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과 유비에 의한 은유

        안상욱 숭실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고의 주제는 유비에 의한 은유가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에서 중심적인 위치를 부여받는 이유를 밝히는 데 있다. 그리고 이 문제를 취급함에 있어서 은유의 일반적 기능과 유비에 의한 은유의 고유한 기능을 분리하여 살펴보았다. 즉 유비에 의한 은유가 강조되는 이유에 관해 한편으로는 은유의 일반적인 기능에 무게를 두고 고찰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유비에 의한 은유의 고유한 기능에 무게를 두고 고찰하였다. 유비에 의한 은유가 『수사학』에서 강조되는 이유는 그 두 가지 영역 가운데 하나 혹은 양자에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본고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문제에 접근하였다. 은유가 공유하는 일반적인 특성으로 미루어 볼 때 유비에 의한 은유가 『수사학』에서 강조되는 까닭은 무엇인가?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유비에 의한 은유의 고유한 특성으로 미루어 볼 때 그 까닭은 무엇인가? 제기된 문제에 대한 본고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은유 일반이 갖는 기능의 차원에서 볼 때, 유비에 의한 은유가 『수사학』에서 강조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비에 의한 은유는 대비와 생생함을 가장 탁월하게 수반하며 이에 따라 세련된 표현 또한 가장 탁월하게 달성하는 주요 수단이 될 수 있다. 둘째, 유비에 의한 은유는 대비와 생생함을 가장 탁월하게 수반함에 따라 더욱 적은 말 속에서 더욱 많은 이해를 가져오고 연설가의 주장 혹은 요점을 즉각적인 시각화 속에서 빨리 '볼 수 있도록' 도와 청중의 빠른 이해를 돕는 측면에서 가장 효과적이다. 셋째, 유비에 의한 은유는 세련된 표현과 빠른 이해를 통해 청중의 즐거움에 가장 크게 봉사하며 이때 즐거움은 모든 문체론적 장치들의 목표이자 청중이 연설을 경청하도록 하고 연설가의 주장을 선택하도록 하는 원동력이다. 다른 한편으로, 유비에 의한 은유의 고유한 기능의 차원에서 볼 때, 유비에 의한 은유가 『수사학』에서 강조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비에 의한 은유는 간단히 규정할 수 없고 적절한 명칭을 갖지 못한 개념에 대해서 카타크레시스라는 특별한 작용을 통해 대안적인 설명을 가능케 함으로써 해당 개념에 대한 청중의 이해를 돕는다. 둘째, 유비에 의한 은유는 주제에 대해 무지한 청중들로부터도 효과적으로 이해를 이끌어낼 수 있다. 셋째, 유비에 의한 은유는 연설 속에서 청중이 자신의 지성을 통해 스스로 무지에서 벗어났다는 생각을 갖게 하고 그들이 연설에서 느끼는 이해의 즐거움을 박탈하지 않으며 온전히 보전해주는 기능을 한다. The theme of this study is the verifying why the metaphor by analogy is given a central role in the Rhetoric, which was authored by Aristotle. While dealing this issue, this study explored the general function of metaphor and the unique function of metaphor by analogy. In other words, the reason why the metaphor by analogy is emphasized was explored by focusing on the general function of metaphor and also by focusing on the unique function of metaphor by analogy; because the reason of metaphor by analogy being emphasized in the Rhetoric must be one of the two or both two. Accordingly, this study suggested the issues in the following sequence. Why the metaphor by analogy is emphasized in the Rhetoric in view of general characteristic shared by metaphor? On the other hand, why the metaphor by analogy is emphasized in the Rhetoric in view of unique characteristic held by metaphor by analogy?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on the suggested issues is as following. When viewed in the dimension of the function held by general metaphor, the reasons of metaphor by analogy being emphasized in the Rhetoric are as following. First, metaphor by analogy accompanies contrast and vividness in excellent way; therefore, it can be a major means in achieving refined expression in excellent way. Second, Since metaphor by analogy accompanies contrast and vividness in excellent way, it can achieve more understanding with less words; therefore, it is very effective in helping the fast understanding of audience by enabling the audience 'see' the argument or key point of the speaker earlier by immediate visualization. Third, metaphor by analogy greatly serves the joy of audience by way of refined expression and fast understanding; at which time the joy is the objective of all devices in stylistics and the driving power to have the audience listen to the speech attentively and choose the argument of the speaker. Meanwhile, when viewed in the dimension of unique function held by metaphor by analogy, the reasons of metaphor by analogy being emphasized in the Rhetoric are as following. First, metaphor by analogy helps the understanding of audience on the concept, which does not have proper name and which is difficult to define in simple way, by enabling an alternative explanation by way of the unique process called 'catachresis'. Second, metaphor by analogy can effectively draw the understanding on the theme from ignorant audience. Third, metaphor by analogy lets the audience think during the speech that it escaped from ignorance by itself through its intelligence. Metaphor by analogy does not deprive audience of the joy of understanding felt in the speech and it has the function of keeping it in its entirety.

