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中西部地域 周溝土壙墓 硏究

        이호형 公州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주구토광묘는 1991년 천안 청당동 2차 발굴조사에서 토광묘 주변에 마제형 주구가 조사되면서 인식하게 되었다. 이후 현재까지 중서부지방에서 24개소의 유적이 조사되었거나 조사되고 있으며, 앞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이와 같이 중서부지방에서 집중적으로 조사된 주구토광묘는 최근 서해안 고속도로 준설되면서 많은 유적이 조사되어 영산강유역의 대형옹관묘의 기원에 관한 문제도 실마리가 풀릴 것으로 보이다. 본고는 선학들의 연구를 바탕으로 Ⅰ장에서는 용어문제와 시간적 공간적 범위를 정하였다. 용어문제는 주구묘·주구토광묘·방형주구묘 등으로 불리어 오던 것을, 주구토광묘로 통칭하여 부르자고 하였다. 즉, 주구토광묘를 토광묘의 한 유형으로 보았으며, 토광묘에 주구가 부가된 것으로 파악하였다. 그리고 주구의 평면형태에 따라, 묘광을 중심으로 주구가 ‘ㄷ’자 형태로 경사면 위쪽을 감싸듯이 부가된 것은 ‘馬蹄形 周溝土壙墓’로, 주구가 묘광의 4면을 돌려 부가된 것은 ‘方形 周溝土壙墓’로 부르자고 하였다. Ⅱ장에서는 주구토광묘 자료를 검토하였다. 크게 금강유역권과 서해안권으로 나누고 금강유역권의 15개소, 서해안권의 9개소 유적을 지천별 수계권 또는 서해안은 크게 북부와 남부로 나누어 유적별로 입지, 주구형태, 묘광규모, 매장주체부의 규모, 장법, 장축방향, 출토유물, 의례행위 등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Ⅲ장에서는 Ⅱ장에서 검토한 내용을 권역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보았다. 우선 주구토광묘의 입지는 금강유역권에서는 비고 10~40m 정도의 낮은 구릉의 사면에 조성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서해안권에서는 이보다 저평한 구릉상의 평탄지에 조성되는 양상을 보였으며, 모두 장축방향을 등고선방향과 나란하게 두었다. 주구형태는 금강유역권은 마제형 주구토광묘, 서해안권은 방형 주구토광묘의 빈도가 월등히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주구의 형태에 따라 매장주체부의 위치도 다르게 나타나는데, 대부분 마제형 주구에서는 매장주체부가 지하나 반지하에 위치하고, 방형주구에서는 매장주체부가 거의 조사되지 않는 점에 주목하여 지상에 위치할 것으로 추정하였다. 장법은 단장과 합장으로 크게 나눌 수 있는데, 합장에 비하여 단장의 빈도가 높은데, 합장은 마제형 주구토광묘에서 더 많은 빈도를 보였다. 출토유물은 원저단경호를 기본으로 심발형토기가 공반되는 유적과 그렇지 않은 유적이 있어 이를 권역이나 광역의 지역적 전통이기보다 작은 수계권내의 지역적 전통과 관습의 차이로 파악하였다. Ⅳ장에서는 앞에서 검토하고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유형을 분류하였다. 특히 주구에 아무런 의례행위를 하지 않은 경우(Ⅰ류형)와 유물을 깨트려 매납하거나 완형의 유물을 매납한 경우(Ⅱ류형), 그리고 옹관묘(Ⅲ류형)와 토광묘(Ⅳ류형)를 주구의 방향과 나란하게 배장한 점에 주목하여 4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결론적으로 Ⅱ류형은 서해안권에서 빈도가 월등히 높고, Ⅲ류형은 금강유역권에서 빈도가 월등히 높았다. 주구 형태별 양상에서도 Ⅰ·Ⅱ의 비율이 마제형 주구에서는 금강유역권이, 방형주구는 서해안권이 상대적으로 월등히 높았으며, Ⅲ류형은 마제형 주구에서 높은 빈도를 보이고 금강유역권에 주로 나타나는 양상이었다. 이와 같은 양상과 출토유물을 통하여 유적의 전체적인 편년을 설정하였는데, 중서부지방에서 주구토광묘는 기원전 2세기 후반에서 기원후 5세기를 전후한 시기까지 조성되었으며, 기원후 3세기를 중심으로 집중적으로 조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주구토광묘는 이후 원삼국시대 마한인들이 남긴 무덤이다. 마한은 백제의 성장과 함께 영역도 영산강유역으로 점차 축소되어 갔다. 영역이 축소되면서 주구토광묘도 중서부지방으로부터 점차 소멸되고 토광묘 또는 수혈식 석곽묘로 로 대체되었으며, 한편으로는 馬蹄形·方形·圓形주구토광묘가 梯形 墳丘墓→?圓形 墳丘墓로 계기적인 변화를 거치면서 영산강유역의 大形墳丘墓, 甕棺古墳으로 발전하였다. 이 과정에서 중서부지방에서는 주구토광묘의의 전통이 주구가 부가된 형태의 삼국시대 이후 석실분에 남아 있다. Jugu-Togwangmyo, one of the tombs of the era of three nations is the tomb which has Jugu around the Togwang, where the corpse is buried. It was first recognized when Maje type Jugu was discovered around Togwangmyo in the second evacuation of Cheonan Cheongdang-dong relics in 1991. Afterwards, they had been discovered mainly in mid-west area and recently the area was expanded to Jeonranam-do and Jeonrabuk-do area. These discoveries will provide a clue to solve the origin of large Onggwanmyo with the changes in Jugo-Togwangmyo and furthermore it will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on the growth process of Baikje and dissolution of Mahan. In the first chapter, terminologies were defined and scope of time and space were designated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For terminology, it decided to use 'Jugu-Togwangmyo' which used to be called Jugumyo, Jugu-Togwangmyo or Banghyeong-Jugumyo. According to the floor plan, it was divided into 'Majehyeog Jugu-Togwangmyo' (Jugu surrounds the Myogwang like 'ㄷ 'shape) and 'Banghyeong Jugu-Togwangmyo' (Jugu surrounds the Myogwang completely in four directions). In the second chapter, the materials of Jugu-Togwangmyo were investigated. They were divided into Geumgang area and West sea area and 24 relics in these were reviewed. Relics in Geumgang area were divided according to hydrospheres and those in West Sea area were divided into North and South. They were reviewed focused on the location, type of Jugu, size, burial method, burial direction, discovered relics and ceremonies. In the third chapter, the review in the second chapter was analyzed focusing on the difference between areas. First of all, regarding the location of Jugu-Togwangmyo, it is usually located in the low slope which is 10 to 40 centimeters high in Geumgang area. However in West Sea area, it is usually located in even place which is lower than the slope in Geumgang area. In both areas, axis of the burial is parallel to contour lines. Looking into Type of Jugu, Maje Type was prevalent in Geumgang area and Banghyeong was prevalent in West Sea area. The location of myogwang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type of Jugu. Most of Majeh Type Jugus have Myogwang in basement or semi-basement. In Banghyeong Jugus, burial places were not discovered, which implied they might be on the ground. Burial methods can be divided into Single and Plural. Single burial is more common than plural burial. Plural burail is mor common in Majehyeong Jugu-Togwangmyo. Relics from the tombs were Wonjeodangyeongho and Simbalhyeong Porttey. Some tombs had both and others did not. Therefore, it might not be a tradition in the wider area but a custom and tradition in a smaller hydrosphere. In the fourth chapter, they were divided into types based on the review results. They wre divided into 4 types such as No rituals(Ⅰ), Buried with broken or perfect relics (Ⅱtype), Onggwanmyo (Ⅲ) and Togwangmyo (Ⅳ), paying attention to the direction of the burial which is parallel to Jugu. Conclusively, type Ⅱ is prevalent in West Sea area, and type Ⅲ is prevalent in Geumgan area. In th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Jugu gype, the proportion of type I and II in Maje hyeong was high in Geumgang area and in Banghyeong was in West Sea area. Type Ⅲ was high in Majeheyong Jugu and mainly shown in Geumgang area. Based on the aspects reviewed above and the discovered relics, overall chronicles were set. We got to the conclusion that Jugu-Togwangmyos in Mid-west area were composed from late half of the second century BC to the third century AD. Jugu-Togwangmyos are the tombs that Mahan people made in the era of Three Nations. Mahan was contracted with the growth of Baikje to the area of Yeongsan-gang. With the reduction of the area, Jugu-Togwangmyo came to disappear from the Mid-west area and they were replaced with Suhyolsik Seokgwakmyo. On the other hand, Jugu-Togwangmyos which were Majehyong-Banghyeong-Wonhyeong came to be changed into trapezoid and then oval type tombs. They were developed into large Bungumyo and Onggwanmyo in Yeongsan-gang area. In this prgress, in the mid-west area, the tradition of Jugu-Togwangmyo remained in Seoksil (Stone Tomb) after Three Nations as the form of the tomb with Jugus.

