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도산 안창호의 학교형태 사회교육의 사회적 기능 탐색 : 없음

        김창희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평생학습을 발전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정책과 제도가 시행되고 있으나 사회교육 분야의 정체성 확립과 실천영역에서의 사회교육의 본질을 찾아보기 위한 학문적 성찰이 필요한 현실이다. 이런 맥락에서 오늘날의 사회교육이 어떠한 원리에 의해 실천되어야 하고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인가에 대한 성찰은, 국권회복과 독립을 위한 모든 것의 핵심과정을 ‘교육’에 두고 평생을 바친 도산 안창호의 사회교육 실천 원리와 방법에 관한 역사적 교훈을 찾아보고 이어갈 수 있는 과제가 무엇인가를 알아보는 것에서 시작할 수 있을 것이다. 사회교육 본질의 방향성은 유럽의 social pedagogy나 일본 사회교육학계에서 논의되어 온 바와 같이 ‘교육의 사회적 역할과 기능’이어야 한다. 따라서 영역 중심이 아닌 사회적 기능 중심의 사회교육 본연의 정체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오혁진(2017)의「사회교육의 유형」을 연구 목적에 맞게「사회적 기능 분석 도구」를 구안하였다. 그리고 현대 사회교육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안창호의 생애를 독립운동 시기에 따라 일반사적 시대구분의 관점에서 5단계로 구분, 학교형태 사회교육내용을 고찰하였고 「사회적 기능 분석 도구」를 활용하여 안창호의 사회교육 실천내용의 사회적 기능을 탐색하였다. 안창호는 평생 국권 회복과 독립을 위한 활동에 헌신했고 이는 모두 사회교육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으며, 그의 사회교육실천 내용은 복합적이고 다면적이었다. 특히 학교형태 교육기관들을 통해 이루어진 사회적 기능 중심의 사회교육은 개개인의 현실적인 문제 해결을 위한 사회교육을 우선적으로 실천하였고 동시에 기초교육, 문해교육 등의 개인변화 지원은 물론 애국심을 고취시키고 국민으로서의 의무 이행을 촉구하는 사회변화를 촉구하는 교육을 균형적으로 실천하였다. 안창호가 학교형태의 교육기관을 통해서 인재를 양성하고자 평생 노력한 것은 본인 스스로가 민족의 독립 역량 배양과 백성들의 현실 문제 해결을 위한 단초로서의 교육의 중요성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었다는 점을 입증하는 것이고, 안창호는 그의 생애에 걸쳐 학교형태 사회교육 활동을 통해 사회를 개선하고, 사회문제를 해결하며, 건강한 공동체를 형성하고자하는 사회교육의 본질이 될 수 있는 ‘사회적 기능’을 다 하고자 노력했음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 Currently in Korea, variety of policies and systems has been implemented along with arrival of learning society. Still, academic introspection is required to figure out the essence of social education in regard of social education’s identity establishment and practice. In this context, the self-examination about which principles should be applied for today’s social education and where to proceed could start from investigation about Dosan Ahn Chang-Ho; who devoted one’s life to the ‘education’ for restoring national rights and independence. Searching historical precepts about his practicing principle of social education and figuring out remaining tasks would be the initial step for this report. The nature of social education should proceed to ‘social role and function’ as European social pedagogists and Japanese social educators have argued so far. Therefore, this report borrow 「The Types of Social Education」(Oh Hyuk-Jin, 2017) to plan 「social function analysis method」 for understanding the nature of social education oriented to social function. Also, in order to deduct implication for establishment of modern social education’s identity, this report separate Ahn Chang-Ho’s life according to different stages of independent movement in 5 phases and consider their different types of formal social education. Ahn Chang-Ho dedicated his whole life to restoring national rights and independence and this made his social educational practice complex and multifaceted since all his activities had close relationship with social education. Especially, social function oriented social education institutions in form of school tried to focus on individuals’ practical solution. At the same time, they supported people basic education and literacy education and social education inspiring patriotic spirit and demanding performance of a national obligation. Ahn Chang-Ho tried to raise talented individuals through educational institutions in form of formal school since he fully recognized himself the importance of education as the beginning of enhancing people’s ability for independence and solution of actual life issues. Therefore, it is certain that he tried to improve society by social education in form of school and focused on ‘social function’ which could be the essence of social education to solve social issues and develop healthy social community.

