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녹차추출물이 Aeromonas hydrophila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

        박찬성,차문석 경산대학교 생명자원개발연구소 2000 생명자원과 산업 Vol.4 No.-

        천연물에서 보존료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본연구는 천연물인 녹차로부터 식중독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으로 여러 가지 기능성을 검토함으로서 합성품으로서가 아닌 천연의 보존료를 얻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녹차를 물과 70% 에탄올로 추출하여 식중독세균중 Aeromonas hydrophila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녹차 추출물 혹은 합성보존료인 potassium sorbate, sodium benzoate를 tryptic soy broth(TSB)에 0∼2%(w/v)첨가하여 pH를 5.5∼7.0으로 조정한후 A. hydrophila를 ?∼? CFU/ml 되게 접종하여 35℃에서 48시간동안 배양하면서 생균수를 측정하였으며 녹차추출물에 의한 생육저해환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아울러 녹차추출물과 보존료의 생균수변화로부터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MIC)와 minimum bactericidal concentration(MBC)를 측정하여 항균활성을 비교하였다. A. hydrophila에 대한 녹차추출물의 항균활성은 pH가 높을수록 컸으나 보존료의 항균활성은 pH가 높을수록 감소하였다. pH 6.5와 7.0에서 A. hydrophila에 대한 녹차추출물의 MIC는 0.28∼0.35%였으며 MBC는 1.5∼2.0%였다. 보존류의 경우에는 pH 5.5∼6.5에서 1.5∼2.0%에서 억제되었으나 pH 7.0에서는 세균의 증식이 억제되지 않았다. 녹차 추출물의 A. hydrophila에 대한 항균활성은 합성보존료 보다 월등히 강하여 앞으로 식품에서 천연보존료로서의 이용가치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Green tea water extract(GTW) and green tea ethanol(GTE) were prepared to investigate antibacterial activity on the pathogenic bacteria. The inhibitory effect of green tea extracts on the growth of Aeromonas hydropila was determined. Tryptic soy broth(TSB) containing 0∼2% (w/v) of green tea extracts adjusted to pH 5.5, 6.0, 6.5 and 7.0 was inoculated with ??CFU/ml of pathogenic bacteria and incubated at 35℃ for 24∼48 hours. The plate counting tecnique and clear zone test were used to test inhibitory effect of the extracts.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MIC) and minimum bactericidal concentration(MBC) was derived from the survival curves of A. hydrophila.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green tea extrac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preservatives. A. hydrophila was very resistant to preservatives but very sensitive to green tea extracts. Green tea extracts showed excellent growth inhibiting activities for A. hydrophila. Antibacterial activities of potassium sorbate and sodium benzoate were increased with decreasing pH while those of green tea extracts increased with increasing pH. Minuinum inhibitory concentration(MIC) and mininum bactericidal concentration(MBC) of green tea extracts and preservatives were determined at 35℃. A. hydrophila was completely inhibited at level of 0.28∼0.35% and bactrericidal at 1.5∼2.0% at pH 6.5∼7.0. A. hydrophila was inhibited at level of 0.5∼2.0% preservatives at pH 5.5∼6.5 and non inhibitory at pH 7.0. This result suggests that green tea extracts can be used as an effective natural antibacterial agent in food.

      • KCI등재

        특집논문 : 북한 문헌 자료의 도시사적 재발굴

        차문석 ( Moon Seok Cha ) 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구 동국대학교 안보연구소) 2012 북한학연구 Vol.8 No.2

        이 글은 다양하게 존재하고 있는 북한의 도시들과 그 역사에 관한 문헌 자료들을 (재)발견하고 정리하는 것이다. 이 글은 일종의 도시 생애사라는 문제 의식에 기초해서 북한 도시들의 생애를 해방 이전 시기, 해방공간과 한국전쟁 시기, 전후 복구와 산업화 시기, 그리고 본격적인 사회주의 도시화 시기로 나누어서 다루고 있다. 이 글은 연구 목적 그 자체가 북한 문헌의 발굴과 정리에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북한 도시에 대한 새로운 테제를 발견하거나 새로운 주장을 생산하지는 않았다. 오히려 북한의 도시들이 거쳐 왔던 역사적 시대들을 문헌 자료로 정리하면서 북한 도시들에서 발생했던 질적 변화와 그것의 의미들을 정리하는데 집중하였다. 그러한 점에서 이 연구는 북한 도시사에서 대단히 초보적인 작업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My aim in this paper is to (re)discovery and bring data together from scattered sources on the cities in North Korea and their history. This essay deals with the lifetime of cities in North Korea as a sort of city bibliography. The lifetime of those cities is analyzed chronologically according to various periods such as liberation space(1945-50), Korean war time(1950-53), restoration and industrialization(1954-70s), and full-scale socialist urbanization (1970-80s). This essay doesn`t try to find a new theses and to produce a new argument, because the purpose of this work is restricted to finding and collecting bibliographic data scattered. Instead, it aims to figure out the qualitative changes happened in those cites and their meanings through arranging the documents which retains various dynamic experiences cities have had ever. In this respect, this paper is no more than a kind of very elementary and entry level work, at least in the historical study on North Koreas`s cities.