      • 高麗時代 土廣墓의 葬送儀禮 變化科程과 그 背景 : 楊廣道 지역을 중심으로

        장우정 용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양광도지역의 고려시대 토광묘를 당대 정치이념이자 통치기 술인 유교에 바탕을 두어 파악함으로써 장송의례의 변화과정과 그 배경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이를 위하여 우선 장송의례와 관련한 속성 을 분석 하여 19가지로 형 식 분류하고 순서배열을 통해 장송의례의 변화과정을 총 3단계로 나누었다.양광도지역 의 고려 시 대 토광묘는『周禮』,『儀禮』,『禮記』등 유교 삼 례서를 시험과목으로 하는 삼례업의 출현과 장려가 이루어지는 12세기전엽을 기준하여 이전을 1단계로,이후를 2단계로 나눌 수 있으며, 『朱 子家禮』가 고려에 전래되는 13세기 후엽을 기준하여 3단계로 설정할 수있다. 1단계는 고려 전기인 10세기 전엽가2세기 전엽에 해당하며,1단계의 토광묘는 총 26기가 확인되었다. 묘역시설⑴이나 사물곽(a)은 확인되지 않으며,주로 철제과대,철도자 등 지방호족의 신분을 나타내는 복식품조합이나 편병,해무리굽완 같은 초기 청자가 공반되는 양상을 보인다.2단계는 고려 중기인 12세 기 중엽가3세 기 중엽 에 해 당하며,이 단계의 토광묘는 총 339기가 확인되었다. 묘역시설(I)과 무묘역시설(II)이 모두확인되며,사물곽(a)이 새로 등장한다. 주로 연판문 청자발,청자병,도기 병,청동합,청동시,8자형 철제가위 등과 동곳,동경 등 부장품의 종류와 조합의 양상이 다변화되는 경향을 보인다.3단계는 고려 후기인 13세 기 후엽가4세 기 후엽 에 해 당하며,이 단계 의 토광묘는 총 210기가 확인되었다. 묘역시설⑴에서 단순토광묘(비가 소멸 하고 목관묘(i)만 남게 되며,복합의례시설(C)의 새로운 형식인 IiCa식(묘 역/목관/복합의 례/사물곽)과 IliiCb식 (무묘역/단순토광/복합의 례/무곽)이 등장한다. 주로 국화문상감청자,화형접시,도기장동호,도기항,청동시저 조합과 표자형 철제가위 등이 본격적으로 등장하게 된다.이 를 통해 고려 시 대 양광도지역 토광묘의 장송의례 변화과정 을 사료와대조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고려 전기에는 성종 6년(987),전국 12목에 지방학교를 설치하고 유교 경전을 가르치는 경학박사를 파견하는 등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복합의례 시설(C)은 1기에 지나지 않아 유교적 장송의례가 시작하는 단계로 볼 수있다.고려 중기에는 예종 4년(1109),국학에 7가지 유교 경전을 전문적으로 교육하는 기관인 7재를 설치하였고,특히 『周禮』,『儀禮』가 포함되어 있어서 유교교육의 전문화를 확인할 수 있으며,새롭게 사물곽(a)이 등장 하고,복합의례시설(C)의 사례가 증가하여,유교적 장송의례가 전문적으로 발전하는 단계로 볼 수 있다.고려 후기에는 공양왕 원년(1389),大夫에서 廉人까지 전 계층에『朱子 家禮』예법을 따르라는 건의가 계속되었고,새로 등장한 IiCa식(묘역/목관/복합의례/사물곽)과 nncb식(무묘역/단순토광/복합의례/무곽)의 보편 화를 통해 중인층 이상의 계층(IiCa식)과 중인층 이하의 서인 계층(IliiCb식)까지 전 계층에 유교적 장송의례가 영향을 끼친 것으로 판단된다. 다음으로 양광도지역 토광묘 장송의례 변화과정과 그 배경을 해석하기위해 고려시대에 보급,교육되었던 유교 예법전서『周禮』,『儀禮』,『禮記』,『朱子家禮』속 장송의례 와 관련된 속성 을 살펴 보았다.『周禮』는 주 왕실의 관직제도로 총인은 하관 이후에 명기를 부장하고(부장시설A\ 방상시는 상여를 이끌고 묘광에 들어가 네 모퉁이를 쳐서 악귀를 몰아내며(벽사시설B\ 장신은 조개를 관리하여 방습기능을 위해 묘광바닥에 시설하는(사물곽a) 장송의례 내용 설명하고 있다. 『儀禮』는 士가 행하는 상례로서 수저,비녀 등의 상장례용구를 사용하며 산소를 관리하는 총인이 네 모퉁이를 파고 또 중앙을 파서 요갱과사우혈이 동시에 확인되는 총인의례시설(벽사시설리을 설명하고 있다.『■記u 는 초상부터 장례를 치르기까지의 절차와 제도에 대한 경전이며 수저,가위 등의 상장례용구를 사용하며,머리카락과 손톱을 정리하고 이를 네 구석에 매장하는 예법을(벽사시설B) 설명하고 있다. 『朱子家禮』는 『儀禮』와『禮記』를 보완하고 남송의 풍속을 참작하여 계층을 나누지 않는 보편적 예서로서 석재의 사용과 목곽의 사용을 제한하고,시신의 부패와 도굴을 막기 위한 사물곽(a)을 설명하며묘광에 내려가 네 모퉁이를 창으로 쳐 악귀를 쫓는 방상시(벽사시설B,명기 등 제기의 부장을 위한 편방(부장시설A)과 빗,수저,비녀,가위 등 상장례용구의 사용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유교 예서 에서는 매납의례(부장시설A)와 벽사의례(벽사시설B가 함께 시설되 는 복합의례시설(C)이 바로 유교적 장송관념을 잘 따른 형식으로 파악되었다.이상의 논의를 통해 고려시대 토광묘의 장송의례 변화과정과 그 배경 에는 유교적 장송의례가 영향을 끼쳤으며,시기별 유교 예서의 교육과 보급에 따라 장송의례 속 유교적 장송관념의 차이와 변화과정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inves仕gate pit tombs of Goryeo Dynasty in Yan ggwang Province based on Confucianism, which was the political ideo logy and ruling technique of those days, and figure out the changing process of funeral rituals and its backgrounds. For these purposes, the study analyzed attributes related to funeral rituals, classified them into 19 forms, and divided their changing proc ess into three stages based on their arrangement by the order. The pit tombs of Goryeo Dynasty in Yanggwang Province can be d ivided into three stages. Stage 1 includes pit tombs before the early p art of the 12th century when the Samryeeop was initiated and encour aged based on the three courtesies of Confucianism,『Jurye』,『Uiry e』and『Yegi』as the exam subjects. Stage 2 covers pit tombs after t he early part of the 12th century. Stage 3 includes pit tombs from th e latter part of the 13th century when『Jujagarye』was introduced in Goryeo Dynasty. Stage 1 falls in a period between the early part of the 10th century and the latter part of the 12th century during the former half of Gory eo Dynasty and includes a total of 26 pit tombs. These pit tombs ha ve no facilities (I) along the boundary of a tomb or four objects of an outer coffin (a). They usually have combinations of accessories to indi cate the social status of powerful local families such as iron Gwadaes and Dojas and early celadon such as Pyeonbyeong and Haemurigubw an. Stage 2 falls between the middle 12th century and the middle 13th century during middle Goryeo Dynasty and includes a total of 339 pit tombs. The pit tombs in Stage 2 have both facilities (I) along the bou ndary of a tomb and facilities(II) along the non-boundary along with four objects of an outer coffin (a) emerging anew. The types and com bination styles of grave goods tended to diversify in Stage 2 includin g Yeonpanmun celadon bowls, celadon bottles, pottery bottles, bronze vessels, bronze spoons, 8-shaped iron scissors, bronze Binyeos, and b ronze mirrors. Stage 3 falls between the latter part of the 13th century and the lat ter part of the 14th century in late Goryeo Dynasty and includes a to tai of 210 pit tombs. Just pits(ii) disappeared from the facilities (I) alo ng the boundary of a tomb with only tombs with a wooden coffin(i) left. Two new complex ritual facility(C) styles emerged including IiCa (boundary of a tomb/wooden coffin/complex ritual/four objects of an outer coffin) and IliiCb(non-boundary/just pit/complex ritual/non-coffi n). Stage 3 witnessed the full-blown appearance of inlaid celadon, flo wer-shaped celadon plates, long pottery jars, pottery jars, bronze spoo ns and chopsticks, and x-shaped scissors.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changing process of funeral rit uals for pit tombs in Yanggwang Province in Goryeo Dynasty and an alyzed as follows: They set up a local school in 12 Moks around the nation in the six th year of King Seongjong's reign(987) and dispatched professors of Confucianism to teach Confucian scriptures in the first half of Goryeo Dynasty. Despite these efforts, however, there was only one complex ritual facility. The Confucian funeral rituals were just beginning in th e period. They founded 7 Jaes, which specialized in the education of seven C onfucian scriptures, in Gookhak in the fourth year of King Yejong's r eign(1109) in middle Goryeo Dynasty. They especially included『Jury e』and『Uirye』which verifies the specialization of Confucian educatio n. Four objects of an outer coffin (a) appeared anew, and cases of complex ritual facilities(C) increased. The Confucian funeral rituals mad e professional development in the period. In late Goryeo Dynasty, proposals kept coming out that the manner s of『Jujagarye』should be observed by all social classes from Daebu to Seoin in the first year of King Gongyang (1389). As the new styles became universal including IiCa(boundary of a tomb/wooden coffin/co mplex ritual/four objects of an outer coffin) and IIiiCb(non-boundary/j ust pit/complex ritual/non-coffin), the Confucian funeral rituals must have had impacts on all the social classes including the ones above t he Jungin class(IiCa) and the Seoin class below the Jungin class(IliiC b).The study then examined attributes related to funeral rituals in coll ections of Confucian manners including 『Jurye』,『Uirye』,『Yegi』 and 『Jujagarye』 that were distrbuted related to funeral rituals in collections of Confucian manners including 『Jurye』,『Uirye』,『Yegi』 and 『Jujagarye』 that were distributed and taught in Goryeo Dynasty to trace the changing process of funeral ituals for pit tombs and inte rpret its backgrounds 『Jurye』offers explanations about the content of funeral rituals bas ed on the government official system of the main royal family. Chong in buried Myeonggi after the coffin was lowered (burial facilities A). B angsangsi pulled a bier, walked in the pit, and dispelled evil spirits b y hitting the four corners (exorcism facili 仕 es B). Jang sin managed Jog ae and installed it on the ground of a tomb for a dampproof purpose (four objects of an outer coffin a). 『Uirye』provides explanations about funeral rites performed by Sa s. They used funeral rite kits including spoons & chops仕cks and Bin and 『Jujagarye』that were distributed and taught in Goryeo yeos. Chongin, who managed tombs, dug four corners and a center r Yogaeng and Sauhyeol. Uirye offers explanations about the ritual cili仕es of Chongin(exorcism facilities B). 『Yegi』is a scripture about the procedures and institu仕ons from ourning to funeral. Its explanations cover funeral rite kits including s poons & chops仕cks and Binyeos and the courtesy of trimming hair a nd fingernails and burying them at four corners (exorcism facilities B). 『Jujagarye』is a book of universal manners not limited to certain social classes based on the customs of Southern Song, supplementing 『Uirye』and『Yegi』It offers explana仕ons about the use of stone ma terials and the restricted use of wooden coffins, four objects of an ou ter coffin (a) to prevent the decomposition of a body and tomb thefts, Bangsangsi to hit four corners with a spear in the pit to dispel evil s pirits(exorcism facilities B), Pyeonbang for the burial of Jegi including Myeonggi(burial facilities A), and funeral rite kits including combs, sp oons & chops仕cks,Binyeos, and scissors. Confucian courtesy books understood that complex ritual facilities (C) followed the Confucian funeral ritual ideas right as they combined burial rituals (burial facilities A) and exorcism rituals (exorcism facili仕e s B). These discussions show that Confucian funeral rituals had impacts on the changing process of funeral rituals for pit tombs and its backg rounds in Goryeo Dynasty and verify the differences and changing pr ocess of Confucian funeral concepts in funeral rituals according to the education and distribution of Confucian courtesy books by the period.

