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민(淵民) 이가원(李家源)의 문장에 대한 산강재(山康齋) 변영만(卞榮晩)의 비평

        윤호진 ( Yun Ho-jin ) 연민학회 2016 淵民學志 Vol.26 No.-

        이 논문은 『淵淵夜思齋文藁』에 수록된 淵民 李家源의 문장에 대한 근대의 문장가인 山康齋 卞榮晩의 비평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우선 산강재가 언제부터 연민의 문장에 대해 비평을 하였던가 하는 점에 대해 살펴보았다. 『淵淵夜思齋文藁』에 의하면, 산강재가 연민과 글을 주고받으며 교류를 하면서 연민의 문장에 대해 비평을 한 것은 23세 때인 1939년 무렵부터 29세 때인 1945년까지 대략 7년 정도의 시기동안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산강재가 관심을 가지고 비평을 한 연민의 문장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아울러 산강재가 연민의 문장에 대해 비평을 한 양상은 어떠한 모습을 갖고 있으며, 그 내용은 무엇인가 하는 점에 대해 개략적으로 살펴보았다. 산강재는 연민이 1940년의 원고를 모아놓은 『雪溜館散藁』에 수록된 「雪溜書室記」를 비롯하여 많은 글에 대해서 圈點과 中間評, 尾評의 세 가지 형태의 비평을 남겼다. 권점에는 점모양, 동그라미모양, 겹동그라미모양, 세모모양의 네 가지 형태로 나타나 보인다. 중간평은 연민의 문장 중간에 특정한 부분에 대해서 평을 한 것이다. 미평은 연민의 평 가운데 가장 종합적이고 자세한 것이며, 양도 가장 많다. 미평은 문장 끝에서 문장 전체에 대해 평한 것인데, 반대로 문장 처음에 문장 전체에 대해 평한 제평이 있다. 여기에서는 이 둘을 거의 같은 것으로 보고 아울러 검토 하였다. 미평에서는 “山康評曰”이라고 한 것과는 구분하여 중간평의 경우에는 “산강왈”이라고만 하였다. 그리고 중간평의 구조에서 있어서도 어느 글의 어느 부분에서 무엇이 어떠하다라는 식으로 되어 있으며, 미평에서는 어느 글의 어느 부분에서 무엇이 어떠해서 어떠하다라는 식으로 내용이 한 단계 더 자세히 언급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According to Yen Yen Ya Sa Jae, it seems that San Gang-Kae was a good friend of Yen Min`s from 1939 to 1945 for almost six years. During this period from 1940 to 1942 for over three years San Gang-Jae gave feedbacks to Yun Min`s writings. The style of the feedbacks has three kinds: punctuation, middle note, and end note. Punctuations consist of periods, circle, double circle, and triangle. These signs may have respective meanings, which unfortunately are hardly understood these days. The middle note is a critic about specific parts in the middle of the sentences. The middle note starts with “San gang said,” whereas end note starts with “San gang Pyung said.” And pointing out which part of the writing is good or bad is the structure of the notes. The end note is the most comprehensive and detailed critics of all Yun Min`s works, and its amount is considerable. The end note is literally a critical note at the end of the writing. San Gang-Pyung also wrote reviews in front of the writings. In this thesis, I inspected these two kinds of critical style, the end note, and the front note, as one kind. The structure of the end note is one step further than the middle note. Therefore, even though both punctuation and middle note are one of the critical ways Sang Gang-Jae used, San Gang-Jae wrote the end note to show detailed and various subjects.

