tural elements applied to suburban premium outlets were comfort, functionality, aesthetics and symbolism. According to the checklist,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natural elements applicable to suburban premium outlets show that comfort has the highest rank, followed by functionality, aesthetics, and symbolism. Most of the sites subject to the case are found to use natural elements in major central places where people gather, such as rest areas and walking spaces. However, it is unsatisfactory when it reflects the unique ontology of the premium outlets or connects and expresses the characteristic image of the surrounding area with the image of the premium outlets. Therefore, through natural factors, it is necessary to formulate a symbolic image and personalized plan for premium outlets that will impress users. (Conclusions)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if natural factors are used in suburban premium outlets, it can improve consumers' environmental quality satisfaction, improve visual and psychological satisfaction, and play a positive role. This research aims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tural elements of the suburban premium outlets; thus, it has limitations. The utilization of natural elements linked to the commercial design of suburban premium outlet spaces or user-centered design is needed for future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