      • 안창호의 정치활동연구

        손동유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한국이 근대로 넘어오는 시기에 겪었던 열강의 침탈과 이어지는 식민지배라는 암울한 상황에서 우리민족의 자주적 독려, 민주적인 국가 수립, 평등한 주권확보를 위해 활동했던 민족운동가 안창호의 정치활동에 대하여 살펴 본 것이다. 한국의 근대 민족운동과정에서 안창호의 정치 성격을 민족주의계열로 보는 것에는 대체로 무리가 없을 것이다. 애초에 안창호의 정치적 각성의 계기가 한반도가 열강의 이권싸움터로 전락해 있는데 대한 분개에서 출발하였으므로 그의 사상과 활동의 바탕에는 민족적 관점이 깔려있었던 것이다. 하지만 그를 부르조아적 민족주의 운동가로서 민족개량주의를 통해 친일의 논리적 근거를 제시했다는 민족주의 우파계열로 위치 지우는 데에는 많은 문제가 있다. 안창호는 단 한 차례도 일제에 타협하거나, 협조한 적이 없었다. 오히려 일제에 대해서는 냉철하고 비타협적이었고 절대독립의 입장을 견지하였으며, 민족내부진영에 대해서는 유연하고 관대한 입장을 가지고 있었다. 안창호가 1902년 미국으로 가게 된 동기는 교육학을 공부해 와서 국내에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서였다. 그는 한반도 전역이 외세의 이권다툼의 장이 되었는데도 아무런 힘을 발휘할 수 없는 국내 현실에 말할 수 없는 안타까움을 갖고 장기적이고 구체적인 계획을 세웠던 것이다. 그러나 미국에 가서 한인들이 내적으로 분열적 양상을 띄면서 외국인들에게는 정당한 대우조차 받지 못하는 현실을 접하면서 공부보다는 실천 활동에 나서게 되었다. 동포들의 단결과 조직화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면서 그가 결성한 '한인친목회'는 이어 '공립협회'로 발전했고, 공립협회는 기관지인 공립신문을 발간하면서, 미주지역의 동포는 물론이고 국내와 만주, 러시아 지역과의 연대를 모색하는 해외 동포의 통일된 민족운동조직을 꾀할 정도로 발전해 나갔다. 미주동포사회에서 중심적 인물로 부상하게 된 안창호는 점차 국권을 잃어가는 조국을 외면하지 않고, 1907년 다시금 국내로 들어와 조직 활동과 선전활동을 병행 하였다. 비밀조직인 신민회활동과 공개된 교육, 출판, 실업활동을 병행하면서 다각도로 국권회복의 노력을 기울였으나, 이렇다 할 만한 조직기반도 없이 명망가 중심의 활동을 통해서 일제의 치밀한 한반도 식민지화 계획에 맞서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이에 따라 안창호는 미주를 중심으로 국내, 만주, 러시아는 물론이고 유럽, 필리핀, 하와이, 남미 지역을 해외동포가 거주하는 세계 곳곳을 다니며 동포 조직화 사업에 노력을 기울였다. 그의 논리는 단순하다. 동포의 단결된 조직만이 민족적 힘을 갖출 수 있고, 이를 통해서 자주적인 독립국가를 이룩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1910년 중국으로 망명한 뒤 청도회담에서 참가자들의 의견차이로 인해 예상했던 대로의 성과를 거두지 못한 채 마무리 한 후, 러시아에 잠시 머물면서 국민회조직의 확장을 꾀하였다. 길지 않은 체류기간이었지만, 안창호는 쉬지 않고 지역의 특성에 맞게 언론 사업, 자선 공제회 사업, 동포 귀화 운동 등의 활동을 전개하였다. 독립투쟁이라는 분명한 목표가 있었음은 물론이지만, 객관적 정세와 동포들의 형편을 고려하며, 명분 중심의 강경투쟁을 지양한 안창호의 유연한 전술이 엿보이는 대목이다. 이후 다시금 미주로 돌아온 안창호는 미주지역 동포의 보다 안정적이고 구체적인 조직화에 박차를 가하였다. 대표적인 예가 1913년 조직한 흥사단이다. 이 조직은 국내에서 '동우회' 등으로 자의적으로 해석되고 그 정신과 활동이 세간에 왜곡되게 전해진 경향이 있는데, 흥사단은 단순한 수양단체가 아니다. 독립을 쟁취하고 독립된 이후의 일꾼을 체계적으로 양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천 조직이다. 안창호는 실천적 조직 활동가였다. 탁상공론을 통한 계획만을 세우는 것이 아니라, 우리 동포의 수준과 눈높이에 맞게 실천할 과제를 제시하며 누구나 자신의 형편에 맞게 참여할 수 있는 조직을 건실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그의 활동은 1919년 3월 1일 만세운동 이후 여러 지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진행된 정부 수립 논의에서 공히 안창호를 중심인물로 천거하게 된 배경이 되었다. 1919년 5월 상해로 간 안창호는 망명정부로서 임시정부를 어떻게 하면 효율적으로 이끌 것인가에 모든 관심을 기울였다. 그의 초기 구상은 이른바 '삼두정치'를 통한 통합정치를 이루고자 하는 것이었다. 러시아, 중국, 미주 각지의 지역적 기반을 둔 대표들이 통합하여 지도적 위치에서 임시정부를 운영해 나가고자 한 안창호의 계획은 제 세력의 이해관계와 구상의 차이로 성공하지 못하였다. 또한 이와 함께 '대독립당' 결성운동을 통한 민족대통합을 시도하였으나 이 또한 성공에 이르지 못하였다. 지난 시기 탁월한 조직결성의 성과를 보였던 안창호로서는 비록 망명지의 임시 정부이지만 책임감과 대표성을 갖는 정부 활동에 있어서는 실패를 거듭하게 되었던 것이다. 독립운동 진영의 통합 노력이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지루하게 논의만 거듭하고 분열 양상을 띄는 가운데 안창호는 포기하지 않고 다시금 '국민대표회의' 소집운동과 '민족유일당' 운동을 전개하여 지속적으로 통합을 위해 노력하였다. '대독립당'이 운동 진영의 상층부의 통합을 통한 지도력 확보에 비중을 두었던 것인데 비해, '민족유일당' 운동은 운동 진영 기층의 정치적 연대를 통해 대중적 정치조직을 확보하자는 노력이었다. 민족의 해방과 자주적 독립국가 건설을 위한 진정한 단결은 운동진영 지도부 간의 협상이 아니라 전민족적인 대중 통합에 있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깨닫게 된 것이다. 안창호가 이론적으로 민주공화제를 지향한 것은 공립협회 때부터이지만, 그러한 이론이 현실 정치에 반영되어 비로소 '민족유일당' 운동으로 발현된 것이다 이와 함께 안창호는 '대공주의'를 주창하였다. 대공주의는 민족평등·정치평등·경제평등·교육평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데 국민의 기본권을 보장하며 이와 함께 국민으로서의 의무도 규정한 독립운동의 방략이자 독립된 이후의 국가건설에서도 적용될 국가운영 방침인 것이다. 이는 조소앙에 의해 정리되어 한국독립당의 당강, 당의에 적용되었고, 1940년대 좌우통합을 이룩하게 한 동력이 되었다. 한국독립당은 해방이후 반탁, 좌우합작, 남북협상, 통일정부 수립과 단정반대 등을 주장하기도 하였다. 안창호의 정치사상이 '대공주의'로 귀결되기까지에는, 초기의 정치적 자각을 시작으로 꾸준히 변화 발전해 온 그의 사상적 변화과정이 배어있다. 20대 초반 독립현회의 '국민국가 건설론'을 받아들였으나, 왕권과의 대립을 거치며 정치적으로 패배를 맛본 안창호는 이후 과도기적 절충론이라고 할 수 있는 양계초의 '국가유기체론'에 입각한 사상을 받아들였다. 이후 서구사회의 운영원리를 경험하면서 민주공화제를 지향하게 되었고, 독립운동 진영의 통합과 단결을 실현하려고 노력하는 가운데 민족 내의 제 정치세력에 대한 이해를 확대하면서 경제적 관점에 있어서는 사회주의의 장점을 수용하게 되었다. 이러한 내용을 실제로 조직사업에 반영하는 과정에서 국민 스스로를 정치와 국가운영의 주인으로 내세우고자 하는 노력이 '대공주의'로 정리된 것이다. 결론적으로 안창호의 정치활동의 성격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개인적 특징을 중심으로 보자면 안창호는 명분론에 입각한 투쟁중심의 활동보다는 준비론에 입각한 조직 활동에 매진하였다. 그리고 일관되게 독립운동 진영의 단결과 통일을 강조하고 이에 매진하였다. 이것이 외형적으로 보이는 그의 활동의 특징이다. 그의 정치적 견해는 중도적 성격을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정치활동 초기의 국가건설론에 있어서도 국왕중심의 전통적인 정치제제를 부정하고 근대국민국가를 지향하면서도, 일시에 왕권을 부정하고 민권을 전면적으로 확대하는 입장보다는 절충적인 입장을 가졌다. 이후 민족해방운동을 진행하면 축적된 그의 사상을 총화한 '대공주의'에 있어서도 민족주의적 관점을 기반으로 하면서도 경제문제에 있어서는 사회주의적 장점을 수용하는 태도를 보였다. 그러므로 안창호가 단지 민족주의 우파 지도자로 알려졌던 기존의 연구성과들은 이제 시정되어야 한다. 안창호의 활동은 객관적인 정세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민족해방운동가로서의 진취적인 모습이고, 민족해방운동진영의 통일단결을 주장하고 실천하는 통합주의적 정치가의 모습이며, 대공주의를 이념으로 하는 민주광화정의 실현을 위해 노력하는 민주적 정치인으로서의 모습이기 때문이다.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study on the political activities of Ahn, Chang-Ho for the independence, the establishment of democratic country and the acquirement of equal right of Korean. In this Period, korea undergoes dispossession of the great powers and is put under the control of colonial government. It is possible of seeing political character of Ahn, Chang-Ho as nationalism in the process of modern racial movement of Korea. His thought and activity were based on nationalism, because first moment of his political awakening was the time to be indignant with tragic situation that Korean Peninsula became a battlefield of the great powers to acquire rights and interests in korea. But there is no reason to regard Ahn, Chang-Ho as the right-wing nationalist who provides a theory of pro-japanese through the basis of national reformism as a bourgeois racial movement-man, Ahn, Chang-Ho neither compromised nor cooperation to Japanese imperialism. Because Ahn, Chang-Ho wanted to cultivate a men of talent in the future, he went to study pedagogy to America in 1902. In America, he caught compatriots being placed in inferior environment and so he got into action for the improvement of compatriot's living conditions. He organaized Hanin-Chinmoghoe(韓人親睦會, Korean Social-meeting) and Kongrip-Hyuphoe (共立協會, The United Korean). Kongrip-Hyuphoe (共立協會) published a bulletin named Kongrip-Shinbo(共立新報) and associated with compatriot in Korea, Manchuria, Russia, no mention of America. After returning to Korea in 1907, Ahn, Chang-Ho made an Effort to regain national rights with carrying out secret and public organizational activities. But he was wanting in ability because he had no foundation of organization in Korea and Japanese imperialism was very careful and violent. Therefore Ahn, Chang-Ho endeavored to organize compatriots with up and around World-wide here and there that Korean live, He believed that only the union of national solidarity can make the national power and win our independence. He preferred flexible tactics answering to objective situation to strong fight under obligation. And he formed Heungsadan(興士團, Young Korean Arcademy) in 1913 at America. Heungsadan(興士團) was not moral training organization but anti-japan organization to cultivate a men of talent who would be a worker after becoming independent. Like this activity, it leaded Ahn, Chang-Ho to Shanghai, China and he participated the organization of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in May 1919. He asserted to realize Samdoojungchi(三頭政治, Triumvirate) and organize the Daedongripdang(大獨立黨, Wide Independence Party). He belived that these are essential to make responsible and representative Government. But he failed. And yet, he made an Effort to establish national union with declaration for Minjoguildang(民族唯一黨, National Unique Party). Daedongripdang(大獨立黨) was the upper classes solidarity and on the other hand, Minjoguildang(民族唯一黨) was the lower classes solidarity for the insurance of public political organization. And he advocated Daegongjuoe(大公主義, The great publicspiritisrn), Daegongjuoe(大公主義) was an policy of independence movement and ideology that included people's rights and duties and that consisted of national equality, political equality, economic equality and educational equality. Also it would be a principle of state administration after becoming independent. Ahn, Chang-Ho worked to form the organization of independence movement and unite the bloc of independence movement throughout his whole life. He was constant in his devotion insisting that our nation must be unified. So his political character was a moderate one. Therefore the result of existing research should be amended. It is not reasonable to simply regard him as a leader of the right-wing nationalist. Finally Ahn, Chang-Ho should be judged as a active leader in independence movement and a politician who had faith in democracy.