      • 몽골의 외국인 투자 관련 제도에 관한 연구 : 몽골의 외국인 투자법을 중심으로

        오양가 숭실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31

        전 세계가 몽골의 경제성장을 주목하고 있다. 몽골은 1990년대 초 체제전환과정에서 상당한 사회·경제적 진통을 경험하였지만, 비교적 짧은 시간 내에 시장경제를 정착시키면서 2000년대 중반 연평균 약 9%의 고속성장을 이루었다. 비록 글로벌 금융위기로 인해 성장률이 급격하게 하락하기는 하였지만, 신속하게 성장세를 회복하여 2013년에는 12.5%라는 경이적인 성장률을 기록하였다. 이에 따라 최근 몽골에 대한 국제적 평가도 현저히 달라지고 있다. 주요 국제기구 및 평가기관들은 몽골의 경제성장에 대한 낙관적인 전망을 내놓고 있으며, 몽골에 대한 외국인투자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제는 인접국인 중국과 러시아 외에 일본, 캐나다, 미국, 한국, 심지어 유럽 국가들도 몽골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를 감지한 몽골정부 역시 기존의 광물자원 개발뿐만 아니라 인프라 건설, 제조업 등으로 외국인투자 유치를 확대하기 위해 백방으로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상황 변화에도 불구하고 몽골경제에 대한 연구는 국제기구의 통계 분석 위주의 보고서를 제외하면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국내에서는 이러한 경향이 더욱 심하여 대부분의 연구가 광물자원의 개발 현황 및 잠재력 평가에 그치고 있다. 1990년대 초 체제전환과정에서 몽골은 새로운 금융시스템을 도입하였지만, 정부의 정책 실패, 금융 전문 인력의 부족, 금융소비자인 일반 국민들의 도덕적 해이로 인해 많은 시행착오를 겪어야만 했다. 그러나 몽골경제의 성장잠재력과 금융시장 선진화를 위한 정부의 제도 개선 노력으로 금융시스템은 점차 안정을 되찾고 있다. 또한 여러 평가기관에 따르면 몽골의 실물경제규모는 2016년까지 3배 이상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고, 이에 따라 금융시장 규모도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The whole world has been keeping its eye on Mongolia’'s economic growth. Although Mongolia has experienced considerable socio-economic instability during the process of the regime transition in the early 1990s, it has managed to establish the market economy in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and reached an annual average growth of 9% in the mid 2000s. Despite the rapid fall in the growth rate due to a global financial crises, Mongolia has quickly recovered its trend to accomplish astonishing 17.4% in 2011. For such reasons, the international assessment on Mongolia has undergone noticeable changes. Leading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assessment institutions are presenting optimistic prospects for Mongolia’'s economic growth, while foreign investments into Mongolia continue to increase. With such changes in Mongolia’'s investment environment, expanding opportunities for market entry has become an urgent issue for Mongolian businesses. Given such background, this research provides a systematic analysis of Mongolia’'s overall investment environment, and identifies management situation and difficulties of Korean firms in Mongolia, in order to elicit ideas for specific measures and policy implications in order to expand market entryby Mongolian businesses. ‘'Mongolian investment environment,’' analyzes in detail the overall investment environment of Mongolia, along with its infrastructure, labor system, and legal and institutional structures. Despite its vast territory, Mongolia is a country with a small population and generally poor infrastructure. For such reasons, the Mongolian government is increasing its investment in infrastructure for railway and road expansion, expansion of airway services, securing energy supply,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development according to its mid-term national development strategy.

      • 교사의 다문화 감수성, 다문화교육 인식 및 실천수준의 관련성 연구

        허호경 숭실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의 목적은 초․중학교 교사의 다문화교육 역량의 세부요인인 다문화 감수성, 다문화교육 인식 및 실천수준의 관련성을 규명하고, 교사의 특성에 따른 요인 간 차이와 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만족도에 대하여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문제는 첫째, 초․중학교 교사의 다문화 감수성, 다문화교육 인식 및 실천수준 간 관련성이 있는가, 둘째, 초․중학교 교사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다문화 감수성, 다문화교육 인식 및 실천수준에 차이가 있는가, 셋째, 초․중학교 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어떠한가로 설정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 경기 및 제주 지역의 초․중학교 교사 445명이었으며, 설문 응답 431부가 최종적으로 분석에 활용되었다. 자료 분석 방법으로 내적일관성 신뢰도지수인 Cronbach’s α 계수 산출, 상호관련성 확인을 위한 단순상관분석(Pearson’s correlation)과 정준상관분석(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기술통계(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와 독립표본 t-test,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통계적 유의 수준은 95%로 설정하였다. 다음은 연구결과에 나타난 주요 내용이다. 첫째, 다문화 감수성, 다문화교육 인식 및 실천수준 간 관련성이 있음을 확인했으며 그 하위요인 간에도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교사의 일반적 특성에서 다문화 감수성은 성별, 연령, 교직 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다문화교육 인식은 근무 지역 및 담임 여부의 일부 하위요인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다문화교육 실천수준에서는 성별, 교직경력, 최종학력, 근무 기관, 직위, 담임여부와 연령의 일부 하위요인에 따라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 교사의 다문화교육 관련 경험에서 다문화 감수성은 다문화가족 학생 지도 경험 및 기간, 교사 연수 기간(다문화교육 관련)과 지도한 다문화가족 학생 수의 일부 하위요인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다문화교육 인식은 다문화가족 학생 지도 경험과 교사 연수 기간의 일부 하위요인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다문화교육 실천수준은 다문화가족 학생 지도 경험 및 학생 수, 다문화교육 관련 교사 연수 경험에서 그러하였다. 셋째, 교사들은 다문화교육 연수가 다문화에 대한 인식 개선과 다문화가족 학생의 학교생활 적응 및 생활지도 상담 등에는 도움이 되나, 현장 적용 및 활용이 어려우며 교사의 다문화교육 이해와 필요성 인식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현장에서는 행․재정적인 도움뿐만 아니라 연수 커리큘럼과 다문화 내용의 변화가 시급하다. 따라서 학습자료 및 적용방법과 같은 다양한 다문화교육 자료와 더불어, 지도안 및 매뉴얼 등의 개발․보급에 힘써야 한다. 또한 이론 중심의 교육보다는 타문화 이해와 타문화 사람들과의 소통을 위한 체험 활동, 다문화교육의 경험담 및 실제 사례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사 대상의 다문화교육 연수 기회의 증가와 의무화를 주장하였다. 결론적으로, 다문화가족 및 비다문화가족 학생 모두에게 다문화교육은 필수가 되어야 하며, 교육 현장에서의 보다 효과적이고 바람직한 다문화교육을 위하여 교육의 촉진자인 교사의 다문화교육 역량 간 상호관련성과 특성 별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교사의 일반적인 특성과 다문화교육 관련 경험에 따라 현행하는 다문화교육 분석과 학습자의 요구가 반영된, 모두를 위한 다문화교육이 시행 될 수 있도록 보다 체계적이고 심도 있는 해결안이 제시된 연수를 제공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multicultural capability in terms of sensitivity towards multiculturalism, awareness towards multicultural-education and level of practice and to verify relations among these factors. In addition, this study intends to discover a gap among these three factors, based on teachers' demographics in multicultural-education. Lastly, this study analyzes the satisfaction in multicultural-education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In order to achieve these goals, this study examined the following; First, there is a correlation among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sensitivity towards multiculturalism, awareness towards multicultural-education and the level of practice; Secondly, there are change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sensitivity towards multiculturalism, awareness towards multicultural-education and the level of practice, depending on their demographic factors; Lastly, how is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satisfaction about school's multicultural-education measured.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431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throughout Seoul, Gyung-gi and Jeju. For statistical purposes, we used SPSS 18.0 for Windows, and for main statistical methods, we used Cronbach's α (a coefficient of internal consistency), Pearson's correlation to measure correlation,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percent ratio,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The Statistical level of significance was set at 95%.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e following. First, there is a correlation among sensitivity towards multiculturalism, awareness towards multicultural-education and the level of practice. This study also discovered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the sub factors. Secondly, teachers' general background, sex, age and teaching experience were a significant factor in sensitivity towards multiculturalism. The awareness towards multicultural-educa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hool location and whether a teacher has homeroom or not. Sex, age, teaching experience, the highest level of education, working place, position and whether a teacher has homeroom or not was a significant factor in level of practice in multicultural-education. With regards to the level of experience with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teachers' experience and the length of experience with students, the length of training in multicultural-education, and the number of students they taught was a significant factor in sensitivity towards multiculturalism. The teachers' experience with students and the length of training in multicultural-education was a significant factor in awareness towards multicultural-education. The teachers' experience with students and the number of students they taught, and whether teachers had received training for multiculturalism was a significant factor in level of practice in multicultural-education. Thirdly, teachers are in need of guidelines or manuals for multicultural-education. Various materials for multicultural-education can be provided by devising the ways of developing and applying educational materials. Teachers also brought the need of sharing actual experience and case studies that include field work and many variables in order to understand an communicate with students of different cultures, instead of theory-based education. Lastly, teachers raised an opinion that they should have more opportunities for training in multicultural-education and such training should become compulsory. In conclusion, multicultural-education should be mandatory for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non-multicultural families and it was identified that there is a correlation among multicultural-education capabilities of teachers, facilitators of education, and there is a difference based on a teacher’s background. Based on these findings, the current multicultural-education should be analyzed depending on teachers’ general background and experience related to multicultural-education and training providing more systematic and in-depth solutions should be offered for multicultural-education for meeting the needs of all students.

