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향기가 소비자의 제품지각과 기억에 미치는 영향 : 실용재와 쾌락재를 중심으로

        조아영 강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53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fragrance on consumer’ perception and memory toward products, depending on product type as moderator. Previous studies found that fragrance has a positive effect on emotion, cognition and memory of consumers. However some research claim that presence effect of fragrance is not consistent and the effect of fragrance is varied according to kind of fragrance. This study explored how the effect of fragrance type on attitude, loyalty, memory toward products is moderated by product type. For diversifying the fragrances, we conducted a pilot study that measured EEG during inhalation of fragrances to 20 undergraduate students and selected arousal/relaxation fragrances. Data in the present study were collected from 60 undergraduate students who voluntarily participated in our experiment, diffusing ambient scent and measuring a survey. This study conducted a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using 3(arousal/relaxation/contral) × 2(utilitarian/hedonic) with a control variable of familiarity. Results indicated that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fragrance and product type was significant on memory of products. On the other hands, the interaction effect was not significant on attitudes and loyalty toward products. Furthermore, presence of fragrance has an significant effect on attitude, loyalty and memory of products. Finally, we discussed som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based on the findings in this study. 본 연구는 향기가 소비자의 제품지각과 기억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향기의 출현은 소비자의 정서와 인지 및 기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일부 연구들은 향기의 출현효과가 항상 일관적이지 않으며 향기의 종류에 따라 효과가 다르게 나타난다고 주장한 바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뇌파 측정을 통해 향기의 종류를 나누어 향기종류와 제품유형이 제품태도와 충성도, 기억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2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향기를 맡는 동안의 뇌파를 측정하는 예비실험을 실시하여 활성향과 안정향을 선정하고, 6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험조건에 따라 주변향을 맡는 동안의 제품에 대한 태도와 충성도를 측정하는 설문지를 실시하고 실험 후 기억에 대한 설문을 하는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독립변인은 집단 간 변인인 향기종류(활성향/안정향/통제)와 품유형(실용재/쾌락재)이었다. 종속변인은 제품태도와 제품충성도, 제품기억이었으며 향기친숙도를 통제한 3(활성향/안정향/통제)×2(실용재/쾌락재) 공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향기유무에 따른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계획비교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향기유무에 따라 제품태도와 충성도, 기억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향기가 없을 때(통제)보다 있을 때(활성향/안정향)의 참가자가 더 높은 제품태도, 충성도, 기억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제품태도와 충성도에 대해서는 향기종류와 제품유형의 상호작용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은 반면, 제품기억에 대해서는 상호작용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 향부자와 수치향부자의 생리활성에 관한 비교 연구