      • 도산 안창호의 다차원적 리더십에 관한 실증 연구 : 도산 안창호의 융합성 통합적 리더십 연구

        최청평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806

        논 문 개 요 도산 안창호(島山 安昌浩, 1878~1938)는 구한말 일본의 식민 지배에 맞서 대한 독립을 위해 전 생애를 투신한 독립 운동가였다. 소년기에 청일 전쟁을 목격하고 ‘힘’없는 나라의 말로를 탄하며 구국과 독립의 필요를 자각하고 독립협회 운동에 참여를 시작으로 독립운동에 투신한 이래 전 생을 통하여 국내는 물론 미주, 중국 원동, 러시아 등 도처의 독립 운동가들을 규합하여 일본 식민통치에 대항하였다. 도산은 숱한 독립운동 행보 속에서 적지 않은 독립운동의 거인들과 단합하고 통일, 통합하기를 중시하여 노선과 사상의 갈등을 극복하며 상해임시정부를 지켜내는 등 초인적으로 독립운동을 주도하였다. 도산은 절박한 독립투쟁의 험로에서도 모든 독립 운동가들과의 인격적인 신뢰를 쌓으며 폭넓고 두터운 존경을 받아왔으며 세심하게 준비된 독립운동 계획을 마련하고 몸서 실천하며 주도하였음은 물론 젊은 인재의 발굴과 육성에 특유의 지도력을 발휘하여 여타 독립운동가와는 다른 탁월한 리더십의 면모를 보인다. 도산은 그 험난한 독립투쟁과 독립 건국을 위하여 건전한 인격과 신성한 단체를 이루어 ‘힘’을 기르는 것이 최선의 길임을 주창하며 인재양성의 최고수준의 단체로 흥사단을 창립(1913년)한다. 흥사단을 통하여 배출된 탁월한 인재들이 당시의 독립운동의 중추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해방 후 흥사단우의 30% 이상이 국정에 전문 인력으로 참여했다는 사실은 도산의 인재 양성을 향한 탁월한 안목과 통찰력, 리더십의 면모를 보인 것이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상기와 같은 ‘도산 안창호의 리더십의 특성’을 연구하는 목적으로 제Ⅱ장 이론적 배경의 문헌 연구를 통하여 도산의 독립운동의 현황과 그 운동 속에 융합되어있는 도산의 리더십을 리더십이론에 준하여 검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도산은 모든 독립운동에서 리더십 유형들을 융합과 통합을 통하여 총체적으로 발휘하였음이 분석되었다. 제Ⅲ장에서 이상의 정성적 결과를 실증하기 위한 정량적인 방법으로 ‘흥사단우의 도산 안창호 리더십 인식 조사“를 시행키로 하여 이 인식 연구를 위하여 설문 및 질의 조사를 1차, 2차에 걸쳐 실시하였다. 본 인식 조사 분석의 결과, 흥사단우는 도산이 수많은 독립운동에서 여러 가지 다차원적인 리더십 유형을 융합과 통합을 이루며 총체적으로 발휘하였음을 높고도 고르게 인식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제Ⅳ장에서는 제Ⅱ장의 이론적 배경의 문헌 연구와 제Ⅲ장의 실증적 인식조사를 통한 종합적인 연구의 결과를 분석하였고 제Ⅴ장에서 본 연구의 요약과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산은 진정한 인격자였다. 도산은 독립을 쟁취하는 가장 강력한 무기는 민족 개개인의 건강하고 강건하게 수련된 “인격의 힘”이며 이 힘을 바탕으로 한 “동맹의 힘”이라고 굳데 믿었고 평생 솔선수범하며 진정한 리더의 삶을 살았다. 도산의 위인다운 리더십은 도산의 인격 속에 녹아있었고 스스로는 의식함이 없이 숙성된 자연의 발로였다. 둘째, 도산의 리더십에 관한 그간의 선행 연구 문헌은 연구자의 전문분야에 따라 개념화 되어 있었고 그에 따라 몇 가지 리더십유형으로 편향되어있거나 축소 혹은 왜곡될 위험마저 있어보였다, 이는 그간의 도산의 리더십 연구가 도산의 본질적이고 핵심적인 특성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었던 결과로 보여진다. 셋째,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의 연구 결과, 도산 안창호는 그의 전 생애를 통한 독립운동에서 어느 특정한 리더십을 편향적으로 발휘한 것이 아니라 다양한 차원의 리더십 유형들을 통합과 융합을 통해 상승효과를 이루어 총체적으로 발휘한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넷째, 도산 안창호 리더십에 관한 흥사단우의 1, 2차 인식조사 결과, 도산이 총체적으로 발휘한 다양한 리더십에 관하여 흥사단우가 ‘보편적이고 공통적이며, 높고 고르게 인식하고 있음’이 실증 되었다. 다섯째, 본 논문의 연구 결과, 도산 안창호는 전 생애의 독립운동 행보에서 “다양한 차원의 리더십 유형”을 융합과 통합을 이루며 총체적으로 발휘하였던 바. 이러한 도산 안창호의 다양한 차원의 리더십의 특성을 일명, “도산 안창호의 다차원적 리더십”이라 명시하고자 한다.