      • 창의성 수업이 대학생의 창의성과 인지적 학습역량에 미치는 영향

        송윤숙 숭실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3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hat effect of experience taking a creativity class on creativity and cognitive learning competence of college students. This study aims at finding an correlation between creativity and cognitive learning competence of experience taking a creativity class of college students. The concrete topics under this objective are as follows: First we figured out differences of creativity and cognitive learning competence -knowledge, cogitation, creativity and problem solving skill- of college students who take the creativity class. Second, we confirmed differences of creativity and cognitive learning competency of the personal background -gender, grade, and major-. Finally, we verified relations between sub-variables of creativity and cognitive learning competence of college students.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tegrated Creativity Test for College students’ and Learning Competence Test-Cognition,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Behavior(LCT-CMB) for college students’ was used the college students to 653 college students in Seoul. The method used in this research were factor analysis,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First, creativity and cognitive learning competence of collage students who took the creativity class is higher than others so that the class has been proven to work. Second, creativity and cognitive learning competence of college students was different between backgrounds -gender, grade and major-. In other words, creativity and cognitive learning competence of female of college students was higher than male students and upper grades were higher too. Also engineering or art and physical affiliation students were higher than social and human sciences students. Third, relations between sub-variables -knowledge, cogitation, creativity and problem solving skill- of creativity and cognitive learning ability of college students have positive relationship on each sub-variables. In other words creative capability increases so cognitive learning competence will develop organically closely. In conclusion, it was verified effect of the creativity class to improve creativity and cognitive learning competence. Meanwhile for improving creativity and cognitive learning competence of college students through experience taking the creativity class because of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learning competence and creativity, we open variety of course stage by stage and run from when they enter a college then students will be able to improve their capacity. In addition, according to curriculum of the college, the stature of University will be able to increase as a professional educational institution that cultivates people of creative talent that our society needs. Therefore, we need to development variety of creativity program making use of a number of creativity cogitation technique in college education to approach creativity education of college students practically.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창의성 수업 경험 유무에 따라 창의성과 인지적 학습역량에 있어서 어떤 차이가 있는지 검증함으로써 대학에서의 창의성 수업의 필요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창의성 수업 경험에 따라 대학생의 창의성과 인지능력 간에는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창의성수업 경험에 따른 대학생의 창의성, 인지적 학습 역량(지식 및 사고, 창의, 문제해결)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둘째, 대학생의 개인배경(성, 학년, 전공)에 따라 창의성과 인지적 학습역량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셋째, 대학생의 창의성 및 인지적 학습역량의 하위변인 간에 관계는 어떠한 지 등을 연구문제로 설정하여 이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지역 653명의 대학생으로 이들에게 대학생용 통합 창의성 검사와 학습역량 검사 중 인지영역 검사 실시하였고, 통계처리를 위해 t-test와 일원분산분석(ANOVA), Pearson’s의 상관계수를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창의성 수업을 수강한 대학생들이 수강하지 않은 학생들보다 창의성과 인지적 학습능력이 높게 나타나 수업의 효과가 입증되었다. 둘째, 대학생의 창의성과 인지적 학습역량은 개인배경(성, 학년, 전공)에 따라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즉, 창의성과 인지적 학습역량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높았으며, 고학년일수록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인문사회계열보다 공학이나 예체능 전공계열의 대학생들이 훨씬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창의성 및 인지적 학습역량의 하위변인(지식과 사고, 창의역량, 문제해결)간에는 모든 하위 변인 간에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즉, 창의성은 창의적 역량이 높아지면, 인지적 학습역량은 유기적으로 밀접하게 발달됨을 설명하는 결과였다. 결론적으로 대학생의 창의성과 인지적 학습역량을 향상시키기에 창의성 수업이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인지적 학습역량과 창의성 간에는 유기적인 정적 상관관계가 있으므로 창의성 수업 경험을 통해 대학생의 창의성과 인지적 학습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대학에 입학할 때부터 단계적으로 다양한 교과목을 개설하여 운영한다면 학생들의 역량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대학의 교육과정 운영이 어떠한지에 따라 우리 사회가 필요로 하는 창의적 인재를 양성하는 전문교육기관으로서 대학의 위상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대학생의 창의성 교육이 현실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대학교육에서의 여러 가지 창의적 사고기법을 활용한 다양한 창의성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한국 남성과 연애결혼한 몽골 여성들의 한국 문화 적응 경험에 관한 연구

