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piritual Leadership in Korea`s Financial Industry -Establishing a Baseline-

        ( William D. Hunsaker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4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한국과 관련된 유교적 사상에 근거한 Fry (2003) 의 spiritual leadership**의 모델을 입증함과 동시에 한국의 금융 분야에서 직업의 불확실성에 직면한 고용인들과의 연관성 모델의 기반을 확립하기 위해 계획 되었다. Spiritual leadership은 leader, follower, 조직문화 및 직무성과의 관계를 요약한 새롭게 주목받는 전체론적 이론이다. 본 이론은 개인주의적인 문화와 연관된 서양에서 광범위하게 연구되어져 온 반면, 한국과 같은 집단주의적 문화 안에서의 타당성은 최근 들어 연구되어 왔다. 게다가, spiritual leadership 과 관련된 기반산업 연구, 특히 직업 불확실성과 구조체계의 변화에 직면한 산업에 관한 연구는 미미한 상태다. 본 연구는 spiritual leadership이라는 가치관의 출현과 더불어 구조 방정식 모델을 통해 소속감과 소명의식의 spiritual survival 변수에 의해 매개되어지는 조직몰입과 생산성과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통계자료는 한국의 강한 유교적 가치관을 지닌 한 금융회사에서 수집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참여자들이 높은 직업 불확실성에 직면있음에도 불구하고 Fry (2003)의 유교와 관련된 spiritual leadership 모델의 보편성을 잘 보여주었다. 신뢰도와 타당성지수는 적정수준 이상이었고 선행된 연구 결과의 범위 내에 있었다. 또한, NNFI와 CFI같은 부합지수는 1% 유의수준에서 모두 유의하였으며, 적정수준 (.95) 이상이었다. 따라서, 한국의 향후 금융분야의 조직연구의 기반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a) spiritual leadership의 출현과 (b) spiritual leadership의 집단 차원의 분석과 관련된 유교의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을 살펴봐야 할 필요성을 제안한다. 특히, 본 결과는 유교적 가치관이 공동 소속감을 통해 직무성과에 긍정적으로 기여되거나, leader와 follower들 간 상호 신뢰와 충성도에 따라 약한 권한부여를 통해 부정적으로 기여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더불어, 선행연구들과 비교하여 본연구의 spiritual leadership의 가치관의 낮은 평균 점수는 여러 다른 가능성들 중, 불확실성과 위기상황에서 leader와 follower의 잠재적인 관계 약화는 spiritual leadership의 강점을 뒤집을 수 있음을 제안한다. 또한, 향후종단 연구을 통해 spiritual leadership에서 직무 불확실성의 관계를 보다 면밀히 살펴봐야 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validate Fry``s (2003) model of spiritual leadership within the Confucian context of South Korea and establish a baseline for the model in Korea``s financial sector. Spiritual leadership is an emerging, holistic model of leadership that encapsulates the relationships of leaders, followers,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outcomes. However, while the theory has been extensively tested in individualistic cultural contexts, validation of the theory in collectivist culturessuch as Korea has only recently been pursued. The study examined the emergence of spiritual leadership values and the relationship of these value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roductivity, as mediated by the spiritual survival variables of calling and membership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a South Korean financial services company with strong Confucian valu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ed the universality of Fry``s (2003) spiritual leadership model in a Confucian context, despite high job uncertainties facing participants. Measures of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above adequatelevels and fell within the range of previous studies. Also, goodness-of-fit measures such as NNFI and CFI were all highly significant (p < .001) and above the .95 level. Hence, a baseline for future research in Korea``s financial sector was established. The study recommends the need to explore the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of Confucianism as it relates to (a) the emergence of spiritual leadership and (b) group-level analysis of spiritual leadership. Notably, the results suggest that Confucian values can positively contribute to organizational outcomes through collective membership, but negatively through weak empowerment, based on the degree ofreciprocal trust and loyalty between leaders and followers. Additionally, the lower mean scores of spiritual leadership values in this study as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suggest that among otherpossibilities, the potential weakening of leader-follower relationships during times of uncertainty and crisis can upend the strengths of spiritual leadership. Future longitudinal studies are needed to more deeply examine the relationship of job uncertainties on spiritual leadership.