      • KCI등재

        연민 선생(淵民先生)과 고소설(古小說) -연민 선생의 고소설 번역본 및 주석본의 현재, 활용 및 계승 방안-

        유춘동 ( Yoo Choon-dong ) 연민학회 2017 연민학지 Vol.27 No.-

        이 글은 연민 선생께서 고소설, 고소설 관련 분야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신 성과를 어떻게 보완하고 활용할 것인가를 살펴보았다. 연민 선생의 업적은 『이가원전집(李家源全集)』에 집적되어 있다. 그리고 그 대표적인 예가 『연암소설연구(燕巖小說硏究)』, 『한국호랑이이야기』, 『골계잡록(滑稽雜錄)』, 『열하일기역주(熱河日記譯註)』, 『춘향가(春香歌)/춘향전주석(春香傳註釋)/개고춘향전주석(改稿春香傳註釋)』, 『금오신화역주(金鰲新話譯注)/『구운몽주석(九雲夢譯注)』, 『이조한문소설선역주(李朝漢文小說選譯注)』, 『서상기역주(西廂記譯注)』 등이다. 고소설 분야에서 연민학의 발전과 계승을 위해서는 전집에는 실려 있는 저작물을 지금의 학생들과 연구자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작업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연차적으로 연민 학회의 해당 분야의 전문가들로 하여금 주요 저서를 재간행(再刊行)하는 작업을 추진하거나 기존에 간행된 주석본을 보완해서 간행하는 사업이다. 또한 현재의 중등교육과정의 학생들이 접하기 쉬운 출판물로의 간행도 필요하다. 이러한 의욕적인 사업이 현재 절실한 상황이다. 그리고 연민 선생께서 어렵게 만들어 놓으신 주석(註釋)을 플랫폼을 만들어 연구자들에게 제공할 방법도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현재 고전 연구의 필요한 전거(典據)는 고전번역원의 인터넷을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고소설의 주석은 찾아보기가 대단히 어렵다. 연민 선생이 해 놓으신 고소설의 주석과 전거 등을 고전번역원을 통해 공개하고 연구에 활용하게 한다면 `연민학`을 활성화시키는데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내용들을 다루어 보았다. This paper examines how to supplement and apply Yi Kawon`s research on old novels, which is directly related to Complete Works of Yi Kawon (Igawon chonjip). Examples include: A Study on Pak Chiwon`s Novels (Yonams osoryon`gu), Tales of Korean Tigers (Han`guk horangi iyagi), A Record of Various Comic Tales (Kolgyejamnok), An Annotated Translation of Jehol Journal (Yorha ilgi yokchu), Song of Chunhyang /An Annotated Translation of the Tale of Chunhyang / A Revised Annotated Translation of the Tale of Chunhyang (Ch`unhyangga / Ch`unhyangjon chusok / Kaego ch`unhyangjon chusok), An Annotated Translation of Tales of Mount Gumo / An Annotated Translation of the Cloud Dream of the Nine (Kumoshinhwayokchu / Kuunmongyokchu) / Annotated Translations of Yi Dynasty Classical Chinese Novels (Ijo hanmun sosol yokchu), and An Annotated Translation of the Story of the Western Wing (Sosanggi yokchu). Work needs to be done in making Yi Kawon`s work on old novels accessible to today`s students and scholars in order to continue and develop his work. For example, experts affiliated with Yi Kawon studies should be made to republish Yi`s main works annually or supplement and reprint the existing annotated translations. In addition, abridged editions of the texts should be published to make it accessible to today`s middle school students. Moreover, “handbook” editions of his work should be published to guide new and expert scholars on further research. Furthermore, thought should be put into creating a platform for Yi Kawon`s annotations and making it accessible for scholars. Currently, most old texts needed by scholars are provided online by the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but it is quite difficult to search for annotations of old novels. If Yi Kawon`s annotations and texts are published for public use, then it will make a great contribute to reviving research on his work.

      • KCI등재

        초기불교 연민(karuṇā)의 일관성 이해

        김진이 ( Kim Jin-yi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0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44