      • 상해판 『독립신문』의 발간 주체와 성격

        이한울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4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he re-consideration of the main publication subject and characteristics of the『Dokrip Sinmun(The Independence)』 published from August 1919 to November 1926. Because the 『Dokrip Sinmun』 had the activities with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with having the purpose of the 'Independent', it frequently called as 'the Bulletin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However, when looking about the people who operated the 『Dokrip Sinmun』 and direction of an argument tone of the 『Dokrip Sinmun』, there is doubts on decisions of the 『Dokrip Sinmun』's characteristics. Unlike the previous study judged that the main publication subject of the 『Dokrip Sinmun』is the Provisional Government, the actual main publication subject that operated the company and published the newspaper was the 'the group of Chang Ho Ahn(安昌浩).' 'The groupd of Chang Ho Ahn' designates the people who gathered by Chang Ho Ahn, and theses people had the headquarter in the west-north regions and friendship with Chang Ho Ahn. And, it designates the member of the 'Hong Sa Dan' organized by Chang Ho Ahn and other related people. Also, it includes the people who had same political aims and activities like assembly of the public representative conferences with Chang Ho Ahn. In other words, it was the Chang Ho Ahn and his people who led the 『Dokrip Sinmun』. Not only the『Dokrip Sinmun』was not belong to the Provisional Government, but it was not belong to any organization for the financial support, the 『Dokrip Sinmun』 suffered from the continuos financial difficulties. Thereupon, Chang Ho Ahn kept trying to mobilize all the his connections and abilities to receive the financial support. The reason that he asked Seoung Hak Kim(金承學) to operate the 『Dokrip Sinmun』 was the one way to strengthen the financial foundation. Because of these his efforts, the latter Dokrip Sinmun was able to receive the financial supports from the 'Tong Ui Bu' (the Korean army organized in 1922 for independence against Japan) and 'Jeong Ui Bu' (the united Korean militia organizations organized in 1925 against Japan, Jeong Ui Bu was organized when the Tong Ui Bu began to disorganized, both organizations had activities in the Manchu regions) of the Manchu. Like this, the 『Dokrip Sinmun』published under the leading by the group of Chang Ho Ahn showed the changes on its argument tones depend on the their situations and movements. Before the Unity Government established (1919.11), previous Provisional Government led by the Chang Ho Ahn substantially. Because of this, it was same to represent the Chang Ho Ahn's situation and the provisional Government's situation at that time on the 『Dokrip Sinmun』, but because the 『Dokrip Sinmun』was not the bulletin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it is hard to say that the 『Dokrip Sinmun』's points of the view were same as the Provisional Government's after establishing the Unity Government. After establishing the Unity Government, 'the group of Chang Ho Ahn' tried to grope the relationship of the each groups in the Provisional Government that had formation of Chang Ho Ahn· Dong Hui Lee(李東輝)· Seoung Man Lee(李承晩), but in same time, the opinion differences of the each groups could be found. The opinions of 'the group of Chang Ho Ahn' regarding these issues was expressed on the Dokrip Sinmun directly. However, it is true that the 『Dokrip Sinmun』at that time had the positions as the Provisional Government friendly similar to the first time. Thus, in the first and second periods of the 『Dokrip Sinmun』 had the friendly positions to the Provisional Government. But from the times that Chang Ho Ahn left the Provisional Government and asserted the summons of the public representative conferences (1921.5), the 『Dokrip Sinmun』 turned his positions to anti-Provisional Government with writing up the articles about the summon and opening of the public representative conferences. Like this, the 『Dokrip Sinmun』represented the group of Chang Ho Ahn who were the main publication subjects, and it changed the its characteristics depend on the their opinions and movements. 이 논문의 목적은 1919년 8월 상해에서 창간되어 1926년 11월까지 발행되었던 『독립신문(獨立新聞)』의 주도 세력과 『독립신문』의 성격을 재 고찰해 보고자 하는 데에 있다. 『독립신문』은 ‘독립’의 목적을 가지고 상해 대한민국임시정부와 그 활동을 나란히 하였기 때문에 ‘임시정부의 기관지(機關紙)’라는 수식어가 흔히 따라다녔다. 그러나 사실상 독립신문사의 운영을 담당했던 인물들과 『독립신문』의 논조 방향을 살펴볼 때 이러한 성격 규정은 의심의 여지가 있다. 선행의 연구들에서 『독립신문』의 발간 주체를 임시정부로 판단했던 것과는 달리 실질적으로 독립신문사를 운영하고 『독립신문』을 발간했던 주체는 ‘안창호 그룹’이었다. ‘안창호 그룹’이란 안창호를 주축으로 모인 사람들을 지칭하며, 이들은 서북지방을 그 근거지로 하고, 안창호와 우호적인 친분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안창호가 조직한 흥사단의 단원 또는 그 관련인물 등을 지칭한다. 또한 국민대표회의 소집 등과 같이 안창호와 동일한 정치적 지향점을 가지고 행동을 함께 했던 인물들도 포함되었다. 즉 『독립신문』을 주도한 건 안창호와 그의 사람들이었다. 독립신문사는 임시정부의 속해있는 기관이 아니었을 뿐만 아니라 안정적인 재정지원을 해줄 어떤 기관에도 속해있지 않았기 때문에 창간이후부터 지속적으로 재정난에 시달렸다. 안창호는 이에 자신의 인맥과 능력을 동원하여 독립신문사의 재정적 지원을 받기위한 노력을 계속하였다. 만주의 독립단 대표로 활동하던 김승학에게 독립신문사의 경영을 부탁한 것도 재정적 기반을 다지기 위한 한 방법이었다. 때문에 후반기 『독립신문』이 만주의 통의부와 정의부의 지원을 받을 수 있었던 것도 안창호의 노력에 의한 것이었다. 이렇듯 ‘안창호 그룹’의 주도 아래 발간되었던 『독립신문』은 그 논조에서도 그들의 입장과 행보에 따른 변화를 보였다. 통합정부가 출범(1919.11)하기 이전 임시정부는 실질적으로 안창호 주도의 일인체제로 운영되고 있었다. 때문에 이 시기 『독립신문』은 안창호의 입장을 대변하는 것이 임시정부의 입장을 대변하고 선전하는 것과 같았다. 그러나 사실상 『독립신문』은 임시정부의 기관지가 아니었기 때문에 이후 통합정부가 출범 후부터는 『독립신문』의 입장이 꼭 임시정부의 입장이라고 말할 수 없게 되었다. 통합정부 출범 이후 안창호․이동휘․이승만의 3인 체제가 확립된 임시정부 내에서 ‘안창호그룹’은 각 파와의 연대를 모색하기 위한 노력을 하였으나 동시에 이들 각 파와의 의견 차이도 드러내게 된다. ‘안창호 그룹’의 이러한 견해는 『독립신문』을 통해서 그대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이 시기의 『독립신문』은 첫 번째 시기와 마찬가지로 친여지(親與紙)로서의 입장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 사실이었다. 이렇듯 1기와 2기의 『독립신문』은 친(親)임시정부의 입장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안창호가 임시정부를 탈퇴하고, 국민대표회의 소집을 주장하게 된 시점(1921.5)부터 『독립신문』은 ‘안창호 그룹’의 행보에 따라 국민대표회의 소집과 개최에 대한 기사를 실으며 반(反)임시정부의 입장으로 돌아서게 되었다. 이렇듯 『독립신문』은 그의 발간주체였던 ‘안창호 그룹’을 대변하며, 그들의 입장과 행보의 변화에 따라 그의 성격을 달리하고 있었던 것이었다.

      • 도산 안창호의 교육사상과 흥사단 교육을 통한 평생교육의 실천적 함의 연구 : 시민참여교육을 중심으로

        조성현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79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Dosan Ahn Chang-ho's educational thoughts and find practical implications of citizen participation education(by time and activity) through the foundation background and activities of the Young Korean Academ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focusing on historical document analysis based on Dosan Ahn Chang-ho's thoughts and educational activities of the Young Korean Academ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itizen participation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that goes beyond the nation and the state to the world. Dosan Ahn Chang-ho and the Young Korean Academy emphasized education for the nation and the state that corresponded to the situation of the times through changes in education by time. As modern society develops, citizen participation education should also be provided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s of the times. Global citizen participation education enables the community solidarity and the increase in a sense of belonging beyond the nation and the state by understanding universal values and cultures and improving community spirit. Also, through universal education, various economies, cultures, values, etc. of the world can be learned beyond a limited range. This is education for the nation and the state, and it will lead to citizen participation education that is consistent with the goal achievement of the great cause through self-innovation and national enlightenment, which were valued by Dosan Ahn Chang-ho and the Young Korean Academy. And it will be an educational venue for realizing Dosan Ahn Chang-ho's educational thoughts, which include sincere learning, continuous practices, and progressive learning and study. Second, education that extends to participation through basic strengthening should be conducted. Dosan Ahn Chang-ho and the Young Korean Academy emphasized the enlightenment through the character training, not the restoration of sovereignty and national revival through force, even in the crisis of the state's existence. Based on this, modern society should provide citizen participation education for the right human formation and character training. Education for upright human formation will restore the original human character, and become an important asset for promoting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nation and the state. Also, by establishing basic educational values, citizen participation education will be the basis for development. Third, education to enhance the qualifications and capabilities of democratic citizens should be conducted. Dosan Ahn Chang-ho and the Young Korean Academy emphasized youth education as the starting points to develop the qualifications and capabilities of democratic citizens. In order to resolve human loss caused by conflicts of ideological values and wars, education was used as a stepping stone for cultivating human resources, along with laying the foundation for national development. In the reality that youth education in modern society has only been reduced to education for entrance examinations and success, through citizen participation education, internal and external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to cultivate mature adolescents and develop their qualifications and capabilities as democratic citizens. These activities, along with the efficiency enhancement of citizen participation education, will be the basis for fostering the masters of a future state and leading active citizen particip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도산 안창호의 교육사상을 탐구해보고, 흥사단의 창립 배경 및 활동을 통해(시기별, 활동별) 시민참여교육의 실천적 함의를 찾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도산 안창호의 사상과 흥사단 교육활동을 바탕으로 역사문헌분석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민족과 국가를 넘어 세계로 향하는 시민참여교육이 실시되어야 한다. 도산 안창호와 흥사단은 시기별 교육 변화를 통해 시대적 상황과 부합하는 민족과 국가를 위한 교육을 중시하였다. 현대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시민참여교육도 시대 변화에 부합하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세계 시민참여교육은 보편적 가치관과 문화를 이해하고 공동체 의식 향상을 통한 민족과 국가를 넘어선 공동체적 연대와 소속감 증대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보편적인 교육을 통해 한정된 범위를 벗어나 세계의 다양한 경제, 문화, 가치관 등을 학습할 수 있게 된다. 이는 민족과 국가를 위하는 교육임과 동시에 도산 안창호와 흥사단이 중시했던 자아혁신과 민족계몽을 통한 대의적 목표달성에 부합하는 시민참여교육으로 이어질 것이며, 성실한 학습과 지속적인 실천, 진취적 학습과 배움 등의 도산 안창호의 교육사상을 실현하는 교육의 장이 될 것이다. 둘째, 기본다지기를 통해 참여로 확장되는 교육이 실시되어야 한다. 도산 안창호와 흥사단은 국가의 존폐위기 상황에서도 무력을 통한 주권회복과 민족부흥이 아닌 인격수양을 통한 계몽을 중시하였다. 현대사회는 이를 바탕으로 올바른 인간형성과 인격수양을 위한 시민참여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올바른 인간형성을 위한 교육은 본래의 인간상을 회복할 것이며, 민족과 국가의 성장과 발전을 도모하는 중요한 자산이 될 것이다. 또한, 기본적인 교육 가치를 정립함으로 시민참여교육이 발전하는데 밑거름이 될 것이다. 셋째, 민주시민의 자질과 역량을 기르는 교육이 실시되어야 한다. 도산 안창호와 흥사단은 민주시민의 자질과 역량을 기르기 위한 시작점으로 청소년 교육을 강조하였다. 전쟁과 사상적 가치에 따른 분쟁으로 인한 인적손실을 해소하기 위해 국가 발전의 기반을 다짐과 동시에 인재양성을 위한 발판으로 삼았던 것이다. 현대사회 청소년 교육이 입시와 성공을 위한 교육으로만 전락해버린 현실에서 시민참여교육을 통한 성숙한 청소년 양성과 민주시민으로써의 자질과 역량을 기르기 위한 내·외적 교육이 실시되어야 한다. 이러한 활동들은 시민참여교육의 효율성을 극대화함과 동시에 미래 국가의 주인을 양성하고 주도적 시민참여를 이끌어내는 기반이 될 것이다.

