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성호학파의 『맹자』 해석에 대한 연구

        함영대 성균관대학교 2009 국내박사

        RANK : 247807

        This study examines the interpretation of the Sung-ho School’s Mencius. Aspects of the Sung-ho School as a practical science are accumulated in Socio-economic Thoughts(經世論) through existing studies, which are regarded as having Confucian classic as the basis. However, studies on Confucian classics of the Sung-ho School have focused on individual scholars, and there have been little investigation on common features and changes in the school. This study, therefore, investigates the succession, changes, and significance of interpretation of the Sung-ho School’s Mencius centering on interpretations of Seongho Yi ik, Sunam An Jeongbok, and Dasan Jeong Yakyong, who left clear views on Mencius. Chapter 2 addresses the characteristics in terms of interpretation method. The scholars pursued practical learning based on the idea of Genuine Heart(實心), and paid attention to specific verification by grasping facts. In addition, they sought practice while presenting innovative, specific, and systematic strategies, which well indicates that their scholarship had in mind and write about a specific society, rather than was limited only to theoretical vision, and that Confucian classics of Sung-ho School bore the spirit of Gungyeongchiyong(窮經致用) thoroughly. Scholars of the Sung-ho School, of course, did not have constant social condition, academic position, and view on the ruler. Although there were some different views, their general academic system - establishment of statecraft through Confucian classics - was the same. Besides, notable are the fact that they did not get a lift in the academic atmosphere that adhere to the existing views, examined Korean annotation of Chinese classics and interpretation for critical judgment on the original texts and accurate interpretation of the manuscript, and attempted to grasp the main significance of the scripture, not sticking to comments. In chapter 3, which addresses simseong-ron(心性論) and suyang-ron(修養論), it was confirmed that the general interpretation on Dasan's simseong-ron(心性論) reflected perspectives on practice and utility, and that a specific world in which variety was respected was represented based on recognizing nature of individuals. In addition, it was also found that the basis for such recognition was originated from Sung-ho. The Sung-ho School's interpretation on disposition, humanity, and properties of matter(物性) was in line with the positive progress of the Middle Ages' universalism in terms of individuals in modern times. The firm establishment of the device - ‘forgiveness(恕)’ that saves the isolated self of an individual is of significance in that it provides the clue of overcoming the problem of human alienation. in suyang-ron(修養論), interpretation on judgment of thoughts(知言) and vast-flowing spirit(浩然之氣), which were presented as the basis for the idea of firm heart(不動心) was particularly delivered. Thus, it was confirmed that the Sung-ho School focused on practice of suyang-ron(修養論). In other words, the scholars changed realization of rightful moral training as the basis for moral training into that of practice. Chapter 4 examines the socio-economic thoughts and traditional theory of the Sung-ho School. In particular, recognition of Jeongjeonje(井田制) and Gwanjungron(管仲論) are investigated. There is little evidence that those theories were clearly and realistically realized, and possibilities of realizing Jeongjeonje(井田制), hoped out of affection toward people and will of national reform, were not very high. Their evaluation on onlookers who insisted Paedo(覇道) was not very critical as they paid attention to the role in and contribution to the scholarship. Besides, it also shows the specific condition where the scholarship of the Sung-ho School was changed from moral issues to realistic ones among the people. In the Sung-ho School as well, the Four Books(四書) of Ancient China agreed to the spiritual enlightenment(道統) admitting the authority of Jujahak(朱子學) in Confucianism, but Dasan broke from the common perspective on the spiritual enlightenment. Beogidan was recognition of the issue concerning a new academic school or climate. Although Seongho and Dasan had a very flexible recognition of Beogidan, Sunam had a very strong rejection to and critical view on any learning but the orthodoxy. However, Sunam also rejected blinded worship of Jujahak(朱子學). The orthodoxy and Hwaigwan(華夷觀) are the recognition of history and civilization. In particular, Hwaigwan have been adopted as an important indicator of the characteristics of general practical science in time, and that of the Sung-ho School was found be to relatively conservative compared to the Bukhak(北學) School when it comes to orthodoxy. The idea of social classes examines the views of the Sung-ho School that had progressive perspectives on the four circles - academy, agriculture, industry, and commerce. Gyecheung-ron that it presented showed the changing recognition from the classical position in society to official rank. The Sung-ho School developed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law and order in family filial piety, which was the core of family ethics and social law and order. In other words, Sung-ho put emphasis on humanity while Dasan more on laws, which well shows the tide of the times regarding personal morality and social law and order. Chapter 5 examines the significance of the interpretation of the Sung-ho School’s Mencius in terms of Confucian classics. In comparison with the Wuam School, the idea of Juja was critically accepted while the idea of morality in simseong-ron(心性論) and suyang-ron(修養論) was adopted with the detailed and dynamic action. Besides, in comparison with views of scholars from Qing Dynasty and Japan, it was found that interpretation of the Sung-ho School on Mencius was regarded as a very aggressive view domestically with some conflict involved, while the history of Confucian classics in East Asia reflected the up-to-date flow in time and left meaningful academic arguments. Gojeunghak of Qing Dynasty. To understand more fully the interpretation of the Sung-ho School's Mencius, Twegye's Confucian classics that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the Sung-ho School's Confucian classics, Confucian classics of the early realistic school, and the Gohak(古學) school of Japan should be investigated with regard to their correlation; and thorough understanding of scholars of Jujahak(朱子學) from Sagye and U-am circles is also required. When these are more thoroughly addressed, the significance of the interpretation of the Sung-ho School on Mencius will be clearer. 본고는 星湖學派의 『孟子』 解釋에 대한 硏究이다. 성호학파는 조선후기 가장 대표적인 실학의 학맥이다. 기존 연구를 통해 성호학파의 실학적 면모는 經世論에 집약되어 있으며, 경세론은 經學에 토대를 두고 있음이 지적되었다. 그러나 성호학파의 경학에 대한 연구는 개별 학자 중심으로 전개되어 학파내의 繼承과 變移에 대한 탐구는 충분하게 이루어지지 못했다. 본고는 이 점에 착안하여 성호학파 가운데 󰡔맹자󰡕에 대한 뚜렷한 해석서를 남긴 성호 이익, 순암 안정복, 다산 정약용의 해석을 계승과 변이의 양상에 초점을 맞추어 고찰했다. 논의는 크게 두 방향에서 진행되었다. 하나는 경전 해석의 태도와 방법에 대한 것으로 2장에서 검토하였고, 다른 하나는 󰡔맹자󰡕의 주제별 쟁점에 대한 해석으로 3장과 4장에서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해석 방법상의 특징을 검토하였다. 그들은 實心을 바탕으로 實用의 학문을 추구했으며 학술의 사실에 대한 파악에서 구체적 實證에 주의했다. 아울러 그들은 實踐을 지향하면서 동시에 현실 개혁적인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방략을 제시했다. 이는 이들의 학술이 단순히 이론적인 공상에서 그치지 않고, 구체적 사회를 염두에 두고 이룩되었다는 것을 확인시켜 주는 것이며 동시에 성호학파의 경학이 窮經致用의 정신에 철저했다는 것을 말해준다. 물론 성호학파의 학자들 역시 사회적 처지, 학문적 자세, 군주에 대한 관점이 한결같지는 않았으므로 일부 異見을 노출하기도 했으나 경학을 통한 경세학의 수립이라는 대체적인 학문체계는 같았다. 아울러 기존의 견해를 묵수하는 당대 학술분위기에 편승하지 않은 점, 원전 텍스트에 대한 비판, 정확한 본문의 해석을 위해 諺解와 吐釋을 검토한 점, 주석에 얽매이지 않고 경전의 본의를 파악하려는 시도 등은 주목할 만 점으로 포착되었다. 3장의 심성론과 수양론에는 다산의 心性論에 대한 해석 전반에 實踐, 實用의 관점이 투영되어 있다는 것과 人性과 物性의 분리, 個別 性의 존중을 통해 구체적이고 다양성이 존중되는 세계를 구상했다는 것을 지적했다. 아울러 그러한 인식의 根幹이 성호에게서 비롯되었음을 밝혔다. 성호학파의 心性과 人物性에 대한 해석은 중세의 보편주의에서 근대의 개별 자아에 대한 긍정으로 진전하는 흐름과 맥을 같이 하는 것이다. 또한 개별성의 고립된 자아를 구원하는 ‘恕’라는 연대의 장치를 튼실하게 기획한 것은 근대에서 개별 자아의 강조가 가져오는 인간소외의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적지 않은 의미가 있다. 수양론에서는 不動心의 근거로 제시된 知言과 浩然之氣에 대한 해석을 중점 검토했다. 이를 통해 성호학파는 수양론에 있어서 실천의 맥락을 매우 중시했음을 확인했다. 그들은 수양의 근저로서 바른 수양에 대한 앎을, 인식으로서의 앎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실천으로서의 앎으로 전환했다. 4장에서는 성호학파의 경세론과 정통론을 검토했다. 그들은 현실적으로 확실하게 실현되었다는 증거가 부족하고, 실현가능성이 희박한 정전제의 실현을 기대했는데 이것은 민생에 대한 애정과 국가개혁의 의지에서 비롯된 것이다. 覇道를 주장한 관중에 대한 평가를 각박하지 않은 것은 학술의 事功的 역할에 주의했기 때문이며 이는 성호학파의 학술이 도덕적인 문제에서 민생의 현실적 문제로 전환하는 구체적 정황을 보여준다. 성호학파도 四書의 역사성과 유학에서 주자의 권위를 인정하는 등 道統인식에 동의했으나 다산은 도통에 대한 관점에서 이탈하는 면모를 보이는 바 이는 송학의 학문적 패러다임에서 탈피하는 모습이다. 벽이단은 새로운 학술조류나 학문풍토와 관련한 문제의식이다. 성호와 다산은 매우 유연한 벽이단의식을 가졌으나 순암은 正學이 아닌 학문에 대한 거부와 비판이 매우 강경했다. 그러나 순암 역시 일방적인 주자학의 숭배를 외치는 흐름에 대해서는 반대의 뜻을 분명히 했다. 正統論과 華夷觀은 역사의식이자, 문명에 대한 인식이다. 화이관은 특히 실학의 성격을 기능하는 중요한 지표로 활용되어 왔는데 성호학파의 화이관은 북학파에 비해 상대적으로 정통에 대한 관점이 강한 보수적인 면모가 있음을 확인했다. 직분론은 士農工商의 계층에 대해 진보적 견해를 가졌던 성호학파의 견해를 검토한 것이다. 그들이 설정한 직분론은 身分制的 인식에서 職役制的 인식으로 전환하는 면모를 보여준다. 성호학파는 사회 법질서와 가족윤리의 핵심인 효의 문제가 쟁점이 될 경우 가족효의 논리에서 법질서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인식의 발전을 보여 주었다. 곧 성호가 인륜을 우선시 했다면 다산은 법의 비중을 확대한 것이다. 이는 개인 도덕과 사회 법질서에 대한 시각의 변화상을 잘 보여주는 것이다. 5장에서는 성호학파 󰡔맹자󰡕 해석의 경학사적 의미를 검토했다. 우암학통과의 대조를 통해 상대적으로 朱子에 대한 비판적 수용의 면모와 심성․수양론에서 구체적이고 동적인 행위로서의 도덕을 설정했다는 것이 의미있게 포착되었다. 아울러 淸과 日本 학자들의 쟁점에 대한 견해를 비교하여 성호학파의 맹자해석이 국내에서는 상당히 급진적인 견해로 평가받으며 적지 않은 충돌이 있었지만 동아시아 경학사의 맥락에서는 최신의 흐름을 반영하여 학술논의에 정예한 의견을 남겼다는 것을 확인했다. 본고의 탐색 결과 남겨진 문제는 더욱 많아졌다. 성호학파 맹자해석을 한층 더 정밀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성호학파의 경학 형성에 기여한 퇴계의 경학, 초기 실학파의 경학, 서학, 청조 고증학파, 일본고학파의 영향관계를 검토해야 하고, 사계․우암계열의 순정 주자학자들과의 변별적인 이해도 요청된다. 아울러 맹자의 해석이 다른 四書의 解釋과 연관을 맺고 있는 양상도 검토되어야 한다. 이러한 내용이 온전히 검토될 때 성호학파의 맹자해석이 가지는 의미는 더욱 선명하게 파악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보완해야 할 내용이다.