      • KCI등재

        재발성 미세유두상 장액성 난소암과 악성 장액성 난소암에서 EDR 항암제 내성검사와 예후의 차이

        차문석 ( Moon Seok Cha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9 No.8

        목적: 재발된 미세유두상 장액성난소암 (micropapillary serous carcinoma, MPSC)과 악성 장액성 난소암 (serous ovarian carcinoma)에서 EDR (extreme drug resistance) 항암제 내성검사의 결과의 차이와 생존율 등 예후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항암제 내성검사는 증식하는 암세포의 thymidine incorporation 저해율을 이용하는 EDR assay을 이용하여 저항성을 나타내는 약제의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각군의 생존분석은 Kaplan-Meier method를 이용한 단 변량분석 (univariant analysis)을 시행하였다. 결과: EDR항암제내성검사에서 장액성 난소암에서는 gemcitabine, cisplatin, taxol의 순서로 저항성이 낮은 효과적인 약제이나, 미세유두상 난소암의 경우는 etoposide, doxil, topotecan의 순서로 저항성이 낮았다. 환자의 평균 추적 기간은 42개월로 환자의 생존율은 미세 유두상 장액성 종양군 (MPSC)에서는 71.6%, 악성 장액성 난소암 환자군에서는 33.9%이였다. 평균생존기간은 MPSC군은 136개월이였고, 장액성 난소암 환자군에서는 72개월로 차이를 보였다(p=0.036). 결론: EDR을 이용한 항암제 내성검사에서 재발된 미세유두상 난소암과 악성 장액성 난소암의 치료에 효과적인 항암제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미세유두상 난소암이 악성 장액성 난소암 보다 예후가 좋음을 알 수 있었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hemoresistance and prognosis differences between recurrent micropapillary serous ovarian carcinoma (MPSC) and serous ovarian carcinoma. Methods: The Extreme drug resistance (EDR) assay was performed in 13 recurrent micropapillary serous ovarian carcinoma and 56 recurrent serous ovarian carcinoma. Results: Mean age of MPSC and Serous ovarian cancer were 41.1 and 58.0 respectively (p<0.05). Etoposide and Doxil were the two least resistance chemotherapeutic agents to recurrent MPSC but the most resistance agents to recurrent serous ovarian cancer. Taxol and cisplatin were the two most resistance agents to MPSC. The mean follow up was 42 months (range 1-173) The five-year overall survival rate of MPSC and serous ovarian carcinoma were 71.6% and 33.9% respectively. The mean survival were 136 months in MPSC compared with 72 months in serous ovarian carcinoma (p<0.035). Conclusion: In this retrospective analysis, MPSC showed very different in EDR results and favorable prognosis compare to serous varian carcinoma.

