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비교: 메타분석을 중심으로

        송효완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영재학생과 일반학생 간의 차이를 다룬 국내·외 논문을 수집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영재교육 연구에 대한 흐름을 정리하고 새로운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가진다. 본 연구를 위해 1982년부터 2012년까지 국내·외에서 발표된 석·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를 중심으로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을 검색어(key word)로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차이에 관한 70편의 연구를 수집하여 1478개의 사례로 메타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는 메타분석 프로그램인 CMA(Comprehensive Meta-analysis, V2)를 활용하여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대상 논문의 출처, 연도, 국가, 지역, 교육기관, 학교급, 학년, 영재학생의 영재판별도구, 영재영역에 따라 동향을 비교·분석하였다. 나타난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비교에 관한 연구는 학위논문과 학술지를 통해 상승과 감소의 차는 있지만 꾸준히 연구되어 현재까지 많은 연구가 이뤄져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전체적으로는 학술지 연구가 가장 많으며, 국가별로는 한국에서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고, 지역별로는 대도시의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영재연구대상은 영재전문연구원에 있는 영재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영재와 수학·과학 영재가 주로 연구대상으로 실시 연구한 논문이 많았다. 둘째, 영재학생과 일반학생 비교 연구 결과 전체 긍정적인 평균 효과크기는 .627, 전체 부정적인 평균 효과크기는 -.331, 전체 중립적인 평균 효과크기는 .301으로 나타났다. 영재학생과 일반학생 비교 연구에 미치는 전체 긍정적인 평균효과크기의 값은 통제집단 분포의 73%에 해당하는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부정적 63%, 중립적 61%를 보았다. 변인별로 살펴보면 먼저, 지능의 효과크기는 1.106, 학업성취의 효과크기는 1.235, 창의성의 효과크기는 .741의 순으로 Cohen (1988)의 효과크기의 기준에 의하면 지능, 학업성취에서 평균 효과크기는 매우 높은 수준이며 창의성의 평균효과크기는 중간 수준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인지적 특성의 비교 결과(.434)는 작은 효과 크기를 나타내어 통제적으로 의미 있는 결과를 산출하였다. 셋째, 영재학생과 일반학생간의 정의적 특성에 관한 평균 효과크기 분석 결과, 긍정적인 심리적 특성에서는 509개의 사례에서 .498의 작은 평균효과크기의 값을 나타냈다. 반면에, 부정적인 심리적 특성에 따른 275개의 사례에서 -.289의 부적효과 값을 보여 영재학생은 일반학생보다 긍정적인 정서건강 특성에서 더 높은 값의 결과를, 부정적인 정서건강 특성에서는 더 낮은 값의 결과를 얻었다. 넷째,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리더십 차이에서는 영재학생의 영재영역별에 따른 사례(37개)를 통해 1.011의 큰 효과크기를 볼 수 있었다. 이는 영재학생과 일반학생간의 리더쉽 특성에서 큰 차이가 있다는 분석을 가능하게 한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은 지적, 인지적, 정의적, 리더십 특성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줌을 알 수 있다. 현재, 영재교육과 국가의 발전, 국가의 미래와 장래가 연관되어 있다는 인식이 점차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시기에 효과적이고 의미 있는 영재교육의 필요성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할 것이다. 본 연구에 비추어 볼 때, 영재교육을 계획할 때에는 각 영역별 영재의 특성을 잘 이해하고 이를 활용하여 그 능력을 보다 효율적이고 생산적으로 발휘할 수 있도록 지도할 필요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영재학생과 일반학생들의 특성을 이해하고 그들의 역량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심리적· 환경적 조건을 제공하는 기초자료가 되어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초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 비교