      • 星湖 李瀷의『大學疾書』에 關한 硏究

        윤서현 성균관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星湖 李瀷(1681-1763)은 17-18世紀 南人系 在野學者로서 退溪 李滉을 私淑하고 磻溪 柳馨遠의 學風을 繼承하여 洙泗學的인 修己治人의 學問的 基盤위에 世務實用의 實學的 思考를 가지고 『大學』 등 儒敎經典을 새로운 觀點에서 再檢討하여 11種의 ‘疾書’를 著述하였다. 經義와 世務에 관심을 가졌던 星湖는 안다는 것은 장차 그것을 행하려는 것이며 儒學에는 治人의 實效가 따라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면서 그 實踐 方法論으로 格致로부터 治國·平天下를 論한『大學』을 例로 들어 提示하였다. 星湖는 또『大學章句』를 텍스트로 하여『大學疾書』를 저술하였으며 字義分析 및 槪念의 聯關性을 利用한 解釋, 古典의 用例와 『周易』卦의 象徵과 變化原理를 引用한 解釋 등 多樣한 方法을 通하여 『大學』을 再解釋하였다. 특히 「大學出於易」이라는 글에서 “『大學』은 句句節節이『周易』에서 나왔다.”고 主張한다. 그리고 ‘明明德’의 ‘明德은 晉卦를 引用하여 ‘스스로의 밝음’으로 定義하고, ‘新民’의 解釋에는 革卦와 鼎卦를 引用하여 ‘옛것을 버리고 새것을 따른다.’라고 하여 ‘新’ 을 [革舊從新]으로 풀이하였다. 또한 言, 述, 意, 記 등의 字義 分析方法에 의한 『大學』의 子思所作說을 主張하고, 「傳」3章의 聽訟節 包含, 諺解의 誤謬를 指摘하였으며, 格物의 ‘格’에 ‘至’의 意味 外에 ‘正’의 뜻도 있다는 陽明學的 觀點의 見解를 보이고, 明明德과 新民을 兩綱으로 하여 『大學』을 圖解하는 등 獨創的인 見解와 主張으로 『大學』을 解釋하였다. 한편 星湖의 學問態度와 ‘疾書’를 비롯한 遺著 등은 朝鮮後期 實學의 發展에 至大한 영향을 주었고, 그 결과 實學을 集大成한 茶山 丁若鏞으로 이어져 星湖의 學問을 多方面으로 繼承· 發展시켰다. 이러한 星湖學의 繼承은 18世紀 近代的 思惟의 萌芽가 되었고, 19世紀 後半에는 白巖 朴殷植으로 이어져 民衆啓蒙運動의 精神的 資源으로 活用되었다. Seongho Lee Ik(1681-1763) was a scholar out of office belonging to Namin School (Southern faction) in the 17th–18th century who was influenced by Toigye Lee Hwang and succeeded the academic traditions of Bangye Yu Hyeong-won. He wrote 11 kinds of Jilseo by reviewing the Confucian scriptures like 『Daehak』 from a new point of view with practical thought of Semusiryong(Actual using in the world) on the academic ground of Susa(洙泗)academic Sugichiin(Self-train- before-educating). Interested in Confucian thought and worldly matter, Seongho emphasized that to know is to be going to do and Confucianism should be followed by ruler's practical effect. As a practical method, he presented an example of 『Daehak』 in which from Gyeokchi to ruling over all the state at peace are discussed. Seongho also wrote 『DaehakJilseo』 taking 『DaehakJanggu』as a text. He reinterpreted 『Daehak』 through various methods including interpretation using analysis of the meaning of words and relatedness of concepts, and interpretation citing examples of classics and symbol and principle of shift of Gwe(sign of divination) in 『Juyeok』. Especially he maintained in 「DaehakChuleoyeok」 that each and every words of 『Daehak』came out of 『Juyeok』. He defined 'Myeongdeok' in 'Myeongmyeongdeok' as 'self brightness' quoting Jingwe. In interpretation of 'Sinmin', he construed 'Sin' as [HyeokguJongsin] meaning 'leaving the old to follow the new' by citing Hyeokgwe and Jeonggwe. He maintained a Jasasojakseol of 『Daehak』by the method of the meaning of words analysis such as 言/Eon, 述/Sul, 意/Eui and 記/Gi, and pointed out to the error of annotate in Korean including 聽訟節/Cheongsongjeol of chapter 3 of 「傳/Jeon」. He reinterpreted 『Daehak』 with an original opinion and argument. For example, he showed an opinion like the doctrines of Wang Yang-ming that ‘格/Gyeok’ of the word Gyeokmul has the meaning of '正/Jeong/straight' besides ‘至/Ji/arrive’, and illustrated 『Daehak』with two ways of sinmin and yanggang. On the other hand, the academic attitude of Seongho and his posthumous books including Jilseo had an enormous effect on development of Silhak(practical science) in late Joseon dynasty. As a result, scholarly attainments of Seongho were succeeded and developed to various directions after being led to Dasan Jeong Yak-yong who made a comprehensive survey of Silhak. Such a succession of scholarly attainments of Seongho became the bud of modern thought in 18th century that led to Baegam Bak Eun-sik in the late 19th century to be used as mental resources of public enlightenment movement.