        본 연구는 초기불교의 연민(karuṇā)과 현대감정주의 연민(compassion)을 비교 검토한 후 초기불교 철학에서 도덕 근거로서 연민의 다양한 이해를 목표로 한다. 연민의 일관성이란 탈 애착관계에 기반 한 연민의 확장을 의미한다. 최근 윤리학에서는 연민이 선을 위한 원천으로서 기능할 수 있으며, 개인적 사회적 삶의 윤리적 토대가 될 수 있다는 이해 아래 연민 감정의 윤리적 근거를 확보하려는 논의가 활발하다. 누스바움(M. C. Nussbaum)은 고통의 심각성과 응당/부당 그리고 행복주의의 인지적 필요조건에 따른 연민을 주장한다. 그녀의 연민은 연민의 대상에 부분적인 제한이 있으며 연민의 발현을 감정의 가치판단에만 의존한다. 필자는 연민의 일관성 구축을 위해 고통에 참여하는 연민의 다양한 이해와 연민 감정 개발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감정주의 연민과는 다른 방식으로 고통의 문제에 참여하는 불교적 연민 이해를 탐구하고자 한다. 붓다는 현실경험적인 고통의 이면에 내재된 근본적인 고통의 원인을 소멸함으로써 궁극의 해탈을 열망하는 연민의 확산을 요청한다. 즉 자타의 고통 구조를 소멸로 전환하기 위한 연민을 강조한다. 또한 연민의 내적 체화를 위한 수행에 중요성을 부여한다. 필자는 무아ㆍ연기의 세계관과 수행의 실천에 기반 한 초기불교 연민을 통해 연민 일관성의 새로운 모색을 제안한다. 이를 위한 구체적 논의의 전개는 1. 초기불교 연민의 기본적 이해 검토 2. 불교 연민의 조건 고찰 3. 누스바움(Nussbaum) 연민의 이해 검토 4. 누스바움 (Nussbaum) 연민의 조건 고찰의 순서이다. 여기서 두 연민 이론의 특성과 차별성을 드러낸다. 마지막으로 연민 감정의 습득을 위한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사무량심 수행 구조에서 드러나는 연민 수행을 살펴본다. 이 작업을 통해 불교적 연민을 도덕적 준거틀로서 새롭게 이해하며 윤리적 삶의 기반으로 논의하고 있는 현대 윤리학의 연민 일관성 구축에 부응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compare and review the compassion of early Buddhism and the compassion of modernism, and then to seek various kinds of compassion consistency as a moral basis in early Buddhist philosophy. Consistency of compassion means the expansion of compassion based on a de-attachment relationship.Recently, there has been active discussion in ethics to secure the ethical basis of compassion under the understanding that compassion can function as a source of good and can serve as an ethical foundation for personal and social life. For example, the theory of modern emotionalism argues for the seriousness of pain, deserveness and undeserveness of pain and the cognitive compassion of eduemonism. However, cognitive compassion relies on the value judgment of emotion for partial restrictions and expression of compassion on the subject of compassion. In order to establish the consistency of compassion, I propose the need for various understanding and ethical models of compassion participating in pain. To this end, this study seeks to explore the understanding of Buddhist compassion, which participates in the problem of suffering in a different way than cognitive compassion. Buddha asks for the spread of compassion that aspires to ultimate nirvana by dissipating the fundamental cause of pain inherent behind the real-life pain. In other words, there is a difference from the existing approach of emphasizing compassion from the boundary setting of the target because compassion is emphasized in order to transform the structure of pain into extinction. It also attaches importance to internal embodiment for the expression of compassion. In this article, I'd like to pursue a new understanding of compassion's consistency by highlighting the practicality of early Buddhist compassion. The development of specific discussions for this purpose is as follows: 1. Review of basic understanding of early Buddhist's compassion; 2. Review of condition of Buddhist's compassion; 3. Review of understanding of Nusbaum's compassion; 4. Review of conditions of Nusbaum's compassion. Here th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tiation of compassion in the two theories are revealed. Finally, I'll present the need for development to acquire compassionate feelings, and examine compassion performance that is revealed in the structure of the performance of the four immeasurable minds. Through this work, I think that this subject lives up to the establishing of compassion consistency in modern ethics, which is being discussed as the basis of ethical life, with a renewed understanding of Buddhist compassion as a moral quasi-framework.

