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스콧 니어링의 교육사상이 한국교육에 주는 교육적 함의 : 생애사적 연구를 중심으로

        정민영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스콧 니어링의 교육사상을 토대로 한국교육의 올바른 방향성 정립에 기여하고 획일적이고 주입식으로 실시되는 교육에 하나의 대안으로써 스콧 니어링의 교육사상을 제안하는데 있다. 이를 이한 연구문제는 첫째, 스콧 니어링의 「새 교육(1915)」에서 나타난 교육사상은 그의 생애 속에서 어떻게 성숙ㆍ발전되어 왔는가? 둘째, 스콧 니어링의 교육사상이 오늘날 한국교육에 주는 철학적ㆍ방법적 측면에서의 시사점은 무엇인가? 이다. 연구결과 도출을 위해 질적연구 방법인 생애사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였으며, 분석자료는 국내에 번역된 스콧 니어링 관련 도서 8권이다. 분석자료를 대상으로 생애사적 텍스트 여섯 가지 분석 전략을 실시하였고 도출된 결과에 대해 전문가를 통한 검증절차를 수행하였다. 이상의 연구절차를 거쳐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새 교육(1915)」 발간 이후 스콧 니어링의 교육사상은 1기에서 5기까지의 발전 양상을 보이며, 일생을 통해 발전ㆍ성숙되었다. 이를 요약하면 1기: 교육의 대상은 학교가 아니라 사회전체라는 점, 2기: 교육체제는 개혁으로만 바꿀 수 있다는 점, 3기: 사회진보는 교육을 통해서 이루어진다는 점, 4기: 전 인류의 조화로운 삶을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는 점, 5기: 체제에서 벗어나고 교육을 통해 더 나은 공동체를 실현해야 한다는 점이다. 둘째, 스콧 니어링의 교육사상은 한국교육에 철학적, 방법적 측면에서의 시사점을 제안할 수 있다. 철학적 측면에서의 시사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가정에 주는 시사점, 2) 교사에게 주는 시사점, 3) 학교에 주는 시사점, 4) 학생에게 주는 시사점이다. 방법적 측면에서의 시사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교과내용으로의 시사점, 2) 교육과정으로의 시사점이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연구결과는 스콧 니어링이 비록 주류 학자는 아니지만 학생중심 교육, 공동체와의 협력을 위한 교육, 삶을 위한 교육, 자율적인 삶의 방법 등 현행 한국교육이 추구하는 교육 목적에 부합하는 교육사상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 및 논의를 통해 주류 교육학자들이 예상하는 교육사조들이 붕괴하고 있는 교육현실에서 새로운 대안을 탐색하기 위해 스콧 니어링에 관한 연구가 촉발되기를 기대한다.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으로 향후 국내에 번역된 저서 이외에 스콧 니어링의 저서를 연구자료로 삼고 전체적인 사상에 대해 연구가 폭넓게 진행되어야 한다.

