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미용전공대학생의 자아개념이 창의력과 진로의식에 미치는 영향

        박미나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7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self-concept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beauty art on their creativity and career awareness. There is a trend that the number of high schools and colleges that offer beauty art education is on the rise along with the quantitative growth of the beauty industry, but this industry is still confronted with manpower problem, and workers in the industry usually don't take their job seriously. Therefore it's meant in this study to discuss the importance of self-concept among beauty art majors and to boost their creative thinking and career awarenes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beauty art majors in Seoul, Gyeonggi Province and North Jeolla Province.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impact of their self-concept on creativity and career awareness, the answer sheets from 506 respondents were analyzed by a SPSS 17.0 program. The response rate stood at 84.3 percent. A reliability analysis was made to check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variables, and a factor analysis was utilized to check their construct validit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were investigated by obtaining statistical data on percentage and making a frequency analysis. Besides, regression analysis and T-test were carried out to look for any possible gaps in the influence of the variables, and two-way ANOVA was employed to look for any possible gaps among the variable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ncerning differences in career awareness according to self-concept, the dimension of achievement self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impact on career awareness(p<.001). That was negatively affected by career purposiveness that meant to make a career choice not by internal motivation but for employment or good prospects(ß=-.13, p<.01), and career barriers(ß=-.24, p<.001) exerted a negative influence on it as well. Second, whether the self-concept of the beauty art majors made any differences to their creativity was checked, and self-concept was found to exert a statistically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creativity (F=196.37, p<.001). Third, whether the creativity of the beauty art majors made any differences to their career awareness was investigated, and creativit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ly positive impact on career awareness(F=47.43, p<.001). Fourth, as for the relationship of the interaction between self-concept and creativity to career awarenes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wo affected career barriers only in a significant manner(F=4.17, p<.05). The group that put higher value on achievement self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other that didn't in career awareness. The group that set higher value on their own imaginative thinking were relatively ahead of the other that didn't in career assurance(from a high of M=3.65 to a low of M=3.21) and career determination(from a high of M=3.53 to a low of 3.22). The group that prized their own divergent thinking better was relatively ahead of the other that didn't in career assurance(from a high of M=3.71 to a low of M=3.23) and career determination(from a high of M=3.67 to a low of 3.13). There were more career barriers(from a high of M=2.75 to a low of M=2.98) and stronger career purposiveness(from a high of M=2.61 to a low of M=2.84) in the latter than in the former. The group that had a higher opinion on their own social ego and imaginary thinking were relatively ahead of the other that didn't in career assurance(from a high of M=3.65 to a low of M=3.22) and career determination(from a high of M=3.54 to a low of M=3.22). Fifth, whether the interaction between self-concept and general characteristics made any differences to career awareness was analyzed, and gender had a significant impact on career assurance(p<.05). Self-concept and academic year had an interaction effect on career barriers and career determination(p<.05), and self-concept and motivation of college choice had a significant interaction impact on career purposiveness(p<.01). In the group with better self-concept, the women (M=3.73) excelled the men in career assurance, but in the other group with worse self-concept, the men(M=3.48) outdid the women in that aspect. As for career barriers, the seniors(M=2.89) encountered more career barriers in the group with better self-concept, but in the other group with worse self-concept, the sophomores were confronted with more career barriers. Sixth, whether the interaction between creativity and general characteristics made any differences to career awareness was checked, a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gaps just in career purposiveness (p<.05) according to gender. Concerning the impact of the interaction between creative thinking and each general characteristic on career awareness, the men(M=3.07) were ahead of the women in career purposiveness in the group with better creative thinking. In the other group with worse creative thinking, the women(M=2.80) were ahead of the men in that aspect. Seventh, in regard to the relationship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o self-concept, creativity and career awareness, whether the motivation of college choice made any differences to self-concept was analyzed,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gaps were found in achievement self according to that(F=4.08, p<.01). Specifically, the motivation of college choice was most related to their experiences at beauty art academies(M=3.77). As to differences in creativity by academic year,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gaps only in imagination according to that(F=3.02, p<.05). The seniors(M=3.59) were most imaginative, followed by the juniors(M=3.37), sophomores(M=3.35) and freshmen(M=3.26). Thus, the students whose academic year was higher were more imaginative. Whether their creativity varied with a post-college career plan was analyzed, and those who were going to keep studying their current major field of study at graduate school(M=3.57) were most imaginative. Those who were going to go to graduate school(M=4.02) were the best in terms of divergent thinking as well. Whether their creativity varied with the degree of difficulty of major was checked, and there was a difference only in imagination according to that(F=4.97, p<.01). Whether their academic year made any differences to career awareness was investigated,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gaps were found in career assurance according to that(F=2.61, p<.05). In particular, the seniors(M=3.66) excelled the others in that aspect, which showed that a higher academic year led to more career assurance. Whether the motivation of college choice made any differences to career awareness was analyzed, and career assurance was most bound up with their experiences at beauty art academies(M=3.57). Whether their career awareness differed with a post-college career plan was checked, and those who didn't ever think of it(M=3.17) faced the most career barriers(F=5.52, p<.001). The students who were going to keep studying their major field of study at graduate school(M=3.72) were the best in terms of career assurance, and those students(M=3.72) were the best in terms of career determination as well.