        바타르자우 뭉흐자르갈 숭실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31

        ABSTRACT A Study on Adaptation Experiences to Korean Culture of Mongolian Women who had Love Marriage with Korean Men Baatarjav Munkhjargal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Soongsil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life experiences of Mongolian women who married Korean men through ‘dating' and are living in Korea, and essence of adaptation experiences and its meaning by using a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10 Mongolian women who married with Korean men after dating were selected as the study participants for about 3 months from June, 2010 to September, 2010, to find meaning and essence of adaptation experiences though in depth interview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Participants of the study met their husband at work and school as they came to Korea as international students or workers, or some of them met their husband in their native country, fell in love, got married, and came to Korea. All participants met their husband in a condition to communicate in Korean naturally, and they learned Korean language and culture through professional way from their native country, going to an international language school in Korea, or watching drama or entertainment programs from TV. Study participants experienced confusion at the early stage of life in Korea as knowledge, values, culture, and lifestyle were different from what they knew. They felt social cultural differences such as food, climate, and lifestyle, they suffered from physical․mental pains due to difference in culture of Korea and Mongolia in process of pregnancy․childbirth․nurturing children, or they experienced conflict with their husband's family because of difference in nurturing children. In relationship with a family, they had same conflicts between wife and husband and mother-in-law and daughter-in-law as normal couples excluding small cultural difference that comes from their attribute as 'foreigner'. Participants complimented diligent, attentive, and strong responsibility for family sides of Korean men, but on the other hand, they also criticized indifference and no participation in 'dividing housework' of Korean men who prefer patriarchal culture. Most of participants feel uncomfortable about excessive interference and privacy violation of mother-in-law and there were many cases of being exempted or disregarded as they are perceived as 'a person who came from undeveloped country, or a dull person'. However, they were naturally accepting cultural differences as time passed and finding solutions for conflicts that occur in relationship with in-law family and husband in concession and understanding through conversation.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maintaining continuous relationship with their family back home through communication mediums like phone, email, and video chat and through this, they asked for consolations or advices about relationship with husband or in-law family, or process of nurturing children. Participants had formed proper relationship with friends from their native country, college friends, and colleagues from the work and they obtained many knowledge about Korean culture through its relationship. However, there were some cases to be close with surrounding Korean people due to excessive amount of interest that is close to violating one's privacy and Korean people's conversation behind people's back. They are receiving civil convenience and services provided by the government, civic group, public institution, and local government through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internet and neighbors and they were mostly satisfied. Participants were maintaining cultures of their native country through various ways as living in Korea. They taught and shared food, traditional culture, living custom, and traditional games to their family and friendly including in-law family. Interest of spouses of the participants were shown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individual. There were some husbands who actively learn about native cultures of their wife, sometimes taking gifts on holidays or special days of Mongolia, or trying to experience living or doing business in their wife's native country.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some husbands who do not know much about their wife's native country or do not have interest. Moreover, interest of in-law family on foreign daughter-in-law was difference according to the individual, but most of them did not know about native culture of daughter-in-law. Participants pointed out 'communication' as the most helpful thing for them to adapt to life in Korea, and selected husband, friends from their native country, various services for residents by the government of Korea, and benefits of policies for married women immigrants in order. ‘Communication' for them was a valuable fruit that lead them to meet their husband and taught them about culture and people of Korea. They pointed out discrimination against foreigners, prejudice against married women immigrants, and difficulty of employment as the disturbance factors for adapting to life in Korea. In particular, discriminative treatment receiving from the reason that 'they are from underdeveloped country', perception as 'uneducated person who came from a poor country, a dull person', and generalization of thinking married women immigrants have 'married Korean men just to live well in Korea' are giving negative awareness about Korean society to married women immigrants. This prejudice existed even among people who are working at multi-cultural institutions for married women immigrants. Meanwhile, prejudices of native people in Korea or people from their native country on them are affecting their adaptation on Korean life negatively. Korean press and Mongolian press are covering bad cases about married women immigrants recently, and Mongolian women who are married to Korean men are perceived to be beaten by their husbands, and Korean men are perceived as 'abuser, alcohol addict, and mental patient', which leads to deterioration of images of Korea. Lastly, it was difficult for participants to find jobs that can nurture their aptitude even though they had high academic background, speak Korean fluently, and graduated from university or graduate school from their native country or Korea. They do not agree with the fact that they have to give up their nationality to work in regular Korean companies.