        임익산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에서는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를 비교함으로써 그동안 이루어졌던 혁신학교의 성과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활동 영역에서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학생의 만족도는 차이가 있는가? 둘째, 인성·생활지도, 창의적체험활동, 학교환경 영역에서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학생의 만족도는 차이가 있는가? 셋째, 사제 관계 및 교우 관계 영역에서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학생의 만족도는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라북도 소재의 5, 6학년 학생 중 혁신학교 223명, 일반학교 350명 총 573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측정도구로는 박경인(2010)의 척도와 김종배(2006)의 척도를 기초로 하여 초등학생 이해하기 쉬운 문장으로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검사에 사용한 척도를 하위영역으로 분류하기 전 문항들이 어떤 요인으로 구성되어 잇는지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요인 분석 결과 수업활동 영역에서는 수업분위기, 학습동기, 학습활동의 영역, 교사 관계 및 교우 관계 영역에서는 교사관계, 교우관계, 수업 외 학교생활영역 에서는 인성, 생활지도, 교과 외 활동, 학교 환경의 영역으로 영역이 구분되었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설문결과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Cronbach's α값을 산출하였으며,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를 비교하기 위해 독립표본t검증을 실시하였고, 배경변인이 영향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이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은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를 비교해본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활동 영역에서는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의 만족도 차이가 없었다. 배경변인별로는 성적과 관련하여 하위영역인 학습동기에서 혁신학교 학생들의 만족도가 더 높게 측정되었으며, 거주지와 관련해서는 익산·군산, 읍면지역, 기타 시 순으로 혁신학교 학생들의 만족도가 더 높게 측정되었다. 둘째, 인성·생활지도, 창의적체험활동, 학교환경 영역에서는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의 학교생활만족도의 차이가 있었다. 혁신학교 학생들의 만족도가 일반학교 학생들의 만족도 보다 높게 측정되었다. 하지만 배경변인과 관련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셋째, 사제 관계 및 교우관계 영역에서는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의 학교생활만족도는 차이가 없었다. 배경변인과 관련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보면 인성·생활지도, 창의적체험활동, 학교환경 영역에서는 혁신학교 학생들의 만족도가 더 높아 직접적으로 혁신학교의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며, 그 외 영역은 차이가 나지 않아 혁신학교의 효과가 직접적으로는 나타나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통계결과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통계결과 평균값을 살펴보면 혁신학교 학생들의 만족도가 더 높게 측정되었다는 것을 알 수있다. 이것과 혁신학교가 시행된 지 2년밖에 되지 않았다는 것을 미루어 보면 혁신학교의 효과가 드러나고 있는 과정이라고 생각해 볼 수 있다. 따라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혁신학교 프로젝트는 학생들에게 더욱 만족스러운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앞으로도 진행되어야 하며, 더욱 확산될 필요가 있다.

      • 형용사 명령문의 서술어 특성과 화행 기능 연구

        부춘련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고는 명령문 형용사의 특성과 형용사 명령문의 화행 기능에 대하여 연구한 것이다. 2장에서 명령문 형용사가 가지는 특성을 전반적으로 검토하기 위하여 명령문 형용사의 형태적, 통사적, 의미적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형태적인 측면에서 명령문 형용사의 조어론적 특성과 결합 분포의 특성을 고찰하였다. 조어론적 측면에서 볼 때 명령문 형용사는 일반 형용사와 큰 차이가 없으나 세부적인 측면에서는 몇 가지 차이가 있었던 것을 확인하였다. 결합 분포의 측면에서는 명령문 형용사와 일반 형용사 그리고 명령문 구성에 쓰인 일반 동사의 경우를 상호 비교하였는데 이를 통해 명령문 형용사의 결합 분포는 일반 형용사보다는 오히려 일반 동사와 비슷한 특성을 보인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통사적 측면에서는 명령문 형용사의 결합가, 보족어, 기본 문형, 그리고 부정 구성의 특성을 고찰하였다. 이를 통하여 명령문 형용사는 통사적 측면에서 일반 형용사와 비슷한 모습도 있지만 대부분 동사적 특성을 나타내는 경우도 적지 않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의미적 측면에서는 명령문 형용사의 [+주체 의도], [+동작성]/[-상태성], [+긍정]의 특성을 주목하였다. 이로 해서 명령문 형용사는 일반 형용사와 달리 동사와의 유사성이 두드러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3장에서 형용사 명령문의 화행 기능을 분석하였다. 형용사 명령문이 실제 맥락 안에서 다양한 화행을 수행한다는 점을 밝히기 위하여 각 화행의 적절성 조건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일반 동사 명령문처럼 형용사 명령문 역시 다양한 화행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는데 그 과정에서 형용사 명령문의 구조와 수행하는 화행의 다양성을 규명하였다. 형용사 명령문이 수행하는 화행을 명령 화행, 요청 화행, 충고 화행, 경고 화행, 허락 화행, 금지 화행, 기원 화행의 일곱 가지로 구분하고 이들이 어떤 상황에서 화행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 중국 농촌 아동의 피학대 경험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양채하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47