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out the correlation of the self-concept of beauty art majors to their creativity and career awareness, and self-concept was identified as one of the variables to affect creativity and career awareness in a significant manner. Creativity and career awareness were significantly linked to each other and varied with general characteristics.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ed that a positive view of beauty art and confidence were two primary variables to design one's future. Therefore beauty art majors should wake up to the importance of the right self-concept, and beauty art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to improve their creative thinking and career awareness. 본 연구는 미용을 전공하는 대학생의 자아개념 차이에 따라 창의력과 진로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 것이다. 미용분야의 양적인 팽창과 함께 미용관련 고등학교와 대학 및 대학교가 늘어가는 추세이지만 여전히 겪고 있는 인력난과 직업의식의 결여가 문제되고 있기에 미용전공대학생의 자아개념의 중요성에 대해 언급하며 창의적 사고와 진로의식을 향상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미용전공 대학생의 자아개념이 창의력과 진로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 경기도, 전라북도에 거주하는 미용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 506부, 84.3%를 SPSS 17.0의 프로그램으로 변수간의 내적 일관성을 조사하기 위한 신뢰성 분석을 하였으며 변수들의 구성개념 타당성을 위한 요인분석, 표본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백분율과 빈도분석 이용하였다. 또한 결과 분석을 위해서 변수들 간의 영향력 차이를 검증위한 회귀분석, T-test와 관련변수간의 차이검증을 위한 이원분산분석(Two-way ANOVA)을 실시하여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개념에 따른 진로의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취자아 차원은 유의한 정적(+)영향(p<.001)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로선택의 요인이 내적동기가 아닌 취업을 목적으로 하거나 경제적으로 전망이 높은 진로선택의 요인으로 보고 있는 문항으로 보고 있는 진로목적성(β=-.13, p<.01)과 진로장애(β=-.24, p<.001)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개념에 따른 창의력에 차이를 분석한 결과 미용전공 대학생들의 자아개념이 창의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F=196.37, p<.001)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창의력에 따른 진로의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대학생들의 창의력이 진로의식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F=47.43 p<.001)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아개념과 창의력의 상호작용에 따른 진로의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진로장애 요인에서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F=4.17, p<.05). 또한 성취자아를 높게 지각한 집단의 경우, 진로의식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상상력 사고는 높게 지각하는 집단이 낮게 지각하는 집단보다 진로확신성(고:M=3.64, 저:M=3.21)과 진로결정성(고:M=3.53, 저:M=3.22)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확산적 사고를 높게 지각한 집단이 낮게 지각한 집단보다 진로확신성(고:M=3.71, 저:M=3.23)과 진로결정성(고:M=3.67, 저:M=3.13)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고, 낮게 지각한 집단이 높게 지각한 집단보다 진로장애(고:M=2.75, 저:M=2.98)와 진로목적성(고:M=2.61, 저:M=2.84)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또 사회자아를 높게 지각하고 상상력 사고가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보다 진로확신성(고:M=3.65, 저:M=3.22)과 진로결정성(고:M=3.54, 저:M=3.22)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다섯째, 자아개념과 일반적 특성의 상호작용에 따라 진로의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이 진로확신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p<.05), 자아개념과 학년이 상호작용하여 진로장애와 진로결정성에 영향을 미쳤으며(p<.05), 자아개념과 대학선택 동기가 상호작용하여 진로목적성에 유의한 영향(p<.01)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개념이 높은 집단의 경우, 여자(M=3.73)가 진로확신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낮은 집단의 경우, 남자(M=3.48)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장애에 있어서 자아개념이 높은 집단의 경우, 4학년(M=2.89)이 진로장애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낮은 집단의 경우 2학년이 진로장애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창의력과 일반적 특성의 상호작용에 따른 진로의식의 차이에서는 성별이 진로목적성(p<.05)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창의적 사고가 세부적 일반적 특성과 상호작용하여 진로의식에 미친 효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높은 집단의 경우 남자가(M=3.07) 진로목적성이 더 높았으며, 낮은 집단의 경우 여자(M=2.80)가 진로목적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아개념, 창의력, 진로의식의 차이에 대해서는 대학선택 동기에 따라 자아개념에 차이가 있는 가를 파악한 결과 성취 자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4.08 p<.01). 구체적으로 대학선택 동기는 미용학원에서의 미용경험(M=3.77)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학년에 따라 창의력에 차이가 있는 가를 파악한 결과 상상력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3.02, p<.05). 특히 4학년(M=3.59), 3학년(M=3.37), 2학년(M=3.35), 1학년(M=3.26)순으로 학년이 높을수록 상상력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졸업 후 진로에 따라 창의력에 차이가 있는 가를 파악한 결과 상상력에서는 학과 전공과 관련된 대학원 진학(M=3.57)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확산적 사고에서도 학과 전공과 관련된 대학원 진학(M=4.02)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 전공과목 난이도에 따라 창의력에 차이가 있는 가를 파악한 결과 상상력에서만 차이가 나타났다(F=4.97, P<.01). 학년에 따라 진로의식에 차이가 있는 있는가를 파악한 결과 진로확신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2.61, p<.05). 특히 4학년(M=3.66)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학년이 높을수록 진로에 관한 확신성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선택 동기에 따라 진로의식에 차이가 있는 있는가를 파악한 결과 진로 확신성은 미용학원에서의 미용경험(M=3.57)익 가장 높게 나타났다. 대학졸업 후 진로에 따라 진로의식에 차이가 있는 있는가를 파악한 결과 진로장애(F=5.52, p<.001)는 생각해 본 적이 없음(M=3.17)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진로 확신성은 학과 전공과 관련된 대학원 진학(M=3.72)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진로결정성은 학과 전공과 관련된 대학원 진학(M=3.86)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미용 전공 대학생의 자아개념에 따른 창의력과 진로의식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고 그 결과 자아개념에 따라 창의력과 진로의식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또한 창의력과 진로의식 또한 서로 유의한 관계를 형성하며 일반적 특성에 따라서도 변화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결과는 미용전공 대학생들에게 미용을 통해 자신의 미래를 설계하는데 있어 보다 미용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과 자신감이 무엇보다 중요한 변수 임을 밝혀냄으로써 미용전공 대학생들의 올바른 자아개념 형성의 중요성과 미용 교육의 방향이 보다 창의적 사고를 촉진 시키며 미용전공 대학생의 진로의식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가야 할 것이다.