      • 고려 토광묘 연구 : 부장양상을 중심으로

        박미욱 부산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2

        남한지역 고려시대 묘제에서 토광묘는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고, 조선시대는 물론 현재까지도 이어지고 있는 묘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 고려 토광묘와 그 부장유물의 시기적 양상을 검토하고, 이를 통해 토광묘의 지역적인 특징과 피장자의 성격과 의미에 대해 추론해 보았다. 고려시대 토광묘는 자연 경사면에 조성되고, 묘광의 장축 방향이나 枕向의 기준이 방위보다 자연 지형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구조에 있어서 12세기 이후부터 외부에 묘역시설을 갖춘 토광묘가 나타나고, 묘광 내부에 요갱이 설치되고 있다. 부장유물의 종류는 자기식기류가 가장 많이 나오고 도기식기류, 청동식기류, 화장도구류, 화폐류가 그 뒤를 잇고 있다. 자기 식기류의 다량 부장은 불교 선종의 유행과 飮茶文化의 유행에 힘입은 바 큰데, 茶具로서 자기의 수요가 급증하면서 자기의 생산도 늘어나게 된다. 또한 제철, 제련 등 금속가공업의 발전과 함께 금속공예도 발달하고, 특히 청동기(유기)물들이 다양하게 제작되어 왕실, 사찰, 일반에게까지 보급되었다. 이에 청동식기류, 동경, 가위, 불교용품 등이 다양하게 나타나게 되었다. 또한 중국과의 교역으로 인해 중국전이 활발하게 유통되면서, 토광묘의 부장유물로 중국전도 많이 출토된다. 그 외 도기류도 병, 호류 등이 부장유물로 확인되며, 철겸이나 판상철제는 묘광바닥이나 요갱에서 출토되었다. 주요 부장유물의 형식분류를 통해 시기별로 부장유물 조합양상을 살펴보면, 고려 토광묘 Ⅰ기는 9세기말~11세기까지로 해무리굽완, 외반구연대접, 내만구연대접, 편병 등이 출토되며, 전체적으로 부장유물의 종류나 부장량이 빈약하다. 자기식기류는 고려의 신지배층들이 중앙집권 체제를 정비하면서 중국의 문물, 제도를 받아들이는 한편 불교 선종의 영향과 함께 도입된 차문화의 유행에 따라 무덤에서도 많이 부장되었다고 볼 수 있다. Ⅱ기는 12세기~13세기 중엽까지로 직립구연의 청자대접과 半球形의 청자병, 도기병이 출토되며 다양한 청동기물들이 출현하는 시기이다. 또한 중국동전이 집중적으로 출토되며 바닥에 철제편을 놓는 풍습도 생기기 시작한다. 이 시기는 고려왕권이 안정되면서 요, 남송 등 국제적인 교류관계가 활발해지는 시기로 그들과의 교역을 통해 화폐가 다량 유입되고, 또한 제철, 제련 등 금속가공업과 금속공예가 발달하게 된다. Ⅲ기는 13세기 중엽~14세기까지로 운두가 낮고 구연이 넓은 대접이 출토되고 Ⅱ기에 비해 청동 기물들은 줄고 도기류는 증가하는 시기이다. 그리고 요갱이나 묘광 바닥에 철겸�을 부장하면서 철겸�의 부장량이 증가한다. 이 시기는 수공업생산품에 대한 지방의 수요가 증가하여 지방 군현에서도 청자를 생산하게 되면서 청자의 생산이 크게 늘어난다. 그러나 청자의 대량생산은 질적 하락을 가져오면서 청자 사용자의 범위를 확대시켰다. 그리고, 13세기 이후 몽고군의 침입과 元의 간섭, 왜구의 침입으로 사회 불안과 경제적 혼란이 야기되고, 성리학적 이데올로기로 무장한 신흥사대부가 출현함으로써 실용성과 기능성이 강조된 그릇들의 수요도 늘어난 것으로 생각된다. 고려 토광묘를 통해 파악할 수 있는 토광묘 분포의 지역적인 특징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Ⅰ기의 토광묘 중 경상도 지역의 상주 청리, 경산 임당 유적에서는 일부 시상석을 靑石으로 설치한 것이 확인되어 앞선 시기의 묘광 바닥에 시상석을 설치하는 전통이 아직도 남아 있었고, 이 시기에 확인된 토광묘는 적은 편이다. Ⅱ기의 토광묘에서는 충청도 지역에서 요갱이 설치된 토광묘가 확인되었는데, 그 안에는 석영, 도기병 및 철제편이 부장되어 있었다. 그리고 부장유물 중 중국전이 충청도에서 집중적으로 확인되었고, 충주지역에서는 철재(slug)가 출토되었다. 충청도 지역에서 토광묘가 가장 많이 확인되고 있다. Ⅲ기에서는 경기도를 중심으로 묘역시설이 있는 분묘가 확인되었는데, 경상도와 충청도에서도 일부 확인되었다. 이것은 고려후기로 가면서 향리 출신 사대부 세력의 중앙 진출과 함께 차츰 지배계층이 중앙에서 지방으로 확대되어져 간 사실과도 관련될 수 있을 것이다. 전반적으로 유물의 양과 질이 앞 시기에 비해 저하되며 경상도, 충청도 경기도에서 토광묘가 골고루 확인되고 있으며 확인된 것도 가장 많은 시기이다.고려 토광묘의 또 다른 특징은 고려시대 ‘계수관’에 해당되거나 주현보다 규모가 큰 대읍지역에서 많이 확인되고 있는 점이다. 계수관에 해당하는 지역은 다른 지역에 비해 규모도 크고 중앙지역과의 연계성, 상업의 발달 등으로 어느 정도 정치력과 경제력을 갖춘 계층이 더 많이 있었다고 추정된다. 지금까지의 토광묘에 대한 시․공간적 검토를 통해 토광묘 피장자의 성격을 추론해 보았다. 토광묘 피장자는 최고급 양질은 아닐지라도 자기와 銅器, 그리고 중국전을 부장할 능력이 되는 사람들이었고 이런 부장품들은 고려의 모든 계층에서 사용할 수 있는 물품은 아니었다. 고려의 신분제도에서 볼 때 문벌귀족층과 일반양인 사이의 중간계층인 향리, 서리, 잡류, 남반, 군인, 정호층이 여기에 속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고려말은 이러한 중간계층이 사회적 혼란과 함께 신분상승을 꾀하고, 백정농민, 상인, 부곡민, 천민들이 중간계층으로 새롭게 편입되는 등 신분제도의 대혼란 시기였다. 따라서 고려후기의 토광묘에 나타나는 부장유물의 단순화와 도기류의 증가, 청자 질의 하락은 고려 말의 사회변동과 신분제의 동요 속에서 양인(백정), 천인층이 토광묘 피장자로 새롭게 편입되는 것과도 연관 지어 볼 수 있을 것이다. 즉, 고려시대 토광묘 피장자는 초기에는 귀족과 양인, 천인 사이의 중간계층인 서리층, 향리 및 지방의 토호세력, 하급장교, 정호층이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무신란 이후 사회 변화와 신분질서의 문란, 변동과 함께 양인, 천인층에서 신분 상승한 자나 경제력이 확보되는 상인층도 토광묘 피장자로 새롭게 편입되면서 토광묘 피장자 층이 확대되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 조선시대 묵서명 백자 출토 토광묘의 연구 : 서울ㆍ경기ㆍ인천 지역을 중심으로