      • KCI등재

        연민선생의 『한국한문학사(韓國漢文學史)』 중국어 번역 출판

        리우창 연민학회 2013 연민학지 Vol.20 No.-

        10여 년 전 지도교수인 조계(趙季) 선생님께서 한국에서 우연히 연민(淵民) 이가원(李家源) 선생님의 『한국한문학사(韓國漢文學史)』를 보시고 즉시 번역에 착수하셔서 몇 년 만에 초고를 완성하셨다. 그리고 작년 5월에 허권수 교수님과 허경진교수님께서 이 번역작업을 힘껏 도와주셔서, 중국어로 번역한 『한국한문학사』가 중국 강소성(江蘇省) 봉황출판사(鳳凰出版社)에서 출판되었다. 필자는 이번 번역에서 교열을 맡았다. 본 발표에서는 필자가 지도교수와 함께 이 책의 번역, 교열작업을 하면서 중점을 두었던 사항과 느꼈던 점을 정리하고자 하였다. 『한국한문학사』를 펼쳐보면 우선 연민선생이 시대에 따른 문학사조의 변천을 중요시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책은 매 장 안에서 한 시기의 문학 상황을 개괄하면서 해당 시기의 사조를 강조해 서술하고 있다. 연민선생은 특히 민족사관을 갖고서 문학사의 흐름을 파악했으며, 어릴 때부터 가학(家學)을 통해 체득한 한문학의 ‘배경’을 이 책에서 충실히 설명하였다. 또 이 책은 연민선생이 직접 수집한 다양한 한문학 자료들이 인용되어 내용이 매우 풍부하다. 인용문에 잘못된 부분이 꽤 있었기 때문에 우리는 연민선생이 인용하신 책들을 최대한 많이 찾아 해당 인용문을 교정하는 방식으로 작업을 진행하였다. 또 각 인용문을 중국어로 번역할 때 어떤 문체를 선택할지에 대해서도 주의를 기울였다. 한문소설 등을 한국어로 요약한 부분 같은 경우에는 원전을 직접 찾아 읽고 최대한 내용을 정확히 이해한 후, 원전의 용어를 활용하여 중국어로 요약, 소개하였다. 이번 번역, 교열 작업을 통해 필자는 연민선생이 이 책에서 강조하신 두 가지점을 실감하게 되었다. 하나는 한국문학에서 한문학이 차지하는 비중과 가치가 매우 크고 중요하다는 점이며, 다른 하나는 한국한문학이 단순히 중국을 모방한 것이 아니라 민족성이 담긴 자주적인 문학이라는 것이다. 또한 『한국한문학사』에서 연민선생이 제기한 한문학 연구의 과제는 여전히 우리 앞에 놓여 있으며, 필자 역시 여기에 매진하여 연민선생의 뜻을 계승하고자 한다. 淵民李家源先生韓國漢文學史是韓國漢文學史研究方面最重要研究成果之 一。 以淵民先生作者家學深厚, 熟諳中韓古代漢學經典, 其漢文學史, 亦尤其突出 民族特性、 文學思潮對於文學之影響, 以及對於原書作品原文之大段引用。 結合該書上述特點, 筆者與導師在儘量蒐集書中所引原作, 校對原文, 保證譯稿 中引文之正確性, 並在漢字標記文學之翻譯過程中, 亦儘量考慮文體特點進行翻 譯。 此外, 為更準確表現原書內容, 筆者亦力爭閱讀淵民先生所引之原典, 結合原 典, 以期對於淵民先生之概括分析, 進行更恰當之翻譯。 十餘年前, 筆者導師趙季先生來韓講學, 得該書於書肆, 即着手翻譯, 形成初稿。 去年五月, 導師出席淵民學會, 旋即命筆者對初稿進行校訂, 重寫撰寫譯文。 幸蒙 許捲洙、 許敬震兩位教授在學力、 物力雙方面大力支持, 中譯本 ≪韓國漢文學史≫ 最終得在江蘇鳳凰出版社出版。

      • KCI등재후보

        소원(小園) 문은희(文銀姬) 화백의 예술 작품과 연민(淵民) 선생의 화제(畫題)