      • "우리 민족은 서로 사랑함이 부족합니다" 도산 안창호의 사상에 나타난 사랑과 자유의 의미에 대한 해석

        이동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741

        본 논문은 안창호의 사상에 나타난 사랑과 자유가 구세학당에서 배우고 익힌 기독교 정신을 기반으로 형성된 것임을 밝히고, 그의 사랑과 자유에 대한 의미를 해석하고, 그 사상을 토대로 건설하려는 새로운 나라는 어떤 나라인지를 고찰하고, 오늘날 우리 사회와 한국 교회의 과제의 구체성을 살펴보려고 한다. 안창호는 평양의 청일전투를 목격하며 나라를 위해 무엇을 할지 고심했다. 서양 학문의 필요성을 절감한 그는 고향을 등지고 서울로 상경했다. 그는 밀러를 만나 기독교 학교인 구세학당에 입학했고 그곳에서 기독교 정신을 배웠다. 그런데 이곳에서 그의 교육은 그의 사상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고, 이것은 향후 안창호가 개인, 사회, 국가를 개혁하고 새로운 나라 건설에 동기가 되었다. 졸업 후 그는 독립협회와 만민공동회에서 활동한 후 만민공동회가 해산됨에 따라 평양에 내려가 점진학교를 세우며 교육자의 꿈을 키웠다. 그리고 언더우드의 도움을 받아 미국 유학에 꿈을 갖게 되었고, 유학의 목표를 두 가지로 설정했다. 하나는 교육학을 전공하는 것이었고, 다른 하나는 기독교의 진리를 연구하는 것이었다. 그의 유학은 어떤 국민, 어떤 사회, 어떤 국가로 발전해 나가야 할지를 구상하는 데 주요한 단초가 되었다. 그는 새로운 나라를 구상할 때 개인-사회, 개인-국가, 사회-국가를 염두에 두었다. 그는 이를 위해 필요한 것으로 하나는 사랑이고 하나는 자유라고 생각했다. 먼저 그는 국민에게 사랑을 강조했다. 이 사랑에는 세 가지가 나타나는데 첫째, 국민의 의무인 국가에 대한 사랑이다. 이것은 국민이 나라를 사랑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개인의 의무인 국민에 대한 사랑이다. 이것은 모든 국민이 서로 사랑해야 한다는 것이다. 셋째, 세계의 의무인 이웃에 대한 사랑이다. 이것은 국민 간의 사랑 외에 일본을 포함한 세계를 사랑하는 것을 일컫는다. 다음으로 안창호가 국민에게 강조했던 것은 자유이다. 그의 자유는 크게 셋으로 나타난다. 첫째, 정치적 자유이다. 이것은 안창호가 국민에게 조국이 일본으로부터 완전한 독립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개인적 자유이다. 이것은 어떤 대상의 제제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운 상태를 일컫는 것이다. 셋째, 공공의 자유이다. 이것은 개인의 자유와 공공의 자유가 대립 되었을 때 후자를 선택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면 안창호가 사랑과 자유를 통해서 만들려고 했던 이상은 무엇이었을까? 그것은 견고한 나라로서 사랑의 나라였고 자유 문명의 국가였다. 그는 독립 후 도래할 사랑과 자유 문명의 나라는 기독교 사랑이 근간이 되기를 기대했다. 분명한 것은 그가 건설하려고 했던 새 나라는 기독교의 나라가 아니라 기독교의 사랑이 바탕이 된 새 나라였다는 사실이다. 그 나라는 먼저 사랑의 나라로서 독립 전의 나라와는 완전히 다른 모든 국민이 사랑하는 국가이고, 사회 안에 더 이상의 미움, 분쟁, 시기, 원망, 갈등이 최소화된 국가이며, 인류 화평에 이바지하는 국가이다. 그리고 자유 문명의 나라는 한국의 정치형태를 바꾼 민주공화국을 지향하는 나라이고, 개인의 자유와 공공의 자유가 공존하는 사회이고, 개인과 공공의 자유가 대립할 때 공공의 자유를 선택하되 개인의 자유가 무시되지 않는 사회, 최대한 개인의 자유가 보장 및 실현될 수 있는 사회이다. 이로 보건대 안창호가 기대했던‘독립’은 해방 그 이상의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안창호가 이상을 갖고 건설하려던 새 나라의 궁극적 목표는 국민의 행복이었다. 그가 사랑과 자유를 고수하며 건설하려 했던 목표는 국민의 행복 즉 복지를 실현하기 위해서였다. 그가 국가에 대한 사랑과 개인에 대한 사랑을 넘어 세계에 대한 사랑을 강조한 이유도 자국과 세계 국민이 누릴 행복 때문이었다.