        이유호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에서는 조선시대 특정 계층이 부장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묵서명 백자가 출토된 서울ㆍ경기ㆍ인천 지역의 토광묘를 분석하였다. 지금까지 전국의 토광묘에서 출토된 묵서명 백자와 그 묵서명 백자가 출토된 토광묘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으로 이루어져왔다. 즉 전국의 분묘를 대상으로 연구가 이루어졌지만 연구에 사용된 표본의 수가 적어 토광묘의 성격을 분석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어 왔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에서는 최근까지 조사된 자료를 바탕으로 연구 자료의 수를 최대화하여, 묵서명 백자 출토 토광묘의 성격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피장자의 신분 계층을 유추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서울ㆍ경기ㆍ인천 지역의 41개 유적, 176기의 토광묘에서 출토된 묵서명 백자 227점의 부장 양상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 아래와 같은 묵서명 백자 출토 토광묘의 특징을 파악할 수 있었다. 첫째, 묵서명 백자 출토 토광묘의 도자 부장 조합을 분석한 결과 총 176기 중 백자의 기형을 파악할 수 없는 3기의 토광묘를 제외했을 때, 묵서명 백자 한 종류만 부장된 토광묘는 43기(25.1%), 두 종류가 부장된 토광묘는 88기(51.2%), 세 종류가 부장된 토광묘는 36기(21%), 그리고 네 종류가 부장된 토광묘는 6기(3.6%)로 확인되었다. 여기에서 가장 흔하게 확인되는 것은 접시와 발이 함께 부장된 양상으로 총 35기의 토광묘에서 나타났다. 이처럼 묵서명 자기가 출토된 분묘에서 최대 4가지 기종의 자기와 도기가 발견되어 피장자 계층은 최대 네 종류의 도자를 부장할 수 있는 계층일 것으로 파악된다. 더불어 선행연구에서는 없던 기종인 묵서명이 된 백자호가 서울 은평구 진관동의 분묘에서 출토되었다. 둘째, 묵서명 백자 출토 토광묘 중 청동기가 부장되어 있는 토광묘는 141기로 전체 묵서명 백자 출토 토광묘의 80.1%를 차지했다. 이로 보아 묵서명 백자를 부장한 계층은 청동기와 도자를 실생활에서 함께 사용했던 것으로 파악된다. 셋째, 이 연구에서 분석한 묵서명 백자 출토 토광묘 전체 176기 중 45기에서 편방이 확인되었다. 이는 전체 묵서명 백자 출토 토광묘의 약 4분의 1에 해당하는데 편방은 성리학적 사상에 의해 분묘 내에 조성된 공간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성리학적 사상에 따라 분묘 조성이 가능하며, 동시에 어느 정도 경제력을 갖춘 양인 이상 계층이 주로 묵서명 백자를 부장하여 토광묘를 조성했을 가능성을 고려해볼 수 있겠다. 마지막으로 묵서명 백자가 출토된 토광묘의 묘광 크기를 사대부의 분묘로 생각되는 회묘의 묘광 크기와 비교한 결과, 묘광의 규모는 편방의 유무와 분묘의 형태 보다 목곽의 유무에 더 크게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파악할 수 있었다. 그리고 묵서명 백자가 출토된 토광묘 대부분은 회묘와 달리 부장공간이 협소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편방이 있는 경우 회묘와 동일한 방식으로 편방에 주로 유물을 부장한 형태가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묵서명 백자 출토 토광묘의 부장 계층은 성리학적 예법을 따르며, 토광묘를 조성할 경제력을 가진 양인 이상의 계층으로 판단된다. 다만, 회묘의 부장 유물에 관한 자료가 소략하여 본 논고의 4장 고찰에서 회묘의 부장 유물 조합과 묵서명 백자 출토 부장 유물 조합의 비교는 제외하였는데, 추후 두 분묘의 부장 유물 조합 비교에 관한 추가 비교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

      • 3~4세기 중서부지역의 토광묘 고찰

        조보람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2

        천안 청당동유적의 발굴 이전에 3~4세기 토광묘에 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하였다. 그러나 최근 발굴조사의 급증으로 인해 이 시기의 유적과 유물이 증가하고, 토광묘유적의 발굴 사례가 늘어나면서 토광묘에 대한 관심도 증대되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지금까지 조사된 사례 중 비교적 그 특징이 명확하게 나타나는 3~4세기 중서부지역을 중심으로 토광묘의 지역별 변천양상과 재지세력의 특징에 대해 살피고자 한다. 이러한 변화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우선 지리적 분포의 군집양상을 중심으로 중서부지역을 천안․아산지역, 청주지역, 공주․연기․대전지역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토광묘에 대한 분석은 입지, 매장주체부 구조, 유물의 부장양상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지리적 분포를 중심으로 구분하였던 지역권 별로 문화적 공유가 확인되며, 각각 특징적인 양상이 확인되었다. 유적의 입지는 크게 낮은 구릉의 사면부를 중심으로 축조되었으며, 모두 등고선과 평행한다. 주구는 크게 I~Ⅱ형식으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는데 각 지역권마다 어느 정도 특징을 보이며 변화하는 양상을 확인했다. 매장주체부는 크게 목관과 목곽으로 나뉘어 살펴보았다. 전체적으로는 목관과 목곽 모두 상자형이 가장 많이 쓰이며 지역마다 차이를 보이고 있다. 천안․아산 지역은 상자형 목관을 주로 사용하지만, 다양한 목관 형태가 나타난다. 청주지역은 세 지역중 가장 세장한 형태를 보인다. 목관은 상자형과 함께 목관 ‘b․g' 형식이 출현한다. 공주․연기․대전 지역은 목관 ’a‘형과 함께 목관 ’g' 형식의 비율이 높아지며 목곽의 사용은 거의 확인되지 않는다. 유물은 부장양상만을 고려하여 살펴보았는데 그 결과 각 지역적 특징이 확인되었다. 먼저 주구 내 부장양상을 통해 살펴보았을 때 천안․아산 지역과 청주지역은 주구 2차 사용에 관한 흔적이 거의 남지 않은데 비해 공주․연기․대전 지역은 전 유구에서 옹관과 토광묘를 주구에 부장하는 이 지역만의 전통이 확인되고 있다. 타날문 심발형토기의 부장양상을 통해 살펴 볼 때 천안․아산 지역은 무문 심발형토기가 전 유적에서 확인되며 타날문 심발형토기는 확인되지 않는다. 청주지역은 타날문 심발형토기의 부장비율이 현저히 증가하고, 공주․연기․대전 지역에서는 심발형토기의 부장량이 크게 감소하는데 지역적인 특색과 시기적인 속성이 함께 반영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천안․아산 지역에서는 새로운 토기의 기종을 거의 확인할 수 없으나 청주지역의 합장묘와 봉명동유적 에서는 초기 백제 유물인 이중구연호, 마구류 등이 확인되어 일정 부분 편년이 가능했다. 공주․연기․대전 지역의 경우 재지적 특성의 유물은 다수 확인된 것에 비해 백제 양식 유물은 고배와 개 등 일부만이 확인되어 재지세력의 특징이 강하게 남아있음이 확인되었으며, 청주 지역에 비해 백제의 영향을 늦게 받은 것으로 보인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살펴보았을 때 천안․아산의 주구토광묘가 가장 이른 시기에 축조되었으며 각 집단들이 청주지역과 공주․연기․대전 지역으로 확산되어 각 지역권의 집단마다 특성을 가지며 발전하고 변화한 것으로 보인다. 각 지역의 토광묘 축조 시기는 각각 다르며 각 지역권만의 특징을 가지며 변화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湖南地方 周溝土壙墓의 展開樣相에 대한 考察

