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Blue light effect on retinal pigment epithelial cells by display devices

        Moon, Jiyoung,Yun, Jieun,Yoon, Yeo Dae,Park, Sang-Il,Seo, Young-Jun,Park, Won-Sang,Chu, Hye Yong,Park, Keun Hong,Lee, Myung Yeol,Lee, Chang Woo,Oh, Soo Jin,Kwak, Young-Shin,Jang, Young Pyo,Kang, Jong Oxford University Press 2017 Integrative biology Vol.9 No.5

        <P>Blue light has high photochemical energy and induces cell apoptosis in retinal pigment epithelial cells. Due to its phototoxicity, retinal hazard by blue light stimulation has been well demonstrated using high intensity light sources. However, it has not been studied whether blue light in the displays, emitting low intensity light, such as those used in today's smartphones, monitors, and TVs, also causes apoptosis in retinal pigment epithelial cells. We attempted to examine the blue light effect on human adult retinal epithelial cells using display devices with different blue light wavelength ranges, the peaks of which specifically appear at 449 nm, 458 nm, and 470 nm. When blue light was illuminated on A2E-loaded ARPE-19 cells using these displays, the display with a blue light peak at a shorter wavelength resulted in an increased produc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Moreover, the reduction of cell viability and induction of caspase-3/7 activity were more evident in A2E-loaded ARPE-19 cells after illumination by the display with a blue light peak at a shorter wavelength, especially at 449 nm. Additionally, white light was tested to examine the effect of blue light in a mixed color illumination with red and green lights.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btained using only blue light, white light illuminated by display devices with a blue light peak at a shorter wavelength also triggered increased cell death and apoptosis compared to that illuminated by display devices with a blue light peak at longer wavelength. These results show that even at the low intensity utilized in the display devices, blue light can induce ROS production and apoptosis in retinal cells. Our results also suggest that the blue light hazard of display devices might be highly reduced if the display devices contain less short wavelength blue light.</P>

      • SCOPUS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제주도 자생식물들에 대한 미백 및 항산화 효능 탐색

        문지영 ( Jiyoung Moon ),김주호 ( Juho Kim ),현진원 ( Jinwon Hyun ),강경아 ( Kyoungah Kang ),고재숙 ( Jeasook Koh ),서영경 ( Youngkyoung Seo ),백지훈 ( Jihwoon Baek ),박덕훈 ( Deokhoon Park ),이종성 ( Jongsung Lee ),정은선 ( Eunsun 대한화장품학회 2006 대한화장품학회지 Vol.32 No.3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에서 자생하는 37 종의 식물추출물에 대한 미백 및 항산화 효능을 조사하였다. 미백 효능은 in vitro tyrosinase 저해활성과 B16-F1 세포를 이용한 멜라닌 합성 저해효과를 조사하여 확인하였고, 항산화 효능은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를 이용한 전자공여능 측정방법과 DCF-DA (dichlorofluorescin diacetate)를 이용한 V79-4 폐 섬유아세포에서 활성 산소종 소거작용 능력을 조사하여 측정하였다. 세포실험 조건에서 식물추출물들의 투여농도에 따른 세포독성 정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MTT (3-(4,5-dimethyl-2-thiazolyl)-2,5-diphenyl-2H-tetrazolium bromide) assay를 수행하였다. 미백 효능조사 실험에서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던 8종의 식물 추출물들은 토끼를 이용한 국소 독성 시험 및 인체 피부 자극 임상 시험에 적용하여 안전성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에서 높은 미백과 항산화 효능을 동시에 나타내었던 비수리(Lespedeza cuneata), 제주광나무(Ligustrum lucidum (stem)), 산뽕나무(Morus bombycis (stem)), 꿀풀(Prunella vulgaris var. lilacina)의 식물추출물들은 화장품 원료화에 매우 유리한 조건을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whitening and anti-oxidant activity of 37 Jeju island native plants. The active ingredients of the plants were prepared by methanol extraction. Whitening activity of plant extracts was examined from the inhibitory effect of tyrosinase and the inhibition of melanin synthesis of the B16-F1 cell line. Their anti-oxidant activity was measured by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and ROS (reactive oxygen species) scavenging activity in V79-4 lung fibroblast cells using DCF-DA (dichlorofluorescin diacetate). Cytotoxicity of the extracts on cell s based experiments was investigated by MTT (3-(4,5-dimethyl-2-thiazolyl)-2,5-diphenyl-2H-tetrazolium bromide) assay. Also, the toxicity test using a rabbit and the human skin patch test were carried out for examining the safety of the extracts which showed the high whitening activity. It is interesting that the extracts of Lespedeza cuneata, Ligustrum lucidum (stem), Morus bombycis (stem) and Prunella vulgaris var. lilacina showed both potent whitening and anti-oxidant activities.