        김영봉 ( Kim Young-bong ) 연민학회 2021 연민학지 Vol.36 No.-

        소원(小園) 문은희(文銀姬) 화백은 연민(淵民) 선생이 생전에 수십 년 간 친밀하게 교유했던 원로 여류 화가이다. 대외 활동을 활발하게 하지 않아 대중들에게는 거의 알려지지 않았으나 중년에 이미 감 그림으로 크게 명성을 떨쳤다. 연민 선생은 생전에 문 화백과 깊은 예술적 교유를 하였으나 그 교유 역시 가까운 지인들이나 제자들에게도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두 사람의 교유가 학술적으로 중요한 것은, 문 화백의 수많은 작품에 연민 선생이 직접 화제(畫題)를 써서 남겼기 때문이다. 문은희 화백은 고등학교 때 남관(南寬) 화백에게 철저한 작가 정신을 배우고,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에 진학하여 청전 이상범, 운보 김기창, 천경자 등 당대 최고 대가들에게 그림을 배웠다. 중년까지 감 그림으로 일가를 이루고, 중년 이후에 누드 크로키 분야를 개척하여 독보적인 경지에 이르렀다. 특히 일본에서 커다란 반향을 불러 일으켰으며 이를 계기로 프랑스 파리에도 진출하여 평단의 호평을 받은 바 있다. 연민 선생과는 일찍이 1970년대 초반에 도자기 작업을 하면서 교유를 시작하여 수십 년 간 그림과 화제로 예술적 만남을 지속하였다. 문 화백의 그림 인생에서 가장 빛나는 것은 누드 크로키라고 할 수 있으며, 연민 선생의 화제도 누드 크로키에 대한 것이 가장 많이 남아 있다. 이 화제가 여태까지 어디에도 알려지지 않고 문 화백 개인 소장으로만 잠자고 있었는데, 이에 이 작품을 소개하여 연민학(淵民學)의 한 부분을 보완하고자 한다. 연민 선생의 화제에서 일관되게 표현한 것은 예술을 창작하는 사람의 내면에 흐르는 고독, 우수, 고통 등이다. 이는 문 화백이 그림 인생에서 몸소 겪은 삶의 여정과 일치한다. 그런 면에서 연민 선생은 문 화백의 진정한 지음(知音)이었다. 연민기념관 등에 아직 정리하지 못한 연민 선생의 화제가 더 남아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들을 조사, 수합하여 미공개 유묵을 정리할 필요가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두 거장의 예술을 통한 역사적 교유가 우리 인문학사의 한 페이지를 빛낼 수 있을 것이다. Artist Sowon Moon Eun-hee is a senior female painter. She has been intimate with Yonmin Lee Ga-won for decades when he was alive. She is not well known to the public because she is not active in public activities. But in the middle of her life, she was already famous for his work of persimmon painting. The friendship between the two is very important academically, because Yonmin wrote his own comments in her art works. Moon Eun-hee learned painting from the greatest masters of her time. After middle age, she pioneered the field of nude croquis and reached a unique position. Her art works are highly acclaimed, especially in Japan. With this opportunity, she also entered Paris, France, and received favorable reviews. In the early 1970s, Moon Eun-hee and Yonmin began to become friends while working on ceramics. For several decades after that, they continued their artistic encounters through her paintings and his comments written in her works. Moon's most prominent achievement in painting is nude croquis, and Yonmin’s comments written in her works are also remain the most about nude croquis. But the comments are not known anywhere until now. Therefore, I would like to supplement a part of Yonminhak(淵民學) by introducing these comments. What Yonmin consistently mentioned in these comments are solitude, anxiety, and pain flowing within the artist. These are consistent with the experiences Moon Eun-hee experienced in her painting life. In that respect, Yonmin was a true friend who recognized Moon Eun-hee's heart. There will be more works of Yonmin in the ‘Yonmin memorial hall(淵民記念館)’ and others that have yet to be organized.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m and organize undisclosed works. That way, the artistic interaction between the two masters will shine a page in our humanities history.