        김영희 木浦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에서는 호남지방 주구토광묘에 대한 기존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좀더 구체적인 분석을 통하여 주구토광묘의 사회적 성격을 파악하고 옹관고분으로 변천되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주구토광묘의 속성을 유적의 입지와 군집형태, 분구의 축조방법, 주구의 평면형태, 매장주체부의 형태, 추가장의 형태 등으로 세분하였다. 유적의 입지는 사면부와 능선부로 구분되는데 군집형태는 등고선의 방향과 일치하는지 아닌지에 따라 다른 형태를 취하고 있다. 분구의 축조방법은 매장시설을 안치한 후에 조성하는 1유형과 분구를 우선적으로 조성한 이후에 매장시설을 안치하는 2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주구의 평면형태는 Ⅰ~Ⅳ식으로 세분하였다. 매장주체부의 평면형태는 구조와 내부 시설의 형태에 따라 A~C식으로 구분하였다. 추가장의 분류는 조영위치와 형태에 따라 나누었다. 이들 속성에 대한 검토한 결과 그 특징은 다음과 같다. 유적의 입지는 조영면적이 넓은 사면부에서 협소한 능선부로 이동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축조방법은 대부분이 분구 선행형(2유형)이 확인되고 있어 시간적으로 이 지방보다 이른 충청지방의 것과는 다른 지역적인 특징으로 파악하였다. 주구의 평면형태는 방형계에서 제형계로 변화되면서 거대화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매장주체부는 토광묘의 형태에서 목관을 안치한 형태로 변화됨을 알 수 있었다. 추가장은 대부분이 주구 내에서 확인되었으며, 점차 토광은 사라지고 옹관은 대상부로 이동되면서 신전장이 가능한 전용옹관을 사용한 것으로 변화되었다. 이후 추가장은 점차 사라지고 한 분구내에 다수의 매장시설이 조영되는 다장의 형태를 갖추면서 장대화되었다. 이러한 변화양상을 근거로 주구토광묘에 대한 시기를 크게 3기로 구분하였다. 1기는 주구토광묘의 형성기로 군동 18호가 해당된다. 입지는 사면부에 독립되어 있으며, 출토유물인 흑도단경호로 보아 연대는 기원전 1세기~기원후 1세기로 추정하였다. 2기는 주구토광묘의 성장기로 사면부에 조영되면서 유구의 배치가 2~3열의 정연함을 이룬다. 주구의 형태는 방형계가 주를 이루고 매장시설은 다양하게 확인된다. 추가장은 일상용기를 사용한 옹관과 토광이 함께 이루어진다. 유물은 이중구연호가 중심이고 연대는 기원후 2세기~3세기 초반으로 비정하였다. 3기는 주구토광묘에서 옹관고분으로 발전하는 이행기로 입지가 점차 능선부로 이동되면서 복잡해지는 현상이 확인된다. 주구의 형태는 제형이며 매장시설은 목관사용하면서 대형화되었다. 추가장은 토광이 사라지고 옹관이 대상부에서만 확인되었다. 추가장의 옹관은 신전장이 가능한 전용옹관으로 대체되었다. 이후에는 옹관이 중심묘제로 등장하였다. 유물은 이중구연호와 호형토기가 중심이 되며 연대는 3세기 전반~4세기 초반으로 설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주구토광묘의 형성과정과 사회성격, 그리고 옹관고분으로의 이행과정을 살펴보았다. 주구토광묘의 발생기(1기)에는 재지적인 요소로 생각되는 토광묘와 결합하지 못하고 기원전후한 시기에 잠시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것으로 보인다. 성장기(2기)에는 유적이 군집된 양상을 보이면서 집단내의 결속력을 꽤하려 했던 것으로 보인다. 추가장이 이루어지면서 상하관계가 성립되었을 것이다. 또한 주구 내부에서 파쇄된 토기편들이 확인되고 있어 의식적인 행위가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이행기(3기)는 영산강유역을 중심으로 주구토광묘가 대형화되면서 옹관고분으로 발전되지만 주변지역에서는 주구토광묘, 옹관묘, 토광묘가 동시에 확인되고 있어 고분 단계로 성장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기원후 4세기대에는 대외적으로 중국의 한사군이 퇴출당하면서 국제 정세의 혼란이 야기되고 그에 따라 교역의 변화를 가져오게 된다. 그러면서 영산강유역의 옹관고분집단은 서남해안의 루트를 통한 교역을 기반으로 성장하게 된 것으로 추정한다.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social charateristics of 'Jugutokwangmyo'(pit-tombs with an encircling ditch) in the Homan province through more detailed analysis based on the existing studies, and to examine its process of change into the jar-coffin tumulus. In order to do it, firstly are classified the attributes of Jugutokwangmyo such as gathering forms of Jugutokwangmyo, constructional methods of mound, plane patterns of 'Jugu'(encircling ditch), plane patterns of main burial parts, and types of additional burial system. The gathering form is different whether it is against or not to the direction of contour line, while the locations of site are divided into oblique part and ridgeline part. The constructional methods of mound are classified as type 1 with mound formed after laying down the burial facilities, and type 2 with burial facilities laid down after forming mound. The plane patterns of 'Jugu'(encircling ditch) are subdivided into Ⅰ-Ⅳ type. The patterns of main burial parts are divided into A-C type according to the types of structure and interior facilities. The additional burial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constructional locations and types of burial system. I reconsidered these attribut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m are as follows. It is confirmed that the location of sites moved from the oblique part of wide construction area to narrow ridgeline part. The constructional methods of mound in this area is mostly belonged to type 2 which is different from ones of the Choongcheong province which was made earlier than this region. The plane pattern of 'Jugu'(encircling ditch) was changed from square to trapezoid shape and became larger than before. The main burial part was changed from the pit-tombs to the wooden coffin tombs. Most additional burials are found within 'Jugu'(encircling ditch). And as the pit-tomb disappeared, the exclusive jar coffins were used for Shinjunjang(buried unfolding body) as moving to Daesangbu(inside Jugu). After this, the additional burials gradually disappeared, and the pattern of multiple burials increased, in which many burial facilities were built within one mound. Through considering these changes the period of Jugutokwangmyo are largely divided into three stages. The first is the formative period of Jugutokwangmyo to which Gundong no. 18 belongs. Location is independent to oblique part, and as black jar with short-neck(黑陶短頸壺) was excavated, the date is estimated between 1st century B.C. and 1st century A.D.. The second is the growing period of Jugutokwangmyo which has the pattern of square shape mostly. Additional burials consisted of jar coffins and pit-tombs together with various burial facilities, and its relics mainly focused on jar with two lips(二重口緣壺). The date of this period is estimated between the 2nd century and the early 3rd century A.D.. The third period, as developing from Jugutokwangmyo to jar coffin tumulus, shows complicated phenomena. The pattern of 'Jugu'(encircling ditch) is trapezoid shape, and burial facility became wooden coffins and larger than before. In additional burials pit-tombs disappeared and jar coffins remained in Daesangbu(inside Jugu). Jar coffins were replaced with exclusive jar coffins for Sinjunjang(buried unfolding whole body). And during the third period the jar coffins took a central position in the burial system. Its main relics are jar with two lips(二重口緣壺) and jar shaped pottery(壺形土器). The date of this period is supposed between the first part of 3rd century and the early 4th century A.D.. Finally it is examined the formative process and social feature of Jugutokwangmyo, and its changing process into jar coffin tumulus. In the formative period(1st period), it seemed that Jugutokwangmyo could not combine with pit-tombs which meant the tomb of regional persons and appeared before and after Christian Era and disappeared soon. In the growing period(2nd period), it seemed to show gathering aspect to solidify together. With additional burials it is judged to establish the upper and lower relationship. In 3rd period, Jugutokwangmyo became larger, and then jar coffin tumulus appeared in the Youngsan river basin. But in peripheral area Jugutokwangmyo, jar coffin tomb and pit-tomb were coexisted, and these tombs were unable to develop into the stage of tumulus. On the other side, in 4th century A.D., as Han military of China withdrew, international situations became chaotic and subsequent change of trade followed. Hence the jar coffin tumulus group in the Youngsan river basin was considered to grow up based on trade through the route of western and southern coast line.

      • 2˜4世紀中西部地域 周溝土壙墓와 馬韓中心勢力의 變化推移

        신기철 용인대학교 문화재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85

        2~4세기 중서부지역의 분묘는 주구토광묘가 사용되고 원저단경호와 심발형토기를 세트로 부장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러나 이를 지역별로 구분해 보면 차이점이 드러난다. 이러한 차이가 있음에도 지금까지의 연구는 개괄적이거나, 부장품의 형식변화 또는 신기종의 등장에만 주목하였으며, 지역적 분묘의 특징 및 변화과정은 배제되었다. 연구의 지역적 범위도 대부분 천안 및 청주 지역에 한정되었으며, 동시기 지역 간의 분묘형태나 부장양상의 비교를 통한 지역권 설정과 중심 세력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중서부지역의 묘제를 편년하여 그 특징과 분포양상을 단계별로 비교·검토하였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세부지역권을 설정하고 중서부지역 중심세력권에 대해 살펴보았다. 중서부지역의 분묘는 주구 유무와 목관, 목곽의 형태에 따라ⅠA,ⅠB,ⅠC,ⅡA,ⅡB,ⅡC 6가지로 구분된다. 그리고 세부형식을 조합하면 25가지로 세분된다. 여기에 부장품의 공반관계, 주구토광묘의 출현과 소멸, 목곽의 사용, 합장묘의 등장 등을 종합해보면 세 단계로 그 시기를 설정 가능하 다. Ⅰ단계는 단순토광묘만 채용되었다. Ⅱ단계에 이르면 주구토광묘가 주로 사용되고, Ⅲ단계가 되면 주구토광묘의 사용이 중단되거나 급격히 줄어드는 모습을 보인다. 지역권 설정은 분묘형태, 하천과 산맥 등의 자연지형, 지역별로 다르게 나타나는 부장품을 기준으로 하였다. 그 결과 중서부지역은 곡교천유역권, 산방천유역권, 미호천상류권, 미호천중류권, 미호천하류권, 남한강유역권, 정안천유역권, 갑천유역권으로 구분된다. 유적의 규모, 부장품의 양, 지역적인 부장품의 중심지역, 위계 등을 살펴보았을 때 곡교천유역권과 미호천중류권을 원삼국시대 중서부지역의 중심세력으로 볼 수 있었다. 한편 Ⅱ-3단계 이후가 되면 중서부지역에서는 주구토광묘의 축조가 중단 혹은 감소되는데, 그 원인에는 백제의 성장과 더불어, 3세기 후반을 기점으로 더 이상 중국 사료에 마한이라는 명칭이 존재하지 않는 것과 관련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 곡교천유역권에서는 Ⅲ단계까지 지속적으로 주구토광묘가 축조되는데 이를 보아 곡교천유역권은 외부의 압박에도 자신들의 세력을 다른 지역보다 오래 유지할 수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미호천중류권은 곡교천유역권과 달리 Ⅲ단계부터 단순토광 묘가 집중적으로 축조되고, 유견호 등의 새로운 토기가 부장된다. 이는 당시 미호천중류권이 보다 적극적으로 외부의 문물을 받아들인 결과이다. Tombs at midwest regions in 2nd~4th centuries have something in common with each other in that Jugu-Togwangmyo was used and also a rounded based jar with a short neck and deep bowl pottery were buried together as a set. However, classification by region shows difference. Despite such a distinction, research so far has been too general or paid attention only to a formal change of burial accessories or appearance of new kinds of goods, excluding a regional characteristic or transition of a tomb. Research range has been mainly limited to Cheonan and Cheongju regions and there are few studies on the central power along with setting of a regional zone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n a regional tomb type or burial aspect during the same period. Hence, this paper conducted chronology of a tomb system at the midwest regions, comparing and examining its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al aspects by step. Through such a process, it set a detailed regional zone and considered the central power at midwest regions. Tombs at the midwest regions are divided into 6 including ⅠA,ⅠB,ⅠC,ⅡA,ⅡB,ⅡC depending on whether there is Jugu or not in addition to a type of a wooden coffin and a wooden-frame. Besides, according to combined detailed forms, they may be segmented to 2. Futhermore, considering association of burial accessaries, appearance and disappearance of Jugu-Togwangmyo, use of a wooden-frame and appearance of a tomb buried together, their period may be set as three phases. Ar the phase Ⅰ, only a simple Togwangmyo was excavated. At the phase Ⅱ, Jugu-Togwangmyo was mainly used, and it was stopped or decreased rapidly at the phase Ⅲ. Regional zone was set based on a tomb type, natural topography including river and mountain and accessories showing difference by region. As a result, midwest regions are divided into a basin zone of Gokkyo River, basin zone of Sanbang River, upstream zone of Miho River, midstream zone of Miho River, downstream zone of Miho River, basin zone of South Han River, basin zone of Jeongan River and basin zone of Gap River. Considering a scale of ruins, amount of burial accessories, central region and hierarchy of buried goods, it is possible to regard a basin zone of Gokkyo River and a midstream zone of Miho River as the central power of the midwest regions in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On the other hand, at the midwest regions, construction of Jugu-Togwangmyo was ceased or decreased after the phase Ⅱ-3 and it is assumed to be connected to a fact that a name Mahan did not appear on Chinese historical materials any more from the late 3rd century along with growth of Baekje. On the contrary, Jugu-Togwangmyo was constructed continually to the phase Ⅲ at the basin zone of Gokkyo River so it is regarded to maintain its power longer than other regions though there were external pressures. However, at the midstream zone of Miho River unlike the basin zone of Gokkyo, a simple Togwangmyo was constructed intensively and new potteries were buried including a shoulder shaped jar from the phase Ⅲ. It resulted from active acceptance of an external culture by those days' midstream zone of Miho River.