      • 중국 여성들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피부관리행동 및 외모만족도에 대한 연구

        유배봉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 skin care behavior and appearance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model was divided into four parts: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 and skin care behavior,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 and appearance satisfac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skin care behavior and appearance satisfaction, 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In this study, 418 copies of the study were selected as the final data for women over 20 years of age in Shanghai, China, using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variance analysis using SPSS 23.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ffects of lifestyle on skin care behavior were shown in conspicuous consumption type (β=.206, p<.01), epidemic pursuit type (β=.126, p<.05), and individual pursuit type (β=.137, p<.05) had a positive effect, and the economic pursuit type (β=-.254, p<.01) had a negative effect. Second, according to the lifestyle, the effect on appearance satisfaction was shown in conspicuous consumption type (β=.193, p<.01), epidemic pursuit type (β=.141, p<.05), and individual pursuit type (β=.137, p<.05) had a positive effect, and the economic pursuit type (β=-.136, p<.01) had a negative effect. Third, the effects of skin care behavior on appearance satisfaction were positively affected by both home care (β=.233, p<.01) and professional care (β=.341, p<.01) were all had a positive effects. Fourth, it can be said that it plays a role of mediating skin care behavior in relation to the effect of lifestyle on appearance satisfaction. Fifth, the effects on appearance satisfaction according to lifestyle and general characteristics was shown in marital status (β=-.115, p<.01) had a negative effect, and education (β=.219, p<.01), monthly income (β=.098, p<.05), and lifestyle (β=.307, p<.01)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Sixth, the effects on skin satisfaction according to skin care behavior and general characteristics was shown in age (β=-.162, p<.01) had negative effects, and education (β=.180, p<.01) and skin care behavior (β=.366, p<.01) had a positive effect. Seventh, age, marital status, educational background, and monthly income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lifestyle, by age 20-29 (4.02), unmarried (3.56), graduate school and graduation (3.53), and more than 15000 yuan (3.61) were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 Age, marital status, education, and monthly income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kin care behavior, by age 20-29 years (4.08), unmarried (3.69), graduate and graduate school (3.62), and more than 15000 yuan (3.79) were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 Therefore, This study found that among the lifestyle factors conspicuous consumption type, fashion pursuit type and personal pursuit type on skin care behavior, appearance satisfaction and appearance satisfaction on skin care behavior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Lifestyle factors The economic pursuit type has a negative effect on skin care behavior and appearance satisfaction. Age, marital status, education, and monthly income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lifestyle, skin care behavior and appearance satisfaction.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limitations. The study was conducted by constructing a sample of women in some parts of China,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limited in generalizing or expanding the interpretation of the results. In addition, using the questionnaire method the responsive stereotypes or subjective values ​​may distort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본 연구는 라이프스타일, 피부관리행동 그리고 외모만족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라이프스타일과 피부관리행동의 관계, 라이프스타일과 외모만족도의 관계, 피부관리행동과 외모만족도의 관계, 그리고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각 변수의 관계라는 네 부분으로 구분된 연구모형을 설정하였으면, 중국 상하이 지역에 거주하는 20세 이상의 여성들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연구 자료를 적합하다고 판정된 418부를 최종자료로 채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회귀분석,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피부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면 과시소비형(β=.206, p<.01), 유행추구형(β=.126, p<.05), 개성추구형(β=.137, p<.05)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경제추구형(β=-.254, p<.01)이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외모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면 과시소비형(β=.193, p<.01), 유행추구형(β=.141, p<.05), 개성추구형(β=.137, p<.05)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경제추구형(β=-.136, p<.01)이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피부관리행동에 따라 외모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면 홈케어(β=.233, p<.01)와 전문케어(β=.341, p<.01)가 모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라이프스타일이 외모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피부관리행동의 매개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다섯째, 라이프스타일과 일반적 특성에 따라 외모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면 결혼여부(β=-.115, p<.01)가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력(β=.219, p<.01), 월수입(β=.098, p<.05), 라이프스타일(β=.307, p<.01)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피부관리행동과 일반적 특성에 따라 외모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면 연령(β=-.162, p<.01)이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력(β=.180, p<.01), 피부관리행동(β=.366, p<.01)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의 연령, 결혼여부, 학력, 월수입은 라이프스타일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29세별로(4.02), 미혼(3.56), 대학원 재학 및 졸업(3.53), 15000위안 이상(3.61)은 유의한 차이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의 연령, 결혼여부, 학력, 월수입은 피부관리행동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29세별로(4.08), 미혼(3.69), 대학원 재학 및 졸업(3.62), 15000위안 이상(3.79)은 유의한 차이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의 연령, 결혼여부, 학력, 월수입은 외모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29세별로(4.08), 미혼(3.91), 대학원 재학 및 졸업(3.85), 15000위안 이상(3.89), 10000∼15000위안(3.89)은 유의한 차이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라이프스타일 요인 중의 과시소비형, 유행추구형, 개성추구형은 피부관리행동과 외모만족도 및 피부관리행동은 외모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라이프스타일 요인 경제추구형은 피부관리행동과 외모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의 연령, 결혼여부, 학력, 월수입은 라이프스타일, 피부관리행동과 외모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갖고 있다. 중국 일부지역의 여성들을 대상으로 표본을 구성하여, 진행한 연구로 본 연구의 결과가 중국의 전체 여성에게 일반화 하거나 확대 해석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또한, 설문지 방식을 이용하여 응답자의 고정관념이나 주관적인 가치 등으로 인해 변수들 사이의 관계가 왜곡될 수도 있다.