        박지영 淑明女子大學校 大學院 1996 국내박사

        RANK : 232287

        향부자 Cyperus rotundus Linne(Cyperaceae)는 민간이나 한방에서 鎭痛, 消炎, 利尿, 通經劑로 이용되고, 修治에 의해서는 醋製는 理氣止痛, 姜製는 祛痰止嗽, 鹽製는 자음윤조, 童便製는 降火作用, 酒製는 氣血循環 促進作用의 목적으로 질병 치료에 사용하여 왔다. 향부자의 修治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醋와 4∼5시간 蒸하여 사용하면 肝臟과 腎臟등에 효능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향부자 및 수치향부자의 분획 pattern의 비교 분석 및 생리활성을 비교 검토하기 위하여 MeOH Ex. 및 Pet. ether, CHCl₃, BuOH, Water 분획에 대하여 DPPH를 이용한 항산화효과 및 LDL 산화억제 효과와 지질 과산화 억제작용, 간기능에 미치는 영향, 신기능에 미치는 영향, 진통실험을 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Pet. ether 분획의 pattern 비교 분석에서 향부자에는 5-amino-1-methyl-imidazolo(4, 5H) quinoline으로 추정되는 물질이 확인되었고, 수치향부자에서는 cyperene이 확인되었으며, 수치에 의해 α-cyperone의 함량은 감소되고, β-selinene의 함량은 증가하였으며, 기타 분획 pattern 비교 분석에서는 구성 성분의 양적인 차이를 보였다. 2. 각 시료의 DPPH법에 의한 항산화 효과는 향부자는 Pet. ether, CHCl₃, BuOH 분획에서, 수치향부자는 MeOH Ex., Water 분획에서 더 높은 항산화효과를 나타내었다. LDL의 산화 억제 효과에 미치는 영향은 agarose gel electrophoresis 상의 mobility를 측정한 결과 향부자 및 수치향부자의 Pet. ether, CHCl₃, BuOH, Water 분획에서 산화된 LDL에 비해 시료를 가한 LDL의 mobility가 현저히 감소되어 시료가 항산화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고, 향부자는 Pet. ether 분획, 수치향부자는 BuOH 분획에서 강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고, 이 분획을 LDL에 가하여 시간별로(0, 2, 4, 6, 8hrs.) 산화시켰을 때 시간이 경과할수록 mobility가 감소하였다. 또한 TBA Method를 이용하여 향부자 Pet.ether 분획 및 수치 향부자 BuOH 분획을 농도별로 LDL에 가하여 산화시킨 후 MDA의 양을 측정한 결과 향부자는 8ppm, 수치향부자는 4ppm 이상에서 강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3. 사염화탄소 투여에 의해 간 손상이 유발된 병태 모델에서의 지질과 산화 억제 효과는 in vitro와 in vivo에 있어서 향부자는 MeOH Ex., BuOH, Water 분획에서, 수치향부자는 Pet. ether, CHCl₃ 분획에서 유의성 있는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4. 사염화탄소 투여에 의해 손상된 간 기능에 미치는 영향은 향부자 MeOH Ex.에서 GOT, GPT, AlP 함량은 거의 정상수준으로 회복되었고, 수치향부자 MeOH Ex.에서는 GOT 함량의 감소가 관찰되었고, 0.5g/kg/day에서 유의성 있는 AlP 함량의 감소를 나타내었고, Cholesterol, TG(triglyceride)는 향부자 및 수치 향부자 MeOH Ex.에서 유의성 있는 감소를 보였고 BUN 함량은 수치향부자 MeOH Ex.에서 유의성 있는 감소를 보였다. GPT, TG 함량은 향부자 분획에서 유의성이 높고, GOT, AlP, BUN 함량은 수치향부자 분획에서 유의성이 높았다. 5. CCl₄ 투여에 의해 간 손상이 유발된 흰쥐의 Liver 및 Spleen 중량 비교에 있어서, Liver 중량은 향부자 Water 분획과 수치향부자 Pet. ether 및 BuOH 분획에서 유의성 있는 감소를 나타내었고, Spleen 중량은 수치향부자 BuOH과 Water 분획에서 유의성 있는 감소를 나타내었다. 6. 향부자 및 수치향부자 모든 분획의 시간별 뇨량에 있어서 2∼3시간에서 가장 유의성 있는 증가를 보였으며, 총 뇨량에 있어서도 향부자 및 수치향부자 모든 분획에서 유의성 있는 뇨량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7. 흰쥐의 신기능에 미치는 영향은 Creatinine, Uric acid 함량은 별다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BUN 함량은 수치향부자 Pet. ether 및 BuOH 분획에서 유의성 있는 감소를 보였다. 8. HgCl₂ 투여에 의해 신기능장애를 유발한 흰쥐의 신장, 비장의 중량을 측정한 결과 향부자 및 수치향부자의 모든 분획에서 유의성 있는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9. 뇨중의 전해질을 측정한 결과 Na^+ 함량은 향부자 Pet. ether와 BuOH 분획, 수치향부자 CHCl₃과 Water 분획에서 유의성 있는 증가를 나타내었고, K^+ 함량은 향부자 BuOH 분획 및 수치향부자 CHCl₃ 분획에서 유의성 있는 증가를 나타내었고, Cl^- 함량은 수치향부자 BuOH과 Water 분획에서 유의성 있는 증가를 나타내었다. 10. 