      • 星湖 七情論과 ‘公喜怒’ 論辨 硏究

        오진솔 성균관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e Seongho’s theory about the ‘Seven sentiments(七情)’ and the issue of the ‘Happiness and anger based on public concern(公喜怒)’ which was the matter to Seongho’s disciples. To the Joseon confucian scholars, how to define the relevance between the ‘Four beginnings(四端)’ and the ‘Seven sentimenst’ was an important academic issue after the ‘Four-Seven Debate(四七論爭)’ by Toegye(退溪) and Gobong(高峯) in 16th century. During the ‘Four-Seven Debate’, Gobong) insists that when one has the ‘Seven sentiments’ which are roused in proper settings, then the ‘Seven sentiments’ could be called ‘Four beginnings’. There are no ‘Four beginnings’ which are not relevant to ‘Seven sentiments’. In addition, he claims that saints’ ‘Seven sentiments’ are just the ‘Four beginnings’, so that there is no need to distinguish saint’s ‘Seven sentiments’ and the ‘Four beginnings’. On the contrast, Toegye argues that the ‘Seven sentiments’ and the ‘Four beginnings’ are totally different. He insists that the ‘Four beginnings’ are roused by Li(理), the principle, but the ‘Seven sentiments’ are triggered by Qi(氣), the substance. Seongho, the scholar who poses himself as a follower of Toegye, also claims the total difference between the ‘Four beginnings’ and the ‘Seven sentiments’. To clarify Toegye’s insistence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m, he presents additional explanation. He argues that as the ‘Four beginnings’ are roused by Li, ‘Four beginnings’ are based on public concern. In the tradition of Neo-confucianism, Li refers to public value. On the other hand, he claims that as the ‘Seven sentiments’ are triggered by Qi, they are based on personal interest. In Seongho’s theory of the ‘Seven sentiments’, however, saints’ ‘Seven sentiments’ are still matters to integrity of the theory. He claims that although saints’ ‘Seven sentiments’ seem like public sentiments, still they roused by saints’ personal interest. Thus saints’ ‘Seven sentiments’ are different from the ‘Four beginnings’. However saints are regarded as perfect moral beings in Confucianism, thus confucian scholars had been discerned saints and normal people. In addition, one can wonder whether one should distinguish ‘one that seems public’ and ‘one that is public’. Habin(河濱), one of disciples of Seongho, insists saints’ ‘Seven sentiments’ are also roused by Li. Habin argues that the trigger of “Happiness and Anger Based on Public Concern(公喜怒)” is Li, and when Seongho heard this for the first time, he regarded his opinion is exactly same to Gobong’s. However, Seongho accepted Habin’s insistence and wrote the article about the trigger of “Happiness and Anger Based on Public Concern”. It means he changed his viewpoints on Four-Seven. After Seongho changed his prior theory about the ‘Seven sentiments’, there was debates between his disciples. Jeongsan(貞山) and Sonam(邵南) were at the center of the debates. Jeongsan argues that the trigger of “Happiness and Anger Based on Public Concern(公喜怒)” is Li. On the contrast, Sonam claims that the “Happiness and Anger Based on Public Concern” are roused by Qi. Though their insistences are both established on the Seongho’s theory, however, their views on the “Happiness and Anger Based on Public Concern” are contrary to each. 본 연구는 성호의 사단칠정론 중 칠정에 대한 그의 주장 및 그의 칠정론에서 야기될 수 있는 공희로(公喜怒) 문제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성호의 칠정론의 사상적 배경이 되는 고봉‧퇴계‧율곡의 칠정론을 살펴보고, 성호 칠정론의 특성 및 하빈과의 논변을 분석하고, 마지막으로 성호의 제자인 정산과 소남 사이에서 발생하였던 ‘공희로(公喜怒)’ 논변의 논점들을 짚어본다. 퇴계와의 논쟁에서 고봉은 사단과 칠정의 관계를 논할 때마다 줄곧 칠정을 모든 정(情)의 통칭으로 상정하였다. 그리고 <사칠 4서>까지 사단은 칠정 중에서 중절한 정(情)을 따로 지칭한 것이라 보았다. 그러나 <사칠 4서> 말미와 <사칠 6서>에서 고봉은 사단에도 부중절한 경우가 있다는 주자의 주장을 퇴계와 논한다. 사단도 중절하지 못할 수 있다는 논지는 중절한 정이 사단이라는 고봉 자신의 원래 입장과는 상반된 것이었다. 이후 고봉은 퇴계의 리발(理發)/기발(氣發) 논지를 일정 받아들인다. 또한 성인의 경우에는 칠정이라 할지라도 사단과 마찬가지로 리의 본연이 그대로 드러나기 때문에 사단과 다를 것이 없다고 주장한다. 퇴계는 그것이 주로 하는 바(其所主)를 가지고 리발의 사단과 기발의 칠정을 상정하였다. 이에 따라 칠정은 기의 특성 때문에 본래 선하지만 악으로 흘러가기 쉬우므로(<사칠 5서>의 입장) 사단과 같지 않다고 보았다. 하지만 퇴계는 사단과 칠정의 구분을 보다 명확히 하고자 하였음에도, 고봉이 제기한 사단 부중절 문제나 성인의 칠정이 사단과 같다는 점에 대해서는 분명한 답을 하지 못하였다. 퇴계를 존숭하고자 하였던 성호는 퇴계와 마찬가지로 사단과 칠정을 근원적으로 다른 것으로 보고자 하였으며, 사단 부중절과 성인의 칠정 문제에 대해서는 퇴계의 설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성호는 기본적으로 인심을 칠정에 도심을 사단에 배속하고자 하였으며, 사단과 칠정은 모두 리가 동하여 발한 것이라는 주장을 하였다. 칠정은 리가 발한 것이나 형기라는 묘맥이 있어 사사로운 성격을 갖는다. 반면 사단은 리가 바로 직출되었기 때문에 공적인 리의 속성대로 공적인 성격을 갖는다. 또한 인심이 도심의 명령을 듣듯 칠정이 도심의 명령을 들어 중절하고 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발함과 중절함을 별개로 놓아 사단 또한 부중절할 수 있으나 칠정과는 같지 않다고 하였으며, 성인의 칠정은 비록 공적으로 보이나 성인 자신에게서 유래하였기 때문에 사사로울 수밖에 없다고 하였다. 성호는 공사(公私)를 통해 사단과 칠정을 분별하는 것을 강화하고자 하였으나, 성인의 희로에 대한 설명은 미흡한 점이 있었다. 성인의 희로는 공적으로 보이나 결국은 사사롭다는 주장은 하빈의 비판 지점이 되었다. 하빈은 만물에 있어서의 리와 기를 세분화하여 천명의 공리(公理)가 발하고 지각의 기가 탄 사단과, 오행의 리가 발하고 형기의 기가 탄 칠정을 구분하였다. 또한 공리가 발한 성인의 공희로는 리발이라 하였다. 이것이 공희로 리발설이다. 성호는 하빈의 주장을 일정 받아들여 공희로 리발설을 주장하였다가 소남 윤동규의 반발을 받고 다시 주장을 폐기한다. 하지만 이를 기점으로 공희로가 기발인가 리발인가 하는 논쟁이 성호학파 내에서 벌어지게 된다. 정산 이병휴와 소남 윤동규는 논쟁의 대표주자로 이들은 각각 공희로 리발설과 공희로 기발설을 주장하였다.