      • 간호사의 폭력경험, 회복탄력성, 조직몰입이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연하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47

        목적: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폭력경험, 회복탄력성, 조직몰입과 재직의도를 조사하고, 재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간호사의 재직의도 향상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는 연구자가 소속된 기관의 기관생명윤리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의 승인을 받아 시행하였다. 자료는 J도에 소재한 2개의 병원에서 1년 이상 근무한 간호사 중 설문에 동의한 간호사를 대상으로 2021년 8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230부가 자료분석에 이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ver.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으로 연구대상자는 모두 여성이었으며, 연령은 29세 이하가 47.8%로 가장 많았다. 결혼 여부는 미혼이 63.9%로 많았으며, 학력은 대학교 졸업이 70.0%로 가장 많았다. 임상경력은 10년 이상이 32.6%로 가장 많았고, 현 부서 근무기간은 1∼3년 미만이 49.1%로 가장 많았다. 직위는 일반간호사가 90.4%로 많았고, 근무부서는 병동이 65.2%로 가장 많았으며, 근무형태는 3교대 근무가 84.8%로 가장 많았다. 둘째, 대상자의 폭력경험은 평균 15.16±13.44점이었고, 하위영역은 언어적 폭력 5.32±4.37점, 신체적 위협 4.73±4.94점, 신체적 폭력은 5.11±6.80점이었다. 회복탄력성은 평균 3.29±0.51점이었고, 하위영역은 강인성 3.11±0.61점, 지속성 3.42±0.54점, 낙관성 3.26±0.69점, 지지력 4.02±0.61점, 영성 2.85±0.74점이었다. 조직몰입은 평균 2.91±0.55점이었고, 하위영역은 사명감 3.03±0.62점, 자긍심 2.88±0.69점, 재직욕구 2.75±0.73점이었다. 재직의도는 평균 5.17±1.34점이었다. 셋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폭력경험의 차이는 결혼여부(p=.033), 임상경력(p=.001), 현 부서 근무기간(p<.001), 직위(p=.014), 근무부서( p=.005), 근무형태(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회복탄력성의 차이는 현 부서 근무기간( p=.024), 직위(p=.003), 근무형태(p=.025)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다섯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조직몰입의 차이는 연령(p=.002), 결혼여부(p=.003), 임상경력(p<.001), 현 부서 근무기간(p=.005), 직위( p<.001), 근무형태(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여섯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재직의도의 차이는 연령(p=.002), 결혼여부(p<.001), 학력(p=.007), 임상경력(p=.026), 직위(p=.001), 근무형태(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일곱째, 대상자의 폭력경험, 회복탄력성, 조직몰입, 재직의도 간의 상관관계에서 재직의도는 폭력경험(r=-.16, p=.014)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회복탄력성(r=.40, p<.001), 조직몰입(r=.49,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여덟째, 대상자의 재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제 변수들의 재직의도에 대한 설명력은 39.4%로 나타났다. 학력(β=0.14, p=.014), 근무형태(β=0.14, p=.041)와 회복탄력성(β=0.17, p=.005), 조직몰입(β=0.40, p<.001)이 재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결과 간호사의 재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은 학력, 근무형태, 회복탄력성, 조직몰입으로 나타났다. 특히 회복탄력성이 높을수록, 조직몰입이 높을수록 재직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규명이 되었다. 따라서 간호사의 재직의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멘토링 및 코칭프로그램, 회복탄력성 강화교육의 제공, 상사의 지지, 간호인력관리 및 역량강화교육 등이 요구된다. Purpose: This study is purposed to investigate the violence experience, resilience, organization commitment, and intention to stay at work for nurses in general hospitals, and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to improve nurses' intention to stay at work by identifying factors affecting their intention to stay at work.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pproval of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of the institution to which the researcher belongs. For the data, a survey was conducted from August 1, 2021 to August 31, 2021 for those nurses who had worked for more than one year at two hospitals located in J‐province, who agreed to the questionnaire, 230 copi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d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the SPSS (ver. 25.0) program.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fo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ll subjects were female, and the age of the subjects was 29 years or younger, which consist of 47.8%, the most. As for marital status, 63.9% were single, and as for education, university graduates accounted for the most at 70.0%. More than 10 years of clinical experience was the most at 32.6%, and those who worked in the current department for less than 1 to 3 years accounted for the most at 49.1%. As for the position, the majority was general nurses (90.4%), and in terms of work department, the ward accounted for the most at 65.2%, and as for the type of work, three‐shift work was the most common at 84.8%. Second, the subjects’ violence experience averaged 15.16±13.44 points, and the sub‐domains were verbal violence 5.32±4.37 points, physical threat 4.73±4.94 points, and physical violence 5.11±6.80 points. The average resilience score was 3.29±0.51 points, and the sub‐domains were tenacity 3.11±0.61 points, persistence 3.42±0.54 points, optimism 3.26±0.69 points, support 4.02±0.61 points, and spirituality 2.85±0.74 points. The average organization commitment score was 2.91±0.55 points, and the sub‐domains were a sense of mission 3.03±0.62 points, self‐esteem 2.88±0.69 points, and desire to work 2.75±0.73 points. The average score for intention of hospital nurses to stay at work was 5.17±1.34 points. Third, as for the differences in violence experienc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rital status (p=.033), clinical experience (p=.001), current department working period (p<.001), position (p=.014), and working department. (p=.005), and work type (p<.001). Fourth, as for the differences in resilience according to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urrent department working period (p=.024), position (p=.003), and work type (p=.025). Fifth, as for the differences in organization commitment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p=.002), marital status (p=.003), clinical experience (p<.001), current department working period (p=.005), position (p<.001), and work type (p<.001). Sixth, as for the differences in intention of hospital nurses to stay at work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p=.002), marital status (p<.001), education (p=.007), clinical experience (p=.026), position (p=.001) and work type (p<.001). Seventh, as for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ubjects’ violence experience, resilience, organization commitment, and intention of hospital nurses to stay at work, the intention of hospital nurses to stay at work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violence experience (r= ‐.16, p=.014), and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resilience(r=.40, p<.001) and organization commitment(r=.49, p<.001). Eighth, in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subjects’ intention to stay at work, the explanatory power of all variables for intention of hospital nurses to stay at work was found to be 39.4%. It was found that education (β=0.14, p=.014), work type (β=0.14, p=.041) and resilience (β=0.17, p=.005), and organization commitment (β=0.40, p<.001)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intention of hospital nurses to stay at work. Conclusion: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edictive variables affecting nurses’ intention to stay at work were found to be education, work type, resilience, and organization commitment. In particular, it was identified that the higher the resilience and the organization commitment, the higher the intention of hospital nurses to stay at work. Therefore, to increase nurse's intention to stay at work, it is necessary to have mentoring, coaching program, provision of resilience strengthening education, supervisor's support, nursing manpower management and competency strengthening education.