진통실험에서 향부자 및 수치향부자의 Pet. ether 분획에서 acetic acid에 의한 writhing 증상이 유의성 있게 억제되었고, 향부자에 비해 수치향부자 Pet. ether 분획의 진통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으로 향부자 및 수치향부자의 분획 성분 pattern의 비교 분석 및 생리활성을 비교 검토한 결과, 향부자 Pet. ether 분획에서 5-amino-1-methyl-imidazolo(4, 5H) quinoline으로 추정되는 물질이 확인되었고, 수치향부자 Pet. ether 분획에서 cyperene이 확인되었으며, 수치하면 cyperone의 함량은 감소되고, β-selinene의 함량은 증가하였으며, 향부자는 지질 과산화 억제작용, 간기능 보호작용 및 항산화 작용이 우수하고, 수치향부자는 이뇨작용, 진통작용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Cyperus rotundus L.(Cyperaceae) has been used as an analgesic, anti-inflammatory agent, diuretic and menstrual disorder in folk remedies. Cyperi Rhizomata, processed and unprocessed, were extracted with methanol(MeOH) and fractionated with petroleum ether(Pet. ether), chlorofonn(CHCl₃), butanol(BuOH), water. The chemical change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unprocessed Cyperi Rhizoma and processed Cyperi Rhizoma (steamed with vinegar and liquor) have been tested in vitro and in vivo. In vitro test, electron donating effect by DPPH method, anti-oxidative effects on human low density lipoprotein (LDL) by agarose gel electrophoresis and TEA method were studied. In vivo test, we investigated anti-lipid peroxidative effect, liver protective activity on CCl₄ induced lipid peroxidation, hepatotoxicity in rats, diuretic action and kidney function on HgCl₂ induced renal failure rats, also analgesic effect on writhing syndroms in mice induced by acetic acid was examined. It was found that cyerene was identified from Pet. ether fraction of processed Cyperi Rhizoma, 5-amino-1- methyl-imidazolo (4, 5H)-quinoline was detected from unprocessed Cyperi Rhizoma, the decrease of content of cyperone and the increase of content of β- selinene were shown by processing. In DPPH study, unprocessed Cyperi Rhizoma showed on Pet. ether, CHCl₃, BuOH fraction increase EDA (Electron donating ability), MeOH Ex., Water fraction of processed Cyperi Rhizoma increased EDA according to concentration dependent. All fractions of processed and unprocessed Cyperi Rhizoma showed significant anti-oxidative effect on LDL oxidation, especially in processed Cyperi Rhizoma, BuOH fraction was more effective than other fractions. In vitro and in vivo tests, MeOH Ex., BuOH, Water fraction of unprocessed Cyperi Rhizoma enhanced the inhibition of anti-lipid peroxidative effects in liver lipid. In chemical parameters obtained from serum analysis, MeOH Ex., BuOH fraction of unprocessed Cyperi Rhizoma revealed significant decrease in hepatotoxicity. The diuretic effect on processed Cyperi Rhizoma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renal failure rats, on serum chemical parameters, the significant inhibition of BUN (blood urea nitrogen) on processed Cyperi Rhizoma was found. The analgesic effect of processed Cyperi Rhizoma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unprocessed Cyperi Rhizoma by dose dependently. From the above results, it can be summerized that unprocessed Cyperi Rhizoma has significant anti-lipid peroxidative effect and protective activity on liver, anti-oxidative effects on DPPH and LDL, on the contrary, processed Cyperi Rhizoma showed significant diuretic and analgesic effects.