      • 성호우파 문인들의 서학 비판 저술과 반서학적 인식의 계승 확산에 대한 연구

        배한욱 인천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18세기 후반, 서학의 수용과 확산의 과정에서 성호 이익과 그의 문인 제자들로 이루어진 성호학파 내의 서학 인식과 태도에 따른 대응 양상을 살폈다. 그 과정에서 성호에게서 시작된 서학인식이 순암을 거쳐 성호우파의 중심사상으로 발돋움 하기까지 성호학파 내의 서학에 대한 연구와 토론이 그들의 사상 체계에 얼마나 중요한지를 검토하였다. 본 논문은 조선 최초로 서학을 탐독하며 하나의 학풍으로서 성호학파를 이루어낸 성호의 서학 인식이 유학의 보유론적 관점에서 시작 하여 점차 서교에까지 이른 것을 연구하고 그의 저서를 통하여 서교의 윤리적 측면을 그가 긍정적으로 인식하면서도 이를 수용하는 것에주저하는 이유를 규명 하였다. 그리고 성호의 서학인식을 공유하던 순암이 성호학파 내의 공서파와 신서파의 대립과 갈등이 일어난 시점에서 매우 중요한 인물임을 재검토하였다. 그 과정에서 순암의 편지와 저서를 통해 성호 사후, 공서파의 수장으로서 그의 역할에 주목하며 개괄적인 연구에 그친 기존의 연구성과를 보완하고 이전까지 순암의 서학과 천주교 인식을 서양 과학기술의 수용과 천주교 배척이라는 기존의 틀에서 벗어나 그의 생애 주기에 따라 서학과 천주교 인식의 양상이 변화되며 심화되고 있음을 규명하였다. 그리하여 그가 단순히 서교라 불리던 종교를 대면하는 과정을 상세히 밝히고 천주교로 인식 발전시켜 나가는 과정을 기술하여 그의 중심사상인 벽이단 사상이 천주교의 폐단을 강조하며 그와 교류를 가진 주변 인물들과의 천주교 인식과 공조, 제자들에게 계승되어 확산되는 과정을 심도있게 다루었다. 이후, 순암의 제자들인 황덕일과 남한조가 순암 사후 벽이단 사상을 계승하는 과정을 살피고 스승인 순암과는 다르게 천주교 교세의 확장의 원인을 서학에서 찾았음을 탐구하였다. 또 황덕일과 남한조의 저서를 통해 그들이 서학의 폐단에 집중하여 문제의식을 공유하면서도 해결 방안이 다른 점에 주목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황덕일과 남한조의 저서를 탐구하여 황덕일이 천주교를 도가와 불가의 연장선으로 인식하며 천주교를 같은 위치에서 이단시 하는 것을 규명하였으며, 마찬가지로 남한조 또한 서학을 이단시하며 자신이 속한 근기 남인들 뿐만이 아니라 영남 남인들과의 연대를 통해 순암의 벽이단 사상을 확장 시켜 나감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현대 한국 천주교회사에서 성호우파 문인들이 가지는 의의를 성호와 순암, 황덕일과 남한조라는 인물의 연대기 순으로 검토하고 서학과 천주교 인식이 단순히 한 개인이 느끼고 체험한 것이 아니라 하나의 사상으로 확립되어 성호우파의 중심이 사상이 되었으며 성호와 순암 사후에는 그의 제자들을 통하여 반 천주교 세력의 결속을 이루어 천주교회의 박해의 시대를 열게 된 것을 규명하였다. 본 논문은 이를 면밀히 검토하여 새로운 시대를 열어가고 있던 조선 천주교회의 모습을 확인하고, 반천주교 세력의 결속과 계승을 밝혀내어 성호우파 문인들이 가진 의의를 다시금 재확인 하였다. This thesis investigated the response patterns according to the perception and attitudes of Western learning within the Seongho School which consisted of Seongho Yi-ik and his literary disciples in the process of acceptance and spread of Western learning during the second half of the 18th century. In the process, the thesis reviewed how important the study and discussion about the western learning was until it emerged as the central ideology of the Seongho school through Sunam from Seongho, with him, perception of Western learning began. This thesis studied about a process from perception of Seongho who was the first in Joseon Dynasty to study western learning and establish the Seongho School as a scholary tradition, starting from the Confucianism's retentionist point of view and gradually reaching to Seogyo. The thesis identified the reason for reluctance to accept ethical aspect of the Western learning even though he acknowledged it positively. And it was reexamined that Sunam, who shared Seongho's knowledge of Western learning, was a very important figure at the time of confrontation and conflict between the Gongseo and Shinseo factions within the Seongho School. In the process, through Sunam's letters and writings after Seongho's death, the thesis identified a change and deepening of perception about Catholic and Seogyo from the previous frame of the acceptance of Western science technology and the exclusion of Catholic as they paid attention to his role according to his life cycle as the head of the Gongseo faction supplementing the existing research achievements that were limited to a general study. Thus, they detail the process of facing the religion that was simply called Seogyo, and describes the process of recognition and development as Catholicism. The anti-heresy ideology that is his central value emphasize a negative effect of Catholicism and the process of cooperation and transmission and spread to the disciples was studied in the thesis. Afterwards, the thesis reviewed the process of anti-heresy ideology succession by Sunam's disciples, Hwang Deok-il and Nam Han-jo, after Sunam's death and they found the cause of the expansion of Catholicism was Western learning, unlike his teacher Sunam. In addition, through the writings of Hwang Deok-il and Nam Han-jo, they focused on the negative effect of Western learning and shared critical mind but have different way of solution. In this thesis, by exploring the writings of Hwang Deok-il and Nam Han-jo, it was identified that Hwang Deok-il recognized Catholicism as an extension of Taoism and Buddhism and viewed Catholicism as a heresy in the same position. Through solidarity with the southerners of Yeongnam, the expansion of Sunam's anti-heresy ideology was examined. Through this, the significance of the Seongho right-wing writers in the history of the modern Korean Catholic Church is reviewed in the chronological order of Seongho, Sunam, Hwang Deokil, and Nam Hanjo, and Western learning and Catholicism are not simply felt and experienced by an individual, but are established as a single ideology that became the center of the Seongho faction, and after the death of Seongho and Sunam, the anti-Catholic forces formed a solidarity through his disciples, opening the era of persecution of the Catholic Church. This thesis examines this closely and confirms the appearance of the Catholic Church in Joseon, which was opening in a new era, and reconfirms the significance of the Seongho right-wing writers by revealing the solidarity and succession of anti-Catholic forces.