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worthy of notice as they are Mongolian women who had 'love marriage' with Korean men. The precedent studies are concluding the reason for married women immigrants to marry Korean men is 'to escape from poverty' by emphasizing the native countries of them are 'underdeveloped countries'. However, as it is shown in this study, international marriage can be achieved due to 'love', not economical reason, and adaptation experiences and processes of married women immigrants show different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process and form of marriage. Necessity of reinforcement of monitoring about negative lopsided report of the press, preparation of a systematic device, enhancement of openness and positive perception on multi-culture of the Korean society, improvement of employment policy for the married women immigrants, and development of various kinds of occupations for successful adaptation of married women immigrants was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of study. 국문초록 한국 남성과 연애결혼한 몽골 여성들의 한국 문화 적응 경험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학과 바타르자우 뭉흐자르갈 지도교수 김경미 본 연구는 현상학적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해서 ‘연애’를 통해 한국인 남성을 만나 결혼하고 한국에서 살아가는 몽골여성들의 한국에서의 생활 경험은 어떠하며, 그들의 적응 경험의 본질과 그 의미는 무엇인지를 탐색하는데 연구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를 위해 2010년 6월부터 9월까지 약 3개월간 한국인 남성과 연애 결혼한 몽골여성 10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적인 면담을 통해 적응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참여자들은 유학생이나 노동자로 한국에 들어와서 직장 및 학교에서 남편을 만나거나 모국에서 장기간으로 체류 중이던 남편을 만나 연애를 통해 결혼하고, 이후 한국에서 살고 있었다. 참여자들은 한국어로 자연스럽게 의사소통을 하는 상태에서 남편을 만났으며, 한국말을 전문적으로 배우거나, TV를 즐겨 시청하면서 드라마나 예능 프로그램들을 통해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언어와 한국 문화를 독학으로 배웠다. 연구 참여자들은 한국생활 초기에 자신들이 알고 있는 지식, 가치, 문화 그리고 생활양식이 달라서 혼돈을 겪었다. 그들은 한국에서 음식, 기후, 전통, 생활 습관 등 사회문화적 차이를 느꼈고, 임신․출산․자녀 양육 과정에서 한국과 몽골의 문화 차이로 인해 신체적․심리적인 고통을 겪기도 하고, 또는 양육 방식의 차이 때문에 시댁가족들과 갈등을 겪기도 했다. 가족과의 관계에서는 참여자들이 ‘외국인’이라는 특성상 작은 문화적인 차이를 제외하고는 일반 부부들이 겪는 부부간의 갈등과 고부간의 갈등을 겪고 있었다. 참여자들은 한국 남자들의 부지런하며, 자상하고, 가족에 대한 책임감이 강한 면을 칭찬하고 있었으며 한편, 가부장적 문화를 선호하는 한국 남성들의 ‘가사분담’면에서의 무관심, 불참여에 대해서 비판하기도 했다. 시댁과의 관계에서는 참여자들의 대부분이 시어머니의 지나친 간섭과 사생활 침해를 불편해 하고 있었으며 시댁가족들에게 ‘후진국에서 온 사람, 모자란 사람’으로 인식되기 때문에 가족 내에서 중요한 문제 결정 등에서 제외되거나 무시당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참여자들은 시간이 지나면서 문화적인 차이를 편안하게 이해하고,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고, 시댁 및 남편과의 관계에서 일어나는 갈등을 서로 대화를 통한 양보와 이해 속에서 해결점을 찾고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모국에 있는 친정가족들과 전화나 이메일, 화상 채팅 등 커뮤니케이션 매체를 통해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관계를 통해 남편 및 시댁과의 관계나 자녀 양육 과정에 대해서 위로나 조언을 얻고 있었다. 참여자들은 모국의 친구, 대학 동기, 직장 동료들과 적절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었으며 그러한 관계를 통해 한국 사회에 대한 다양한 지식을 얻고 있었다. 하지만 한국 사람들의 사생활 침해에 가까운 지나친 관심과 뒷담화 때문에 주변 한국 사람과 관계 맺기를 부담스러워 하는 경우도 있었다. 참여자들은 인터넷이나 이웃을 통해 얻은 정보들을 통해 정부나 시민단체, 공공기관, 지자체에서 제공하는 민원편의 및 서비스들을 잘 받고 있는 편이었으며 대체로 만족하고 있었다. 참여자들은 한국에 생활하면서 다양한 방법으로 모국의 문화를 유지하고 있었다. 그들은 모국의 음식, 전통 문화, 생활 풍습, 전통 놀이에 대해서 가족이나 친구들뿐만 아니라 시댁식구들에도 전수하여 공유하기도 하였다. 참여자의 배우자들은 아내의 모국 문화에 대한 관심은 개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아내의 모국 문화에 높은 관심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배우거나, 몽골의 명절이나 특별한 날에 먼저 선물 등을 챙겨 주기도 하고, 아내의 모국에서 사업이나 생활을 경험하고자 하는 남편이 있는 반면에 아내의 모국에 대해서 잘 모르거나 관심을 안 갖는 남편도 있었다. 또한, 외국인 며느리의 모국 문화에 대한 시댁식구들의 관심도 개인에 따라 달랐지만 대부분은 며느리의 모국 문화에 대해서 모르거나 잘못 알고 있었다. 참여자들의 한국 생활적응에 도움이 되는 지지 요인은 ‘의사소통’, 남편, 모국 친구, 그리고 한국 정부의 주민들을 위한 다양한 복지 서비스이었다. 참여자들은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많이 강조하고 있었으며 한국말을 배웠기 때문에 남편을 만날 수 있었고, 지금의 삶을 살아가고 있다고 하였다. 반면에, 그들의 한국 생활적응에 방해가 되는 장벽은 외국인에 대한 차별, 여성결혼이민자들에 대한 편견, 취업의 어려움 등이었다. 특히 ‘후진국에서 온 사람’이라는 이유로 받는 차별적인 대우와 ‘가난한 나라에서 온 모자란 사람’이란 인식과, 이러한 인식 때문에 여성결혼이민자들을 ‘한국에서 잘 살기 위해 한국 사람이랑 결혼했다’고 일반화시키는 것은 여성결혼이민자들에게 한국 사회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게 하였다. 이러한 편견은 일반 사람들뿐만 아니라 여성결혼이민자들을 위해 종사하는 다문화 관련 기관에서 일하는 실무자들에게도 존재하고 있었다. 또한, 참여자들의 한국에 있는 모국 사람들이나 모국에 있는 사람들의 자신에 대한 편견들이 그들의 한국 생활 적응에 불리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한국이나 몽골의 언론에서 여성결혼이민자들에 대한 안 좋은 사례만 다루고 있어, 한국으로 시집간 몽골 여성들은 무조건 남편한테 매 맞고, 폭력을 당하는 여성으로 인식되며, 한국 남자들은 ‘폭력자, 알코올 중독자, 정신병자’로 인식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참여자들은 아무리 학력이 높고, 한국말이 가능하고, 모국이나 한국에서 대학교, 대학원까지 나왔지만 국적이 ‘한국인’이 아니라는 이유 때문에 자신의 전문성을 살릴 수 있는 일을 찾기 쉽지 않았으며 취업의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한국인 남성과 ‘연애결혼’을 한 몽골 여성이라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선행 연구들을 보면, 여성결혼이민자들의 모국이 ‘후진국’이란 점을 많이 부각시켜서 그들의 한국인 남성과 결혼하는 이유를 ‘가난에서 탈출하기 위한 방법’으로 단정하고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국제결혼도 경제적인 이유가 아닌 ‘사랑’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여성결혼이민자들의 한국 사회 적응 경험 및 과정은 결혼과정과 형태에 따라 매우 독특한 특성을 보인다고 생각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여성결혼이민자의 성공적인 적응을 위해 언론의 부정적 편파보도에 대한 모니터링 강화 및 제도적 장치 마련, 한국 사회의 다문화에 대한 개방성 및 긍정적 인식 증진, 그리고 여성결혼이민자들을 위한 취업 정책 개선 및 다양한 직종 개발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 중국 녹색 물류제도와 한국 녹색 물류기업의 진출전략에 관한 연구