      • 항염 고분자 미립구를 이용한 혈전 표적 광음향 영상

        권시안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2284

        급성 동맥 혈전증은 심근경색과 뇌졸증을 일으키며 선진국에서 대부분의 사망 원인을 차지할 만큼 주요 질환이다. 혈전은 혈관 내로 유입된 콜라겐 자극에 활성화된 혈소판을 통해 형성된 트롬빈이 가용성 피브리노겐을 불용성 피브린으로 만들면서 성장한다. 혈전 주위에는 각 종 질병과 질환의 원인이 되는 활성산소가 혈소판의 활성화와 대식세포의 염증작용으로 다량으로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 활성산소를 억제하게 되면 2차적인 혈관 손상을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활성산소로 촉진되는 혈전의 성장을 저해하는 시너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혈전 질환 치료의 어려운 문제점들은 혈전 부위의 육안으로 파악이 어려워 부작용이 많은 방사선 영상 기법을 사용해야 한다는 점과 혈전 제거를 위한 물리적 접근이 다소 까다롭다는 것이다. 이런 점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혈전 주위의 활성산소인 과산화수소 민감성을 극대화시켜 우수한 항염물질을 방출하는 전구약물인 이중 과산화수소 감응성 고분자인 (BRap OXalate polymer, BROX)를 합성하였다. BROX 고분자는 약물전달에 용이한 미립구로 제조하여 광음향 조영제로 IR780 물질을 포접시켰고 GPRPP 펩타이드를 물리적으로 배합하여 혈전의 피브린을 표적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BROX 미립구는 표적지향형 전구약물로 질환 부위에만 작용하여 체내 순환시간이 길고 부작용이 적은 이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질환 부위의 과산화수소와 반응해 생성되는 이산화탄소로 인해 광음향 영상 신호를 증폭하여 더욱 선명한 영상을 얻을 수 있는 차세대 영상기법의 조영제 및 우수한 치료약물로써 큰 잠재력을 지닐 것으로 기대된다.