      • KCI등재

        연민(淵民)의 기록을 통해 본 외재(畏齋) 정태진(丁泰鎭)의 표상

        구지현 연민학회 2022 연민학지 Vol.37 No.-

        Oejae Jung Tae-jin(畏齋 丁泰鎭, 1876-1959) was a person who was a mentor of Yeonmin Lee Ga-won(淵民 李家源, 1917-2000) for a long time and had given the biggest influence on building a foundation of Yeonmin’s study. After Oejae’s death, Yeonmin had collected his letters and compiled Anthology of Oejae(畏齋文集), also, written autobiography of Oejae. Hence, this paper is aimed at investigating how Yeonmin had remembered his mentor, Oejae, by finding the figure of him according to the record of Yeonmin. Yeonmin defined Oejae as “Gyeongsa(經師)”, which means he was a mentor handing the sacred book down. According to Yeonmin and Oejae’s letters, in large part, we could figure out the content about asking a study of the sacred book. Oejae always had sent a letter to give a realization the essence of study whenever Yeonmin had lived apart from him and studied from afar. Also, he was a most beloved mentee whom Oejae usually had missed for not studying together. Yeonmin, however, evaluated Oejae’s study as “Jongmil(宗密)”, which means to study the essence and be meticulous to it. And Yeonmin’s attitude toward the study had been inherited from Oejae’s “Jongmil(宗密)”. Furthermore, Yeonmin evaluated Oejas’s poem as having Toegye’s style. According to Okryusanjangsihwa(玉溜山莊詩話), the exchange of Oejae’s Maehwa poems is introduced. When Yeonmin had gotten the exchange of Oejae’s Maehwa poems for a long time, he came up with Toegye’s one. He regarded Oejae’s poem as having remained Toegye’s style as it was. In his poem, Yeonmin felt Oejae’s firm will never given up for a long time, which drove him greatly admire Oejae. When it comes to Yeonmin’s personality, it had better understand that evaluation of Oejae is objective one regardless of personal relationship. 외재(畏齋) 정태진(丁泰鎭, 1876-1959)은 연민(淵民) 이가원(李家源, 1917- 2000)이 가장 오래 따라 배운 스승이자 연민의 학문 기초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인물이다. 외재 사후 연민은 외재의 글을 모아 외재문집 을 편찬하였고 외재의 삶을 서술한 행장을 지었다. 본고는 연민의 기록에 보이는 외재의 모습을 찾아 어떻게 스승을 기억하고 있었는지 검토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민은 외재를 경전을 전수해 준 스승이라는 의미의 “경사(經師)”라 규정하였다. 연민과 외재의 편지를 살펴보면 경전 공부에 관하여 질문하는 내용을 가장 많이 찾아볼 수 있다. 연민이 떨어져 공부할 때도 언제나 학문의 본질을 깨닫도록 권면하는 편지를 보냈다. 또 곁에서 함께 공부하지 못하는 아쉬움도 토로할 정도로 가장 아끼는 제자였다. 연민은 외재의 학문을 “종밀(宗密)”하다고 평가하였는데, 연민의 학문 태도 역시 외재의 “종밀”을 계승한 것이었다. 아울러 연민은 외재의 시문이 퇴계의 풍격을 지닌 것으로 평가하였다. 옥류산장시화 에는 외재의 매화시 증답 시편이 소개되어 있다. 만년의 외재로부터 매화 증답 시편들을 받아들었을 때 연민은 퇴계의 매화시를 떠올렸다. 퇴계의 풍격이 외재의 시에도 그대로 구현되어 있다고 평가하였던 것이다. 만년에도 꺾이지 않는 외재의 굳은 의지를 느끼고 연민은 매우 찬탄하였다. 연민의 평소 품성을 미루어본다면 외재에 대한 평가는 사적인 관계와 상관없는 객관적인 평가라 보아도 좋을 것이다.

      • KCI등재

        현대시에 나타난 연민과 배려의 시학

        유성호(Sung Ho Yoo)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13 인간연구 Vol.0 No.24

        연민은 존재의 가장 밑바닥까지 내려가는 고유한 힘을 내포한다는 점에서 서정시의 가장 근원적인 정서이다. 김소월은 그의 시론 「시혼」에서 그늘진 곳에서 외롭게 울고 있는 벌레 한 마리, 빈 들에 말라가며 벌바람에 여위는 갈대 하나, 아득한 바다에 뛰노는 물결 속에 지순한 종조가 있다고 말한 바 있다. 서정시의 근본 정신이라 말할 수 있는 이러한 ‘시혼’은, 오늘날의 생태 의식과 긴밀하게 상통하는 것이고, 세사의 모든 외롭고 초라하고 쓸쓸한 것들에 대한 일종의 ‘우주적 연민’에서 우러나온 것이다. 그런가 하면 백석은 가난의 시적 기표를 통해 가난한 이들에 대한 연민의 정서를 지속적으로 보여준 대표적 시인이다. 소외되고 가난한 이들에 대한 일관된 연민의 시선은 백석 시편의 가장 종요로운 자질이며, 후대 시인들에게 가장 강렬한 감염력을 가지며 전달된 속성이라고 할 수 있다. 특별히 일제 강점기라는 상황을 직접적 배경으로 하여 씌어진 시편들에는 백석 특유의 ‘사회적 연민’이 잘 드러난다. 이러한 ‘사회적 연민’은 후대 시인들에게 두루 이어져 리얼리즘의 굵은 광맥을 형성하게 된다. ‘사회적 연민’과는 달리, 사적 대상에 대한 연민이 서정의 원리로 나타난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는 ‘관계론적 연민’이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인데, 가장 소소한 순간에서 가장 위대한 것이 솟아오르는 서정의 원리가 여기서 구체적으로 실현된다. 이러한 연민을 구체화하는 행위 개념이 바로 배려이다. 그래서 연민과 배려는 인간 사회의 최상위의 윤리 감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연민과 배려의 시선을 통해 우리 사회의 소수자들 혹은 소외되고 버려진 이들에 대한 사회적 실천을 강화하는 것이 우리 사회의 정의의 첫 출발일 것이다. Compassion is the most fundamental emotion of lyric poetry in that it reaches to the deepest levels of being. Kim, In this poetic essay “Si-hon” (Poetic Soul), Kim So-wol said that there is a pure atmosphere in an insect crying alone, a reed being withered by the wind in an open field, and a wave romping around a distant sea. As an underlying spirit of lyric poetry, Kim’s ‘Si-hon’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contemporary ecological consciousness and is coming from a kind of “universal compassion” toward every lonely, humble, and solitary person in the world. Baek Seok is a representative poet who consistently showed compassion toward the poor in his use of the poetic signifier of poverty. His attention to alienated to alienated and poor people is the most important feature of his poems, and his work has been very influential on poets of later generations. In particular, those poems written with the direct background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reveal his peculiar “social compassion.” This social compassion has been inherited by poets of later periods and formed a thick vein of realism. Different from social compassion, compassion toward an individual object is often presented as the principle of lyricism. This could be called “relational compassion” and the principle of lyricism in which the greatest soars from the most trivial moment is concretely realized in here. Consideration is the very concept that materializes this compassion. Therefore, compassion and consideration are the most significant aspects of ethics in human society. The first step toward justice in society is the intensification of social practice for minorities and those alienated and abandoned through this perspective of compassion and consideration.