        동뢰뢰 숭실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31

        It is recognized that the protection of the environment is becoming more and more important. Environmental protection in the distribution system should be put forward progress. So Green Logistics as an important component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socio-economic development of the quality of human life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raising. China is one of the countries that has accomplished the fastest economic growth after 2001 WTO accession along with reform and opening up, and many foreign corporations and Korean corporations entered the market which made Chinese logistics market to greatly develop and change. Especially, it can be noted that the expansion of domestic demand and industrial upgrading through the income increase as part of their 12th 5-year economic development plan, are their core banners, and it can be understood that many foreign corporations and Korean corporations are entering the Chinese logistics industry as the strategy for China's domestic market and hub entering strategy. Accordingly, the Chinese logistics industry, as one of the core industries ,is rapidly growing through relaxation of regulations of foreign logistics corporations, or the designation of enhancement of logistics of Chinese government and green logistics, and the foreign corporations and Korean corporations are also moving up the market entry. This research is composed of 6 parts in total. In the first chapter, the goal, methods, and previous researches will be examined, and in the second chapte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logistics, Green Logistics overview, concepts, definitions, causes and Green Logistics factors and describes the meaning of the previous studies in the field of technology. In the third chapter, the current status of China Green Logistics review and examines the status of the logistics sector in China. China Green Logistics development characteristics, background and needs, and plans for the development of Green Logistics in China, and the field was in the previous studies are described. In the chapter4, the development of Green Logistics in Korea and China, the implications for research in the field of technology are described and in chapter 5 the strategies of Korean logistics corporations will be examined through the business strategy among Korean Green Logistics corporations, through case analysis, and business strategy and SWOT analysis, and the strategies of Korean Green Logistics corporations for entering China's Green Logistics market .In the last chapter6, the conclusion will be made. 전 세계적으로 환경자원의 악화가 심해짐에 따라 인류생존과 발전에 대한 위협이 더 커지고 있고, 사람들에게 환경의 이용과 보호는 더욱 중요시되고 있다. 그리하여, 녹색소비운동은 세계 각국에서 일어났고 현대 물류산업의 발전도 환경문제를 우선적으로 염두에 두고 환경보호의 각도에서 물류체제의 개진을 진행해야한다. 그래서 녹색물류가 지속 가능 발전의 중요한 구성요소로 사회경제의 발전과 인류 생활 품질의 제고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2001년 WTO에 가입 이후, 중국 녹색물류는 아직 초보적 단계에 머물러있다. 녹색물류의 의식이나 정책 그리고 기술상 선진국과 비교해 볼 때 아직 상당한 차이가 존재하고 있다. 하지만 정부에서 지속적인 관심을 통해 녹색물류에 대한 인식이 점차 대두되고 있다.21세기에 들어서 국가차원의 거시적인 조정을 계속 강화하고 개선하는 정책 하에 중국의 녹색 물류산업의 물류체계는 비교적 빠르게 개선되고 물류체계를 업무운행이 날로 성숙되고 규범화되고 있다. 중국은 개혁 개방과 WTO 가입 이후, 빠른 경제 성장을 이루어낸 국가들 중 하나로서 많은 외국기업들과 한국기업들이 진출을 하게 되었다. 특히 중국의 12차 경제 개발 5개년의 계획의 일환으로 소득 증대를 통한 내수확대 및 산업고도화가 핵심기치로 삼고 있다는 점을 알 수 가 있는데, 외국기업 및 한국기업의 제조업 시장뿐만 아니라 중국 내수 시장과 거점 진출 전략으로 중국 녹색물류 산업에 많은 진출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총 6부분으로 구성되고 있다. 제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 목적 그리고 연구의 방법 및 범위를 서술하고 제2장에서는 물류에 관한 일반적 고찰과 물류의 특성, 녹색물류의 개요, 개념, 정의, 발생요인 및 녹색물류의 의미에 대해 기술한다. 제3장 중국 녹색물류의 현황을 일반적으로 검토하고 분야별 중국 물류의 현황을 알아본다. 중국 녹색물류의 발전특성, 배경 및 필요성, 그리고 중국 녹색물류의 발전계획에 대해 서술하고 제4장에서는 한국의 녹색물류 발전현황 및 중국에 대한 시사점에 대해 서술하고 분야에 있었던 선생연구를 기술한다. 제5장에서는 한국 녹색 물류 기업의 중국물류 시장의 진출의 사례분석 및 중국 물류 시장의 진출 전략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제6장은 결론을 도출한다.