      • 加減蘇合香元 香氣液이 세포활성에 미치는 영향과 항산화효과에 關한 硏究

        윤여국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32239

        The glial cell, located in between the blood vessel and nerve cell, takes charge of the cell support, nutrition supply, elimination of body waste, and cell action. GagamSohabhwangwon (GGSH), a chinese traditional medicinal prescription has been used orally for the treatment of seizures, infantile, convulsion, stroke and so forth.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 of the GagamSohabhwangwon (GGSH) essential oil on cell activity and anti oxidation. MTT assay methods were employed to measure the cell activity based on the amount of the GagamSohabhwangwon (GGSH) essential oil by using primarily cultivated glial cell. In addition, this paper measured a viability of the glial cell after a protein active retarder control to confirm the multiplication of the cell and examined the cell extinction by the active oxygen, an extinction shielding effect with different amount of the GagamSohabhwangwon (GGSH) essential oil to observe anti oxidation. Furthermore, this paper measured a viability of the cell and phosphorylation (phosphorylation) of the protein which affects the multiplication of the glial cell. When controlling the amount of the GagamSohabhwangwon (GGSH), there was a multiplication effect of the primary glial cell, the multiplication of the cell was dependent on the density of the GagamSohabhwangwon. The multiplication power of the primary glial cell was suppressed by PKA inhibiter (H89). In compliance with the active oxygen the extinction of the primary glial cell was dependent on the density of the GagamSohabhwangwon, there was a shielding effect of the cell extinction when GagamSohabhwangwon (GGSH) was preprocessed. When inducing the multiplication of the primary glial cell, phosphorylation of the Akt, BDNF, CREB, ERK and ERM were increased. Based on the results, GagamSohabhwangwon essential oil will have the effect which activates the nervous system cell and protects the cell through anti oxidation.

      • (The) optimization of fermentation to increase productivity of antifungal substances of Dacryopinax spathularia (DAC)