        The reaearch concentrates on the abusing problems of children in rural areas, sa well as examines that whether such mistreatment would affect the adjustment of school life that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children. The political senses of supporting Chinese children living in countries is presented via this thesi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thing purpose, the research selected totally 248 students from the six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to the second grade of middle school in PingLu County, ShanXi Province of China, as the target individuals of the survey. The result of data analysis is shown as below. First, the children that had the experiences on emotional abuse were the most numeral ones among the survey. Second, female and the left-behind children were exposed to sexual and physical abuse much more seriously than males and ordinary ones respectively. The children whose families had intermediate economic status showed the lowest proportion on corporal punishment, while the figure of the children in poverty was much higher than those with good economic statue. Third, the result on analyzing the difference of school-adjustment demonstrated that the adjustment of study and the intimacy with teachers reduced while their grades were rising. Additionally, the intimacy rate of female children was higher than that of males. Fourth, it is result that juvenile mistreatment impacted the competence of school-adjustment passivelt. While looking into each academic aspects, it was identified that the studying activity rate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physical and emotional abuse, the relationship of companion reduced with the rise of neglect and physical punishment oint, as well as the intimacy with teachers declined with the upward of neglect point. Based on such researching result, it is imperative to develop and ensure the educational problem involved in juvenile maltreatment for the children and their parents in Chinese reral regions. Furthermore, allocating the facilities being able to trend the children after school and organizations that can provide the support on education and protect the children living in countries are essential.

      • 전라북도 근ㆍ현대 화단형성과 전시공간의 변화연구

        김원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논문에서는 근ㆍ현대 전라북도화단의 형성과 발달과정, 전시공간의 생성과 변천과정을 구체적으로 연구해보고, 내용의 선별ㆍ조사를 통해 그 흐름을 연구하여 전라북도의 미술활동 일부를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은 석ㆍ박사 논문, 학회지의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정기간행물, 전문서적, 신문 등을 근거로 문헌연구 방법을 주로 사용하였다. 부족한 부분은 생존 작가들의 면담과 녹취자료로 보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제강점기부터 광복 전후로 서본원사, 동본원사, 본원사 등 ‘종교공간’과 학교, 공회당 등 ‘공공(公共)공간’의 전시공간이 부족했던 시기적인 특성을 잘 나타내고 있다. 둘째, 6.25전쟁 후에 생겨난 미국공보관을 통해 기간시설 파괴와 불안정한 정치적 상황 등 시기적으로 어려운 상황에도 전북화단의 열정과 욕구를 알아볼 수 있었다. 셋째, 1954년 전라북도공보관, 다방, 예총회관, 월담미술관의 백제화랑을 통해 주요 전시공간이 ‘공공(公共)공간’에서 시작되어 ‘사적(私的)공간’으로 이동된 것을 알 수 있으며 부족한 전시공간이 필요에 의해 확장되어 진 특성을 잘 나타내고 있다. 전시공간의 활발했던 배경으로 전북화단을 흐름으로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풍요로운 물산을 바탕으로 유학에 뿌리를 둔 선비 작가군이 있다. 이들은 주로 사승관계를 통해 발달하였으며 남종문인화(南宗文人畫)를 고수 하였고 일제강점기 굴하지 않는 기개를 통해 민족정신을 드높였으며 전북화단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였고 화목은 주로 사군자를 그렸다. 둘째, 교육기관을 통한 화가군이 있다. 이들은 학교를 통한 공교육기관과 서화소, 연구소 등으로 대표되는 사설교육기관으로 나누워져 있으며 본격적인 개인전, 단체전 구성 등 다양한 시도를 통해 전북화단의 활기를 불어 넣는 한편 중앙화단으로 이름을 알렸다. 공교육기관 화가의 시작은 대체로 일제강점기 1937년 설립된 전주사범학교의 일본인화가로부터 교육을 받았으며 이들은 광복전후 꾸준하게 활동을 하였다. 1950년대를 전후로 본격적으로 대학을 통한 전문적인 미술교육을 받은 화가가 활동하였으며 도내에는 1970년 원광대학교 미술교육과, 1973년 전주대학교 미술과, 군산전문대(현 서해대학교) 생활미술과, 1981년 전북대학교 사범대학 미술교육과가 신설되어 전북화단의 두꺼운 화가층과 다양한 화목을 형성해 주었다. 셋째, 군산 서화연구소, 전주 동광미술연구소 등 사설교육기관 출신 화가는 일제강점기와 광복전후로 나타나고 있으며 대체로 사승관계를 통해 작가군이 형성되었고 선비 화가군과 대학출신의 공교육 화가군을 이어주는 역할을 하였다고 볼 수 있다.

