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龍潭댐 水沒地區의 新石器文化 : 鎭安 갈머리遺蹟을 中心으로

        안승모,이영덕 호남고고학회 2004 湖南考古學報 Vol.19 No.-

        이글은 진안군 정천면 갈룡리의 갈머리유적을 중심으로 용담댐 수몰지구 신석기문화의 특징과 성격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금강 상류 지류외 자연제방에 위치한 갈머리유적에서는 (추정) 주거지 3기와 적석유구 53기가 조사되었는데, 토기 양식과 절대 연대를 기준으로 할 때 短斜集線紋·菱形組帶紋 ·菱格紋과 烏羽紋이 기면 전체 혹은 동체 상단까지 시문된 갈머리 1기(기원전 4천년기 후반), 点列紋과 格子紋이 구연 공백을 두고 동체 상단까지 시문된 갈머리 2기(기원전 3천년기 전반), 문양이 대부분 생략되어 이중구연과 斜短線紋·橫短線紋이 구연부 일부에 남은 갈머리 3기(기원전 3천년기 후반)의 세 단계로 편년된다. 토기와 석기 둥의 출토유물로 보아 갈머리 1∼3기는 남해 안 신석기 중·후·말기 에 각기 대응되며 남강유역의 신석기집단이 유입되어 이루어진 문화로 추정 된다. 유적에서 출토된 도토리, 갈판과 갈돌, 적석유구의 지방산분석으로 미루어 용담댐 수몰지구의 신석기집단은 도토리 등 견과류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보이나 유적의 입지조건과 다량의 굴지구에서 원시농경의 가능성도 추론하였다. 용담댐 신석기문화는 단기정착적이면서도 이동적 성격 이 강한 소규모의 집단이 남긴 문화로 추정된다. This paper trie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chronology and socio-economic features of the Chuirnun culture in Yongdam Dam area of Upper Geumgam River Valley, especially focusing the Galmeo-ri site, Jinan, which was recently excavated by authors. Three dwellings and 53 open hearths with stone files were found from the Galmeo-ri site located on a tributary terrace. Based on Cl4 dates and the typology of pottery, the site can be divided into three phases. The 1st phase (late 4th millennium BC) was represented by the pottery with refined geometric designs, stone tools including spades, saddle querns and arrowheads, and all dwellings belonged to this phase. During the 2nd phase (early 3rd millennium BC) when the design of pottery became crude and only the band of mouth design remained, dwellings disappeared and open hearths with stone files were found from the site. Most of open hearths, without house features, belonged to the 3rd phase (late 3rd millennium BC) when most of chumun design were omitted and the double-rimmed pottery appeared. Comparing the pottery and stone tools, the lst-3rd phases of Galmeo-ri correspond to the middle, late and final Chulmun periods of southern Korea, and Chulmun populations of Galmeo-ri could be budding-off from the Chulmun community of Namgang River in southern coast. Their subsistence activity was hunting-gathering-fishing with some small-scale cultivation though charred remains of acorns and the lipid-analysis of open hearths showed the importance of acorn in the site. In sum up, the Chulmun culture in Yongdam Dam area had been left by semi-sedentary small groups who had frist immigrated from southern Korea.