      • 朝鮮後期 星湖學派의 形成과 學風

        원재린 延世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肅宗代 후반에 형성되어 英·正祖代에 걸쳐 활발한 학문활동을 전개하였던 星湖學派의 學風을 검토함으로써 중세 학문체계의 문제와 한계를 극복하고, 近代的 學問으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제 특징을 추출해 보고, 더 나아가 中世社會 解體期 사회 제 모순에 직면하여 國家再造의 차원에서 이루어진 진보적인 士大夫 知識人들의 사상적 대응양상과 그 意義를 구명하는데 있다. 18세기 조선의 학계에서는 사회발전 과정에서 초래되었던 현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대응방안들이 모색되었다. 대체로 그 양상은 地主的 입장에서 중세 국가체제를 개선해 나아가려는 시도와 農民的 입장에서 그것을 개혁하려는 시도로 구분해 볼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재조방안을 마련해 나아가는 데는 이를 이념적으로 뒷받침해주었던 사상적 근거가 내재해 있었다. 즉 보수적 입장에서 保持했던 사상기반은 중세사회 운영 이념으로서 朱子學이었다. 반면 진보적 입장을 견지했던 학자들은 주자학의 모순과 한계를 인식하고 다양한 思潮들을 窮究하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學風을 조성하고, 이를 통해 사상체계를 확립해 나아갔다. 대체로 후자를 實學으로 규정하고, 그 성격을 近代 學問과 思想의 始原이 되는 개혁적인 학문과 사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실학을 대표하는 학파 중에는 李瀷(1681∼1763)을 宗師로 하여 형성되었던 星湖學派가 있었다. 성호학파는 17세기 北人系 南人의 사상전통을 계승하는 가운데 이미 兩亂을 거치면서 국가사회운영의 이념으로서 한계를 드러냈던 주자학을 전면적으로 검토하고, 당대 조선의 현실에 적합한 학문과 사상을 마련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이익과 문인들은 朱子를 상대적으로 인식하면서 經傳학습 단계에서부터 懷疑와 自得의 학문방법을 적극 활용하였다. 이는 朱子의 學說에 대한 尊信을 통해 주자학을 절대화하려 했던 西人·老論의 '謹守規矩'의 학풍과 사상지향에 있어서 차이나는 점이었다. 이처럼 성호학파에서 견지했던 회의와 자득의 방법은 유학의 전통에 근거하면서도 중세학문으로서 주자학의 문제점과 한계를 인식하는 데 적용되었다는 점에서 근대적 학문방법의 단초로 파악할 수 있다. 이것이 주자학 일변도의 主流的 학문풍토에서 벗어나 실학의 학풍을 진작시킨 최초의 학파로서 성호학파를 주목하는 이유중 하나이다 성호학파는 懷疑自得法을 실현시켜 나아갈 수 있는 구체적인 知識의 探究法을 모색하였다. 우선 이익과 문인들은 窮經단계에서 주자의 經解를 객관적으로 검토하기 위해서 해당 경전의 大旨를 이해할 수 있는 '疾書'讀法을 채용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主見을 확립해 나아가는 과정에서 스스로 解得하지 못한 부분에 대해서 討論問答式탐구법인 '麗澤'講論을 적극 활용하여 학문의 進取를 이룰 수 있었다. 또한 성호학파는 구성원 모두가 자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지식을 탐구하기 위해서 師生門友간에 言路를 개방하고, 下問하여 質正하는 방식을 적극 활용하였다. 회의를 거쳐 자득된 지식은 실천을 통해 현실에 구현될 때 진정한 의미를 지니는 것이었다. 성호학파는 修己의 차원에서만 이루어지는 도덕 실천보다는 保民과 安民을 목표로 한 사회적 실천 문제에 관심을 기울였다. 이익과 문인들은 知行竝進의 원칙에 따라서 경전공부를 통해 획득된 事務·時務관련 지식을 현실에 적극 활용하고자 했다. 즉 經術과 사무를 일치시킴으로써 事功을 구현하는 것이었다. 이때 주목되는 점은 사공의 목표가 治生이라고 하는 인간생활에 필요한 再生産기반을 확보하는 데에 있었다는 사실이다. 성호학파는 民의 恒産기반을 제도적으로 보장하고, 이를 토대로 도덕성 회복을 추구해야 한다는 구조적인 인식과 실천관을 갖고 현실문제에 접근하였다. 그리고 이에 근거하여 농민적 입장의 국가재조방안을 마련할 수 있었던 것이다. 성호학파는 이러한 학문방법론과 지행관에 입각하여 활발한 학문활동을 전개하였다. 星湖門人들은 주자학을 대체할 새로운 학문과 사상을 모색하기 위해서 각자의 관심에 따라서 다양한 학문대상과 주제를 궁구해 나아갔으며, 해당분야에서 자득한 내용을 정리하여 학문성과로 제출하였다. 그 과정에서 나타난 학풍의 특징으로 下學과 博學을 들수 있다. 먼저 하학은 理學과 心學에만 전념하여 사회적 실천을 소홀히 하는 주자학의 문제점을 바로 잡기 위해 적극 강구되었다. 즉 口耳之學의 폐단을 해결하기 위해서 인간의 심성문제만을 다루는 上學 대신에 이미 天理가 구현된 民生日用을 학문대상으로 상정하였다. 그 결과 이익과 문인들은 道器一致의 관점에서 구체적인 제도문물의 시행을 통해 사회 문제를 개혁해 나아갈 수 있는 확신을 갖게 되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하학을 궁구하고 실천할 때 주자학의 문제점은 물론, 조선후기 사회 제 모순을 兩班支配層의 道德的 覺醒이라는 修己의 차원에서 타개하려 했던 서인·노론의 재조논리를 극복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박학은 人事를 포함한 物理世界에 대한 학문관심을 고조시키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이익과 문인들은 박학을 통해 사물에 普遍的으로 내재된 천리를 궁구하는 주자의 인식방법에서 벗어나 個別事物의 條理를 상대적 관점에서 객관적·과학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되었다. 그 과정에서 認識主體이자 人事의 主宰者로서 인간의 위상이 한층 강화되었다. 이처럼 인식대상과 인식주체의 분리를 통해 성호학파는 사대부 지식인들의 학문활동의 범위를 사물의 세계로 확대시키는 한편, 현실의 문제를 實用의 측면에서 구조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근대적 인식기반을 제공하였다. 성호문인들의 다양한 事象을 대상으로 한 학문활동은 자연스럽게 학파내 分化를 초래하였다. 학파의 분화는 기본적으로 중세 학문체계의 모순과 한계를 극복하고, 진보적 학풍을 조성해 나아가는 과정에서 나타난 불가피한 현상이었다. 분화의 성격은 歷史·人文地理, 歷史, 政治·經濟學 분야에서 제출된 성과를 분석해 볼 때 잘 드러난다. 즉 국가의 법규와 제도, 체제와 형세 등 다양한 학문대상과 주제를 궁구하면서 고조된 東事의 獨自性과 東國의 正體性에 대한 이해는 현재적 관점에서 당대 조선사회가 직면했던 제 모순을 민의 입장에서 구조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국가체제와 사회운영 원리를 모색할 수 있었다. 18세기이래 성호학파가 전개하였던 학문활동과 그 과정에서 發現된 학풍의 제 특징들은 근대 학문과 사상을 확립하는 근거로 상정할 수 있다. 그것은 기왕의 주자학 체계를 극복함은 물론 당대 조선사회가 직면하고 있었던 체제모순을 진보적 입장에서 해결하려 노력했던 實學의 학풍을 구성하는 주요한 요소들이었다. 즉 성호학파의 학풍은 조선시대 思想傳統 속에서도 근대적 학문체계로의 전환을 모색하고, 이를 근거로 성장하는 민의 입장을 고려한 국가사회의 운영방안을 마련했던 사실을 보여주는 역사적 事例인 것이다. 그것이 비록 현실의 여러 제약들로 인해 구체적으로 발현되지는 못했지만 丁若鏞 등 일부 진보적인 지식인들에 의해 면면히 계승됨으로써 한국의 改革傳統의 하나로 자리잡혀 나아갈 수 있었다. The objective of this dissertation is to research into academic accomplishment of the Seong Ho School(星湖學派) which was a remarkable school in Silhak(實學) at the late part of Chosun Dynasty. I have examines the both Seong Ho School's academic methodology and ideology related with strategy of State Reconstruction. During the 18th century, there emerged national crises stemmed from a social and economic transformation since the 17th century. It was bringing the various changes and contradictions in the feudal system of Chosun Dynasty. Experiencing the serious contradictions in the late Chosun, It was necessary that new academic accomplishment and socio-economic theories securing nationl crises. Faced with this situation the contemporary scholar s proposed various academic theory in order to solve the social and economic, political conflicts related with strategy of State Reconstruction. There emerged and coexisted two main, but mutually opposing, trends of thought Neo-Confucian orthodoxy and the New Confucian teaching. Yi Ik(李瀷) and some scholar s were seeking to embrace various studies and ideologies in succession to the Southernist affiliated with the Northernists thought, and contributed to bring forth the Seong Ho School. Therefore they searched for a new academic trends to solve the current problems in reality. Under the study of classical canons, they were placing an emphasis on the pursuit of matter in their studies and, more importantly, urged the importance of doubt and self-acquirement. Gilseudokpub(疾書讀法), Itakgangron(麗澤講論), Hamungiljung(下問質正) were advanced private educational method by Confucians. Following the Confucianism education, they had been criticized the theory of Chu Hsi(朱熹) Learning, and were freed themself from Chu Hsi's self-perfection theory. And they were stressed the compromising and liberal academic accomplishment in the Confucian Studies. That is to say Seong Ho School's attitude for classical canon created a new sphere would made a criticize the previous ready-made interpretational trends. Consequently free critical thought showed the rationalistic thinking and free from Chu Hsi philosophy, so to speak pointed out the Chu Hsi philosophical problem and developed the Chinese classical learning, toward practical use, base on fact. This is clearly differentiated typical of Seong Ho School's Confucian studies, compared with general way of at that time which blindly followed the Chu Hsi's annotation. As a result, they were proposed a new system of the learning method. These characteristics of academic methodology can be called as progressive attitude or progress of modern academic system. During the study of classical canons, they enforced the necessity of Hahak(下學), Dogiilchiron(道器一致) and Parkhak(博學). Based upon the former academic trends, An Jeong-Bok(安鼎福) came out of his critical attitude toward ideologies which neglected the aspect of practice. He denounced the ideological disputes among the scholars as futile talk because he conceived those disputes didn't do any good for the people. His academic coloration and recognition of reality well the character of the period. It was pur suited political-economy science to overcome the corrupt realities. Based upon the latter academic trends, the scholars in the school of Seong Ho were engaged in work for the various province of learning (Confucian Studies, Historical-Human geography, History, Astronomy, Western Learning and so on). Among them Kwon Chl-Sin(權哲身) took interest in the doctrines of Catholicism and groped for the new system of study. It spread far and wide in Seong Ho School. An Jeong-Bok Line worried that there were a lot of pupiles who followed this Learning. In spite of school's differentiation, this phenomenon was a various academic attempt in the Silhak's trends. In the course of this dissertation, I have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 There is no doubt that Seong Ho School's academic method of Gilseudokpub, Itakgangron, Ha mungiljung and accomplishment of Hahak, Parkhak were created the cope with socio-political problems in the main stream of Silhak. Yi Ik and his pupiles were very different from the orthodoxical Neo-Confucianism in the aspects of academic methodology and ideology related with Silhak's trends. Then these point explain very well the characteristic of Seong Ho School's academic accomplishment.