      • 종합병원 외래환자의 진료서비스 만족 및 재이용에 관한 연구

        윤대호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ajor factors influencing satisfaction with ambulatory care in a general hospital. The study also aimed to provide basic data to help hospitals offer better medical service to patients, determine directionality to improve their management environments, and take competitive advantage over rival hospitals by presenting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outpatients using a general hospital in Jeollabuk Province. The research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fo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more men (139, 51.9%) than women (129, 48.1%) according to the gender characteristic; there were the most subjects (86, 32.1%) in the age range of 20~29; those who graduated from college were the most at 102 (38.1%); those who visited th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were the most at 97 (36.2%); those who received the second medical examination (179, 66.8%) were more than those who received the first medical examination (89, 33.2%); and those who described their health state as "good in overall" and "average" were the most both at 104 (38.8%). As for the hospit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more hospitals located in city (189, 70.5%) than in gun (79, 29.5%); the highest 106 (39.6%) subjects said that their hospitals had 300~499 beds; the highest 110 (41.0%) said that their hospitals provided medical service in fewer than 15 departments; there were more non-training hospitals (218, 81.3%) than training hospitals (50, 18.7%); and there were more private hospitals (189, 70.5%) than public hospitals (79, 29.5%). Second, differences in the elements to assess satisfaction with ambulatory care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general and hospital characteristics. As fo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doctor's care service, hospital environment, and others turned out to be significant related factors according to gender; the reception procedur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the reception procedure and doctor's care servic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educational background; and hospital environments and other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medical departments. As for the hospital characteristics, doctor's care service, examination and prescription, hospital environment, and others turned out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ed factors according to the hospital location; examination and prescrip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bed; doctor's care service, examination and prescription, hospital environment, other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medical departments; and doctor's care servic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t a training hospital. Third, differences in satisfaction with ambulatory care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general and hospital characteristics. As a resul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atisfaction with ambulatory care according to such general characteristics as age, number of visits, and health state.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mbulatory care according to the hospital characteristics. Fourth, differences in the intention for recommendation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general and hospit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tention for recommendation according to such general characteristics as gender and medical departments. There were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tention for recommendation according to such hospital characteristics as hospital location, number of bed, and number of medical departments. Fifth, differences in reuse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general and hospital characteristics.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use according to such general characteristics as number of visits and such hospital characteristics as hospital location, number of bed, and number of medical departments. Finally, doctor's care service, hospital environment, and other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impacts on satisfaction with ambulatory care, intention for recommendation, and reuse. It is required to provide doctors with an opportunity for ongoing education and training to improve outpatients' satisfaction with care, intention for recommendation, and reuse based on those research findings. It is also needed to monitor the state of internal cleanness constantly and deploy guidance helpers and signposts. Finally, there should be efforts to find ways to reduce waiting time by simplifying the reception procedure and install an institution device such as professional counselors to provide patients with clear explanations about the causes and results of examin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종합병원의 외래진료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문제점 및 개선 방안을 제시하여 환자에게 보다 나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병원의 경영환경 개선의 방향성과 타 병원과의 경쟁에서 우위에 설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 소재 종합병원을 이용하는 외래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과 병원 특성에 대해 살펴보면 일반적 특성에서 성별은 남자가 139명(51.9%)으로 여자 129명(48.1%)보다 많았다. 연령은 20~29세군이 86명(32.1%)으로 가장 많았으며, 학력은 대학교 졸업이 102명(38.1%)로 가장 많았다. 진료과는 내과가 97명(36.2%)으로 가장 많았고, 방문횟수는 재진이 179명(66.8%)으로 초진 89명(33.2%)보다 많았다. 건강상태는 “좋은 편이다” 와 “보통 이다”가 각각 104명(38.8%)으로 가장 많았다. 병원 특성에서 병원 위치는 시 지역이 189명(70.5%)으로 군 지역 79명(29.5%)보다 많았다. 병상 규모는 300~499병상이 106명(39.6%)으로 가장 많았으며, 진료 과목은 15개 미만이 110명(41.0%)으로 가장 많았다. 비수련 병원이 218명(81.3%)으로 수련병원 50명(18.7%)보다 많았으며, 운영 형태는 민간병원이 189명(70.5%)으로 공공병원 79명(29.5%)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일반적 특성과 병원 특성에 따른 외래진료만족 평가요소 차이 분석을 살펴보면 일반적 특성에서는 성별에 따라 의사진료서비스와 병원환경 및 기타 영역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연령에서는 접수절차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학력에서는 접수절차와 의사진료서비스, 진료과목에서는 병원환경 및 기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병원 특성에서는 병원위치에 따라 의사진료서비스와 검사 및 처방, 병원환경 및 기타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병상규모에서는 검사 및 처방이, 진료과목 수에서는 의사진료서비스와 검사 및 처방, 병원환경 및 기타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수련병원에서는 의사진료서비스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일반적 특성과 병원 특성에 따른 외래진료만족도 차이 분석을 살펴보면 일반적 특성에 따른 외래진료만족도는 연령과 방문횟수, 건강상태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반면, 병원 특성에 따른 외래진료만족도 차이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요인은 없었다. 넷째, 일반적 특성과 병원 특성에 따른 추천의향 차이 분석을 살펴보면 일반적 특성에 따른 추천의향 차이에서는 성별과, 진료과목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병원 특성에 따른 추천의향을 분석한 결과, 병원위치와 병상규모, 진료과목 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다섯째, 일반적 특성과 병원특성에 따른 재이용 차이 분석을 살펴보면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재이용 차이에서는 방문횟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으며, 병원특성에 따른 재이용 차이에서는 병원위치와 병상규모, 진료과목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여섯째, 외래진료만족도와 추천의향, 그리고 재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의사진료서비스와 병원 환경 및 기타 영역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기초로 외래환자 진료만족 향상과 추천의향과 재이용의 향상을 위해 의사의 지속적인 교육과 훈련의 기회를 마련해야 한다. 또한 내부 청결상태의 지속적 모니터링과 안내도우미, 표지판 등의 배치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접수절차의 간략화를 통해 대기시간을 줄이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하며, 검사 이유와 결과에 대한 명확한 설명 위해 전문상담사 등의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겠다.