      • KCI등재

        영성리더십과 구성원의 무례경험 간의 관계

        김영집,William D. Hunsaker 한국경영교육학회 2023 경영교육연구 Vol.38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experienced incivility, which is ubiquitous in modern society, an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and causality between spiritual leadership and experienced incivility by examining existing research. Furthermor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mediating role of employee’s well-being and stress in the process by which experienced incivility affects employees, and to investigate the mitigating effects. [Methodology] The study surveyed employees in the service industry in Korea, and used PLS-SEM to analyze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conduct direct and indirect effect tests to verify mediating effects for hypothesis testing. [Findings] As a result, spiritual leadership had a negative impact on experienced incivility. Results from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s of well-being and stress showed that spiritual leadership affected well-being and stress, leading to a decrease in experienced incivility. [Implications] This study provides academic significance by proposing spiritual leadership as a solution to the ubiquitous incivility in organizations, and suggests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related to this issue.

      • KCI등재

        A study on the impact of workplace spirituality on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

        YUAN ZEHONG,William D. Hunsaker 충남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2024 경영경제연구 Vol.46 No.1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spirituality (WPS) and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 (UPB), as well as explore the mediating role of moral disengagement (MD) in this relationship. Using a sample of 266 employees working in China, hypotheses were tested through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indicate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WPS and UPB, with MD not exhibiting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PS and UPB. Further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ree dimensions of WPS and UPB reveals that meaningful work and values consistent with the organization have a direct impact on UPB. However, community consciousness requires MD to generate UPB, indicating a complete mediating effect of M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ty consciousness and UPB. Based on these findings, potential threats posed by WPS are identified, providing theoretical guidance for future research on WPS.

      • KCI등재

        일터영성, 조직시민행동과 혁신적 행동 간의 관계

        김영집(Kim, Youngjib),William D. Hunsaker 한국경영교육학회 2020 경영교육연구 Vol.35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일터영성이 혁신적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실증연구를 진행하여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조직성과변수인 조직시민행동을 매개효과로 하여 일터영성과 혁신적 행동 간의 관계를 실증분석하였으며,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IT 기업의 조직구성원들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하였다. 가설검증에 있어 SPSS Process macro를 이용하여 직접효과와 간접효과 분석을 하였다. 추가적으로 신뢰구간 분석을 하여 가설검증을 하였다. [연구결과] 일터영성이 높은 종업원들은 혁신적 행동에 긍정적인 관계를 가진다고 나타났다. 또한, 조직시민행동 매개효과에 있어 두 변수 간의 관계는 부분매개로 나타났다. 일터영성이 높게 형성된 구성원들은 직장 내 사회적 유대감이 높아져 자율성과 과업 동기를 증가시켜 조직시민행동을 유발되며, 이에 따라 혁신적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는 일터영성이 높은 구성원들이 혁신적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였다. 더 나아가 일터영성과 혁신적 행동 간의 관계에 있어 구성원들의 조직시민행동이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이론적 시사점과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Purpose] Constant changes in the socio-economic environment has motivated organizations to embrace workplace spirituality in managing employee anxiety and low morale. However, domestic and overseas research is lacking. Accordingly, this study is aimed at exploring the influence of workplace spirituality on extra-role behaviors such a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CB) and innovative work behavior (IWB). [Methodology] We conducted a survey with IT-based organizations and analyzed collected data through regress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validate hypothesized paths and the intervening effects of variables. [Findings] We found that workplace spirituality positively influences employee extra-role behaviors such as OCB and IWB. Additionally, the results confirmed the distinction between OCB and IWB as separate extra-role behaviors with OCB mediating the effects of workplace spirituality on IWB. The results confirmed the influence of workplace meaning and social connections amongst employees in motivating employees to move beyond assigned roles to innovatively help the organization. [Implications] This study is intended to identify how a culture embracing workplace spirituality affects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 In order for workplace spirituality to influence innovative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cultivating employees’ OCB can have an important impact on innovative behavior.