      • 星湖 李瀷의 武人養成論 硏究

        정은란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Since King Taejo Lee Seong-gye stipulated in his enthronement decree that any of the pen and the sword should not be disregarded, civil and military virtues were 2 pillars of Joseon Dynasty on its surface at least. However, Joseon in substance, was a state committed to the principle of rule by civil officials, where military officials were greatly discriminated as compared to its civil peers. This led to deterioration of military defence capacity. That is why Seongho Yi Ik emphasized importance of nurturing of military officials, thereby making it priority No. 1 to overcome "civil order' precedence over military order. This paper is designed to summarize characteristics of Seongho' arguments for strong military forces based of his awareness on the military, mostly shown in Seongho saseol(Yi Ik's encyclopedic work). It focuses on his policy recommendation to strengthen hiring system of military officials including improvement of military officer examinations and introduction of military academy. Seongho saseol is the encyclopedic book based on 40 years of research. His pupils classified the great volume into five general categories: Cheonjimun(Heaven and Earth), Manmulmun(The Physical world), Insamun(Society), Gyeongsamun(History), and Simunmun (Poetics), comprising some 3,000 sections on various topics. In order to put forward his arguments for armaments across the five categories, Yi Ik detailed: 1) history of wars and generals of Joseon and China, 2) military service tax (including military system and forced military duty), 3) war preparedness including weaponry, Bongsu;beacon fire system, emergency communications system, building of fortress, horse breeding and raising provision for army 4) military strategy & tactics and diplomacy including border pass guard seals (a point of strategic importance), hired troops and military intelligence 5) nurturing military talents including improvement of military official examinations and introduction of military academy. Categories above, however are subjective and classifications may differ from different perspectives. Given his emphasis on the military that military and civil officer orders should be put on an equal footing and arguments against the thought of the times where civil officials were respected and military officials were disregarded, it is fair to say that "nurturing & hiring of military talents" lies at the heart of his argument for armaments. Spirit of a society pillared around civil and military officer orders on an equal standing was overshadowed by the principle of rule by civil officials in reality, which weakened military capacity. Prerequisite to grow strong military to Seongho, was equal treatment of civil and military officials and the first place to start was cultivation of high-ranking military officials. This was significant departure from traditional Confucianist thinking that it is ideal for civil officials to be also equipped with military qualities. He envisioned equal treatment in hiring government officials regardless of their backgrounds (civil or military) by nurturing high-ranking military officials and putting them in civil offices, thereby lifting status of military officials and laying the foundation for strong armed forces. To that end, Seongho argued for improvement of examinations for military officers and establishment of military academy to back it up, just as Seonggyungwan, Confucian Academy of Joseon was there to support success of civil service examination. The military academy envisioned by Seongho was to provide systematic military education and to assess cadets' performance, thus producing best military commanders to serve the country. Seongho's idea of military academy germinated in a modern military school later on. The most noteworthy in his argument for military academy is establishment of a shrine of military hero. He suggested to build a shrine for Gang, Tae Gong, prominent Chinese military strategist. Building a shrine for a great military figure, which is equivalent of Confucian shrine of Seonggyungwan, implies military academy stands on an equal footing with the Confucian Academy. That was Seongho's suggestion to overcome conventional disrespect for military officials and improve their status. Seongho's emphasis on the military was passed down to Bangye Yu Hyeong-won and to Dasan Jeong Yag-yong throughout the history of Silhak. Despite need for further study, it can be said that his thinking laid foundation on Dasan's recommendation on improvement of the military. 조선시대는 태조 이성계가 즉위교서에서 ‘文과 武는 한 가지도 폐해서는 안 된다’라고 밝힌 이래 외형상으로는 ‘文’과 ‘武’를 사회 유지의 양대 기둥으로 삼았다. 그러나 조선사회는 실질적으로 文治主義 사회로서 문무의 차별이 극심했고 이러한 사조는 조선의 武備를 약화시켰던 결정적 요인이 되었다. 성호 이익이 무비의 강화를 꾀하기 위해 무엇보다 武人 중심의 인재 양성을 중시한 이유도 바로 이러한 崇文賤武를 극복하는 것을 가장 급선무로 여겼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성호 이익의 무에 대한 인식과 그 결과로서 나타난 무비론의 내용을 『성호사설』을 바탕으로 개괄하고 성호 무비론의 대표적인 내용인 무인양성론을 무과의 개선과 무학의 설치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성호사설』은 성호 이익이 40년간에 걸쳐 수집하고 저술한 類書로서 제자들에 의해 天地門, 萬物門, 人事門, 經史門, 詩文門 등으로 분류되어 총 3,000여 항목으로 정리되었다. 『성호사설』 다섯 부문에 걸쳐 산재되어 나타나는 성호 무비론과 관련 내용을 주제별로 분류해 보면 중국을 포함한 우리나라의 역대 戰爭과 武將에 대한 기록, 병제·군역 등 군정, 무기, 봉수, 축성, 양마, 군향 등 군비, 관방, 용병, 料敵 등 전술 및 외교 그리고 무과·무학 등 무인양성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는 주관적인 분류로서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다를 수 있음을 밝혀둔다. 성호 이익의 무비론을 연구함에 있어 ‘숭문천무’의 사조를 극복하기 위해 ‘文武竝立’을 급선무로 여겼던 그의 ‘무’에 대한 인식을 고려할 때 성호무비론의 핵심은 바로 武人養成론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조선사회가 표방한 ‘文武竝用’이 실제적으로는 文治主義에 의해 전혀 실현되지 못하면서 결국 무비의 허실화가 초래되었으므로 강력한 무비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진정한 '文武竝立'이 이루어져야 했던 것이다. 성호 이익이 문무양립을 위해 방안으로 제안한 것이 바로 고급무관의 양성이었다. 이는 당시 文士가 武才를 겸비하는 것을 이상적으로 보는 유교적 인식을 벗어난 것으로 성호 이익은 양질의 고급무관을 양성하여 이들을 오히려 문관직에 보임하여 ‘文武無拘’의 인재등용으로 무관의 위상을 높이고 나아가 강력한 무비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이를 위해 고급 무관의 등용문인 무과의 개선과 동시에 문과를 교육적으로 뒷받침하는 성균관과 같은 무학을 창설하여 체계적인 교육을 시행하고 평가를 통해 인재를 배출함으로써 최고 군사 지휘관을 양성하고자 하였는데 이러한 성호 이익의 武學 설계는 근대적인 무관학교의 맹아라 할 수 있겠다. 또한 무학에 있어 가장 주목해야 할 부분은 바로 武聖王廟의 설치이다. 무성왕묘는 흔히 武廟라고도 하며 太公廟를 가리킨다. 성균관의 문묘의 역할을 하는 무성왕묘 설치는 무학을 지위가 성균관의 지위와 대등하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는 곧 賤武의 사조를 극복하고 무관에 대한 인식과 지위향상을 위한 성호 이익의 근본적 문제 해결 방안이었다. 이러한 성호 이익의 무에 대한 인식은 반계와 성호, 다산으로 이어지는 실학의 계보 속에서 진보적인 계승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앞으로 보다 자세한 연구가 필요하지만 특히 다산의 무과개선론에도 사상적 기틀을 마련하였다고 볼 수 있겠다.