        윤재형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2233

        Dacryopinax spathularia (DAC)는 식용 버섯 중 하나이며 항진균 물질을 생산한다. DAC의 항진균 물질 생산을 최적화하기 위해 Glucose–Yeast–Malt–Peptone (GYMP) 및 Mycological broth (MY) 배지에서 탄소/질소 비율을 변경하였다. 탄소원의 함량은 GYMP 배지에서 5, 10, 20, 30 g/L, MY 배지에서 10, 20, 40, 50, 60 g/L로 조정되었고 질소원의 함량은 GYMP 배지에서 5, 10, 15, 20 g/L, MY 배지에서 2.5, 5, 10, 15 g/L 로 조정되었다. DAC는 25°C, 2 L/min의 공기 주입량을 유지하면서 3L 규모 발효기에서 144 시간 동안 배양되었다. 건조균 무게가 2.394 g/L 로 증가함에 따라 발효가 진행되면서 DAC의 성장이 확인되었다. 다양한 곰팡이 균주에 대한 DAC의 항진균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디스크 확산법을 사용했다. 그 결과 항진균 활성에 대해 A. flavus와 F. graminearum 은 가장 민감한 곰팡이였다. 탄소원 함량 변화 조건에서, 가장 강한 항진균 활성은 GYMP 배지의 10g 탄소원/L 및 MY 배지의 40g 탄소원/L에서 관찰되었으며, MY 배지의 질소원 함량이 15 에서 2.5 g/L까지 감소될수록 더 넓은 억제 구역이 관찰되었다. DAC에서 생산된 항진균 물질은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추출된 항진균 물질은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증기화 광산란 검출기(HPLC-ELSD) 및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전자 분무 이온화-질량 분석기(LC-ESI-MS)로 분석되었으며, HPLC 분석을 통해 항진균 활성과 관련된 피크가 18분과 22분 사이에서 검출되었다. 항진균 활성이 강할수록 디스크 확산법에서 억제 구역이 더 넓었으며, 피크 4의 면적이 클수록 항진균 활성이 높았다. 결론적으로 20.16분에 검출된 피크 4가 항진균 활성의 주요 피크로 결정되었고, 이 피크의 분자량은 969.27 m/z로 확인되었다. 항진균 물질 생산을 위한 최적의 배지 조성으로 GYMP 배지의 10 g 탄소원/L 와 MY 배지의 40 g 탄소원/L 가 선택되었다. Dacryopinax spathularia (DAC) is one of edible mushrooms, and it produces antifungal substances. To optimize production of antifungal substance of DAC, the ratio of carbon/nitrogen was changed in Glucose–Yeast–Malt–Peptone (GYMP) and Mycological broth (MY) media. Content of carbon source was adjusted at 5, 10, 20, and 30 g/L in GYMP media and 10, 20, 40, 50, and 60 g/L in MY media. In addition, content of nitrogen source was adjusted at 5, 10, 15, and 20 g/L in GYMP media and 2.5, 5, 10, and 15 g/L in MY media. DAC was cultivated in a 3 L scale fermenter for 144 hours at 25°C with an agitation speed of 200 rpm. As the dry cell weight increased to 2.394 g/L, the growth of DAC was confirmed as fermentation proceeded. Paper disk diffusion assay was performed to measure the antifungal activity against various fungal strains. As a result, A. flavus and F. graminearum were determined as the most sensitive fungi. The strongest antifungal activity was observed when 10 g carbon source/L in GYMP and 40 g carbon source/L in MY and the larger zone of inhibition was observed when nitrogen content was decreased from 15 to 2.5 g/L in MY media. Antifungal substances produced by DAC were extracted with ethyl acetate and Extracted antifungal substances were analyzed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evaporative light scattering detector (HPLC–ELSD) and Liquid chromatography-Electrospray ionization-Mass spectrometry (LC-ESI-MS), and peaks related to antifungal activity were detected between retention time of 18 and 22 min. The stronger antifungal activity was, the larger the inhibition zone was observed in the paper disk diffusion assay, and when the area of peak 4 was larger, the antifungal activity was higher. In conclusion, peak 4 detected at 20.16 min was determined as the main peak of antifungal activity, and the molecular weight of this peak was 969.27 m/z. 10 g carbon source/L in GYMP and 40 g carbon source/L in MY were selected as the optimal media composition for the production of antifungal substances.

      • 소회향과 대회향 추출물의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활성

        최진섭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31710

        The first report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with reduced susceptibility to vancomycin from Japan in 1997 had raise the urgency of development of new antibiotics to cope the intractable infections of these bacteria and the threat of incurable staphylococcal infections. many herbs have historically been tried for the control of the infectious diseases caused by the bacteria resistant to antimicrobial therapeutics. In this study, Foeniculum vulgare Mill and Illicium verum Hook were extracted with n-hexane, dichloromethane, methanol and distilled water serially and respectively, the extracts were examined for ani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MRSA. Dichloromethane extract from Foeniculum vulgare and Illicium verum only showed an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MRSA. Dichloromethane extract from Illicium verum with higher antimicrobial activity was fractionated through silica gel column and the fraction with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MRSA was requested for mass spectrometry. The result revealed there was 1-methoxy-4-(2-prophenyl)benzene. The results showed that dichloromethane extract from Illicium verum had antimicrobial activty against MRSA, and it could be a candidate for new antimicrobial agent.