      • KCI등재

        침묵에 대한 종업원들의 책략적 동기유형에 관한 연구

        정우진 ( Woo Jin Jeong ),( William D. Hunsaker ) 한국주관성연구학회 2021 주관성연구 Vol.- No.55

        본 연구의 목적은 침묵에 대한 종업원들의 책략적 동기를 유형화하고 이들 간의 차이를 규명하는데 있다. 조직 구성원의 침묵을 하나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위로 인식한 본 연구는 해석적 분석법으로 알려진 Q 방법론을 원용하였다. Q 조사는 24개의 Q 표본과 30명의 P 표본으로 2021년 2월 15부터 26일까지 수행되었다. 분석결과 4개의 종업원침묵의 동기를 도출하였다. 침묵의 책략적 특성과 기능에 입각하여 연구자는 제1유형을 유보적 침묵, 제2유형을 은폐적 침묵, 제3유형을 회피적 침묵, 제4유형을 혐오적 침묵으로 명명하였다. 제1유형은 친조직적이며 원칙주의적 특성을 갖는다. 제 2유형은 실리적 이익을 추구하는 특성을 갖는다. 제3유형은 두려움을 기반으로 한 침묵의 특성을 갖는다. 제4유형은 조직 또는 타인에 대한 냉소와 분노, 경멸 등 부정적 감정을 기반으로 한 반사회적 특성을 갖는다. 본 연구는 종업원의 침묵이 하나의 의사소통 행위로써 개인의 주관성에 입각한 책략적인 행위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trategic motivational types of employee silence and to identify differences between them. Recognizing the silence of organizational members as a nonverbal communication act, this study utilizes a Q methodology known as analytical method. The Q survey was conducted from 15 to 26 February 2021 with 24 Q samples and 30 P samples. The analysis resulted in four employee silence motivations. Based on strategic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we named Type 1 suspended silence, Type 2 concealed silence, Type 3 evasive silence, and Type 4 contemptuous silence. Type 1 is pro-organizational and has principled characteristics. Type 2 has the characteristic of pursuing practical benefits. Type 3 has the characteristic of fear-based silence. Type 4 has antisocial characteristics based on feelings of cynicism and anger at an organization or other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employees’ silence is a communication act consisting of strategic behaviors based on individual subjectivity.

      • KCI등재

        발언행동 연구에 대한 비판적 고찰 : 국내 연구를 중심으로

        정우진(Jeong, Woojin),William D. Hunsaker 전북대학교 산업경제연구소 2021 아태경상저널 Vol.13 No.2

        본 연구는 국내 조직행동 분야에서 수행된 발언행동(voice behavior) 연구의 흐름과 내용을 자기발견적 접근(heuristic approach)방식을 사용하여 개념적 측면·실증연구 측면·방법론적 측면의 분석으로 구분하여 검토하였다. 최용득·이동섭 (2017)은 기존의 해외문헌을 검토·분석하여 개념적 혼란을 야기하는 문제들을 살펴봄으로써 발언행동의 본질적 특성을 조명하고 포괄정 정의에 기반한 개념틀을 제시하고 있으나 한편에서 개념적 비대화(construct stretching) 현상이 대두되고 있다. 발언행동의 개념을 포괄적이고 광범위하게 정의할 경우 발언행동과 조직과 관련된 문제들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예방적 차원의 행동양식을 설명할 때 동원되는 개념 중 하나인 내부고발 간의 경계가 모호해짐으로써 개념적 변별성의 저하와 중복성 등의 문제를 발생시키게 된다. 지시하는 대상의 적용범위(외연)가 늘어나면 공통된 성질(내포)이 줄어들어 개념적 추상성이 높아지게 되는데 높은 수준의 추상성에 기인한 측정상의 곤란은 실증연구를 위한 안정적 기반을 잃게 할 우려를 낳는다. 실증연구 측면의 경우 해외연구와 비교하여 직무태도와 리더십 등 다소 한정된 유형의 선행요인이나 결과변수를 다루고 있으며 발언행동의 결과영향에 대한 충분한 연구 또한 축적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방법론적 측면에서 볼 때 동일방법편의를 발생시키는 원인으로 동일한 응답원천에 주목하는 경향이 관찰된다. 국내 36편의 실증연구 중 15편이 조직구성원의 발언행동을 상사 혹은 동료에 의해 측정하게 함으로써 동일방법편의(common method bias)에 의한 인위적 공분산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을 시도하고 있다. 이 밖에도 탁제운·신제구 (2017, 2018)는 연구설계 단계에서 설문을 1차와 2차로 구분하여 측정환경을 분리함으로써 응답자가 활용하는 회상의 단서나 응답원의 일관성 유지 동기 등을 줄이고자 하였다. 최용득 등 (2019)은 독립변수, 조절변수, 매개변수와 결과변수 측정 간에 3개월의 시차를 두었으며 윤선영·권석균 (2015)은 가설검증을 위한 공분산 구조모형에 응답자의 직무정서 상태를 통제변수로 도입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flow and contents of voice behavior research conducted within the context of domestic organizational behavior. We divided the review according to conceptual, empirical, and methodological aspects using a heuristic approach. Conceptually, the paper illuminates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voice behavior through an evaluation of confusing conceptual issues within Choi and Lee’s (2017) review of existing overseas research. A conceptual framework is presented, based on a comprehensive definition of voice behavior, which posits the unavoidable reality of construct stretching. The comprehensive definition of voice behavior proposed by the authors raises concerns that construct stretching results from bringing both internal and external aspects of internal whistle-blowing into the conceptualization of voice behavior, which among various mobilization concepts is one attempt to explain the preventive dimension of behavioral styles to intercept organizational problems in advance. By doing so, as the indicative scope (i.e., conceptual extension) of voice behavior is stretched, the common nature (i.e., conceptual intent) of voice expression declines while the level of conceptual abstractness rises. Therefore, measurement difficulties caused by high levels of abstractness increase the possibility of losing a stable foundation for empirical research. In the case of empirical research, domestic research deals with a somewhat limited scope of antecedents such as job attitudes and leadership compared to overseas research. Of importance, this paper deems that research is lacking on the impact of voice behavior on organizational outcomes. In terms of methodology, this paper observed that same response source is the cause of common method bias. To overcome this bias, 15 out of 36 empirical studies in Korea measured voice behavior through a data sampling approach that relied on supervisors or colleagues evaluating the voice behavior of participants, rather than self-reported data. In addition, Tak and Shin (2017, 2018) employed a research design that separated the measurement process by gathering questionnaire data in first and second stages. Choi et al. (2019) had a three-month time difference in gathering data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moderating variables, parameters and outcome variables. Meanwhile, Yoon and Kwon (2015) introduced the job emotion state of the respondents as a control variable in the covariance structural model for hypothesis verification.