      • KCI등재후보

        한국의 민주화와 자유주의 - 자유주의적 민주화 전망의 의미와 한계

        문지영(Moon Jiyoung) 한국사회조사연구소 2006 사회연구 Vol.- No.11

          이 연구의 목적은 자유주의에 초점을 맞추어 한국의 민주화 과정을 재조명함으로써 민주화 이후 전개되고 있는 ‘자유’민주주의를 평가하고 그 바람직한 발전 전망을 모색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보고자 하는 데 있다. 민주화 이후 한국 사회가 경험하고 있는 민주주의는, 긍정적으로 여겨지든 부정적으로 여겨지든, 이승만 정권 이래의 지난한 민주화여정의 성과이자 그것이 도달한 목적지임에 분명하다. 그러므로 한국 민주주의에 대한 평가나 전망은 순전히 어떤 이론틀을 적용하거나 다른 나라의 경험들과 견주어서만 이루어질 수 없으며, 민주화 과정에 대한 성찰, 회고가 필수적으로 동반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따라 이 연구는 자유주의적 민주화 전망의 의미와 한계를 짚어보고, 그로부터 민주화 이후 한국 민주주의의 위기에 대한 진단과 그 해법을 찾아보고자 한다. 역사적으로 조망해 볼 때, 한국의 민주화 과정에서 자유주의의 기여는 ‘헌정주의의 제도화’로 요약될 수 있다. 통념과 달리 그것은 친일ㆍ극우반공주의와 구별되며 오히려 민족주의적 색채를 강하게 띠었고, 민족의 실체를 민중으로 파악함으로써 자유주의적 민주화 전망은 민중지향성을 강하게 드러내기도 했다. 또한 노동권과 기층민중의 생존권, 궁극적으로 인권에 대한 관심과 옹호도 애초에 자유주의적 문제의식의 발로였으며, 그 점에서 역시 민주화 과정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 물론 지난 민주화 과정에서 자유주의적 전망은 극우 반공주의와 타협하고, 제3세계적 상황이나 자본주의적 모순구조에 대한 총체적 인식을 결여한 채 정치적 해법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등의 한계를 드러내었다. 그러나 한국 사회의 진보를 위한 대안 이념을 한국의 역사적 맥락 속에서 찾는 것이 바람직하다면, 자유민주주의의 제도화를 위한 지난 여정 속에서 축적된 경험은 여전히 유효하다고 본다. 헌정주의의 확립 및 관철이라는 절차적ㆍ형식적 측면과 자유 및 권리 이념의 공평하고 실질적인 향유라는 내용적 측면이 적절하게 결합된 자유민주주의 모델이야말로 지난 역사적 경험으로부터 확보할 수 있고 확보해야 할 대안적 전망일 것이다.   This study purports to re-illuminate the process of democratization in Korea focusing on liberalism, and to search for some theoretical bases on which we can evaluate the development of the "liberal" democracy after democratization in 1987 and investigate its desirable model. Democracy after democratization is inevitably the product and the final phase of Koreans" long and difficult journey for establishing democracy. It being so, the evaluation and prospect on Korean democracy cannot be adequately and sufficiently made if we are content with just applying some theoretical frames concerning democratization to Koreans" experience and comparing it with that of other societies. That project should involve the retrospect and examination on the process of democratization with a new viewpoint.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contribution of liberalism to democratization can be summarized as "the institutionalization of constitutionalism". 2) Liberalism as an ideology of democratization in Korea was different from a pro-Japanese and ultra-rightist ideology, combined with nationalism, and had a close affinity with a claim for justice of distribution, welfare, the right to live of workers, and human rights. 3) The experience accumulated passing through the process of democratization gives us an affluent insights to overcome the current crisis of democracy and to develop a desirable model of it. From the experience we can find and present a model of liberal democracy, which is the establishment of constitutionalism as a procedural side of democracy and the general extension and enjoyment of individual right and liberty as a substantial side of democracy combined.