      • 「우리 나라의 선사∼고대 논 밭 유구」에 대한 토론

        안승모 한국고고학회 2001 한국고고학전국대회 발표문 Vol.- No.25

        금번 한국고고학회 학술대회의 주제는 한국농경문화의 형성 으로 되어 있지만 기획자인 안재호 교수의 원래 취지는 특히 무문토기시대 중기(또는 청동기시대 후기)의 특징이 농경의 형태와 취락의 구조에서 어떻게 부각되고 인식될 수 있는가를 논의하고 아울러 그러한 획기가 기후 변화와 어떠한 관계에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었다. 이는 송국리형문화로 대표되는 무문토기시대 중기가 논농사가 본격화되면서 취락구조 등 사회구조의 질적 변화도 이루어지는 시기로 알려져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농경문제를 다루기로 한 곽종철 선생께서 제출하신 글은 선사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는 논과 밭 유구를 모두 아우르고 있다. 다룬 시기 폭도 넓고 내용도 광범위하여 경작유구의 기술적 측면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토론자로서 당혹감을 느낀다. 90년대부터 조사되기 시작한 우리 나라의 논유적은 거의 대부분이 직접적, 간접적으로 곽종철 선생의 노력의 결산인 반면 본인은 논발굴은 고사하고 유적 현장을 방문한 경험도 거의 없고 그나마 논, 밭과 관련된 유적은 정식보고서가 간행된 예가 드물어 더욱 평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주로 무문토기시대와 관련된 내용에 집중해서 토론자가 느끼는 의문점을 질문하는 정도로 그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韓國과 日本의 初期稻作 : 未完의 課題들

        安承模 호남고고학회 2001 湖南考古學報 Vol.13 No.-

        이 글에서는 최근 한국과 일본의 초기 벼농사 연구에서 공통으로 제기되는 몇 가지 문제점들을 언급하고자 한다. 첫째, 청원 소로리유적에서 갱신세에 속한다는 벼자료가 보고되고 있는데 재배벼로 이어진다고 보지는 않으며 과거 일본에서도 유사한 주장이 있었다. 둘째 벼농사의 출현이 한국에서는 청동기시대에서 신석기시대로, 일본에서는 야요이시대에서 죠몬시대(중기)까지 소급되는 추세이지만 벼자료에 대한 직접적인 연대측정이 요구된다. 셋째 한일양국 모두 고대의 벼는 자포니카가 주류를 이루지만 한국에서는 신석기시대부터 인디카가 존재한다는 주장이 있으며, 일본에서는 죠몬과 야요이시대에 열대형자포니카(자바니카)가 화전이나 밭벼로 재배되었다고 보고 있다. 특히 후자는 벼농사의 남방 전래설과도 연결된다. 필자는 청동기시대나 야요이시대 전기까지는 인디카의 존재에 대해서 회의적이다. 유전자분석과 벼규산체에 의한 열대형자포니카 판별이 어느 정도의 신뢰성이 있는 것인지 필자는 알지 못한다. 그러나 만약 일본에서 열대형이 존재한다고 할 때 우리나라의 대립형 고대미와 연결될 가능성은 없는지 검토되어야 한다. 넷째 한일 양국에서 벼농사가 화전에서 밭농사 그리고 논농사로 발전하였다는 도식에 의문점을 제기하였다. 다섯째 한일 양국 모두 초기 벼농사의 남방 전래설은 근거가 미약하다. 오히려 최근 일본에서 동북 루트 가능성이 제시되듯이 한국에서도 영동지방을 통한 전래가 벼농사 전래 루트의 하나로 제기되었다. This paper try to deal with some common controversies in the study of early rice agriculture of Korea and Japan. Firstly, though there have been arguments that rice husks were found from the presumed late Pleistocene peat deposits in Soro-ri site, central Korea, they were not directly related with domesticated rice in Korea. Rice might had been cultivated from Neolithic Korea and Jomon Japan. Nevertheless radio-carbon datings directly to rice samples are urgently needed to solve the controversy. Thirdly, early rites grown in Korea and Japan were mostly Japonica-type, but some argues that Indica-type rice had existed from Neolithic Korea and tropical Japonica(that is Javanica)-type rice had been also cultivated in slash-and-burn and/or dry fields of Jomon and early Yayoi Japan. The present writer is sceptical about this argument. If Tropical Japonica-type rice was grown in Jomon and early Yayoi, we must check a possibility that it was related with Large-type rice in Korea. Fourthly, the model that early rice agriculture of Korea and Japan had been developed from the slash-and-burn field to the paddy field via dry one is open to question since paddy field had already been operated in China before rice agriculture diffused into Korea.. Fifthly, the southern route of early rice diffusion, proposed mostly by folklorists and agronomists, still lacks archaeological evidences. Another diffusion route via eastern region of Korea is suggested though similar kind of suggestion in Japan lacks evidences of rice cultivation.