      • KCI등재

        연민 함양을 위한 현대시 읽기 교육 연구

        유진현(Yu Jinh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6

        이 연구의 목표는 연민의 감정이 지니는 교육적 의의와 그 사회적 역할에 주목하여, 연민 함양을 위한 현대시 교육을 논의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윤리적 행위를 위한 판단의 기제로서 연민을 강조한 M. C. Nussbaum의 논의를 살펴보았다. 또한 나희덕의 시에서 나타나는 연민의 양상을 취약성에 대한 공감과 연민, 공통성에 대한 인식과 연민 및 유한성에 대한 조망과 연민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연민 함양을 위한 현대시 읽기 교육의 방안을 연민에 대한 이론적 이해와 연민에 주목한 현대시 읽기로 구체화하여 그 적용과 조정을 통한 사회 윤리적 개념으로서 연민 지향과 실천으로 제시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iscuss modern poetry reading education for cultivating compassion, paying attention to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compassion and its social role. To this end, the discussion of M. C. Nussbaum, which emphasized compassion as a judgment mechanism for ethical behavior, was examined, and the importance of reading modern poetry for cultivating compassion was focused on the aspect of compassion in Ra Hee-deok s work. Compassion as a rational reflection comes from understanding the cognitive element of compassion as an observer, as well as through empathy and interest in the suffering person. At this time, the judgment that other people are suffering, the assessment that it is unfair, and the belief that such pain must be resolved for the good life of myself as well as others is formed from a very early stage through the method of establishing close relationships with various people. In the process, it is essential to empathize with others suffering through empathy or to imagine a better life. By reading modern poems that reveal compassion like this, you can think about the lives of others other than myself and those close to me, and pay attention to the commonality of being a human being, for a better life. You think about what you can or should do.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significance of compassion as a social ethical concept, and more actively consider the goals and contents of education to foster compassion in modern poetry reading education. These discussions have the character of emphasizing compassion as a motive that enables today s learners, who are experiencing the so-called era of disgust, to establish social solidarity as a fundamental method to solve the problems of disgust.