      • 신 고령자와 전통 고령자의 주거환경 디자인 태도에 대한 연구

        장설한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647

        Entering the 21st century, China has become one of the few countries in the world where population aging and rapid urban expansion are occurring simultaneously, while the phenomenon of "getting old before getting rich" has emerged among the elderly due to the uneven social structure and economic development. The social problems caused by aging are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seniors. Because of the decline in the seniors’ physical functions and reduced range of activities, th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community environment and facilities become the core elements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for the seniors. Some studies have shown that the residential environment directly affects the quality of life of the seniors.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s not only the primary factor for the seniors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and meet their spiritual needs, but also serves as a medium to connect the seniors with the society. In the face of rapid urban expansion, some seniors have been able to adapt well to the changes, while others have become socially disadvantaged encountering both material and spiritual difficulties. Therefore, the researcher believes that it is necessary to have an in-depth study of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senior groups, that is, to conduct a study on the existing seniors who are more traditionally inclined and the new seniors who are less fearful of new things and positive about life, respectively.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differences and commonalities in the design attitudes of new and existing seniors towards residential environments,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implicit-explicit attitud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sign attitudes of new seniors, existing seniors and the general population. In this study, Generation Theory, Generation Units, Model of Dual Attitudes, and ABC Theory of Attitude were examined to determine the theoretical basis in the study, and the definitions and relationships of implicit-explicit attitudes, design preferences, and design evaluations were also clarified. In the prior research, a definition of new-existing seniors was made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the group characteristics of new-existing seniors were clarified. Based on the group characteristics of new-existing seniors, the Questionnaire for Distinguishing New-existing seniors was developed through two expert interviews and three questionnaire surveys, with the determination of the distinguishing criteria. The elements of distinguishing new-existing seniors were defined as independent living element, wealth consumption element, and exploration and discovery element. The stimulus images of the residential experiment were first extracted to identify the experimental stimuli. And cluster analysis was conducted by the spss software, and then the final samples of stimulus images for the residential experiment were determined after the consultation with the experts and the questionnaire survey. At the same time, the outdoor behavior of the seniors was investigated, and the street furniture wa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urvey data. Bus stops, benches and garbage cans were identified as the stimuli according to the degree of relevance and importance in daily life. Then the stimulus images of the street furniture experiment were extracted and clustering analysis was performed by spss, and the final stimulus image samples of the street furniture experiment were determined after the consultation with the experts and the questionnaire survey. Finally, the stimulus images of residential and street furniture were named as classical style, neoclassical style, and modernism style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ir design characteristics. In order to determine the benchmark for design evaluation, the design elements of residential and street furniture were extracted for the first time by literature analysis method and the second time by expert interview and questionnaire survey. Then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spss software. The superordinate elements of residential design were finally determined as emotional elements, explicit elements and morphological elements. The superordinate elements of street furniture design were cultural elements, basic elements, environmental elements and functional element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of the design attitudes of new-existing seniors towards residential environment, the relationship between new-existing seniors' design implicit-explicit attitud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sign attitudes of the three groups of general population, new seniors and existing seniors, the researcher conducted two experiments on residential and street furniture in 11 cities of small, medium and large sizes in southern, central and northern China based on the benchmark of "Chinese urban resident population". The data were compiled and analyzed with the spss software. Through the empirical study, the researcher presented the conclusions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commonalities, the relationship between design implicit-explicit attitud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sign attitudes of new-existing seniors and the general population. This research is on the design attitude of the elderly, which belongs to the basic level of the elderly design. Therefore, it has a theoretical guiding role in all design fields. It provides a theoretical basis for the elderly in the design and development, design research, and design iteration stages. At the same time, it provides a theoretical basis for the society to re recognize the elderly group. It also provides a decision-making basis for the government to make policies on the improvement of the living environment quality of the elderly. Meanwhile, it provides a theoretical basis for market development, product development and commercial marketing of enterprises related to the elderly. In the background of the aging society, in order to meet the material and spiritual needs of the elderly and improve the quality of their living environment, This research puts forward proposals in four aspects: academic,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It also provides suggestions for the government, the elderly industry, the design industry, the elderly related enterprises and researchers. At the same time, it also clarifies the shortcomings and limitations of the research, and points out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on the design attitude of the new and traditional elderly people's living environment.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sign attitude towards residential environments of new seniors and existing seniors. By examining the differences and commonalities in the design attitudes toward residential and street furniture, the relationship between implicit-explicit attitudes, and the relationship among the design attitudes of three groups of general population, new seniors and existing seniors, the changing patterns of design attitudes toward residential environments are identified, and suggestions are made for th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design for the seniors. This study provides a theoretical basis for the related design and development for new and existing seniors, and broadens the ideas of related research.