      • 豆類栽培 起源에 대한 考古學的 考察

        安承模 한국콩연구회 2002 韓國콩硏究會誌 Vol.19 No.2

        동아시아의 고고학적 유적에서 출토된 豆類를 통하여 두류 재배의 기원문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한국, 일본과 중국의 기원전 유적에서 출토되는 두류는 주로 콩, 팥과 녹두이다. 신석기시대부터 야생으로 추정되는 두류가 이용되고 있지만 확실한 재배종은 기원전 1천년대의 유적에서부터 집중적으로 출토된다. 고고학적으로 보아 콩은 만주지방과 한반도에서 기원한 것으로 추정된다. 늦어도 3천년전 경에는 한반도와 길림지역의 청동기유적에서 콩이 출토되고 있는 반면 중국은 주로 前漢부터, 일본은 기원전 4세기경 이후의 야요이시대부터 발견된다. 팔도 한반도와 일본에서 먼저 출현하고 있으며 화남에는 한대부터 나타나기 때문에 한반도에서 자생하였을 가능성이 크지만 야생선조종이 확인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단언하기 어렵다. 녹두는 일본에서 6천년전의 조몬 저기부터 보고되고 있으나 동정이 불확실하고 Vigna 속의 야생두류일 가능성이 높다. 확실한 녹두는 야요이유적에서 출토되며 콩, 팥과 함께 한반도에서 전래되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중국에서는 아직 녹두가 출토된 예가 없다. 두류의 재배 기원을 연구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필요한 것은 두류의 정확한 동정이다. 작물학계와 고고학계의 공동적 관심이 요구된다. This paper reviews the archaeological records of legumes in Korea, China, and Japa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origin and diffusion of cultivated legumes in East Asia. Wild legumes of Glycine and Vigna had been harvested or cultivated during the Neolithic period of North China and Korea and the Jomon period of Japan. Archaeologically, domesticated legumes including Glycine Max, Vigna angularis, and V, radiata had been first appeared from the Bronze age of Korea and Manchuria (Northeast China) at least from 3000 years ago, and diffused into Yayoi of Japan from 4th c. BC with other crops of rice, barley, and wheat etc. Glycine Max had been popular in ancient Korea whereas domesticated species of Vigna had been popular in ancient Japan. Glycine max and Vigna angularis has been found after 2nd c. BC in North and South China though they should be cultivated from 7th c. BC in North China according to historical records. There has been no archaeological records of Vigna radiata in China. In order to investigate the origin of domesticated legumes in East Asia, we urgently need a reliable criterion to distinguish wild and domesticated legumes as well as to identify species of domesticated legume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中國 初期稻作의 新資料