      • KCI등재

        북한 체제의 지탱력 수준 측정: 북한의 재정 상황과 핵 문제를 중심으로

        차문석 ( Moon Seok Cha ) 한국세계지역학회 2010 世界地域硏究論叢 Vol.28 No.3

        본 연구는 북한 체제의 지탱력 수준을 북한의 재정 상황과 북핵 문제라는 두 개의 변수를 통해서 측정한다. 재정은 ``예산을 포함한 전반적 경제지표``로 정의하고 이를 재정 수요와 재정 수입으로 나누었으며, 다시 재정 수요의 총합과 재정 수입의 총합의 격차를 중심으로 북한의 체제 지탱력을 측정했다. 그에 따라 네 가지 패턴의 체제 지탱력 동학이 도출되었다. 재정수입이 고정된 상태에서 재정 수요가 증가 혹은 하락하는 경우와, 재정 수요가 고정된 상태에서 재정 수입이 증가 혹은 하락하는 경우로 나누었다. 그리고 기본적인 네 가지 패턴을 활용하여 북한의 예산수입과 지출을 체제 지탱력 측정 모델에 대입하고 지탱력 수준을 검토했다. 또한 이렇게 검토된 지탱력 수준을 객관화하기 위해서 1985년을 기준치로 하여 그 수치를 상대화시켜 이를 지탱력 수준으로 전환시켰다. 나아가 핵문제로 인한 재정 수요와 수입의 변동이 지탱력의 주요한 변인이 된다고 보고 이를 지탱력 수준 측정에 활용했다. 결론적으로 핵문제가 악화될수록 재정 수요는 증가하고 재정 수입이 감소하기 때문에 체제 지탱력은 감소하여 북한 체제는 위기 국면으로 진입하게 된다. 따라서 북한 체제의 지탱과 개선을 위해서는 핵을 포기하고 개혁 개방의 길로 진입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인 선택이라는 사실이 도출되었다. This research measures North Korea`s regime-durability level using two variables, the fiscal conditions and the nuclear issue. Finance, which in this essay represents fiscal conditions, is defined here as a general economic indicator, including the budget, and categorized into two parts, financial demand and revenue. In this research, the regime-durability of North Korea is measured by the gap between the sums of financial demand and revenue. As a result, four patterns of dynamic models are produced. The first and second models are the cases in which financial demand is increasing or decreasing while revenue is fixed, and the third and fourth models are the cases in which revenue is increasing or decreasing while financial demand is fixed. To objectify the regime-durability level, the level of each year is analysed comparatively with 1985 as the base year. Furthermore, this research regards the fluctuations of financial demand and revenue caused by North Korea`s nuclear issue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variables, and uses the fluctuations to measure the regime-durability level. In conclusion, as North Korea`s nuclear issue worsens, the financial demand will increase and the revenue will decrease, thus decreasing the level of durability overall. As such, the North Korean system will not be able to avoid entering a stage of serious crisis. Accordingly, the only way for North Korea to survive is to give up nuclear weapons and to reform and open its system to the world.

      • KCI등재
      • KCI등재

        북한의 시장과 시장경제 - 수령을 대체한 화폐 -

        차문석 ( Moon Seok Cha ) 한국사회역사학회 2007 담론 201 Vol.10 No.2

        ``고난의 행군`` 이후 아래로부터 자생적으로 생겨난 북한의 시장들은 공식적인 계획경제가 붕괴한 공간에서 경제의 새로운 질서를 형성하기 시작했다. 이후 북한의 시장들은 ``북한식`` 시장경제를 형성해나가는데 주축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 글은 20여 명의 새터민들을 면담한 자료를 토대로, 그리고 경제학적인 프리즘이 아니라 경제인류학적 프리즘을 통해서 2002년 7.1조치 이후 북한의 시장과 시장경제를 분석하였다. 북한에서 대표적인 도매시장인 신의주, 평성, 흥남, 청진 시장 등과 각 지역의 소매시장 및 종합시장들은 현재 전국적인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으며, 수요와 공급뿐 아니라 가격 등락의 전국적 메커니즘도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북한의 현 시기 사회경제체제는 이른바 ``시장경제``로 간주할 수 있다. 이러한 전국적인 시장망의 형성은 새로이 등장한 상인들(전주, 되거리 상인, 달리기 상인 등)의 전국적인 유통활동을 통해서 이루어졌다. 북한의 시장경제는 아래로부터 자생적으로 구축되었지만, 국가는 위로부터 제도적으로 정책적으로 용인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현재의 북한의 시장경제는 ``생산 없는 시장경제``, ``제도 불비의 시장경제``, ``상업 자본의 시장경제`` 등의 특징을 갖고 있으며, 계획경제로 복귀할 수 없는 불가역적인 성격을 갖고 있다. 왜냐하면 수령이 인민을 호령하던 체제에서 화폐가 인민을 호명하는 체제로 전환 됨으로써 화폐가 수령을 대체했기 때문이다. In North Korea, markets(or marketplaces), which have come into being from below spontaneously since ``Arduous March``, began to establish the new economic order in space in which formal planning economy had collapsed. Thereafter, markets in North Korea have a key role in forming the ``North Korean style`` market economy. This essay analyzed marketization and market economy in North Korea after 7·1 reform measures in 2002, through not the economic prizm but the economic anthropological prism, and using the interview data from Saeteomin (new citizens). In North Korea, representative wholesale markets (for example, Sineuiju, Pyeongsung, Heungnam, Chungjin market etc), retail markets, and Jonghap markets (a sort of shopping complex) were connected each other as a national network. Also national mechanism for demand-supply as well as price fluctuation was formed all over the country. For that reason, social economic system of North Korea today can be regarded as ``market economy``. The formation of national market network was completed through the national distribution activities of the newly grown merchants(money owner, reselling merchant, running merchant etc). Market economy in North Korea was established from below spontaneously, but state doesn`t approve of it until now. Accordingly market economy in North Korea is characterized by ``market economy without production``, ``market economy without institution`` and ``market economy with commercial capital.`` Thus, it has an irreversibility which cannot return to the planning economy. A regime in which a leader (Suryung) commanded the people in the past has converted to a regime in which money calls the people. In short, money has substituted a lead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