      • 도산 안창호의 기독교 실천철학 연구 : 직설법(Indicative)과 명령법(Imperative)을 중심으로

        이정권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710

        본 논문은 도산 안창호의 기독교 실천철학에 관한 연구이다. 이 연구는 도산의 기독교 실천철학의 근간이 그가 어린 시절 서당에서 배운 유가 철학과 청소년기에 구세학당에서 배운 기독교 사상이 융합되어 체계화된 것임을 보여준다. 또한 도산의 기독교 실천철학이 함유하고 있는 의미를 직설법과 명령법의 관점에서 설명한다. 그래서 도산의 기독교 실천철학의 핵심을 무실역행(務實力行)과 정의돈수(情誼頓修)로 보고 무실역행과 정의돈수를 실현하기 위한 애기애타(愛己愛他), 가정, 단체, 국가를 고찰하고 오늘날 한국 사회가 가지고 있는 문제를 해결할 몇 가지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도산 안창호는 구한말 청일전쟁과 일제에 주권(主權)을 무기력하게 빼앗기는 것을 보았다. 그래서 그는 주권을 빼앗긴 국가와 국가를 잃은 자기 민족을 위해 무엇을 할 것인가를 고민했다. 그는 큰 뜻을 품고 학문을 배우기 위해 고향인 평양을 떠나 서울로 갔다. 그는 서울 정동에서 미국인 선교사 밀러를 만나 기독교 학교인 밀러학교(구세학당)에 입학했다. 그곳에서 성경은 물론 교리문답을 통해 기독교 교리를 체계적으로 배울 수 있었다. 또 한문과 산수 같은 일반 학문도 함께 배웠다. 구세학당은 동서양이 만나는 공간이었다. 공부하는 시간은 동서양이 융합하는 시간이었다. 구세학당은 도산의 기독교 실천철학이 형성되는 데 막대한 영향을 주었다. 구세학당 졸업 후 도산은 무실역행을 실행하는 개인과 가정, 단체와 국가에 주목하게 되었다. 도산은 교육가로서 점진학교를 세워 후학들을 가르쳤고 나라의 독립을 위해 만민공동회와 독립협회에서 왕성한 활동을 했다. 그리고 그는 청년동우회와 흥사단을 조직해서 무실역행과 정의돈수를 솔선수범하며 실천했다. 특히 그는 연설과 담화, 그리고 설교를 통해 그의 기독교 실천철학을 주장하였다. 도산 안창호의 연설이나 담화, 설교를 보면 항상 직설법과 명령법의 관점이 등장한다. 연설이나 글을 시작할 때, 먼저 그는 직설법으로 원리적인 측면을 설명한다. 그 후 그 원리를 실천하고 적용할 것을 촉구할 때는 명령법을 사용한다. 그런데 도산의 직설법과 명령법의 독특한 점은 직설법에서는 유가 철학의 개념인 무실역행이나 한문의 내용을 말하고 명령법에서는 성경의 단어나 문장이나 의미를 가지고 와서 실천할 것을 주장한다. 도산의 많은 연설과 글은 직설법과 명령법의 구조와 관점으로 되어 있다. 직설법과 명령법의 관점은 도산이 구세학당에서 성경을 통해서 배운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는 무실역행을 통해 진실과 정직을 직설법으로 설명하고 진실한 삶을 살 것을 성경을 통해 명령법으로 주장한다. 또한 정의돈수를 사랑을 쌓는 원리로 설명할 때 직설법을 사용한다. 그리고 정의돈수의 명령법으로 사랑을 쌓기 위해서는 성경의 명령대로 다른 사람을 존중할 것을 강조한다. 도산은 무실역행과 정의돈수의 기독교 실천철학을 실현하기 위해서 개인과 가정과 단체와 국가를 강조한다. 첫째, 무실역행의 출발점으로서 그는 개인에게 애기애타(愛己愛他)의 삶을 살 것을 강조한다. 먼저 자기 자신을 참으로 사랑하지 않는 자는 타인과 가족을 사랑할 수 없다. 사랑의 출발점이 자기를 진실로 사랑해야 하는 무실역행이다. 그리고 자기 자신을 사랑하는 자는 하나님과 이웃을 사랑할 수 있다. 둘째, 그는 무실역행의 전개로서 가정에서 혼인(婚姻)의 중요성을 말한다. 혼인관(婚姻觀)에서도 자신을 거짓 없이 사랑하고 존중하는 자가 다른 사람을 존중할 수 있다. 혼인은 외형적인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진실한 마음과 상대방의 존중이다. 그리고 부부관계에는 부부 상호 간의 존중과 신뢰가 있어야 한다. 가정은 정의돈수의 사랑 가운데 세워야 한다. 셋째, 도산은 무실역행의 훈련장으로써 단체의 중요성을 이야기하면서 힘의 철학을 강조한다. 그는 대한민국의 독립을 위해서는 힘을 양성해야 함을 주장한다. 그는 힘의 철학 근원을 무실역행(務實力行)이라고 강조한다. 그는 구한말에 우리 민족의 국력이 약화 된 원인을 정직이 없는 거짓된 것에서 발견한다. 그리고 나라의 힘을 양성하는 데는 두 가지가 필요하다고 말한다. 그것은 개개인이 건전한 인격을 양성하고 그 토대 위에 각 개인의 신성한 단결을 이루는 것이다. 넷째, 도산은 무실역행의 실현장으로써 국가에서는 백성이 주인이 되는 민주주의를 강조한다. 국민 한 사람 한 사람이 황제이고 주인이다. 민주주의는 국민 한 사람 한 사람이 시민의식을 가지고 나라의 주인이 되는 것이다. 주권자인 민주 시민은 주인의식 가지고 국가의 일에 참여하고 국가의 주인으로 무한한 책임이 있다. 그리고 국가는 공동체적인 정신을 가지고 공동의 이익을 실현하기 위해 나아가야 한다. 또한 국가는 변화하는 발전된 문명을 지향해야 한다. 그럴 때 국가통합을 이룰 수 있다. 결론적으로 도산의 기독교 실천철학은 21세기에도 가능하다. 21세기는 융합의 시대이다. 100년 전 도산은 유교의 철학과 기독교 정신을 기독교 실천 철학으로 융합했다. 그의 동서양 융합의 관점은 구한말 민족에게 진실한 비전을 제시하였다. 그는 연설과 담화와 글을 통해서 공리공담에 잠들어 있는 민족을 무실역행으로 깨웠다. 그리고 정직과 진실의 강력한 실천이 바탕이 된 융합의 정신은 학제 간 융합, 기술 과학의 융합을 이루어야 하며, 특히 철학에서도 동서양의 융합이 학문적 융합연구로 이어져야 할 것이다. 도산의 기독교 실천철학은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도 너무나 필요하다. 속임수와 거짓과 부정과 비리가 사회적 전반의 문제가 되고 있다. 100여 년 전에 도산이 주창한 무실역행과 정의돈수의 정직과 진실과 사랑의 정신은 현대에도 영향이 매우 크다. 정치권이 진실하고 정직해야 백성으로부터 존경받게 된다. 경제가 정직해야 기업이 살아나고 국가 간의 경쟁력도 강화된다. 교육이 정직해야 진실의 덕성과 인성과 품성 교육이 참으로 이루어진다. 과학기술이 정직해야 불량품이 나오지 않고 세계로부터 인정받을 수 있는 우수한 상품이 나와야 경제와 산업이 발전할 수 있다. 모든 분야가 정직과 진실에 기초할 때 발전할 수 있고 미래에 성공할 수 있다. 오늘날 대한민국은 힘의 철학의 필요성을 통감하고 있다. 155마일 허리 잘린 남북분단과 강대국에 쌓여있는 국가 안보의 생태계는 힘 있는 국력을 필요로 한다. 글로벌 시대에 국가의 힘은 안전과 평화 그리고 민족 번영과 행복의 밑바탕이 된다. 도산은 힘의 철학의 필요성을 절절히 깨닫고 힘을 기르기 위한 전략적인 방법과 비전을 제안하였다. 그는 하나님이 주시는 정직한 이성, 진실한 이성, 합리적인 이성으로 민족의 현실을 진단하고 이에 대한 정확한 처방을 제안하였다. 그 힘의 원천이 정직한 사람이고, 또한 진실한 사람이라는 것을 주장하였다. 아울러 힘을 도덕력, 단결력, 경제력, 인물력 등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는데, 이러한 도산의 안목과 식견은 21세기에도 구체적으로 실천 가능하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진다. This thesis is a study on Dosan's practical philosophy of the Christianity. It will show that the basis of Dosan's practical philosophy of the Christianity is the harmonized fusion of the Confucian philosophy he learned at Seodang in his childhood and the Christianity thought he learned at Guse-Hakdang, in his youth. It also explains the meaning of Dosan's practical philosophy of the Christianity in terms of indicative and imperative. This study sees the core of Dosan's practical philosophy of the Christian as Musilyeoghaeng(practical practice) and Jeonguidonsu(friendship and cultivation). It considers the love(both self-love and altruism), family, organization, and nation to realize Musilyeoghaeng and Jeonguidonsu. Furthermore it suggests several ways to solve the problems Korean society has today. Dosan helplessly watched the First Sino-Japanese War and his country being taken away by the Japanese during at the end of the Chosen Dynasty. Dosan pondered what to do for his lost country and his people. He left Pyongyang, his hometown, and went up to Seoul for his study. There, Dosan met Miller, an American missionary and entered the Miller School as known as Guse-Hakdang. Dosan was able to systematically learn Christian doctrine through catechism as well as the Bible. He also learned general subjects such as Chinese letters and arithmetic. Guse-Hakdang was a place where the East and the West converged and while studying there, he experienced the fusion of the East and the West. Guse-hakdang had a huge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Dosan's practical philosophy of the Christianity. After graduating Guse-hakdang, Dosan became interested in individuals, families, organizations, and the states that carried out Musilyeoghaeng. As an educator, Dosan established Jumjin school to teach the younger generation and actively participated in both People’s Assembly and Independence Club for the independence of his country. In addition, he organized the Youth Comrades and Heungsadan, to take the initiative in practicing Musilyeoghaeng and Jeonguidonsu. In particular, he asserted