      • 지역문화 진흥을 위한 무형문화재 전수교육관 활성화 방안 연구 : 안성향당무 전수교육관을 중심으로

        강한솔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99550

        본 논문은 우리나라 무형문화재 전수교육관 활성화 사업과 사례분석을 통해 전수교육관이 지역문화 진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안성향당무 전수교육관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지역문화진흥법에 따라 지역사회 협력과 참여를 통해 전수교육관의 기능을 확대하여 앞으로의 발전 방향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은 연구주제의 이론적 배경이 되는 무형문화재 정책과 지역문화진흥법, 안성향당무의 개념과 흐름을 이해하기 위한 문헌연구와 국내 무형문화재 전수교육관 활성화 사업을 파악하고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사례연구로 진행하였다. 우리나라의 무형문화재제도는 1962년 법률 제961호 문화재보호법 제정, 공포하면서 시행되었다. 정부에 의해 시작되고 관리되어 정책적 흐름에 따라 8개의 시기로 구분되어지는데 각 시기를 거치면서 체계가 확립되고 세분화 되었다. 무형문화재 전수교육관은 무형문화재 제도가 형성되고 우리나라의 무형문화유산을 보존, 전승하기 위한 장소로 전승자들이 안정적으로 전승활동을 할 수 있는 전수교육관 건립에 필요성을 인식하여 1974년부터 건립되기 시작했다. 2020년도 4월 기준 전국의 무형문화재 전수교육관은 159개소로 집계된다. 1990년까지 전수교육관은 무형문화재를 위한 건축공간으로서 전승교육을 통하여 후계자를 양성하고 일반 국민의 체험과 연수 활동 등 전통문화를 보급·선양하는 무형문화재 전승 인프라를 구축하는 정책사업을 추진하였다면, 최근에 들어서는 문화 콘텐츠의 확산으로 무형유산과 문화향유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전수교육관은 사회공공시설인 동시에 문화 관광시설, 그리고 다양한 전통문화교육을 통한 생활문화공간으로 그 기능이 확장되고 있다. 이에 현재 전국 무형문화재 전수교육관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전수교육관 통계와 지역별 현황, 연도별 전수교육관 건립(준공) 현황 및 주요사업을 분석하였고, 문화재청 문화재관리과에 요청한 자료를 토대로 2020년 문화재청 공모사업으로 확정되어 진행 예정인 전수교육관 활성화사업 현황을 공연, 교육, 체험, 전시 중심으로 분류하여 조사하였다. 또한 무형문화재 전수교육관 활성화사례를 1. 공연활동 활성화사례, 2. 전수교육 개선 및 대중화를 통한 활성화 사례, 3. 전수교육관 공간 개선을 통한 활성화사례, 4. 관객개발 및 홍보 활성화사레, 5. 기업메세나 및 파트너십 형성에 따른 사례, 6. 지역문화상품 개발 및 문화재 콘텐츠 활용 사례로 분류하여 인터넷 매체를 통해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무형문화재 전수교육관의 기능이 단순히 무형문화재 보존과 전승에 관련된 활동에 그치지 않고, 전수교육관을 새로운 형태의 지역문화 중심지이자 국민들과 소통하는 공간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무형문화재 전수교육관 활성화는 필수조건이라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를 위해 발전적인 문화콘텐츠 개발을 통하여 지역 문화 브랜드가치를 향상시키고 문화콘텐츠자원으로서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비전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그리하여 연구대상인 안성향당무 전수교육관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지역문화진흥법을 토대로 지역문화진흥과 전수교육관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안성향당무의 유산적 가치와 향당무전수교육관을 조사하였다. 안성향당무(安城鄕黨舞)는 경기도무형문화재 제34호로 2000년 8월 21일에 지정을 받은 단체종목 문화재로 2004년 12월에 안성향당무 전수교육관이 건립되어 운영되고 있다. 약 30여가지의 춤과 놀이, 향토민요가 전해지는데 전수교육관에서 행해지는 공연행사는 연간 3회 미만의 기획행사 및 공연행사에 그치고 있어 안성향당무 전수교육관을 알리는 대표적 공연으로 인식되기에는 미흡한 횟수라 하겠다. 그나마 연간 3회 공연마저도 매년 지원사업 선정 유무에 따른 유동성이 있기 때문에 무형문화재 전수교육관으로서 본격적인 활동에는 한계가 있어, 활성화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는 판단을 하게되었다. 이에 따라 지역문화 진흥을 위한 안성향당무 전수교육관 활성화 방안을 1) 안성향당무 전수교육관의 새로운 성격과 방향 설정, 2) 지역사회 협력과 참여 프로그램 개발, 3) 지역축제화 방안에 따른 기획력의 확장, 4) 아카이브 기능 강화 및 콘텐츠 활용, 5) 전문인력 보강 및 전략체계 수립으로 분류하여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결과 무형문화재 정책과 관련 연구에 비해 무형문화재 전수교육관의 관리와 건립, 운영과 관련된 활성화방안에 대한 선행연구가 전무하여 상세한 사례연구가 미흡하고, 활성화방안의 실현가능성에 한계가 있었다. 또한 안성향당무와 전수교육관 역시 관련 문헌과 연구가 많지 않아 앞으로 계속 조사하여 보완해나가야 할 과제이며, 지역문화 진흥과 전수교육관 활성화에 대한 후속 연구를 통해 전수교육관의 환경이 개선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 Inactivation of foodborne pathogens using Sargent juniper-inspired sesquiterpenoid as synergistic phytochemicals