      • 『星湖僿說』의 지식·정보의 수용과 인용 방식 연구

        김형호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807

        논문요약 『星湖僿說』의 지식·정보의 수용과 인용 방식 연구 『星湖僿說』은 星湖 李瀷이 평생에 걸쳐 견문과 독서를 토대로 얻은 지식과 정보를 가공하고 새롭게 창출한 17세기 말~18세기 중엽의 지식·정보의 결정체이다. 본고는 『성호사설』의 지식·정보의 수용과 인용을 중심으로 『성호사설』의 저술 배경부터 『성호사설』의 구성과 체재, 특징, 후대에 미친 영향 등을 살펴보았다. 지금까지의 『성호사설』연구는 성호의 사상적 면모와 『성호사설』이 담고 있는 내용의 성격과 類書로서의 특징이 상당 부분 규명되었고, 『성호사설』이 지성사와 학술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하는 문헌임은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성호사설』이 담고 있는 내용과 『성호사설』이 유서로서 성립해 가는 과정이나 그 자체의 전모를 밝히는 작업은 여전히 크게 진전된 것이 없다. 더욱이 성호가 오랜 기간 견문체험하고 독서한 내용을 지식과 정보로 어떻게 종횡으로 펼쳐놓고 있으며, 이를 어떠한 관점에서 어떻게 다루어야 할 것인지도 여전히 밝혀야 할 대목으로 남아 있다. 이런 점에서 『성호사설』의 전모를 전체적으로 조망하고 어떠한 방식으로 지식·정보를 수집 가공 배치하고 있는가를 밝히는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생각된다. 그래서 본고는 성호의 學的 지향과 의식이 어떠한 가문적 배경과 물적 토대를 바탕으로 형성되었으며, 그러한 토대 위에서 『성호사설』은 어떠한 방식으로 구성되고 서술되었으며, 어떤 정보를 담고 있으며, 그 지향과 후대에 미친 영향과 함께 『성호사설』의 학술사적 위상이 어떠하였는지를 살펴보았다. Ⅱ장에서는 먼저 『성호사설』 저술의 배경을 살펴보았다. 우선 성호의 가문전통과 배경을 개괄한 후 가문이 가졌던 외방 경험과 사건, 가학과 독서가 그의 저술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폈으며, 『성호사설』의 성립방식과 체재를 통해 저술의 근간이 된 성호의 학문적 성향과 學知에 대해 탐구하였다. Ⅲ장에서는 『성호사설』의 문헌 인용과 지식 정보 인용의 수용 문제를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성호가 국내외 문헌을 인용하면서 어떤 지식과 정보를 어떻게 수용하고 이를 기록하고 있는지를 주목하였다. 먼저 『성호사설』에 인용되는 서적의 종류와 범위를 고찰함으로써 성호가 어떤 지식과 정보를 취득하여 『성호사설』을 작성하였는지 살폈다. 또한, 『성호사설』소재 지식과 정보의 양상도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는 실제 대상에 대한 정보가 어떤 식으로 정립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한편으로는 각 기사에 드러나는 『성호사설』의 서술 방식에 대해 고찰하였다. Ⅳ장에서는 『성호사설』에서 자주 보이는 견문체험을 어떻게 수용하고 이를 어떤 방식으로 기록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성호는 자신이 직접 견문한 내용을 단순하게 수용하거나 이를 견문한 내용 그대로 기록하기보다 대부분은 자신이 폭넓게 독서한 다양한 문헌을 토대로 자신이 견문한 내용을 견주어 보거나, 사실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양한 사례를 들고, 고증의 과정을 거쳐 이를 기록으로 남겼다. 여기서는 이러한 기록의 과정을 살펴 『성호사설』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Ⅴ장에서는 『성호사설』의 성취와 후대의 영향력을 조명하였다. 『성호사설』의 성취란 『성호사설』이 지식 정보의 전달체로서 기존의 筆記를 어떻게 더 발전시켰는가 하는 문제이다. 이는 후대의 유서들과 비교해 볼 때 선명하게 드러날 수 있을 것이다. 또 『성호사설』이 후대 독자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성호사설』의 뒤를 이은 필기와 유서들이 어떤 식으로 『성호사설』을 계승하고 있는지도 살펴보았다. 그리고 Ⅵ장에서는 앞의 논지를 정리하는 것과 함께 전대 문인들이 『성호사설』을 어떠한 시각에서 바라보고 있으며, 이러한 평가를 통해 개략적이지만, 『성호사설』이 지니는 학술사적 위상과 그 의미를 논하였다. 주제어 : 李瀷 , 星湖僿說 , 類書 , 筆記 , 汎觀之學