his practical philosophy of the Christianity through speeches, discourses, and sermons. Dosan used indicative tone and imperative tone when giving speeches, discourses, and sermons to people. When he begins his speech, writing, or sermon, he explains the fundamental aspects in an indicative tone. After that, when urging the practice and application of the principle state capitalism in an indicative tone, he uses an imperative tone. There is a uniqueness in Dosan's indicative and imperative. In the indicative, he uses the concept of Confucian philosophy, such as Musilyeoghaeng or the Chinese literature in order to explain the basic principles. In the imperative, he used biblical words, sentences, or meanings in order to drive the people into practice. All of Dosan's speeches and writings consist of the structure and perspective of an indicative and imperative tone. This perspective was what Dosan learned through the Bible at Guse-hakdang. He explains truth and honesty in an indicative tone and insists on living a true life. He also explains the love of Jeonguidonsu as a principle using an indicative tone and emphasizes respect for others in an imperative tone, as the commandment of the Bible, to build love. Dosan emphasizes individuals, families, groups, and nations in order to realize the practical philosophy of the Christianity such as Musilyeoghaeng and Jeonguidonsu. First, as the starting point of Musilyeoghaeng, he emphasizes to the individuals to live a life of love, both self-love and altruism. Those who do not truly love themselves cannot love others including their families. The starting point of love is Musilyeoghaeng in which must truly love themselves. And those who love themselves can love God and their neighbors. Second, he refers to the importance of marriage in the family as the development of Musilyeoghaeng. Even in the case of marriage, those who love and respect themselves without lying can also respect others. In marriage, appearance is not important, A sincere heart and respect of the other person is. The relationship between a husband and a wife should have mutual respect and trust. Families should be established in the love of Jeonguidonsu. Thirdly, Dosan emphasizes the philosophy of power while talking about the importance of the organization as a training ground for Musilyeoghaeng. He argues that Korea must increase its power for it’s independence. He points out that the source of the philosophy of power is Musilyeoghaeng. He seeks the cause of the national weakness at the end of the Chosen Dynasty in the lack of honesty. And he says that there are two components to build national strength. One is for each individual to cultivate a sound personality. The other is to form a sacred unity of each individual based on their sound personalities. Fourth, Dosan emphasizes democracy in which the people are the masters in the state as a place of realization of Musilyeoghaeng. Each and every citizen is an emperor and master. Democracy is that all citizens become the owner of a country with a sense of citizenship. As a sovereign, each citizen participates in the affairs of the state and has unlimited responsibility as masters of the state. The state must move forward to realize common interests with a communal spirit. In addition, the state should aim for an advanced civilization that changes. Only then can national unity be achieved. In conclusion, Dosan's practical philosophy of the Christianity is applicable in the twenty first century. The twenty first century is the age of convergence. One hundred years ago, Dosan fused Confucian philosophy and the Christian spirit into a practical philosophy. His idea presented a true vision to the people of the late Chosen Dynasty. Through his speeches, discourses, and writings, Dosan really awakened the people who had fallen asleep into the empty words to Musilyeoghaeng. The spirit of convergence, based on this strong practice of honesty and truth, should lead to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the convergence of technology and science, and the convergence of philosophical research. Dosan's practical philosophy of the Christianity is absolutely necessary in today's Korean society. Deception, lies, injustice, and corruption are becoming problems throughout our society. The spirit of honesty, truth, and love, advocated by Dosan over one-hundred years ago, has a great influence even today. Only when politicians are sincere and honest can they be respected by the people. Only when entrepreneurs are economically honest, can companies survive and strengthen competitiveness among countries. Only when education is honest, true virtue, character, and character education can be achieved. Only when science and technology are honest, excellent products recognized by the world can be produced to develop the economy and industry. All fields can develop and succeed in the future when they are based in honesty and truth. Today, South Korea is acutely aware of the need for a philosophy of power. The one-hundred-fifty-five-mile division of South and North Korea and the environment of national security surrounded by powerful countries require strong national power. In the age of globalization, national strength is the basis for safety, peace, national prosperity and happiness. Dosan acutely realized the necessity of a philosophy of power and proposed a strategic method and vision to develop power. Dosan diagnosed the reality of the nation with honest reason, true reason, and rational reason given by God and suggested an accurate prescription for it. Dosan insisted that the source of that power should be an honest and truthful person. In addition, he presented strength in detail, dividing it into categories such as moral power, solidarity, economic power, and character power.