      • Bell's palsy 환자에 대한 양방 치료와 한방 침 치료 협진의 경제성 평가 연구

        이동효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Bell’s palsy환자를 대상으로 한 양방 협진 모델에서 침 치료(Acupuncture)와 양방의 일반 치료(Usual Care)의 병행에 대하여 사회적 관점의 경제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양방의 일반 치료와 한방 침 치료 및 일반 치료의 협진 치료를 비교 대안으로 선정하고, 결정 분석 모형을 이용하였다. 질환의 특성을 고려하여 총 2년 간의 비용-효과 분석을 시행하였다. 각 대안들의 효과는 PubMed,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논문 검색 database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을 실시하여 House-Brackmann 등급을 통한 객관적인 성과 변수 변화 및 건강 관련 삶의 질의 개선 정도를 추출하였다. 직접 비교 임상 시험의 부재로 인하여 비교 대안의 임상적 성과에 대한 간접 비교를 시행하였으며, 그 결과 일반 치료의 효과 추정치는 86.3%, 협진 치료의 효과 추정치는 92.8%로 나타났다. 발병 후 2년 동안 회복되지 않은 안면신경마비 환자의 2년간 QALY(Quality adjusted life year)는 1.572, 3개월 이내 회복된 정상인 환자의 2년간 QALY는 1.9633125로 추정되었다. 비용 추정은 현재 협진이 발생하고 있는 경기도 군포시 소재의 대학 부속 일 종합병원(329병상)과 일 한방병원(71병상)의 진료 기록 및 전문가 자문,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보건복지부, 통계청 자료 등을 근거로 하였으며, 각 대안들에 대한 비용 자료는 2011년 수가로 환산하여 계산하였다. 분석 기간(3개월) 동안 환자 1명당 총 비용은 일반 치료를 하는 경우 691,793원, 협진 치료를 하는 경우 947,113원으로 나타났다. Tree Age Pro 2009 version을 이용하여 비용-효과 분석을 실시한 결과, 일반 치료에 대한 협진 치료의 ICER(Incremental Cost Effectiveness Ratio) 값은 10,038,013원/QALY로 산출되었으며, 비용-효과 임계(Threshold)값 20,000,000원/QALY에 기준하여 침 치료 및 일반 치료의 협진은 양방 일반 치료보다 비용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Bell’s palsy에 대한 결정수형 모델을 완성하였으며, 한 양방 협진 모델에 대한 비용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성과 및 제한점은 향후 실시되는 연구들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Economic Evaluation, Cost Effectiveness Analysis, Bell’s Palsy, Acupuncture, Usual Care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ost-effectiveness of acupuncture in addition to routine care in the treatment of Bell’s palsy. Methods: A decision-analytic model was developed to synthesis evidence on both costs and outcomes for patients with Bell’s palsy. The time frame for the model was 2 years. Model parameters were sourced from systematic review of both alternatives, simple bibliographic reviews of relevant articles published in English or Korea, and statistical analyses of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data,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data, etc. The analyses were based on the societal perspective. Results: The collaborative treatment resulted in better outcomes, but at a relatively high cost. The cost per QALY (Quality adjusted life year) gained was 10,038,013 KRW (Korean rate Won). The collaborative treatment would be more cost-effective than routine care at a threshold of 20,000,000 KRW per QALY. Conclusions: Further empirical studies are requir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uncertainties and improve the precision of the results. Keywords: Economic Evaluation, Cost Effectiveness Analysis, Bell’s Palsy, Acupuncture, Usual Care

      • 중국 초등 무용교육 실태에 따른 초등 무용교사 인식에 관한 연구

        왕우미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47

        이 연구는 중국 초등 무용교육 실태에 따른 초등 무용교사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중국 초등 무용교육을 개선할 수 있는 발전적인 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중국 하북성에 소재한 4개 시에 분포되어 있는 초등학교 무용교사 200명에게 설문지를 배부하고 성실하게 답변한 184부를 사용하였다. 이 연구목적을 규명하기 위하여 사용한 조사도구는 설문지법으로 국내•외 선행연구에서 신뤼도 및 타당도 검증을 실시한 설문지를 요인 분석 등을 통하여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하여 코딩한 설문문항을 통계 프로그램인 SPSS Windows 24.0 Version을 사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독립표본 T검정(t-test)과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으며, 특히 초등 무용교사 모집단으로 설정하여 유층집락무선표집법을 실시하였다. 이에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중국의 초등학교 무용실태는 첫째, 중국의 초등 무용교육의 정과 교육과정은 지식과 기술, 과정과 방법, 감정과 태도 목적으로 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둘째, 방과 후 무용교육은 대표성, 체계성, 수준별 수업, 고난이도 동작, 시설 및 교구재 등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셋째, 타 문화와의 교류 차원인 공연 중심의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움직임을 통한 생활미와 예술미에 대한 느낌, 감상, 창의적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지도자 양성 및 관련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중국 초등 무용교사의 교육시설의 일반적 사항, 교육과정, 교수학습의 각 영역별 인식 수준은 첫째, 시설 등 일반적 사항 인식에 있어 남교사가 여교사보다 긍정적이었으며, 나이가 적을수록 긍정적 인식을 보였다. 경력이 높을수록 긍정적 인식을 보였으며, 사립 교사가 공립 교사보다 긍정적인 인식을 나타내고 있었다. 사범대학 출신 교사가 전문대학, 대학원 이상의 출신 교사보다 긍정적이었으며, 음악 전공 교사가 타 전공교사보다 긍정적인 인식을 보였다. 국가 자격을 취득한 교사가 일반 자격의 교사보다 긍정적인 인식을 나타내고 있었다. 둘째, 교육과정 인식에 있어 남교사가 여교사보다 긍정적이었으며, 나이가 많을수록 긍정적 인식을 보였다. 경력이 많을수록 긍정적 인식을 보였으며, 공립 교사가 사립 교사보다 긍정적인 인식을 나타내고 있었다. 사범대학 출신 교사가 전문대학, 대학원 이상의 출신 교사보다 긍정적이었으며, 체육 전공 교사가 타 전공교사보다 긍정적인 인식을 보였다. 국가 자격을 취득한 교사가 일반 자격의 교사보다 긍정적인 인식을 나타내고 있었다. 셋째, 교수학습 인식에 있어 여교사가 남교사보다 긍정적이었으며, 나이가 많을수록 긍정적 인식을 보였다. 경력이 많을수록 긍정적 인식을 보였으며, 공립 교사가 사립 교사보다 긍정적인 인식을 나타내고 있었다. 사범대학 출신 교사가 전문대학, 대학원 이상의 출신 교사보다 긍정적이었으며, 무용 전공 교사가 타 전공교사보다 긍정적인 인식을 보였다. 국가 자격을 취득한 교사가 일반 자격의 교사보다 긍정적인 인식을 나타내고 있었다. The research's purpose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lementary dance teacher's realization according to Chinese elementary dance education reality to suggest the basic data which is necessary for developed policy to improve the Chinese elementary dance education. To achieve the aim, distribute the questionnaires to 200 dance teachers of the elementary school in four cities of Hebei province, China and use the 184 questionniairs which are answered sincerely. To investigae the reacher's purpose, use the reseach toll of survey method to modify and supplement by factor analyzing the questionnaire which is verified the credibility and validity in advanced research of home and abroad. Carry out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anova by frequency analysis and demography's characteristic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 by using survey question with statistical program SPSS Windows 24.0 Version for data analysis. Specially, set as elementary dance teacher population to implement the oil cluster radio sampling method. Deduct the conclusion below according to this. Chinese elementary school’s dance reality is below. Firstly, Chinese elementary dance education’s required course is constituted of the contents which regard knowledge and technology, process and method, emotion and attitude as purpose. Secondly, the dance education after school concludes the problems of representative nature, organization, differentiated education, difficult action, facility and teaching material, and so on. Thirdly, as other culture’s communication level, performance central’s cultural art education program mainly features. And it needs Systematic leader training and relating program development to cultivate feeling, thought, creation ability to life beauty and art beauty through movement. Chinese elementary dance teacher’s education facility general item, education progress, teaching learning each area recognition level is below. Firstly, about the quality and so on usual item recognition, male teacher is more positive than female teacher and the younger is more positive. The one who has more experience has more positive recognition. The private school teacher shows more positive recognition than public teacher. The teacher graduated from college of education is more positive than the teacher graduated from junior college and over university. Sport major teacher shows more positive recognition than other major teacher. The teacher who has national qualification shows more positive recognition than the teacher who has usual qualification. Thirdly, about the teacher learning recognition, female teacher is more positive than male teacher and the older is more positive. The one who has more experience has more positive recognition. The public school teacher shows more positive recognition than private teacher. The teacher graduated from college of education is more positive than the teacher graduated from junior college and over university. Dance major teacher shows more positive recognition than other major teacher. The teacher who has national qualification shows more positive recognition than the teacher who has usual qualification.