      • 성호 이익 독서법의 교육적 의의

        류홍숙 가톨릭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성호 이익의 독서법을 연구하여 교육적 의의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변화를 두 가지 관점에서 바라보았다. 내부적인 변화와 외부적인 변화를 바탕으로 성호 이익의 독서법은 어떻게 변화하는지 그 문제의식에서부터 출발하였다. 설정한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성호 이익이 저술한 ‘성호사설’을 바탕으로 독서법과 관련된 문헌을 추출하여 분석 자료로 삼았다. Ⅱ장에서는 성호 이익의 사상적 배경은 성호의 생애와 가학을 통해 어떤 영향을 받았는지 살펴보고 그 다음으로는 전통적 독서법과 시대변화 독서법을 수용한 성호의 사상을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독서의 자세, 독서의 목적, 독서의 방법, 독서의 자료 네 가지의 특징을 바탕으로 성호 이익의 독서법을 분석하였다. Ⅳ장에서는 성호 이익의 독서법이 현대 교육에서 어떤 의의를 가지고 있는지 그 측면에서 교육적 의의를 밝혀보았다. 그 결과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갖는다. 첫째, 마음가짐(心)을 강조한 독서법이다. 마음가짐(心)을 독서의 근원으로 보았다. 둘째, 문제의식을 가진 비판적 독서법이다. 성호 이익의 독서법은 의심하기와 자득을 중요시 하였다. 의심하기는 고등사고의 준비과정이다. 셋째, 성호 이익이 확립한 ‘질서’ 독서법이다. 논리적 글쓰기를 강조한 ‘질서’ 독서법은 담론 의제 발굴에 역할을 한다. 넷째, 궁구강론방식을 강조한 독서법이다. 질문과 토론은 사고를 확대시키고 추론을 하게 한다. 다섯째, 교량적 융합 독서법이다. 의심하기-질서독서법-궁구강론방식의 과정을 거친다. 이와 같이 성호 이익의 독서법은 교육적 의의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Seongho Lee lk's reading methods. The study looked at change from two had been varied based on the internal change and the external change. I had a critical mind how Seongho Lee lk's reading methods vary. The research method I have set up is as follows. Based on the 'Seongho Saseol(a module in Seongho's Encyclopedia, on 18C)' written by Seongho Lee lk, the literature related to reading methods was extracted and analyzed. In chapter Ⅱ, I examined his ideology formed through his life influenced by academic tradition of his family. Then I examined Seongho Lee lk's the ideology that embraced the traditional reading methods and the reading methods of the times. In chapter Ⅲ, I analyzed Seongho Lee lk's reading methods based on the reading attitude, the purpose of reading, the method of reading, and the reading materials in four characteristics. In chapter Ⅳ, I have clarified the significance of the reading methods in modern education. As a result,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it is a reading method emphasizing mind (心). Seongho Lee lk saw the mind as a source of reading. Second, it is a critical reading method with a critical mind. The Seongho Lee lk's reading method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doubt and self - acquirement. Doubt is the process of preparing for higher thinking. Third, it is the 'Jilseo' Reading Method established by Seongho Lee lk. The 'Gilseu' Reading Method emphasizing logical writing plays a role in finding the discourse thesis. Fourth, it is reading method that emphasizes GungguGangron style - presentation and discussion. Questions and discussions expand the thinking and cause inference. Fifth, it is the bridge fusion reading method. It is established by 3 steps - Doubt and 'Jilseo' Reading Method and Gunggu Gangron style - presentation and discussion. It goes through step by step a process. Seongho Lee lk's reading methods is to determine educational significance.

      • 한국인 폐경전 여성에서 혈중 성호르몬결합글로불린 농도와 체지방 분포 및 인슐린저항성

        이영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790

        여성에서 남성화의 간접적인 지표로 이용되는 성호르몬결합글로불린 농도가 낮은 경우 비만 및 복부 비만과 관련됨이 보고되었다. 비만도 및 체지방 분포의 차이는 인슐린 저항성과 연관되며, 여성에서 남성호르몬의 증가는 인슐린저항성, 고인슐린혈증, 내당능장애 및 제2형 당뇨병 발생과 연관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성호르몬결합글로불린 농도와 인슐린저항성간의 관련성이 체지방 또는 복부지방의 변화에 의해 매개되며, 성호르몬 변화와 체지방 분포의 관련성에서 종족에 따른 차이가 있을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인 폐경전 여성에서 성호르몬결합글로불린 농도와 체지방 분포 및 인슐린저항성간의 관련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폐경전 여성 61명(정상 내당능 48명, 내당능장애 13명)에서 정맥당부하검사를 통해 인슐린감수성을 측정하였다. 혈중 성호르몬결합글로불린을 측정하였고 체지방 분포 양상을 평가하여 인슐린감수성과의 관련성을 알아보았으며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성호르몬결합글로불린 농도는 체질량지수 및 허리둘레, 내장지방량, 공복 인슐린 농도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인슐린감수성 지표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2. 성호르몬결합글로불린 농도는 내당능장애군, 고혈압군 및 중심성비만군에서 정상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었다. 3. 다중회귀분석 결과 성호르몬결합글로불린 농도는 연령, 체질량지수, 수축기혈압, 중성지방,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및 체지방률을 보정한 후 인슐린감수성에 영향을 주는 인자로 작용하였으나, 내장지방량을 추가하여 보정한 후에는 내장지방량만이 유의한 인자였다. 4. 연령, 체질량지수, 수축기혈압, 당부하2시간후혈당 및 혈중 지질농도를 보정한 후,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을 때 공복 인슐린 농도, 체질량지수 및 체지방률이 성호르몬결합글로불린 농도에 유의하게 영향을 주는 인자로 작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폐경전 여성에서 남성화의 간접적 지표인 성호르몬결합글로불린 농도의 감소는 내당능장애, 고혈압, 중심성 비만 및 인슐린저항성과 연관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Low levels of sex-hormone binding globulin(SHBG), an indirect index of androgenicity, have been reported to be associated with obesity and central obesity. In women, increased androgenicity is related to insulin resistance, hyperinsulinemia, impaired glucose tolerance and the development of type 2 diabetes mellitus. Recent studies suggest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SHBG and insulin resistance is mediated by the change in total or visceral adiposity, and there may be ethnical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x hormone and body fat distribution. We examined the associations of SHBG with body fat distribution and insulin resistance in Korean premenopausal women. Fasting serum level of SHBG was measured by RIA. Insulin sensitivity was measured as minimal model derived sensitivity index(SI) using insulin modified intravenous glucose tolerance test. Body fat distribution patterns were assessed by anthropometric measurement, bioelectric impedence analysis, and computed tomography at the level of umbilicus.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SHBG was significantly inversely correlated with body mass index(BMI), waist circumference, visceral fat area, and fasting insulin levels, and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SI. 2. SHBG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premenopausal women with impaired glucose tolerance compared to persons with normal glucose tolerance (p<0.05), and significantly lower in persons with hypertension (systolic BP≥140 mmHg or diastolic BP≥90 mmHg) compared to those with normal blood pressure(p<0.05). SHBG concentrations were also significantly lower in persons with central obesity(waist circumference ≥80cm) compared to those without central obesity(p<0.01). 3. In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BMI, fasting plasma insulin, and percent body fat were significant independent factors for the association with SHBG. 4. In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SI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HBG after adjustment for age, BMI, systolic blood pressure, triglycerides, HDL-cholesterol, and percent body fat. However this association disappeared after additional adjustment for visceral fat area. In conclusion, increased androgenicity assessed by decreased serum SHBG concentration is strongly associated with an unfavorable body fat distribution, hypertension, glucose intolerance, hyperinsulinemia, and insulin resistance. However, prospective examinations are needed to elucidate the direct causality of the association between androgenicity and insulin resistance or metabolic abnormalities in wom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