      • KCI등재

        윤리적 리더십과 지식공유, 개인의 인지된 비용 간의 관계

        김영집(Young-Jib Kim),William D. Hunsaker 한국무역연구원 2021 무역연구 Vol.17 No.3

        Purpose Knowledge sharing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knowledge management, and organizations should focus leadership in knowledge sharing and management. However, domestic and overseas studies are lacking to show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and knowledge sharing.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ffect of ethical leadership and perceived cost of employees on knowledge sharing. Design/Methodology/Approach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for employees of domestic companies. In hypothesis testing, direct and indirect effects were analyzed using SPSS process macros. In addition, confidence interval analysis was also performed to further validate mediating effects. Finding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ethical leader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knowledge sharing. In addition, the perceived cost of knowledge sharing was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ethical leadership and knowledge sharing. Leader’s moral and ethical behavior have a positive effect on employee behavior and attitudes, which reduces the perceived cost of knowledge sharing. Research Implications This study demonst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ethical leadership, perceived cost and knowledge sharing. It has been confirmed that ethical leadership is important as an antecedent factor for perceived cost and knowledge sharing behavior of employee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presented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 일터영성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 직무열의 매개효과

        김영집(Young-Jib Kim),훈세이커(William D. Hunsaker) 한국인사조직학회 2018 한국인사ㆍ조직학회 발표논문집 Vol.2017 No.3

        최근 들어 경영학과 심리학에서 관심을 받고 있는 일터영성에 관한 연구는 해외뿐만 아니라 국내 연구에서도 관심과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음에도, 여전히 일터영성에 대한 국내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일터영성과 조직시민행동의 하위차원인 개인과 조직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관계에 직무열의를 매개효과로 검증하는데 있다. 관계 규명을 위해 국내 금융업과 바이오산업에 종사하는 약 500명을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하였으며, 연구 결과 가설을 설정한 일터영성과 조직시민행동의 하위차원인 개인(OCBI)과 조직(OCBO)의 관계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예상하여 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결과에서 마찬가지로 조직시민행동의 두 가지 하위차원이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즉, 일터영성은 조직시민행동에 정(+)의 관계를 나타나고 있었으며, 직무열의와 조직시민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직무열의는 일터영성과 조직시민행동-개인(OCBI)에 완전매개를 하고 있었으며, 조직(OCBO)에 부분매개를 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조직시민행동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일터영성의 역할이 중요함을 강조하고 있으며, 특히 일터영성과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 있어 직무열의가 매개역할을 함으로써 성과변수인 조직시민행동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