      • 여성의 헤어스타일에 따른 인상형성 및 호감도 : 헤어길이, 앞머리 스타일을 중심으로

        정상빈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대인지각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여성의 헤어스타일을 헤어길이(짧은, 중간, 긴)와 앞머리 스타일(올림, 부분내림, 내림)로 구분하였으며 이러한 헤어스타일 요인들이 지각자 특성(헤어스타일 관심, 헤어스타일 만족도, 일반적 특성)들에 따라 실험모델에 대한 인상형성과 호감도, 연령지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방법은 준 실험연구로 설계되었다.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는 착용자의 인상차원을 알아보기 위한 10장의 자극물 사진과 7점 등간 척도로 구성된 의미미분 척도, 7점 리커트 척도로 구성된 헤어스타일 관심도와 헤어스타일 만족도, 호감도, 연령지각에 관한 척도로 구성되었다. 조사 대상자는 대전 및 지방 소도시에 거주하는 남, 여 대학생 및 일반인 470명으로 편의 표집 되었다. 자료 수집은 2022년 10월 15일∼11월 30일에 진행되었으며, 전문가 집단과의 토의에 의하여 측정도구와 자극물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였고, 신뢰도는 Cronbach'a 분석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 하였으며 측정도구의 타당성 검증 및 실험모델의 인상요인의 구조를 밝히기 위하여 주성분분석과 Varimax 회전법을 사용하여 요인분석을 하였다.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각 독립변인에 따른 실험모델의 인상차이와 호감도, 연령지각을 알아보기 위하여 분산분석과 사후 검증으로 Duncan 다중범위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지각자의 헤어스타일 만족도, 헤어스타일 관심도, 일반적 특성에 따라 인상형성, 호감도, 연령지각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t-검정 및 분산분석과 사후검증으로 Duncan 다중범위검정을 실시하였다. 각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의 적률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여성의 헤어스타일(헤어길이, 앞머리 스타일) 및 지각자의 특성은 인상형성에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가설1>은 지지되었다. 첫째, 실험모델의 인상형성 평가를 위한 요인분석 결과, 온유성, 매력성, 품위성, 역동성, 순수성의 5가지 차원의 인상요인이 도출되었다. 이 중 여성의 헤어스타일의 인상효과를 가장 잘 설명하는 요인은 온유성과 매력성으로 나타났다. 또한 호감도 측정을 위한 요인분석 결과, 내적호감도와 외적호감도로 2가지 차원의 요인이 도출 되었다. 둘째, 헤어길이는 온유성, 매력성, 품위성, 역동성, 순수성 인상요인 순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짧은 머리는 온유성, 품위성, 순수성요인에서 높게 평가되었으며 중간 길이는 역동성요인에서 긴 머리는 매력성, 역동성 요인에서 높게 나타났다. 셋째, 실험모델의 앞머리 스타일은 매력성, 품위성, 순수성 인상요인 순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앞머리를 올림의 경우 품위성, 순수성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부분내림의 경우 매력성 인상요인이 높게 나타났으며 내림의 경우도 매력성 인상요인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지각자의 연령은 품위성 인상요인과 역동성 인상요인에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40대 이상의 연령에서 품위성 인상요인을 가장 높게 평가하였으며 역동성은 30대에서 가장 높게 평가하였다. 또한 지각자의 학력은 품위성 인상요인에 가장 높게 평가 하였으며 대학원 이상에서 가장 높게 평가하였다. 지각자의 전공은 온유성 및 순수성 요인에 영향을 미쳤으며 일반계열 전공에서 높게 평가하였다. 지각자의 결혼 여부는 품위성 및 역동성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품위성은 기혼에서 높게 평가하였으며 역동성은 미혼에서 높게 평가하였다. 2. 여성의 헤어스타일 및 지각자의 특성은 호감도에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가설2>는 지지되었다. 첫째, 헤어길이는 실험모델에 대한 내적 호감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길이가 중간머리, 긴 머리, 짧은 머리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험모델의 앞머리 스타일은 실험모델의 내적 호감도와 외적 호감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내적 호감도, 외적 호감도 모두 실험모델이 앞머리를 부분적으로 내린 스타일로 연출했을 때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올림, 내림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각자의 특성이 호감도에 미치는 영향은 지각자의 내적 호감도, 외적 호감도에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지각자의 헤어스타일 관심도는 내적 호감도와 외적 호감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헤어스타일 관심도가 높은 집단에서 내적ㆍ외적 호감도 모두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중간집단, 낮은 집단 순으로 나타났다. 헤어스타일 만족도는 내적 호감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헤어스타일 만족도가 낮은 집단에서 높게 나타났다. 지각자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호감도의 변화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3. 여성의 헤어스타일 및 지각자의 특성은 연령지각에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가설3>은 지지되었다. 첫째, 실험모델의 헤어 길이와 앞머리 스타일은 실험모델의 연령지각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짧은 길이의 헤어스타일을 연출했을 때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긴 머리, 중간 길이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앞머리 스타일은 앞머리를 올린 헤어스타일을 연출했을 때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내림, 부분내림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지각자의 헤어스타일 관심도 및 헤어스타일 만족도는 실험모델의 연령지각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헤어스타일 관심도가 높은 집단, 중간집단에서 연령을 높게 인식하였으며 중간이거나 높은 집단에서는 연령을 낮게 인식하였다. 헤어스타일 만족도가 높은 집단에서 연령을 높게 인식하였으며 중간이거나 낮은 집단에서는 연령을 낮게 인식하였다. 셋째, 지각자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연령지각은 지각자들의 전공, 월 소득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지각자의 전공이 뷰티ㆍ패션계열 집단에서는 연령을 높게 인식하였으며 일반전공 집단에서는 연령을 낮게 인식하였다. 500만원 이상의 고소득자의 집단에서는 연령을 높게 인식하였으며 월 소득이 100만원 미만으로 저소득자의 집단에서는 연령을 낮게 인식하였다. 4. 독립변수 및 종속변수의 하위 요인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가설4>는 지지되었다. 첫째, 각 독립변수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지각자 특성 및 각 독립변수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지각자 특성 및 각 독립변수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헤어스타일을 통한 여성들의 이미지관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마케팅에 실증적 자료로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또한 미용실무 현장에서 여성의 헤어스타일 연출에 기초 자료로 활용되며 헤어디자인 분야의 체계적인 학문의 발전에 기여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Women's hair styles have been directed and chang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fashion trends or social and cultural trends, and in particular, the hair length and bangs style are important factors in forming a woman's impression formation and likeability, age perception This study classified women's hair styles into hair lengths (short, medium, long) and bangs styles (raised, partially lowered, lowered) based on the interpersonal perception theory, and these hair style factors were identified as perceiver characteristics (hair style interest, hair style). Satisfaction with style, general characteristics), we tried to find out how it affects impression formation, Likeability, and age perception of the experimental model. The research method was designed as a quasi-experimental study. The measurement tools used in the study were 10 stimuli pictures to find out the wearer's impression dimension, a semantic differential scale consisting of a 7-point equal interval scale, hair style interest consisting of a 7-point Likert scale, hair style satisfaction, Likeability, and age perception. made up of scales.