      • 우수연구센터사업과 대학 연구집단의 출현 : 전북대학교 반도체물성연구센터 사례를 중심으로

        김승현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47

        한국과학재단은 1977년 설립된 이래로 여러 사업을 통해 대학의 연구를 지원해왔다. 그 중 1989년에 시행한 우수연구센터사업은 전과 비교할 수 없는 막대한 자금을 투입한 규모의 대학연구지원사업이었다. 이 논문은 한국과학재단의 우수연구센터사업이 대학의 연구에 어떤 변화를 불러 일으켰으며, 그 특징은 무엇이었는지를 찾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새로운 사업을 통해 대학의 연구는 성장을 경험했고 많은 연구자들은 우수연구센터사업이 대학 연구의 성장에 큰 기여를 했음을 인정해왔다. 그들은 특히 대학에 새롭게 도입된 연구형태에 주목했다. 한국과학재단은 우수연구센터사업을 통해 대학에 새로운 연구형태를 정착시켰다. 한국과학재단은 규모의 연구자 집단이 함께 연구를 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했고 대학 내에 우수연구센터를 설치했다. 다수의 연구자들은 그곳에서 함께 기초연구를 수행했다. 그 결과, 대학에 이공계 연구집단이 출현했다. 이 논문은 우수연구센터사업을 통해 출현한 연구집단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특히 한국과학재단이 최초로 선정한 13개 우수연구센터 중 한 곳인 전북대학교 반도체물성연구센터 사례를 분석한다. 이 사례는 우수연구센터사업에 대해 잘 알려지지 않은 점들을 보여준다. 그동안 우수연구센터에 대한 논의는 탁월성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하지만 반도체물성연구센터의 사례는 우수연구센터사업이 탁월성만으로 설명될 수 있는 사업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전북대에 반도체물성연구센터가 설치될 수 있었던 이유는 탁월성보다는 분야, 인력, 위치라는 현실적인 조건들이 적절히 조합되었기 때문이었다. 또한 반도체물성연구센터 사례를 통해 실제 우수연구센터의 활동과 대학에 우수한 연구집단을 형성하려는 한국과학재단의 방식을 알 수 있다. 특히 한국과학재단은 반도체물성연구센터에 모인 다수의 연구자 중 특정 연구집단을 집중 지원했다. 그리고 그들이 안정적으로 연구를 수행할 환경을 조성했다. 반도체물성연구센터의 중심이었던 반도체연구그룹은 한국과학재단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으며 반도체 기초연구와 관련한 다양한 활동들을 수행해 나갔고 중추적인 반도체 연구집단으로 성장해나갔다. 한국과학재단이 지역성도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었다는 점이 여기서 드러난다. 이상을 통해 우수연구센터사업이 가지고 있는 특징적인 면들이 드러났다. 우수연구센터사업은 대학의 기초연구를 진흥시키고자 하는 한국 정부의 의도가 명확히 드러나는 사업이었다. 따라서 우수연구센터사업에 대한 분석으로 한국에서 기초연구는 어떻게 발전해왔는지 그 일면을 살필 수 있다.