      • e-러닝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전규태 숭실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university students' demographic features upon their self-direct learning ability, together with the effects of e-learning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program, which was operated in university libraries, upon university students' self-direct learning ability. For this, the investigator established following study questions: 1) what effects do university students' demographic features have upon their self-direct learning ability?; 2) what effects does university library's e-learning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program have upon university students' self-direct learning ability?; and 3) what effects does university library's e-learning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program have upon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department-oriented self-direct learning ability? Study subjects were 292 S University students (humanity and sociology majors = 180 and engineering and natural science majors = 112) who were attending the e-learning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program developed by S University in Seoul. A questionnaire survey of them was carried out. As for a study tool, the investigator used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SDLRS) developed by Guglielmino (1977) and translated by Kim Ji-ja & Kim Gyeong-seong (1996)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it. Collect data of 288 respondents were analyzed with the SPSS Win 17.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And such analytic techniques as descriptive analysis (frequency, mean, percent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and one-way ANOVA were used and the significant level was set in 95%.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mong demographic features of S University students, such features as the reason of selection of department, the plan after graduation and the practice level of learning plan had a significant effects upon their self-direct learning ability. However, such features as gender, the major department at high schools, residential area, school performance at high schools and the use degree of the Internet to solve coursework had no significant effects upon their self-direct learning ability. Second, the e-learning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program developed by the library of S University had a positive effects upon the improvement of learners' self-direct learning ability. Third, the e-learning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program carried out by the library of S University had more positive effects upon the self-direct learning ability of learners in humanity and sociology departments than that of learners in engineering and natural science departments Based on study findings, the investigator presented following suggestions: First, the strategy of self-direct learning ability for learners in their early days of adulthood, especially university students, must not approach to the whole members uniformly but consider learners' majors, departments, future plans after graduation, learning plans and the degrees of practice, thus approaching them discriminately. Second, if such strategies as the self-direct type learning, diverse experience-based learning and systematic evaluation as the design strategies of teaching-learning in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in order for learners to realize the obligation and importance of learning, their self-direct learning ability will increase more effectively. Third, the user interface, coursework and evaluation method of an e-learning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university students' self-direct learning ability must be discriminately developed by concretely analyzing learning modalities, learning preference, the method of motivation of learning, according to their majors. 본 논문은 대학생의 개인환경 특성에 따라 자기주도학습능력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대학교 도서관에서 운영하는 e-러닝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위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로 첫째, 대학생들의 입학 직후 자기주도학습능력은 개인환경 특성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대학교 도서관에서 운영하는 e-러닝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은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대학교 도서관에서 운영하는 e-러닝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은 대학생의 전공계열에 따라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설정했다. 연구대상은 e-러닝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을 직접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는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S대학에 재학중인 대학생 중 e-러닝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을 수강하는 신입생이며 인문・사회계열 전공자 180명, 이공・자연계열 전공자 112명으로 총 29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도구는 Guglielmino(1977)의 자기주도학습준비도 검사도구(SDLRS)의 번역본(김지자・김경성, 1996)을 연구자가 일부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설문지 중 288부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SPSS win17.0 통계 패키지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적용된 분석방법으로는 기술통계(빈도, 평균, 백분율, 표준편차) t-test, 일원분산분석(ANOVA)이며 통계적 유의 수준은 95%로 설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대학에 재학중인 신입생의 개인환경 특성 변인 중 학과선택 이유, 대학졸업 후 진로, 학업계획 실천 정도에 따라 자기주도학습능력에 차이가 있었으며, 성별, 고등학교 전공 계열, 거주지역, 고등학교 학업 성적, 학습과제 해결을 위한 인터넷 활용정도에서는 통계적의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S대학 도서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e-러닝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은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을 향상 시켰다. 셋째, S대학 도서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e-러닝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은 이공・자연계열 학습자보다 인문・사회계열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능력 향상에 더 효과적이었다. 위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성인초기의 학습자 집단 특히 대학에서의 자기주도학습 전략은 전 구성원에게 일률적으로 접근하기보다 전공계열, 학과, 대학졸업 후 진로 방향, 학업계획 실천 정도에 따른 특성을 고려하여 차별화된 방법으로 접근해야 한다. 둘째, 대학생의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학습자들이 본인의 학습에 대한 책임 및 중요성 등을 깨달을 수 있도록 자기주도형 학습, 다양한 경험학습, 체계적인 평가 등을 교수학습 설계전략으로 사용한다면 자기주도학습능력 향상에 더욱 효과적일 것이다. 셋째,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e-러닝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은 전공별 학습자의 학습양식, 학습 선호도, 학습에 대한 동기부여 방법 등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학습과제, 평가방법 등을 전공계열에 따라 차별적으로 개발하여 제공해야한다.

      • 국내 생명보험사의 선택적 실효현상에 대한 연구

        문성웅 숭실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31

        보험계약 실효․해약의 증가는 해약한 계약자뿐만 아니라 잔존계약자와 보험회사에도 손실을 가져온다. 특히, 보험이 필요한 계약자의 보험보장의 부재는 중요한 문제가 된다. 또한, 보험회사의 질적 성장과 수입보험료의 안정적 확보를 위해서도 기존 보유고객의 해약 관리가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생명보험계약의 질적 지표라 할 수 있는 해약률 개선을 위해 보다 정확한 해약률 분석을 통해 경영효율을 제고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해약을 하는 주체인 계약자의 위험수준과 해약률과의 관계를 분석한다. 동일한 위험집단 내의 계약자들 중에서도, 가입 후 건강이 악화된 사람들은 건강한 사람들보다 보험계약의 해약을 하지 않으려는 유인을 더 가질 것이고, 이는 분명 해약 시 의사결정에 작용할 것이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일반화선형모형을 이용하여 계약자들을 비슷한 위험수준으로 구분하여 범주화하고, 범주별로 해약률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나아가, 이러한 선택적 해약의 정도를 측정하여 보고, 그 결과를 위험률에 반영하여, 보다 합리적인 보험료 측정의 기초를 만들었다. 또한, 이 분석의 결과가 국내 보험회사들이 실효․해약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하는데 활용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이 논문의 주된 목적이다. Increase in the insurance contract lapsation leads to loss of the insurer, surrendered insured and the remaining insured. The absence of the insurance is devastating to the insured lives especially when they are in need of the coverage. Not only that, some type of lapsation management is crucial to ensure the growth and the stable income to the company. Therefore, this paper analyzes the lapsation rates, which is the quality index of the life insurance policies, in order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the management. This paper analyz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ortality rates and the actual lapsation rates of the insured. It is logical to think that the people in worse health conditions, even when they belong to the group of similar risk factors, are more reluctant to withdrawal their contracts. In order to verify this argument, the general linear models were used to group and analyze the insured lives of the similar risks. Furthermore, this paper established the basis of the reasonable insurance premium by applying what were found in the analysis of the degree of selective lapsation. Also, another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pare the korean insurers to set up plans in order to minimize the increasing lapsation rates.