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470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and the general public residing in Daejeon and small provincial citie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October 15 to November 30, 2022, and the validity of the measurement tools and stimuli was verified through discussion with expert groups. reliability was verified through Cronbach'a analysis. For the analysis of data,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subjects, and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Varimax rotation metho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measurement tool and reveal the structure of the impression factors of the experimental model. For reliability verification, Cronbach's α coefficient was calculated. Duncan's multi-range test was conducted through analysis of variance and post-hoc verification to find out the difference in impression formation, likeability, and age perception of the experimental model according to each independent variable. Duncan's multi-range test was performed with a t-test, analysis of variance, and post-hoc tests to see if there was a difference in age perception. To find out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 Pearson's moment-moment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t was confirmed that women's hair style (hair length, bangs styl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ceive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mpression formation, and <Hypothesis 1> was supported. First,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for the evaluation of impression formation in the experimental model, five dimensions of impression factors were derived: gentleness, attractiveness, dignity, dynamism, and purity. Among them, gentleness and attractiveness were the factors that best explained the impression effect of women's hair styles. In addition,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for measuring likeability, two-dimensional factors were derived: internal likeability and external likeability. Second, hair length had a significant effect in the order of gentleness, attractiveness, dignity, dynamism, and purity. Short hair was highly evaluated in gentleness, dignity, and purity factors, medium length was highly evaluated in dynamic factors, and long hair was highly evaluated in attractiveness and dynamic factors. Third, the bangs style of the experimental model had a significant effect in the order of attractiveness, dignity, and purity impression factors. In the case of raising the bangs, it appeared high in dignity and purity. Fourth, the age of the perceiver showed a significant result for the dignity impression factor and the dynamic impression factor. Dignity was evaluated the highest in the age of 40 or older, and dynamic was evaluated the highest in the 30s. In addition, the learner's academic background was evaluated the highest in the dignity impression factor, and the graduate school or higher was evaluated the highest. The major of the perceiver had an effect on the factors of gentleness and purity, and was highly evaluated in general majors. The marital status of the perceive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dignity and dynamism. Dignity was highly evaluated in married people, and dynamic was highly evaluated in unmarried people. 2. It was confirmed that women's hair styl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ceive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likeability, and <Hypothesis 2> was supported. First, the hair length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rnal preference for the experimental model, and the length appeared in the order of medium, long, and short hair. Second, the bangs style of the experimental model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rnal and external likeability of the experimental model. Both internal likeability and external likeability were the highest when the experimental model styled the bangs partially lowered, followed by raising and lowering. Third, the eff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ceiver on the likeability was found to be significant for the internal liking and external likeability of the perceiver. Perceiver's interest in hair styl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nternal and external likeability. The group with high interest in hair style showed the highest both internal and external likeability. It appeared in the order of middle group and low group. Hair style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nternal likeability, and was higher in the group with low hair style satisfaction.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 in the change in likeability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erceivers. 3. It was confirmed that women's hair styl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ceive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ge perception, and <Hypothesis 3> was supported. First, the hair length and bangs style of the experimental model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xperimental model's age perception. It appeared the highest when short-length hair style was produced, followed by long hair and medium-length hair. The bangs style was the highest when the bangs were raised, followed by lowering and partial lowering. Second, the perceiver's interest in hair style and satisfaction with hair styl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ge perception of the experimental model. Age was perceived as high in the group with high interest in hair style and middle group, and age was perceived as low in the middle or high group. Age was perceived as high in the group with high satisfaction with hair style, and age was perceived as low in the middle or low group. Third, the age perception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erceive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major and monthly income. Age was perceived as high in the beauty·fashion group as the major of the perceiver, and age was perceived as low in the general major group. Age was perceived as high in the high-income group of 5 million won or more, and age was perceived as low in the low-income group with monthly income of less than 1 million won. 4.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sub-factors of the dependent variable, and <Hypothesis 4> was supported.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each independent variable.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perceiver characteristics and each independent variable.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perceiver characteristics and each independent variabl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women's image management through hair styles and be used as empirical data for marketing.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used as a basic data for women's hair style creation in the beauty practice field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ystematic studies in the field of hair desig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