        安承模 호남고고학회 1998 湖南考古學報 Vol.8 No.-

        본고에서는 中國初期稻作에 관한 최근의 고고학적 정보를 벼자료를 중심으로 소개한다. 장강중류역의 舊石器終末期,新石器早期에 속하는 弔桶環·玉蟾岩遺蹟, 彭頭山文化의 八十塘遺蹟, 淮河流域, 裵李崗文化의 賈湖遺蹟과 더불어, 大溪文化의 城頭山遺蹟, 淮河下流域의 용규장유적등 粒型과 亞種同定에 대한 자료가 새로이 알려진 신석기 유적도 분석방법에 대한 비판적 시각에서 검토하고자 한다. 更新世末 기후의 상승과 더불어 長江流域까지 야생벼의 서식처가 확산되면서 야생벼가 食料로 이용되기 시작한다. 영 드리아스 小氷河期의 도래와 더불어 長江流域에서퇴각한 야생벼는 이후 完新世에 다시 서식환경을 되찾으면서 재배화의 과정에 들어선다. 현재까지의 고고학적 증거로는 長江流域보다 長江中流域에서 먼저 재배화가 시작된 것으로 보이며 稻作의 上限이 1만년전을 상회할 가능성도 있다. 淮河上流流域의 粟作文化圈에서도 이미 8천년전에 벼가 재배되어 稻作과 粟作의 관계에 대한 재조명을 요구하고 있다. 長江中·下流域은 야생벼 서식처의 북쪽 한계로 야생벼 자체도 사포니카적 성격이 강하며 따라서 초기의 재배벼도 자포니카에 가까웠을 가능성이 크다. 인디카의 존재 가능성 자체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 인디카, 자포디카를 長粒型, 短粒型의 長幅化에 의한 粒型만으로 同定할 수는 없으며, 초기의 자포니카형 재배벼는 야생벼와의 관계로 보아 長粒型에 속할 가능성이 크다. 河姆渡의 야생벼의 존재로 미루어 벼의 순화가 이루어진 이후에도 상당기간 야생벼 또는 야생적 성격의 재배벼가 같이 공존하였을 것이다. 粒型의 시기적 변천을 보면 기원전 7천년에서 5천년까지는 粒長과 粒幅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으며, 기원전 5천년부터는 日本의 和佐野가 관찰한대로 粒長이 다시 감소한다. 기원전 4천년이후에도 短粒化가 계속 진행되면서 粒幅의 廣· 狹 두 방향의 분화가 발생하며 특히 기원전 3500년 전후 馬家浜期에서 崧澤期로 넘어가는 시기에 다양한 粒型이 지역에 따라 전개한다. 長幅化는 賈湖遺蹟 이래 계속 감소하면서 長粒型 우세로 변화하는 추세이다. 재배화 초기단계에는 장폭비 2.3 이상의 長粒型이 우세하나 기원전 3천년 이후는 대부분 장폭비 2.3 이하의 短粒型으로 바뀐다. 장폭비의 감소는 특히 粒長의 감소와 관련있고 부분적으로 粒厚의 증가와 관련된다. 崧澤期에 들어서면서 粒型의 길이와 폭이 모두 증가하는 것은 벼 기동세포 규산체의 변화와 마찬가지로 完新世 中期의 2차 寒冷氣와 관련된 현상으로 추정된다. Recent archaelogical and archaeobotanical important evidences on the early rice cultivation in China are reviewed in this paper. Epipaleolithic and early Neolithic sites at Diaotonghuan and Yuchanyan caves, Bashidang sites of the Early Neolithic Pengtoushan culture, Chengtoushan site of the Middle Neolithic Daxi culture, all in the middle Yangzi valley, Jiahu site of the Peiligan culture in the upper Huai river, and Longqiuzhuang site in the lower Huai river are introduced, especially focusing on the identification of rice remains and the size of grain. The climatic amelioration during final Pleistocene pushed gradually vegetation zone northward. Accordingly wild rice, as basically subtropical perennial plants, diffused from South Asia into South China. Wild rice appeared in the middle Yangzi from about 15,000 BP and started to be harvested there. It retreated from the Yangzi during the cold period of Younger Dryas, and reappeared following the Holocen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wild rice started to be cultivated in the middle Yangzi from about 12,000-10,000 BP concurrently with the appearance of the Holocene. Rice was also cultivated in the Huai river before 8,000 BP at the latest. With the rice cultivation, wild rice gradually evolved into domesticated rice, and domesticated rice began to dominate wild rice from about 7000 BP. However, wild rice still co-exited in local rice population as shown in the Hemudu rice. Since the middle and lower Yangzi were the northern limit of wild rice distribution and wild rice itself inclined toward Japonica-like characters, early cultivated rice has more potentiality to evolve into Japonica. The identification of Indica and Japonica cannot be determined solely based on the grain shape. We cannot deny the possibility that some of Japonica rice during the early stage of domestication might belong to the slender type of grain shape. There was a tendency that the length and width of rice grain gradually increased from 9000 BP to 7000 BP, but the length of grain decreased from 7000 BP. This tendency toward the short and wide grain related with the increase of the round type of grain shape. From the Songze phase, about 5500 BP, various grain size and shape appeared according the region. In the Yangzi, the length and width of grain as well as the size of bulliform phytolith increased again, which might be connected with the appearance of 2nd cold phase during the middle Holoce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