      • 충북지역 고려고분 연구

        이수정 숭실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71

        The goal of the study is to observe the transitions of tomb style of Koryo Dynasty by analyzing their structure having found around the Chungbuk province that includes Cheongju and Chungju. For analytical purposes, after dividing the tomb remains into three according to the region, we will then set the period through seriation method after form classification based on the porcelain, earthenware, and metal artifact, which enable us to figure out chronology. Based on such analysis, we analyze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stone lined tomb and pit tomb belong to each sub-periods from the 1st and the 3rd. Lastly, the transitional process and characteristic of grave good for the stone lined tombs and pit tombs were analyzed. The result of analysis reveals that the 1st period start from the 10th century and stone lined tomb prevail. The grave goods include porcelain, like haemuri gup-wan (bowl with a halo shape), plate and flat-bottle. There are a few pit tombs found from this period. The 2nd period starts from the 11th century, during which the number of both stone lined tombs and pit tombs increases and the structural change occurs in niche and yogaeng (the structure formed by inserting artifacts or broken stone under the small hall made on the floor of pit tombs). Various types of porcelain like bowl, plate, and bottle accompanied with many metal artifacts are found in those tombs. Although there a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quality of the artifacts found from the two forms of tombs, pit tombs contain more grave goods. From the start of the 3rd period, beginning from the 13th century, the number of both types of the tombs rapidly decreases. Stone lined tombs continue to be simplified, to decline and ultimately disappear. On the other hand, pit tomb continues to exist and its tradition remains through Chosun dynasty to the present. The abundance and variety of the grave goods decrease compared to the former period, and more goods are found in pit tombs than in stone lined tombs. The origin of the stone lined tomb of Koryo Dynasty found in Chungbuk province is found in Yong-am Historic Preservation in Cheongju, where all the constructional modes of stone lined tombs of the dynasty has been confirmed. However, in case of the pit tomb, it is hard to follow the origin since no pit tomb of the previous period has been found, although it is known to be built from the prehistoric era. So far, through the analysis of the old tombs built in Chungbuk province during Koryo dynasty, we have been followed the transitional process in which the stone lined tomb prevailed in the 1st period was gradually replaced by pit tomb and ultimately disappears. We expect more study results to provide further information about the structure of graves of Koryo Dynasty from Chungbuk province. 본고의 목적은 청주와 충주를 중심으로 하는 충북지방에서 그동안 보고된 고려 시대 고분의 구조적인 특징을 파악하여 시기별 변천 과정을 살펴보는 것이다. 논문 전개를 위하여 충북지방의 고려시대 고분 출토 유적을 전체 3지역으로 나누었다. 그리고 확인된 유적의 부장품 중 편년 파악 가능한 도자기와 토기 및 금속유물을 중심으로 형식 분류하여 순서배열법을 통하여 분기 설정을 하였다. 이를 기본으로 1기부터 3기까지 각 분기별 석곽묘와 토광묘가 갖는 구조적 특징을 찾아보고, 마지막으로 석곽묘와 토광묘의 변천과정과 부장품의 특징을 파악하는 순서로 작성되었다. 그 결과 충북의 고려고분은 전 시기인 통일신라시대 고분과 비교하여 동일한 축조수법과 유사한 부장 양상을 찾아보니, 충북의 고려고분의 기원은 충북의 통일신라고분으로부터 발견할 수 있었다. 이는 특히 석곽묘에 한한 것으로 10세기 전반부터 11세기 전반까지 통일신라시대 전통을 이어받은 석곽묘 위주로 조성되며 해무리굽청자완을 중심으로 접시+편병+가랑비녀 등 간단한 공반 유물양상을 성립하는 시기이다. 11세기 후반 경부터 고분이 수적으로 급증하는 시기로 특히, 토광묘의 조성이 매우 활발해진다. 부장품은 해무리굽완 대신 발을 기본으로 반상기 조합양상을 전 시기에 이어 유지하고, 숟가락+가위+동경+동전+가랑비녀 등 다종다량의 금속 유물이 추가되어 전반적으로 후장(厚葬) 성격이 강하다. 이후 13세기 후반 경부터는 고분 조성이 줄어들면서 석곽묘보다 토광묘의 비중이 높아진다. 부장 유물은 자기(도기) 또는 청동제의 발+접시+병 조합양상은 기본적으로 유지되나, 금속류의 매납이 현격히 줄어든다. 이 후 조선시대로 넘어가며 석곽묘는 충주 단월동II-6호 석곽묘를 마지막으로 그 존재가 충북에서 사라지게 되며, 토광묘는 조선시대 회곽묘와 함께 가장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묘제로 전개되는 과정을 거친다. 이상으로 충북에서 고려시대 고분 연구를 통하여 1기에 석곽묘를 중심으로 축조되었다가 점차 토광묘로 대체되며, 석곽묘가 쇠퇴해가는 변천과정을 살펴보았다. 추후 충북지역의 고려고분에 대하여 보다 당시 사람들의 행위와 귀결되는 연구가 진행되기를 바라며, 타지방과의 비교를 통한 충북의 독특한 고려시대 장법에 대한 특징에 대하여 보다 심도 있게 연구되기를 기대해본다.

      • 강원지역의 고려시대 고분 연구

        박해영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71

        This is a research on identified tombs of Koryo Dynasty in Gangwon province. Gangwon province is divided into Yungdong(Eastern part from the ridge) and Yungseo(Western part from the ridge), and these two areas were tied up as one province but have different cultures because of the Taebaek Mountains blocking them. A lot of Shilla tombs were found in Yungdong area while comparatively a few of them were found in Yungseo area when we checked on the quantities of excavated tombs of Shilla Dynasty. But recently the cases of excavation of Koyeo tombs are increasing both in Yungdong and Yungseo. I think it showed that the same type of grave appeared all over the nation as it was changing from the decentralization system to centralization system. Excavation in Gangwon province was insufficient compare to Kyunggi and Chungcheong provinces, and just a barrow group at Bangnae-ri was reported before recent excavations. Since then, one stone lined tomb(grave in piled stones) was identified in Iro-dong of Donghae city. Samok-ri complex of tombs was located in a limestone area, and a large number of relics and remains were excavated in a pretty good condition there. 80% of identified tombs were lower-class tomb buried with a wooden coffin. Many stone lined tombs and lower-class tombs were buried with filling many broken stones over. 3 stone lined tombs and 1 lower-class tomb were identified at the complex of tombs in Uchun-myun Hwengsung of Yungseo region. 6 lower-class tombs of Koryo dynasty were identified at Daejin-ri historic site in Kosung. I confirmed and examined the tomb style of Koryo tombs in Gangwon province identified so far around the stone lined tomb and the lower-class tomb judged as the upper class’s not the king’s or royal family’s. I excluded non-excavated tombs because of the limitation of judgement and cave-sites because of different conditions of location. I judged about tombs of Koryo dynasty using literature-materials to confirm the general shape of tombs. It is judged that the quantities of tombs of Shilla dynasty of Yungseo and Yungdong regions were confirmed differently because of the process of the unification of three nations and changes of tomb style and the quantities of tombs of Yungseo and Yungdong regions were confirmed equally as centralization was getting stronger and the same cultural sphere was formed. I think the unity of tomb style was established with formation of unitary state from Koryo dynasty to Chosun. There were a few identified groups of tombs and a few researches on Gangwon province, but more tombs will be founded in the future and they will do some important work in confirming the culture of Koryo dynasty in Gangwon province. 본고에서는 강원지역에서 확인된 고려시대 고분에 대한 연구이다. 강원지역은 태백산맥을 기준으로 영서와 영동으로 나뉘는데 영서지역과 영동지역은 큰 산맥에 막혀 같은 지역으로 묶여 있지만, 서로 다른 문화를 형성하게 되었으며, 신라시대 고분의 출토 개체수를 확인해 보면 영동권에서는 신라시대 고분이 많이 확인되는데, 영서지역은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신라고분이 확인된다. 그러나 강원지역의 고려고분은 근래에 영동과 영서지역 모두 발굴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이는 지방분권에서 중앙집권으로 변화하면서, 고려시대에는 전국적으로 동일한 묘제양식을 바탕으로 시기와 지형에 따라 묘제방식의 변화로 판단된다. 경기지역과 충청지역에 비하면 강원지역은 발굴의 미흡으로 근래에 확인되기 전에는 강릉지역 방내리 고분군만 보고되었다. 이후 발견 유적인 동해 이로동에서 1기의 석곽묘과 확인되었다. 삼옥리 고분군은 석회암 지역으로 유물과 유골이 상당히 양호하게 출토되었다. 확인된 고분의 80%는 토광묘이고, 목관을 사용하여 매장하였다. 다수의 토광묘와 석곽묘에서는 그 위에 많은 할석을 충진하여 매장되었다. 영서지역인 횡성 우천면 고분군에서는 석곽묘 3기와 토광묘 1기가 확인되었다. 고성 대진리 유적에서는 고려시대 토광묘 6기가 확인 되었다. 본고에서는 현재까지 확인된 강원지역 고려고분의 묘제방식을 확인하고, 왕과 왕족의 묘제가 아닌 상류층의 고분양식으로 판단되는 석곽묘와 토광묘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발굴되지 않은 고분에 대해서는 양식 판단에 있어서 제약이 존재하여 본고에서는 제외하였으며, 입지 조건이 다른 동굴 유적 또한 포함시키지 않았다. 일반적인 묘제의 형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문헌자료를 통해 고려시대 묘제에 대해 판단하고, 그를 통해서 강원지역 고려고분에 대해 고찰하였다. 영서지역과 영동지역에서 신라시대 고분 개체수가 다르게 확인되는데, 이것은 삼국통일의 과정과 함께 통일신라에 고분 양식의 변화에 따른 것으로 판단되며, 고려시대 고분은 영서 영동 모두 동일하게 확인되는 것은 통일신라 이후 중앙집권화가 더욱 강력해지면서, 동일 문화권을 형성한 것으로 추정된다. 고려시대 이후의 조선시대까지 단일 국가를 형성과 함께 묘제방식의 통일성이 확립된 것으로 판단하였다. 지금까지 확인된 고분군이 적어 지금까지 연구되어지지 않은 강원지역이지만, 앞으로 더 많은 고분이 확인될 것으로 판단되며, 고려시대 강원지역의 문화를 확인하는데 중요한 부분으로 작용할 것이다.