      • KCI등재후보

        연민확장성이 연민붕괴에 미치는 영향

        이나라(Na Ra Lee),김완석(Wan-Suk Gim) 한국명상학회 2018 한국명상학회지 Vol.8 No.1

        본 연구에서는 연민확장성이 연민붕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민확장 성은 연민의 대상이 가족과 같은 좁은 대상을 넘어 잘 모르는 다른 사람이나 존재로 까지 확 장되어 있는 정도를 말한다. 연민붕괴는 연민대상이 늘어나면 연민심과 도움의도, 도움행동이 감소하는 현상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민붕괴가 연민확장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주고자 했다. 전체적인 연민수준이 높은 대학생 중에서 연민확장성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을 구성해서 연민대상의 수(1명, 8명)에 따른 연민심과 도움의도, 도움행동을 측정하는 실험을 하였다. 연구결과, 두 집단 모두에서 연민대상의 수에 따른 연민심과 기부의도의 차이 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기부행동의 경우, 저확장성 집단에서는 연민대상수에 따른 연민 붕괴가 나타났지만, 고확장성 집단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가까운 사람들에게 제한된 연민의 경우, 심리적인 연민심과 도움의도가 행동과 덜 일치하지만, 대상에 따른 연민 심의 차이가 적은 확장된 연민의 경우는 심리적인 연민심과 도움의도가 실제 행동과 더 일치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민의 대상을 확장하는 자비명상과 같은 수련이 이타행동에서 나타 나는 연민붕괴를 억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연구의 의 의를 논의하였다. Compassion extendability refers to the degree to which the object of compassion extends beyond a narrow object such as a family to another person or being that does not know it well. Compassion collapse is a phenomenon in which compassionate mind, help intention, and helping behavior decrease as the object of compassion increases. In this study, we tried to show that this compassion collapse can be affected by compassion extendability. Among the college students with high level of compassion, they were composed of high and low compassion extendability groups, and they were tested to measure compassionate mind, helping intention, and helping behavior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object of companions (1, 8). As a result, there was no difference in sympathy and donation inten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compassion objects in both groups. However, in the case of donation behavior, collapse of compassion by the number of compassion objects occurred in the low extendability group, but not in the high extendability group. This result suggests that psychological compassion and intention to help are less congruent with help behavior among people who s compassion extendability is low, but not in case of high compassion extendability people. And more. It is suggested that the training like loving-kindness and compassion meditation which extends the object of compassion may suppress the collapse of compassion in the action. Finally,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기획논문 : 연민선생의 한시 ; 연민선생(淵民先生)의 한시(漢詩)

        퀑킨훙 ( Kin Hung Kwong ) 연민학회 2013 연민학지 Vol.19 No.-

        이 글은 연민선생(淵民先生)의 문집 4종에 실린 한시 작품의 가치와 특색을 살펴 본 것이다. 연민의 한시는 같은 시대 중국의 유명 시인의 작품과 같은 선상에서 논해야 한다는 것이 필자의 전반적인 소감이다. 연민이 출중한 작시 능력을 보인것은 우선 그가 천부적인 재능을 타고 났기 때문이지만, 학문 수양의 공력(功力) 또한 무시할 수 없다. 연민의 시는 고전적(古典籍)에 대한 깊은 연구를 바탕으로 한 작품이 많으며, 이는 그의 전 생애에 걸친 교육 및 학문 수양의 과정에서 획득된 것들이다. 필자는 연민의 작품들 중 기석(奇石)에 대한 시와 국화에 대한 시 각 한 수를 예술적 측면에서 논하였다. 첫 번째 시는 시구를 다듬어 교묘하고 독특한 표현을 통해 중심소재의 가치를 부각시키고 있다. 또 과거에서 현재로, 원경에서 근경으로, 많은 것에서 적은 것으로 그 범위를 좁혀가며 시상을 전개하는 수법을 사용한것도 인상적이다. 국화에 대한 시는 처음과 마지막이 혼연히 어울리며, 2연의 은은한 정취와 3연의 기이한 착상이 두드러진다. 또한 유수대(流水對)를 사용하여 문장의 기세에 활력이 넘친다. 연민의 작시 태도는 크게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하나는 옛것에 구애받지 않고 오늘날의 말을 쓰되 속된 것으로 흐르지 않는다는 것이다. 둘째는 근체시의 성률(聲律)과 운율(韻律)을 중시한 것이다. 연민의 한시 작품을 통해 이러한 원칙이 확고히 지켜지고 있음을 실제로 확인할 수 있다. This article will examine the value and characteristic of the Chinese poetries in 4 of Yeonmin`s collection of works. It is a general opinion of the writer of this article that Yeonmin`s Chinese poetries should be taken equally with the works of Chinese popular poets of the same time. Yeonmin was able to demonstrate an outstanding ability in composing a poem on account of his innate talent but his effort in developing the study should not be ignored. Yeonmin`s poetries are largely based on a close study in classical documents which was gained during the process of life-long education and study. The writer of this article is discussing the artistic feature of each poetry about lithic curiosities and chrysanthemum. The lines of the first poetry is organized to elaborately highlight the main subject. It also seems impressive to have used such technique in expressing the inspiration that a range gradually narrowing down from past to present, distant to close view, and from many to few. The poem about chrysanthemum has beginning and ending that clearly harmonize and the delicate mood of the line two and odd ideas in line three are quite distinctive. In addition, by using Yu-su-dae, the lines are invigorated. Yeonmin`s attitude in composing poetry can be largely summarized into two. One is being free from the old to use present language only keeping a distance from vulgarness. Second is perceiving rhythm and prosody importantly in composing Geunchae poetry. By looking at Yeonmin`s Chinese poetry, it can be actually confirmed that these principles were firmly he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