      • 도시 포켓파크의 평가요소와 개방성에 관한 연구

        손운걸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647

        포켓파크는 도시의 공공녹지로, 주로 주변 시민들을 위한 것이다. 도시의 자연환경을 보완하는 중요한 공공공간이다. 포켓파크의 사용은 사용자가 자연환경의 결핍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효과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다. 도시화가 빠르게 진행됨에 따라 점점 더 많은 주민이 도시 중심부에 거주하고 있다. 포켓파크 이용자는 주로 고령자다. 우리는 노인들의 포켓파크 이용에 대한 심리적, 감정적 분석을 바탕으로 포켓파크의 평가 요소에 관한 기초연구를 진행해야 한다. 이 연구의 연구 그룹은 고령자와 일반인의 두 그룹으로 나누어 포켓파크의 평가 요소를 비교했다. 연구 과정에서 문헌 조사법, 대면 인터뷰법, 설문 조사법이 채택됐다. 먼저, 본문은 포켓파크를 시작으로 포켓파크의 유형, 특징, 주요 사용자와 기능을 정리했다. 둘째, 이전 연구자들의 연구 토론에서 관련 문헌과 대면 인터뷰를 통해 평가 요소를 정리하고 실증연구를 진행했다. 포켓파크의 평가 요인은 군집화 분석을 통해 개발 및 발견됐다. 고령자와 일반인은 몇 가지 요소에서 차이가 있다. 고령자와 일반인은 평가 요인에서 전반적으로 일반인보다 높은 점수를 받았다. 그러나 내용적으로는 개방성 평가 인자에서만 노인의 점수가 일반인보다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연구 결과 고령자들은 포켓파크에서 성적 요소를 개방하는 것이 일반인보다 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는 사회적 환경과 노인의 생리적 심리에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포켓파크의 개방성 요소에 대한 연구 방향을 정립하여 포켓파크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를 기초적으로 할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고령자와 일반인을 구분하는 기초에서 포켓파크의 개방성에 대한 비교 연구를 진행했다. 포켓파크의 개방성 영향 요인 중 ‘개방성 평가 항목’을 중심으로 관련 분석을 진행한다. 지금까지의 포켓파크에 대한 연구에서 개방성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언급되기는 했지만, 실제로 개방성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는 찾아볼 수 없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포켓파크 이용자를 '고령자'와 '일반인'으로 구분하여 이용자 간의 개방성 평가 항목별 상관 분석을 실시하여 서로의 차이를 규명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도시 포켓파크는 도시의 중요한 친환경 공개 공간이며, 이러한 종류의 포켓파크는 지금까지 여러 가지 연구를 수행해 왔다. 이러한 도시 포켓파크의 여러 요소 중에서 '개방성'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과 중요성은 높이 평가되고 있으나 아직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는 없다. 본 연구는 도시 포켓파크의 ‘개방성 요소’를 기초로 하여 각 요소의 가중치를 적용한다. 이를 위해 전문가의 설문과 자문을 거쳐 AHP 방법을 활용하여 상위 항목에 해당하는 평가요소의 중요도와 하위 항목에 해당하는 평가요소의 중요도를 알아낸다. 각 평가 요소의 가중치를 종합적으로 산출했다. 도시 포켓파크의 ‘개방성 평가요소’의 가중치 결과를 활용하여 시티포켓파크에 대한 평가가 가능하며, 평가 결과에 따른 개방성 평가요소 간의 차이를 계량화하여 측정했다. 본 연구는 도시 포켓파크의 ‘개방성’을 개선하기 위한 심층적인 연구를 시도했다. 이를 위해 개방성 관련 세부 평가 항목의 가중치를 계량화하고 개방성 자체평가를 통해 비교 평가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그리하여 우선적으로 개선해야 할 세목을 찾아 보완하는 것은 지속해서 개선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본 연구를 이용하여 실제적인 비교 평가를 실시하여 검증할 필요가 있다.