      • 馬韓 墳丘墓 硏究

        김중엽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70

        본 논문은 마한 분구묘에 관한 전반적인 연구이다. 마한의 성토 분구묘가 분포하고 있는 지역을 여러 권역별로 분류하여 분구묘의 권역별 특징을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또한, 그동안 쟁점으로 논의되어 온 분구묘의 개념과 출현 시점에 관한 문제를 정리해보고 분석하였으며, 마한 분구묘의 획기에 따른 전개 과정과 변화양상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연구된 내용을 중심으로 마한 소국의 사회상과 백제와의 대외관계에 대해 접근해보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지금까지 논의되어온 분구묘의 쟁점 중 본 연구에서 분석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는 네 가지의 주제를 선정하였다. 첫 번째는 분구묘의 용어와 정의, 두 번째는 분구묘의 출현 시점과 기원, 세 번째는 분구묘의 개념과 직결되는 선분구-후매장의 축조방법, 네 번째는 분구묘의 장제적인 측면에서 매장시설인 목관묘, 목곽묘, 옹관묘 관련 견해에 대해 살펴보았다. 위의 네 가지 주제를 중점적으로 분석하고 검토하였으며, 해결되어야 할 문제에 대해서는 각 장에서 검토 및 분석하여 실마리를 풀어 보고자 하였다. Ⅲ장에서 분구묘의 개념에 대해 검토해본 결과, 분구묘의 본질적인 개념은 매장관념과 관련이 깊고 분구를 먼저 조성한 후에 매장시설이 안치되는 선분구-후매장의 축조방식이라 할 수 있다. 이는 출현 시기부터 마한 분구묘의 전통이 이어지는 단계까지 변화하지 않는 본질적인 매장관념에 해당하며, 계속 이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Ⅳ장에서는 마한 분구묘의 분포권을 큰 하천과 지형에 따라 한강하류역권, 아산만권, 금강중하류역권, 만경강유역권, 동진강유역권, 영산강유역권으로 구분하였으며, 분포양상과 입지 그리고 분구묘의 배치양상, 평면형태 및 규모, 매장시설, 부장유물로 속성을 분류하여 권역별로 세부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결과, 분구묘의 입지에 있어서는 분구묘 축조집단의 주변 지형에 따른 선호도에 차이에 따라 입지를 선정하는 것으로 보았다. 배치양상에서는 시간성과 지역성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시간성에 따라서는 독립묘역-연접과 중복배치-수평적 확장에 따른 밀접한 배치-수직확장 단계에서의 독립적 배치양상이 나타났으며, 지역성에 따라 한강하류역권에서는 독립묘역의 배치양상이 지속되면서 다른 지역에서 일반적인 연접, 중복, 수평확장의 양상과는 차이를 보였다. 평면형태는 방형계와 원형계 그리고 제형계로 크게 구분되며, 영산강유역권을 제외한 지역에서는 방형계가 중심을 이룬다. 제형계 중 장제형의 평면형태는 영산강유역권에서만 주로 나타나는 평면형태이며, 규모도 한 변의 길이가 20m가 넘는 대형이 다수를 차지하면서 영산강유역권의 지역적인 특징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분구묘 내 매장시설인 옹관은 금강을 기준으로 이남지역에서 주로 시설되며, 선황리식의 대형옹관 또한, 금강 이남을 중심으로 조성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옹관의 장제적 의미와 관련해서는 크기, 한 분구 내 매장된 옹관의 수 등을 고려했을 때, 이차장의 장법이 주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특히 금강 이남지역으로는 다장의 양상이 확인되며, 다장의 조성방식은 매장주체부 중심의 다장과 비매장주체부 다장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부장유물에서도 지역적 특징이 나타나며, 한강하류역권은 낙랑계 중심의 유물이 다수 출토되며, 아산만권은 한강하류역권과 같이 철제 무기류의 출토가 다수를 이룬다. 만경강유역권은 4세기 이후 완주 상운리 분구묘를 중심으로 당시 철 제작의 중심권이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동진강유역권의 고창지역은 3~4세기부터 무기류의 다수 부장이 이루어지면서, 주변 지역의 분구묘 축조세력에 비해 전통적으로 위계성이 높았음을 추정할 수 있었다. 반면, 영산강유역권의 경우 분구의 규모와 유적의 분포양상에 비해 철기류의 낮은 부장량은 당시 영산강유역권의 사회구조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Ⅴ장에서는 마한 분구묘의 출현 시점에 대해 분석한 결과, 출현기 분구묘의 공통요소를 확인하였다. 주구 내 유물의 공반관계를 기준으로 출현기 1기와 2기를 구분하였고 1기는 무문토기류 중심의 기원전 2세기~기원전후한 시기, 2기는 와질토기 및 연질 타날문토기와 공반되는 양상으로 기원전후~기원후 1세기 후반으로 분기를 제시하였다. 특히 관창리 분구묘의 재검토를 통해 분구묘의 시작지점이 보령 관창리 일대일 가능성을 유력하다 판단하였다. 분구묘의 시공간적 전개 과정에서는 획기에 따라 조기, 전기, 중기, 후기로 구분하였다. 조기는 기원전 2세기~기원후 1세기 후반으로 설정하고, 출현기 분구묘의 특징으로는 주구 내 무문토기 및 점토대토기의 출토양상, 독립된 묘역, 단장묘가 있으며, 많은 유적의 분포를 보이지 않는다. 전기는 기원후 2세기~3세기 후반으로 설정하였다. 이 시기는 분구묘가 전역에 확산하는 시기에 해당하며, 지역에 따라 차이가 발생한다. 중기는 4세기 전반~4세기 후반까지 해당하며, 분구묘의 부장유물에서 백제양식의 토기류가 등장하며, 서산의 기지리유적과 완주의 상운리 유적의 경우 백제양식의 토기가 4세기를 기점으로 등장하며, 동진강유역권과 영산강유역권은 4세기 후반경에 백제양식의 토기가 나타나고 있어 권역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후기는 백제 영역화 이후 분구묘의 전통이 지속되는 시기이며, 5세기 전반~6세기 중엽까지 설정된다. 이전보다 규모가 큰 분구묘가 각 지에서 조성되며, 금동관, 금동신발, 중국제 청자 등의 최상위 위세품이 백제와의 관계 속에서 부장이 이루어진다. Ⅵ장에서는 분구묘의 분포권을 문화양상, 지형, 거리 등을 고려하여 세부 영역권으로 구분해 보았으며, 당시의 사회상과 백제와의 대외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한강하류역권은 2~3세기 김포, 인천 일원을 중심으로 지리적 여건의 이점을 이용한 낙랑 및 중국과의 교류를 통해 강력한 세력집단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한강이라는 지형적 여건은 4세기이후 백제의 성정과 한강유역권의 복잡한 정세 속에 더는 성장하지 못하였던 것으로 볼 수 있다. 아산만권은 목지국으로 추정되는 아산, 천안 일대의 주구토광묘권과 영역을 달리하며, 대규모의 분구묘 사회를 형성하였다. 특히 서산 일원을 중심권으로 늦은 시기까지 분구묘의 전통성을 유지하였으며, 5세기 이후 조성된 서산 부장리 분구묘의 금동관, 금동신발, 철제초두 등의 출토는 백제가 최상위 위세품을 사여할 정도의 강력한 세력집단이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금강중하류역권은 분구묘와 단순 토광묘가 중심묘제를 이루는 사회로 금강을 따라 이와같은 문화가 연결되고 있다. 그러나 4세기 후반 당시 중요한 교통로였던 금강 일원 대한 백제의 적극적인 영향력이 반영되면서 석곽분과 석실분 등 석축묘를 중심으로 묘제가 조성되고 분구묘 전통은 점차 쇠퇴하게 된다. 만경강유역권은 2~4세기까지 당시 중심 권역이었던 아산만권과는 달리 자연촌락을 중심으로 형성된 공동체 사회였던 것으로 추정되며. 4세기 이후부터 완주 상운리를 중심으로 한 철기제작의 중심권역이 형성되면서 만경강유역에 변화가 나타난다. 동진강유역권의 2~4세기는 고창지역에서 출토되는 무기류와 구슬류의 부장량을 통해 동시기에 가장 강성했던 세력 중 하나로 추정하였으며, 이후 고창 봉덕리 1호분의 조성을 통해 고창 분구묘 세력의 위상이 백제 영역화 이후에도 유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영산강유역권은 2~4세기 큰 규모인 장제형분의 축조양상을 통해 아직은 개인 유력묘가 등장하지 않은 사회로 제형분의 군집과 배치의 정형성 등을 토대로 집단 간의 위계성이 나타나는 것으로 추정하였다. 영산강유역권이 중심권역으로 성장하게 된 시기는 5세기 이후로 고총고분의 등장 시점과 비슷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들의 성장배경으로는 영산강유역권이 백제, 왜세력, 영산강유역권 세력 간의 상호 교류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지던 그 중심지의 역할로서 고총고분의 축조세력이 영산강 유역에 대한 영향력을 행사함으로써 이들 사회가 역동적인 모습을 이루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이 글은 마한 분구묘의 전반적인 연구를 바탕으로 분구묘의 가장 기본적인 개념에서부터 최종적으로는 당시의 사회상을 밝혀보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이 글을 통해 마한 분구묘의 연구에 일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 있으며, 이후 세부적인 연구를 통해 이 글의 부족한 부분들을 수정·보완해 나가고자 한다. This paper deals with an overall study on the bungumyo (mounded tomb with an encircling ditch) of Mahan. The regions in which Mahan's seongtobungumyos (mounded tombs with filled layer) are distributed were classified here into various regions in an attempt to analyze and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In addition, the issues concerning the concept of bungumyo and the timing of their appearance which have been discussed as pending issues are summarized and analyzed, in parallel with studies on the development process and changes in the bungumyo of Mahan according to the division of period. And, it was also tried to approach to the social features of Mahan statelet and its external relations with Baekje based mainly on the contents of the studies conducted so far. In Chapter II, out of the issues of bungumyo that have been discussed so far, selected were four topics to be explored through the analysis in this study. The first topic to be studied is the terminology and definition of bungumyo, the second is the time and origin of the appearance of bungumyo, the third is the pre-mound and post-burial tomb construction method which is directly related to the concept of bungumyo, and the fourth is the views on the burial facilities such as wooden coffin tombs, wooden chamber tombs, and jar coffin tombs in respect of funeral rites. Focus was laid on analyzing and reviewing the above four topics, and the problems to be solved were reviewed and analyzed in each chapter to find the clues for solution. From the result of examining the concept of bungumyo in Chapter Ⅲ, it can be said that the essential concept of bungumyo is closely related to the concept of burial, and is a pre-mound and post-burial tomb construction system, that is, the burial site is built first and then the burial facilities are placed in it. This means that it was an essential burial concept that had not changed from the time of appearance until the stage where the tradition of the Mahan burial tomb was connected. In Chapter Ⅳ, the distribution area of Mahan bungumyos was divided into the lower Hanggang River area, Asan Bay area, the mid-lower area of Geumgang River, Mangyeonggang River area, Dongjingang River area, and Yeongsangang River area according to large rivers and topography. Furthermore, a detailed analysis was attempted by divided region after classifying the special features of bungumyo by patterns of distribution, arrangement, planar shape and size, burial facilities, and items buried together. As for the location of bungumyo, the analysis found that the site was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preferred location and surrounding topography for construction of bungumyo. In respect to the arrangement pattern of bungumyo, it could be divided into temporality and locality. Depending on the temporality, independent arrangement patterns appeared in the stage of tight arrangement-vertical expansion due to connection of independent cemeteries and overlapping arrangement-horizontal expansion. Depending on the locality, however, the layout of independent cemeteries continued in the lower Hangang River area, which is different from the general pattern of concatenation, overlapping, and horizontal expansion shown typically in other areas. The planar type is largely divided into a quadrangular, a circular, and a hoof-shaped type, while the quadrangular type is central in other than Yeongsangang River basin area. The lengthy one of the hoof-shaped type is of planar shape that