      • KCI우수등재

        한국의 근대국가 형성과 자유주의

        문지영(Jiyoung Moon) 한국정치학회 2005 한국정치학회보 Vol.39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해방 이후 근대국가 수립 과정을 민주화의 ‘기원’이라는 관점에서 조명하고, 그로부터 한국 민주주의의 성격과 전망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끌어내려는 데 있다. 한국에서 민주화를, 단순히 ‘권위주의 독재에서 민주주의로의 이행과정’이 아니라, 좀 더 포괄적으로 ‘민주주의가 형성되기까지의 과정’이라고 본다면, 1948년 대한민국 수립의 의미와 민주화이념으로서 자유주의에 대해 사뭇 다른 평가가 내려질 수 있다. 무엇보다 이 연구는 초기 자유주의 수용론 이래 전투적 민족주의와 결합하여 식민지시기를 거치고, 해방 공간에서 근대적 자유민주주의국가 수립을 우선 과제로 선택함으로써 단정에 참여했던 ‘자유주의적 민족주의’ 세력에 주목했다. 이들에 의해 근대국가 형성과정에서 지지, 지향된 자유주의는 서구의 경우에서처럼 부르주아 계급 이념의 성격을 띤 것으로 보기 어려우며, 친일ㆍ극우반공주의와도 구별되는 것이었다. 1948년 대한민국 정부수립은 19세기말 조선 근대화를 위한 자생적인 노력이 시도된 이후 일제 강점으로 인해 한동안 유보되었던 근대국가 형성의 과제가 불완전한 형태로나마 해결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그것은 근대적 자유민주주의국가 건설로서의 민주화가 도달한 최종 국면이었다. 그런 만큼 1948년 시점에서의 자유민주주의 제도화는 마침내 한국에 형성된 민주주의의 성격을 드러내는 것이며, 이후 반독재ㆍ반권위주의 투쟁으로서의 민주화 전개와도 깊은 관련을 맺는다는 점에서 중요하게 고려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lluminate the process of modern state building in Korea in terms of the origin of democratization and to give a new interpretation on the characteristics and the prospects of democracy in Korea. If we define democratization in Korea not merely as a transitional process from authoritarian dictatorship to democracy, but as a formational process of democracy, the significance of establishment Republic of Korea in 1948 and liberalism as an ideology of democratization can be understood from a different angle. This study focuses on the forces of 'liberal nationalism', which joined together the forces of militant nationalism throughout the colonial period and participated in the single government movement in 1948 with the belief that the establishment of a modern liberal democratic state was more urgent and important than that of a unified state.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forces, liberalism which they sought and supported in the process of modem state building was neither an ideology of bourgeoisie as it was in the Western societies, nor a pro-Japanese or an ultra-rightist ideology. Though imperfect, the establishment of Republic of Korea in 1948 was the final phase of a hard and long journey for modern liberal democratic state building. In other words, it implies a limited accomplishment in building a modern state, which had been impeded for a while by the rule of Japan that followed series of spontaneous efforts to modernize Chosun. This democratization as a process of modern state building has developed democracy as an idea against dictatorship and authoritarianism since Syngman Rhee's regim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making liberal characteristics of democracy in Korea clear and presenting a desirable model of it by examining the first institutionalization of liberal democracy, i.e., democratization as a process of modern state building.

      • KCI등재
      • KCI등재

        전문적 자본 관점에 기초한 교원능력개발평가 고찰

        문지영(Moon, Jiyoung),노길명(Roh Gil Myoung),김갑성(Kim, Kapsung) 한국교원교육학회 2021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8 No.4

        본 연구는 교원의 전문성 신장을 목적으로 하는 현 교원능력개발평가 제도를 전문적 자본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고찰하여 시론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Hargreaves & Fullan(2012)이 제시한 경영 자본과 전문적 자본의 세 가지 차원(인적 자본, 사회적 자본, 의사결정적 자본)이 무엇이며 현재 교원능력개발평가의 평가 문항 및 시행 과정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 교원능력개발평가는 전문적 자본의 관점에서 교원의 전문성을 평가한다고 보기 어렵다 둘째, 인적 자본의 관점에서 교원능력개발평가의 평가 문항은 개별 교사의 역량 및 배경을 고려하여 다양한 문항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셋째, 사회적 자본의 관점에서 교원능력개발평가는 교사들의 협력과 집단지성을 유도하기 위해 평가 문항을 개선하고 무엇보다 단위 학교의 전문적 학습공동체가 평가의 조직루틴(organizational routine)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넷째, 의사결정적 자본의 관점에서 교원능력개발평가는 인적 자본과 사회적 자본을 바탕으로 개인 집단의 반성적 성찰이 이루어지도록 단위 학교의 자율과 창의성을 유도해야 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논의 거리를 제시한다 첫째, 교직 전문성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지속적인 논의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교원평가의 자율적 주체인 교원의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 셋째, 교원능력개발평가가 단위 학교의 조직루틴이 되어 교원들 스스로 평가의 주체가 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의사결정적 자본과 사회적 자본은 교원능력개발평가의 평가 문항을 통해서 측정하고 판단하기 어려운 요소들이고 단기간에 축적되지 않는다 이에 대한 고민과 고찰은 다양한 관점의 후속 연구를 통해서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theoretical improvement plan by critically examining the current teacher capacity development evaluation system aimed at enhancing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from the perspective of professional capital. For this purpose, the three dimensions of management capital and professional capital proposed by Hargreaves & Fullan (2012) were examined, and the evaluation questions and implementation process of current teacher capacity development evaluation were examin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e current teacher competency development evaluation evaluates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from the perspective of professional capital. Second, in terms of human capital, the evaluation questions of teacher competency development evaluation need to be developed in consideration of individual teachers competence and background. Third, in terms of social capital, the evaluation of teacher ability development should improve the evaluation questions to induce teachers cooperation and collective intelligence, and above all,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of the unit school should be established as an organizational routine of evaluation. Fourth, in terms of decision-making capital, the evaluation of teacher ability development should induce the autonomy and creativity of the unit school so that reflection of individuals and groups can be done based on human capital and social capital.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discussion distances are presented: First, a new paradigm for teaching professionalism should be recognized and continuous discussions should be made. Seco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perception of teachers, who are autonomous subjects of teacher evaluation. Third, teachers should go to the direction of becoming the subject of evaluation by themselves as the organizational routine of the unit school.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Decision-making capital and social capital are difficult to measure and judge through the evaluation questions of teacher ability development evaluation and do not accumulate in a short period of time. The consideration and consideration of this should be supplemented through follow-up studies from various perspecti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