      • 소셜 네트워크 게임에서 소셜 정보를 연동하기 위한 메타 API 및 소셜 허브 시스템 개발

        정경진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47

        오늘날 현대인들은 SNS(Social Network Service)의 확산으로 언제 어디서나 지인들과 소통할 수 있게 되었다. 소셜 커머스, 크라우드 펀딩 등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들이 SNS와 결합되어 빠른 성장을 이루고 있다. 이들 서비스와 함께 대표적으로 급성장 하고 있는 서비스가 바로 SNG(Social Network Game)이다. SNG는 기존에 게임에 관심이 없던 여성 유저나 라이트 유저들이 지인들과의 협동, 경쟁에 재미를 느끼고 자연스럽게 게임에 몰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여기에 SNS를 통한 바이럴 마케팅 또한 훌륭한 광고 수단이 되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다. 실제 해외 SNG 업체인 King사는 캔디크러쉬사가 라는 SNG를 통해 2013년 한 해 약 2조원에 이르는 연 매출을 달성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SNS를 개발하기 위한 상황은 오히려 많은 제한점을 갖고 있다. SNS 플랫폼의 종류는 다양하지만 실제 SNG 개발은 특정 SNS에 국한되어 서비스되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가장 큰 이유는 SNS 플랫폼들 각각 오픈 API를 제공하는데 표준규격이 없어 제각각이라는 것이다. 또한 국내의 대표 SNS인 카카오톡 플랫폼의 경우 현재까지 API의 공개 범위를 계약된 업체들에게만 제공하고 있고 소수의 기능에 대해서만 베타테스트 형식으로 일반인에게 오픈하고 있다. 따라서 스타트 기업 및 SNG를 개발하려는 1인 개발자들에게는 해당 플랫폼을 적용하기가 쉽지 않다. 이에 본 논문은 다양한 SNS 플랫폼들에서 제공하는 API들을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메타 API를 구현한다. 또 이를 통해 획득한 다양한 소셜 정보들을 가공하여 SNG에 필요한 필수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는 소셜 허브 시스템 구축 방법에 대해 소개한다. 이를 통해 개발자의 경우 수많은 오픈 API들을 각각 적용하고 통합 하는 수고를 하지 않고 SNG를 개발할 수 있다. 소셜 허브 시스템을 사용해 개발된 SNG를 사용하는 유저들은 더욱더 다양한 사람들과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해당 시스템을 구현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으며 시스템 구성에서 최적화를 위한 기법들에 대해 소개한다. 마지막으로 실험 및 평가를 통해 시스템 내에서 제안한 친구 관리 기법이 일반적인 친구 관리 방법에 비해 뛰어난 검색 성능을 나타냄을 보였다. 또한 해당 시스템과 기존 SNG에서 인맥정보를 로딩하기 위한 시간을 측정하였고 기존 SNG 게임과 비교하여 속도 차이가 없음을 보여주어 실제 게임 구현을 하기에 충분한 시스템임을 입증하였다. Through expansion of SNS, today’s people can communicate with friends anytime, anywhere. Various types of services like social commerce, crowd funding are growing faster in combination with SNS. SNG (Social Network Game) is the service which is growing faster together with these kinds of services. SNG has a feature that attracts women consumers and light users who were not interested in game, making them naturally absorbed in game and interested in cooperation and competition with friends. And this type of phenomenon is being accelerated because viral marketing using SNS can be a great marketing strategy. A foreign SNG enterprise, King had an annual sale about 2 trillion in 2013 through SNG called Candy crush. Despite of these positive effects, developing real SNG has many difficulties. Because most of trials to develop SNG focus on just few specific SNS though there are various types of SNS platforms. One of the biggest reasons is SNS platform companies provide open API to connect platforms in their own way because there is no standard. Furthermore, in case of Kakaotalk, a representative domestic SNS platform provides API only to contractors, and just few functions to public in beta test. So, it’s not easy to apply adequate platforms for new businesses and small-medium sized companies that are trying to develop SNG. This paper will introduce Meta API that makes it possible to use many different API provided by a number of SNS platforms. And, processing various social information gained through the above, this paper will introduce social hub system that is able to provide essentially needed functions to SNG. This helps developers not to apply many open API separately and combine them to develop SNG. In addition, the users who use SNG developed through social hub system can experience more diverse things with various people. This paper focuses on realizing the above system and introduces technique optimized for system configuration. Lastly, through experiment and evaluation, this paper compares friends management technique suggested in the above system to general friends management technique, and the result of that comparison is the suggested technique is superior to the general technique in search function. Moreover, measuring the time to load a list of friends from both the above system and the existing SNG, this paper demonstrates the above system is enough to realize a game because the speed in the both systems is same.