      • 무강(武剛) 문일민(文一民)의 생애와 민족운동

        김경준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22 국내석사

        RANK : 247706

        This dissertation is aimed at shedding light on the life and national movement of independence activist Mookang Mun Il-Min (1894-1968) and its meaning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Mun Il-Min was born in Gangseo-gun (江西郡), Pyongannam-do (平安南道). When the March 1 Independence Movement in 1919 took place, he defected to Seogando (西間島) in China. After that worked at the Shinheung Military Academy (新興武官學校), the Korean People Society (韓族會), the Korean Federation of Young men's Associations (大韓靑年團聯合會), and the Korean Liberation Corps (大韓光復團). In August 1920, he was dispatched to Pyongyang as a member of the General Camp of the Korean Independence Army (大韓光復軍總營) and succeeded by throwing a bomb at the Pyeongnam-do Provincial Government Building. (평남도청 투탄 의거) After escaping to China again, Mun made an inspection of France and Mexico. He returned from overseas inspection and graduated from Yunnan Military Academy (雲南陸軍講武學校). In 1925, Mun was elected as a member of the Provisional Assembly of the Republic of Korea in Shanghai. At that time, as a member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Reorganization faction’, he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Provisional Government innovation movement, leading the impeachment of President Syngman Rhee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Afterwards, he trained the independence army at the Jeongui-bu (正義府) in Manchuria, and he was dispatched to the Guangdong Whampoa Military Academy (黃埔軍官學校). Also, he served as a colonel in the Chinese National Revolutionary Army (國民革命軍). In 1930, Mun joined the Young Korean Academy Far Eastern Branch (興士團 遠東臨時委員部) organized by Ahn Chang-Ho. He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activities of Young Korean Academy and followed Ahn Chang-Ho's teachings. Mun, who respected Ahn Chang-Ho very much, visited Cho So-Ang and Kim Chul, who instigated the article, and questioned him when a slanderous article about Ahn was published in the Chinese newspaper 『시사신보』(時事新報) in May 1932. With this opportunity, the Provisional Government and the Korean Independence Party (韓國獨立黨)'s power structure were reorganized. (항저우 판공처 습격 사건) In April 1934, Mun planned to assassinate the French consul general with members of the Young Korean Academy in protest of the French consulate's pro-Japanese policy, but failed. (프랑스 영사 암살 미수 사건) Mun was a member of the Korean Independence Party but participated in the Korean National Revolutionary Party (民族革命黨), which was created as a result of the party unification movement in July 1935. Since then, he had been worked on an opposition group such as the Overseas Plenipotentiary Committee of Korean People’s Party (朝鮮民族黨 海外全權委員會), the Korean People's Revolutionary Unification Alliance (朝鮮民族革命者統一同盟), the New Korean Democratic Party (新韓民主黨). In particular, just before liberation, he was a member of the New Korean Democratic Party and actively engaged in the innovation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against the Korea Independence Party, which was the ruling party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Mun, who returned to Korea after liberation, attempted to suicide by disembowelment at the U.S. military government building in October 1947 to criticize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appeal for the establishment of a unified government. (중앙청 할복 의거) Mun received conferment of decoration as a person of merit for independence, but there has been no research on his life and activities so far. Accordingly, this dissertation was able to confirm the truth and characteristics of the national movement of Mun Il-Min by investigating his life. It is not easy to comb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tional movement conducted by Mun Il-Min into one category. This is because there has been a very wide conduct in the area of activity and the way of struggle. However, there are keyword that are commonly revealed in the process of his national movement. It's Ahn Chang-Ho. Mun wanted to meet Ahn with longing for him from his childhood. Later on, he met Ahn in Shanghai and participated national movement with Ahn. The attempt suicide by disembowelment at the Capitol Building (中央廳) after liberation was also aimed at practicing Ahn's spirit. Throughout his life, Mun tried to practice Ahn's teachings. 본 논문에서는 독립운동가 무강 문일민(1894~1968)의 생애와 민족운동을 규명함으로써 그의 활동이 한국독립운동사에서 어떠한 의의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평안남도(平安南道) 강서군(江西郡) 출신의 문일민은 1919년 3.1운동을 계기로 중국 서간도(西間島)로 망명, 신흥무관학교(新興武官學校)·한족회(韓族會)·대한청년단연합회(大韓靑年團聯合會)·대한광복단(大韓光復團) 등 서간도 지역 무장단체에서 활동했다. 문일민은 1920년 8월 대한광복군총영(大韓光復軍總營) 평양 폭탄대의 일원으로 평양에 침투, 평남도청에 폭탄을 던져 건물 일부를 파괴하고 탈출하는 데 성공했다. (평남도청 투탄 의거) 의거 이후 상하이로 탈출한 그는 프랑스·멕시코 시찰을 다녀온 뒤 윈난육군강무학교(雲南陸軍講武學校)를 졸업했다. 1925년 2월 문일민은 상하이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의원으로 선출됐다. 이때 임시정부 개조파의 일원으로 임시정부 대통령 이승만의 탄핵을 주도하는 등 임시정부 쇄신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임시정부 쇄신운동을 마무리한 그는 다시 만주로 건너가 정의부(正義府)에서 독립군을 양성하던 중 황푸군관학교(黃埔軍官學校)에 파견됐으며 중국 국민혁명군(國民革命軍)에서도 고위 참모를 역임했다. 1930년 5월 문일민은 안창호가 조직한 흥사단 원동임시위원부(興士團 遠東臨時委員部)에 입단했다. 안창호에 대한 존경심이 남달랐던 그는 1932년 5월 중국 신문 『시사신보』에 안창호에 대한 비방 기사가 게재되자 동료들과 함께 기사를 사주한 조소앙·김철을 찾아가 추궁하기도 했다. 해당 사건은 임시정부와 한국독립당(韓國獨立黨)의 세력 구도가 재편되는 계기로 작용했다. (항저우 판공처 습격 사건) 1934년 4월에는 프랑스 영사관의 친일 정책에 반발하여 흥사단 멤버들과 함께 프랑스 총영사 암살 계획을 세웠으나 미수에 그치는 일도 있었다. (프랑스 영사 암살 미수 사건) 문일민은 한국독립당 소속이었으나 1935년 7월 중국 관내 지역 정당 통일운동의 결과 탄생한 민족혁명당(民族革命黨)에 참여했다. 이후 그는 조선민족당 해외전권위원회(朝鮮民族黨 海外全權委員會)·조선민족혁명자통일동맹(朝鮮民族革命者統一同盟)·신한민주당(新韓民主黨) 등 줄곧 야당 세력으로 활동했다. 특히 해방 직전 신한민주당의 일원으로서 임시정부의 여당이었던 한국독립당을 상대로 강력한 대여투쟁을 전개하며 임시정부의 혁신운동에 적극적으로 나선 바 있다. 해방을 맞아 귀국한 문일민은 한반도의 분단을 비판하고 통일 정부 수립을 호소할 목적으로 1947년 10월 중앙청에서 할복 자결을 시도했다. (중앙청 할복 의거) 이처럼 그는 한국의 완전한 자주독립을 쟁취하기 위해 자신의 목숨을 초개와 같이 내던졌던 의열투쟁가였다.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문일민은 생전에 독립유공자로 서훈됐지만 지금까지 그의 생애와 활동을 조명한 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문일민의 삶을 규명함으로써 그가 전개한 민족운동의 실체와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문일민이 전개했던 민족운동의 특징을 하나의 범주로 묶는 것은 쉽지 않다. 이는 활동 지역, 투쟁 방식 등에 있어 매우 광범한 전개가 이뤄졌기 때문이다. 다만 그의 민족운동 과정에 있어 공통적으로 드러나는 키워드가 있다. 바로 도산 안창호이다. 문일민은 어린 시절부터 안창호를 동경하며 그의 가르침을 받고자 했다. 훗날 그는 상하이에서 안창호를 만나 그와 함께 민족운동에 참여했다. 해방 후 중앙청 할복 의거 역시 안창호의 대공주의(大公主義)를 실현하기 위한 문일민 나름의 실천이었다. 문일민이 전개한 민족운동의 밑바탕에는 안창호의 가르침이 있었던 것이다.

      • 안창호의 교육사상과 대성학교

        임규홍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95

        도산 안창호는 구한말 나라가 위태로운 시기에 태어나 조국의 몰락을 겪고, 일제 식민지시기를 거치면서, 민족을 부흥하고 나라를 구하는 길을 찾기 위해 모색하였다. 여러 분야에서 활동했던 그는 민족의 힘을 길러 새로운 민족으로 변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안창호는 일생동안 경험했던 여러 사상을 종합하여 자신의 독창적인 교육 사상을 만들었다. 안창호의 교육 사상의 핵심은 바로 ‘힘의 사상’이다. 도산은 청일 전쟁 시기 일본이 승리하면서 조선에 대한 내정간섭이 심해지는 것을 보고 국력을 배양해야 한다는 것을 인식하게 된다. 민족의 힘을 기르기 위해서는 교육을 통하여 인재를 양성하고, 국민 각자의 자기 개조와 자아 혁신으로 민족을 개조 해야 궁극에 나라의 독립을 이룰 수 있다고 여겼다. 도산은 교육의 목적을 애국심을 지닌 건전한 인격 육성에 두었고 덕, 체, 지의 세 가지 덕을 강조했다. 도산은 덕육을 제일 우선시 했고 다음으로는 체육과 지육의 순서로 강조하는데 덕이 맨 앞에 되는 것은 건전한 인격 육성을 위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는 것이고 건강한 육체에 건강한 정신이 깃든다는 의미로 체를 다음으로 강조했다. 도산은 보다 현실적인 교육을 주장했다. 교육은 이론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실생활에 도움이 되어야 하며, 경제적으로도 자립할 수 있어야한다고 주장했다. 구체적으로 1인 1기의 전문기술이나 기예를 습득하여 각자의 생존을 위해 생산적인 직업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한다. 도산은 진실함과 서로 사랑할 줄 아는 민족을 역설하였으며 사랑을 교육의 중요한 요소로 여겼다. 가정과 학교 그리고 사회의 기본 토대가 되어야 하는 것은 사랑이고 교육에 있어서 사랑의 중요성을 그대로 실천하였으며 학생 중에 어려운 사정을 상담 받으면 정성껏 듣고 해결책이나 교훈을 주려고 노력하였다. 정의돈수(情誼惇修) 교육을 통하여 항상 사랑하기를 생활화 하도록 권장했다. 도산은 자신이 연구했던 사상을 다양한 활동을 통해 실천 하려고 노력하였다. 도산은 정규학교와 사회적 시설, 조직체를 통해서 교육을 보급하였고 모든 활동에서 조국 독립의 인재를 양성했다. 대표적인 학교로는 漸進學校와 大成學校, 東明學院을 설립하여 조국의 미래를 짊어질 청년 인재들을 교육했고, 단체로는 靑年學友會, 新民會, 興士團을 통해 대국민 사회교육을 실시하였다. 이는 사회교육의 개념과 체제가 발달하지 않았던 그 시기에 앞선 교육 방법이었고 오늘날에도 많은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다. 그 중에서 대성학교는 당시 세워졌던 사립학교 중에서 가장 모범적인 학교였다. 일본이 사립학교령을 통해서 학교 설립 기준을 까다롭게 만들고, 교육내용까지 검열함으로써 민족 교육을 탄압 하려던 시기였다는 점은, 대성학교 설립은 강력한 항일 독립의지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