        이다송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99514

        With the emergence of antibiotic-resistant microbes (ARM), developing new antibiotics that exhibit a prompt response to varying foodborne pathogenic bacteria has become crucial. In recent years, phytochemicals derived from plant essential oils (EOs) have drawn attention as natural antimicrobials. Crude EOs have been suggested as excellent antimicrobial agents, although data on each phytochemical present in the EOs and their interactions are insufficient. Of the plant-derived active phytochemicals such as terpenoid and phenolics, some sesquiterpenoid are difficult to isolate, hindering the analysis of their antimicrobial activity and interaction with other phytochemical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active sesquiterpenoid from new plant resources by using thin layer chromatography-direct bioassay (TLC-DB) and a multi-criteria analysis approach of preparative. The EOs were extracted from the leaves of two Sargent juniper varieties harvested at different altitudes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antibacterial activities of Sargent juniper EOs against gram-positive (Listeria monocytogenes and Staphylococcus aureus) and gram-negative bacteria (Salmonella typhimurium and Escherichia coli O157:H7) were first screened using the disk diffusion method. The active Sargent juniper EOs were quantitatively analyzed by measuring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and minimum bactericidal concentration (MBC). The active phytochemicals in the EOs were screened by TLC assay, and the active fractions were collected using preparative TLC (prep. TLC).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revealed structural deformation of the bacterial cell wall after treatment with the active fractions.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each active compound and the combinational interactions between the active compounds were measured using the checkerboard and growth curve assay. In this study, Sargent juniper EO containing sabinene, elemol, terpinen-4-ol, α-copaen-11-ol, and γ-terpinene exhibited higher antibacterial activities against the tested foodborne pathogens. In particular, antibacterial screening assay indicated that the active EO (NFSV EO) exhibited prominent growth inhibitory activity against the tested gram-positive bacteria, but not as much against the tested gram-negative bacteria. The two dimensional (2D) TLC-DB-guided screening showed growth inhibition of gram-positive bacteria on the fractionated TLC plate, but not of gram-negative bacteria. SEM images showed the destruction of the bacterial cell wall of gram-positive bacteria in the inhibition zone by the active compounds. The results of 2D TLC-DB revealed that the three most abundant compounds—elemol, γ-eudesmol, and terpinen-4-ol—were fractionated and identified using GC-MS. The combinational effects of the three major compounds were investigated against the gram-positive bacteria. Elemol and γ-eudesmol exerted remarkable antibacterial activities against L. monocytogenes and S. aureu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elemol and γ-eudesmol might directly cause bacterial growth inhibition, whereas terpinen-4-ol exhibited relatively low activity and indirectly affected bacterial growth. According to the isobologram obtained using the checkboard assay, terpinen-4-ol applied with elemol and γ-eudesmol exhibited synergism, as the fractional inhibitory concentration index (FICI) of each combination was 0.375 and 0.25 against L. monocytogenes, respectively. In particular, the combination of elemol and terpinen-4-ol synergistically reduced the MIC against both L. monocytogenes and S. aureus. The bacterial growth inhibition activity was boosted by adding a trace amount of elemol to EOs containing terpinen-4-ol, the monoterpenoid commonly available in nature. These combinations might be utilized as potential natural antibacterial agents in the food and beverage industry. 항생제 내성 균주의 출현으로 현재 다양한 식중독 유발 균주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항생제의 개발이 절실해지고 있다. 이에 대한 대응책의 일환으로, 최근 식물 정유에서 유래된 파이토케미컬이 천연 항미생물제로 주목받고 있다. 정유 그 자체로도 뛰어난 항미생물 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밝혀졌으나, 정유 내 파이토케미컬의 구성 성분과 이들 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식물 유래 파이토케미컬 중 특히 단리가 어려운 세스퀴터페노이드의 경우 항미생물 활성과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요구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식물 유래 세스퀴터페노이드의 활성을 박막 크로마토그래피-생리활성 평가법(TLC-DB)과 분취용 박막 크로마토그래피(prep. TLC)를 통해 다각도로 구명하고자 한다. 대상 정유는 고도에 따라 채취한 국내의 눈향나무 2종의 잎에서 추출하였다. 디스크 확산법을 통해 그람양성균과 그람음성균에 대한 두 눈향나무 정유의 항박테리아 활성을 확인하고, 활성 정유에 대하여 1차 스크리닝을 진행하였다. 이후 최소억제농도(MIC)와 최소살균농도(MBC)를 측정함으로써 두 종류의 눈향나무 정유 중 항박테리아 활성을 나타냈던 정유의 미생물 생장 억제 농도를 정량 하였다. TLC 평가로 정유 내 활성물질을 구명하였으며, prep. TLC를 통해 해당 활성 분획을 획득하였다. 또한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해 활성 분획이 처리된 균주의 세포벽 파괴 현상을 관찰하였다. 활성 분획 내 단일 파이토케미컬의 항박테리아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이들 간의 상호작용은 체커보드 방법과 성장곡선 추적 법을 통해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sabinene, elemol, terpinen-4-ol, α-copaen-11-ol 및 γ-terpinene을 다량 함유한 눈향나무 정유 (NFSV 정유)가 식중독 균주에 대해 더 높은 활성을 가진다는 것을 밝혔다. 항균 평가 결과, 고활성을 띄었던 NFSV 정유는 시험 그람양성균에 대해 높은 활성을 나타낸 반면, 그람음성균의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활성을 보였다. TLC-DB 유도 스크리닝을 통해, 그람양성균은 NFSV 정유가 분획 된 TLC 판 상에서 생장이 억제되었으나, 그람음성균의 경우 분획 된 TLC 판 상에서는 생장억제가 발생하지 않았다. 해당 생장억제 영역의 주사전자현미경 이미지에서는, 균주 세포벽을 손상 및 파괴가 관찰되었고, 이를 통해 활성물질에 의한 균주의 세포벽 파괴 및 생장 억제를 입증하였다. 특히 2D TLC-DB 결과, NFSV 정유 내의 항박테리아 활성물질 중 elemol, γ-eudesmol, terpinen-4-ol이 다량 검출되었다. 앞선 결과를 바탕으로 세가지 주요 화합물의 그람양성균에 대한 조합효과를 구명하였다. Elemol, γ-eudesmol은 L. monocytogenes와 S. aureus에 대하여 모두 뛰어난 생장억제 효과를 나타냈다. Elemol과 γ-eudesmol은 균주 생장억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반면, terpinen-4-ol은 상대적으로 낮은 활성을 나타내며 간접적으로 균주 생장억제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체커보드법을 통한 isobologram 결과, L. monocytogenes에 대하여 terpinen-4-ol이 elemol 혹은 γ-eudesmol과 함께 투입되었을 때 해당 조합이 시너지 효과를 보임을 밝혔다. 체커보드 분석을 통해 평가한 두 그람양성균인 L. monocytogenes과 S. aureus에 대하여 elemol과 terpinen-4-ol의 조합에서 MIC 값을 감소됨을 확인하였고, 이들 균주의 생장곡선 추적 결과 elemol/terpinen-4-ol 조합이 시너지 효과를 나타냄을 입증하였다. 자연에서 쉽게 획득할 수 있는 모노터페노이드인 terpinen-4-ol에 미량의 elemol 성분이 첨가됨으로써 항박테리아 활성을 크게 증폭시켰다. 이러한 시너지 효과는 식음료 산업에서 천연 항균제로의 잠재성을 향상시키며, 자연 유래 세스퀴터페노이드 기반 파이토케미컬의 산업적 활용가능성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