      • 다중 처리군에서 성향점수 가중치 방법의 비교

        김은진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47

        관찰연구에서 처리효과 추정치는 공변량 불균형의 영향으로 인한 편향이 발생한다. 역확률 가중치, 중복 가중치 및 매칭 가중치와 같은 성향점수의 가중치 방법은 추정치의 편향을 줄일 수 있다. 다중 처리군의 경우에는 성향점수를 확장한 일반화 성향점수 방법이 제안되었다. 주로 일반화 성향점수 추정시 다항 로지스틱 회귀 모형이 사용되며, 가중치 방법에도 적용되었다. 그러나 표본 크기에 비해 공변량이 너무 많거나 정규성을 가정할 수 없는 경우, 모수적 방법인 다항 로지스틱 회귀의 치료효과 추정치는 편향이 발생 할 수 있다. 반면 일반화 부스팅 모형은 비모수적 방법과 같은 문제에 적합하다. 또한 대용량 데이터에서도 잘 구현되어 최근에는 일반화 성향점수 추정에도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모의실험을 통해 다항 로지스틱 회귀 모형과 일반화 부스팅 모형에 의해 추정된 일반화 성향점수와 이를 기반으로 하는 역확률 가중치, 중복 가중치와 매칭 가중치의 소표본 속성을 비교하였다. 모의실험 결과, 처리 또는 결과 모형이 선형인 경우에만 다항 로지스틱 회귀 방법은 편향과 MSE가 작았으며 CP는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일반화 부스팅 방법은 모형의 선형 여부에 관계없이 편향, MSE와 CP는 일관된 결과를 보였으며, 처리 또는 결과 모형이 비선형인 경우에는 다항 로지스틱 회귀 방법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가중치 방법은 전반적으로 매칭 가중치, 중복 가중치, 역확률 가중치 순으로 우수한 성능 보였다. 매칭 가중치와 중복 가중치는 일반화 성향점수 추정 방법에 따른 결과와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역확률 가중치는 일반화 부스팅 모형으로 추정할 경우 성능이 더 좋게 나타났다. In observational studies, the treatment effect estimates are often biased by the impact of covariate imbalances. The propensity score weighting methods such as inverse probability of treatment weights(IPW), overlap weights(OW) and matching weights(MW) can be used to reduce the bias. In the case of multiple treatments, the propensity scores are extended to generalized propensity scores. They have been estimated most often by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MLR) and used for weighting methods. However, MLR, which is a parametric methods, may cause bias in the estimate of treatment effect when there are too many covariates for the sample size or when normality cannot be assumed. The generalized boosted models(GBM) is robust to such problems as a nonparametric methods and also implemented well in very large size of data so that it is recently adopted for the estimation of GPS. In this study, we compared small sample properties of generalized propensity scores estimated by MLR and GBM and three weighting methods(IPW, OW, MW) based on these scores through simulations. The result of simulation shows; The MLR had small bias and MSE, and CP was close to the specified value only when log-odds of the treatment or outcome was linear in covariates. The GBM, however, showed consistent results regardless of the models specification in bias, MSE and CP, and performs better than the MLR as both treatment and outcome models are non-linear. The weighting methods showed good performance in the order of MW, OW and IPW. MW and OW showed similar results according to the generalization propensity score estimation methods, and IPW performed better when estimated using the GB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