      • 『スピリツアル修行』에 나타난 존경표현에 관한 일고찰

        박소영 숭실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31

        日本語의 역사에서 中世는 음운적, 문법적인 측면을 포함하여 언어적으로 변화가 많았던 시기이다. 言語자료 측면에서는 키리시탄資料, 抄物과 같은 자료들이 풍부하게 남아있다. 본고에서는 키리시탄資料 중 文語 자료로 분류되는 『スピリツアル修行』를 대상으로 하여 尊敬表現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서론에서는 고찰대상 자료인 『スピリツアル修行』에 대해 살펴보고, 日本語에서의 敬語 분류 및 中世 敬語의 특징에 대해 정리하고 선행연구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다. 본론에서는 제1절에서 『スピリツアル修行』에 나타나는 尊敬表現 전체를 조사하여 존경동사가 단독으로 쓰이는 경우, 존경동사가 보조동사로 쓰이는 경우, 특정형식의 존경표현, 존경의 조동사로 분류하여 용례와 함께 각각의 특징에 대해 기술하였다. 각각 551例, 4,029例, 44例, 249例가 확인되어, 전체 용례 4,873例가 尊敬表現으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존경동사가 보조동사로 쓰이는 경우가 가장 많음을 알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존경보조동사「給ふ」가 3,619例나 사용되었다. 이를 통해 「給ふ」가 문어체에는 존경보조동사로서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제2절에서는 위의 네 가지 尊敬表現 외에 複合的 敬語表現에 주목하여, 존경동사에 존경(보)조동사가 결합한 형태와 겸양동사에 존경(보)조동사가 결합한 형태로 분류하여 고찰하였다. 각각 240例와 236例가 확인되었다. 먼저 複合的 敬語表現 중 「御覧じ給ふ」「思し召さる」「せ給ふ・させ給ふ」와 같은 것은 존경동사에 존경(보)조동사가 결합한 형태, 또는 一般動詞에 존경조동사와 존경보조동사가 결합한 형태이다. 이러한 존경표현은 중세시대에 사용한 최상의 존경표현으로 예수그리스도와 천상의 존재에 대하여 사용하였다. 이러한 형태는 시대가 변화하는 과정에서 경도가 낮아져 그 기능을 보충하기 위하여 경어동사에 경어(보)조동사를 결합하여 나타난 새로운 형태의 경어표현이다. 또한 「まみえ給ふ」「言上し給ふ」와 같은 것은 겸양동사에 존경(보)조동사가 결합한 형태이다. 전자의 경우, 전항 「まみえ」는 천사 가브리엘이 성모 마리아에게 사용한 겸양표현이고, 후항 「給ふ」는 필자가 천사 가브리엘에게 사용한 존경표현으로 兩方向으로 경의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일본 中世의 대표적인 키리시탄 文語 자료인 『スピリツアル修行』에 나타난 존경표현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고찰 결과, 예수그리스도의 행적이나 천상의 존재에 대한 존경표현으로 최상의 존경표현인 복합적 경어표현을 사용하였고, 현재도 사용하고 있는 존경조동사인 「る・らる」은 존경표현이라기 보다 상대방에 대한 가벼운 경의를 나타내거나 아랫사람에게 가벼운 명령을 할 때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In the history of Japanese, there were many linguistic changes including phonological and grammatical changes in the middle ages. In the aspect of language data, data such as Christian material, and Syomono are remained. Respectful expression was considered for 『Spiritual practice』classified as literary data among Christian material, in this paper. In the introduction, 『Spiritual practice』, that is the object of consideration data was examined, honorific classification in Japanese and feature of honorific expression in the middle ages were organized, and preceding researches were mentioned. In section 1 of the main subject, the whole respectful expression shown in 『Spiritual practice』was investigated and each characteristics of cases classified when the verb was independently used, respect verb was used as auxiliary verb, respectful expression of specific form, and auxiliary verb of the respect were described with used cases. Since 551 cases, 4,029 cases, 44 cases, and 249 cases were identified respectively, it was able to be known that total 4,873 cases of respectful expression were used. The case that respect verb was used as auxiliary verb was the most, 「tamau(給ふ)」was used as many as 3,619 cases among this respect auxiliary verb. Through this result, it was confirmed that「tamau(給ふ)」was generally used in the literary style as respect auxiliary verb. In section 2, paying attention to the complex respectful expression besides 4 kinds of respectful expression of the upper part, respectful expression were considered by classifying as the form which respect verb was combined with respect auxiliary verb and reverent verb was combined with auxiliary verb. and 240 cases and 236 cases were identified respectively. Firstly,「goranzitamau(御覧じ給ふ)」「vobosimesaru(思し召さる)」「setamau(せ給ふ)・sasetamau(させ給ふ)」among complex respectful expression were the form in which respect verb was combined with respect auxiliary verb, or respect auxiliary was combined with respect subsidiary verb. This respectful expression was, as the superior respectful expression, used for Jesus Christ and heavens in the middle ages. It is the new form of respectful expression shown up by combining respect verb and respect auxiliary verb in order to replenish the function because the extent of respect was decreased in the respectful expression during the process of changing an era. Moreover, 「mamietamau(まみえ給ふ)」and「gonjotamau(言上し給ふ)」were the form in which reverent verb was combined with respect verb. In the case of the latter,「mamie(まみえ)」is the reverent expression used by Gabriel for Mother Mary, the former 「tamau(給ふ)」is the reverent expression used by author for Gabriel. Therefore it is known that bidirectional respect was paid. As mentioned above, respectful expression shown in 『Spiritual practice』, representative Christian literary data of Japanese middle ages. In the result of study, it was found that complex respectful expression as the superior respectful expression was used as a mark of respect for lifetime of Jesus Christ or the heavens. And「ru(る)・raru(らる)」which still have been used as a respect auxiliary verb was used when expressing light respect to another or giving a light order to the subordinate rather than expressing the resp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