appears mostly in the Yeongsangang River basin only, and the size could be understood as a regional characteristic of the Yeongsangang River basin since the large ones with a side length of more than 20 m account for the majority of the type. It was confirmed that the jar coffin, a burial facility within bungumyo, is mainly installed in the region south of the Geumgang River, and the large-scale jar coffins of the Seonhwang-ri style too were built south of the Geumgang River. With regard to the funeral significance of the jar coffin, it was estimated that the secondary burial method was mainly used when considering the size and the number of coffins buried in one mound. In the area south of the Geumgang, in particular, the pattern of multiple burials was found, and the method of constructing multiple burials could be divided into a main-subject-centered multiple burial and a non-main-subject-centered one, respectively. Regional characteristics also appear in the relics of funerary objects. For instance, the Nakrang-system relics are mostly excavated in the lower Hangang River basin area, while most of the artifacts unearthed in the Asan Bay area are iron weapons same as in lower Hangang River basin area. It may be understood that the Mangyeonggang River basin area was the center of iron manufacturing work at that time, focusing on the bungumyo in Sangwun-ri, Wanju from the 4th century onward. In the Gochang area of the Dongjingang River basin, a large number of weapons were buried as funerary objects since the 3rd and 4th centuries, and it could be thus estimated that the hierarchy of this area was traditionally higher than that of the bungumyo-building forces in the surrounding areas.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the Yeongsangang River basin, it was estimated that the relatively small amount of iron and steelware buried as funerary objects must be related to the social structure of the Yeongsangang River basin at the time, when considering the size of the mounded burials and distribution of the ruins. In Chapter Ⅴ, common elements of bungumyos during the emergence period were identified from analyzing the time of appearance of Mahan bungumyos. Based on the communal relationship of the relics inside the encircling ditch, the periods of emergence were divided into the first and second one. It was then suggested that the first period spans from the 2nd century BCE to before or after the first century CE which centered on the patternless earthenware, and the second period refers to the period from before or after the first century to the latter part of the first century CE when the grey pottery and soft pottery with stamped design coexisted. Especially through reexamination of bungumyos in Gwanchang-ri, it was judged highly likely that the starting point of bungumyo might be the area of Gwanchang-ri, Boryeong. As for the spatio-temporal development process of bungumyo, it was divided into early, former, middle, and late stages according to the epochal period. The early period was set from the 2nd century BCE to the latter half of the 1st century CE. The characteristics of bungumyo during the emerging period include the patternless earthenware and clay earthenware as well as pottery with ring rim unearthed from the encircling ditch, independent burial sites, and single tombs which are rarely distributed, though. The former period was set from the 2nd century upto the latter half of the 3rd century CE which corresponds to the period when bungumyos spread throughout the regions although there ar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region. The middle period points to that from the former to the latter part of the 4th century when Baekje-style earthenware appears from the funerary objects buried in bungumyo. In case of the sites in Giji-ri, Seosan and Sangwun-ri in Wanju, Baekje-style earthenware appeared starting from the 4th century while, in case of Dongjingang and Yeongsangang River basins, Baekje-style earthenware started appearing around the latter part of the 4th century, showing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region. The latter period is the one in which the tradition of bungumyo continues starting from Baekje territorialization which is set from the first half of the 5th century to the middle of the sixth century. At this time, bungumyos which are larger than before, were built in various regions, and the highest-ranking funerary objects such as gilt-bronze crowns, gilt-bronze shoes, and Chinese celadon were buried in relationship with Baekje. In Chapter VI, the distribution sphere of bungumyos was divided in detail into minute territories in consideration of cultural aspects, topography, geographic distance in an attempt to examine the social situation and external relations with Baekje at the then time. During the 2nd and 3rd centuries, the lower Hangang River area formed a powerful group thanks to exchanges with Nakrang and China using the advantage of geographical conditions centered on Gimpo and Incheon. However, it can be seen that the geographical conditions of the Hangang River did not contribute any more to the development of the area due to Baekje's growth and the complex situation of Hangang River basin area after the 4th century. The Asan Bay area formed a large-scale bungumyo society which is different from the area of ditch-pit tombs in Asan and Cheonan, which are presumed to have been Mokji state. In particular, mainly the central area around Seosan kept tradition of bungumyo until late, and the excavations of gilt-bronze crowns and shoes, as well as iron cauldrons from the bungumyos built in Bujang-ri, Seosan after the 5th century demonstrates that Backje was so powerful that such highest-ranking funerary items could be provided. In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Geumgang River, these cultures are connected along the Geumgang River as a society where bungumyos and simple pit graves were the central types of tombs. In the second half of the 4th century, however, as Baekje exercised active influence on the Geumgang area which was an important transportation route at the time, the tomb system such as stone lined tombs and stone chamber tombs started to be built, whereas the tradition of bungymyo gradually declined. It is estimated that the Mangyeonggang River basin was a community formed around natural villages, unlike the Asan Bay region which was the central region at the time from the 2nd to 4th centuries. From the 4th century onwards, the central area for iron making was formed mainly around Sangwun-ri, Wanju and changes took place in the Mangyeonggang River basin accordingly. The Dongjingang River basin was believed to have been one of the placed for the most powerful forces during the 2nd-4th centuries judging from the amount of weapons and marbles excavated from the Gochang area. It was also learned that the status of the forces who constructed bungumyos including the No. 1 tomb in Bongdeok-ri, Gochang was maintained even after Baeke territorialization. It was presumed through the construction of large-scale tombs of lengthy hoof-system during the 2nd to the 4th centuries that the Yeongsangang River basin was a society in which tombs of influential individuals had not yet appeared and it was thus thought that hierarchies between groups became apparent on the basis of grouping of the hoof-system tombs and formality of their distribution. The period when the Yeongsangang River basin grew into a central region is estimated to be analogous to the time when the ancient tombs for the commons and leading class appeared after the 5th century. The background of their growth must be that the Yeongsangang River basin played a central role of active exchanges among Baekje, Japanese forces, and the forces of the Yeongsangang River basin. It is therefore believed that the society of the forces which had constructed ancient tombs had shown a dynamic image by exercising vital influence upon the river basin area. The present study started from the basis of the overall study on Mahan bungumyos with a view to make it clear the most basic concept of bungumyo and, ultimately, the social conditions of the then time. It is hoped that this article will contribute to the study of Mahan bungumyo, and I will keep trying to correct and supplement the shortcomings of this article through the further detailed research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