      • 孟子의 敎育思想 硏究

        이웅 全南大學校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우리 교육은 그동안 外形的인 面에만 치우쳐 人間敎育은 疏外되어 왔으며, 全人的 인간이나 理性의 回復보다는 知能, 知識을 발달시키는데 汲汲하여 많은 사람들이 교육을 마치 學校에서의 敎師와 學生간의 지식과 技能의 전수라는 극히 제한된 활동으로만 여겨 온 것이다. 따라서 價値있는 人間化 作用으로서의 교육은 우리교육에서 기대하기 어렵게 되었으며, 특히 科學技術의 발달과 産業社會로의 急激한 변화는 人間疎外 現狀을 가속화시켜 인간 尊嚴에 대한 전통적 가치관이 점차 崩壞되는 현상을 가져오게 되었다. 이러한 때에 道德的 人間敎育을 주장한 孟子의 敎育論은 우리의 교육을 反省하여 새로운 인간교육의 方向을 설정하고 人間尊嚴性의 가치체계를 確立하는데 중요한 意味를 갖게 될 것이다. 孟子는 孔子의 思想을 繼承 發展시켜 나아갔으며 그 일련의 方法으로 중국 역사상 가장 혼란스러웠던 戰國時代에 당시 여러 나라의 왕들을 만나 孔子의 思想을 傳播하였으나 여의치가 못하였다. 왜냐하면 孟子는 당시 澎湃해 있던 利益追求라는 사회 분위기와는 거리가 먼 理想主義者였기 때문이다. 당시는 弱肉强食의 富國强兵策만을 찾는 戰國時代였기 때문에 孟子의 ‘仁’ 과 ‘義’를 기본으로 한 사상은 호소력이 없었다. 하지만 이런 어려움 속에서도 人間本性의 善性을 주장하며 王道政治를 이끌어 내기위해 道德的 品性의 涵養을 통하여 聖人 君子를 指向하도록 하고 社會秩序의 回復을 위하여 道德性 回復을 통한 大衆 敎化에 힘썼다. 그리하여 이후의 歷史 發展過程에 孟子의 政治, 經濟, 敎育, 社會思想들이 큰 영향을 미쳐 儒敎라는 큰 물줄기의 本流가 되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狀況 속에서 孟子의 思想은 完成되어갔으며 그의 사상은 人性論, 心性論과 같은 哲學的이고 形而上學的인 부분뿐만 아니라 修養論과 敎育思想 그리고 政治思想과 같은 實踐的이고 現實的인 부분에까지 그의 생각이 확장되어 있다. 이는 孟子 당시, 諸子百家와의 이론적 대결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孟子의 사상은 人性論, 心性論과 같은 철학적이고 理論的인 면보다는 修養論이나 政治思想과 같은 현실적이고 실천적인 면에서 더욱 그 特徵이 두드러진다. 본 硏究에서는 『孟子』를 基本 資料로 삼아 文獻硏究에 重點을 두면서 그 동안의 연구 성과를 참조하여 孟子의 思想이 형성될 수 있었던 時代的 背景과 學問的 背景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孟子의 主要思想이라 할 수 있는 人性論과 道德論 그리고 政治論 등을 검토 해 나아가 敎育思想의 原流를 찾아보았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사상적 기반위에서 맹자가 주장한 교육관을 세분하여 교육의 목적 및 교육의 방법론을 살펴보았다. 이와 함께 王道政治의 完成을 敎民으로 보고 孟子의 思想에서 차지하는 敎育의 位置를 再照明 하고자 하였다. 특히, 孟子의 사상 전개의 특징을 관념과, 실용의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봄으로써 孟子의 思想을 觀念과 實用의 調和로 이끌어 내고자 하였다. 오늘날의 시각에서 살펴 볼 때는 理想的인 모습으로 보일지 모르나 당시의 慘酷한 民衆의 現實에서 볼 때는 道德性 回復을 통한 人間의 心性을 찾아 나아가는 것이 절실히 要求되었기 때문에 孟子의 敎育思想을 포함한 全般적인 主張은 實學이라 할 수 있을 것이며 인간이 疎外되어 가고 있는 現代社會에 있어서도 敎育이 나아갈 바를 크게 示唆해 주고 있는 것이다.

      • 동농 이해조의 교육사상 연구

        홍을표 대진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신소설의 작가로 알려진 동농 이해조(1869-1927)의 교육사상을 탐구한 것으로, 근대교육의 역사적 배경에서 그의 교육활동 및 저작들의 교육학적 의미를 규명함으로써 그의 교육사상에 접근하고자 시도했다. 본 연구는 애국계몽운동기(1905-1910)에 교육운동의 최전선에 서 있었던 이해조의 교육활동과 그의 작품에 나타난 ‘교육구국’의 담론 분석을 통하여 이해조의 교육사상을 파악하고 그것의 교육사적 ․ 교육사상적 ․ 교육제도적 의의 및 시사점을 탐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근대교육운동의 역사적 연결고리를 내인론(內因論)적 접근을 통해 밝히고, 이해조 교육활동의 교육사적 의의를 규명하기 위하여 주로 역사적 접근법을 사용하였는데 구체적으로 한국 근대교육사의 시각에서 접근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해조의 교육활동의 근저에는 당대의 교육개혁론, 기독교의 근대교육사업, 갑오교육개혁으로 인한 근대적 국민교육체제의 성립, 그리고 민간사립학교의 발달 등이 그 역사적 배경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둘째, <자유종>의 교육구국론(敎育救國論)의 분석을 통해 파악한 이해조의 교육사상은 심층에는 사회진화론, 민족주의, 동도서기론(東道西器論), 여성교육론, 어문사상일체관(語文思想一體觀), 자녀공물론(子女公物論) 등이 있고 표층에는 이에 대응하여 각각 자강론, 자국 정신, 유교 개혁, 양성평등론, 어문민족주의, 의무 교육이 놓여 있다. 셋째, 이해조의 교육활동 및 교육사상의 의의 및 시사점을 ① 교육사, ② 교육사상, ③ 교육제도 등 3가지 면으로 제시할 수 있겠다. ① 이해조의 교육활동의 교육사적 의의는 사립학교 설립 운동, 학교 설립 및 교과서 편찬 사업, 그리고 소설을 통한 국민계몽운동의 전국적 확산에 있다고 하겠다. 이해조 교육활동의 교육사적 시사점은 근대개화기의 교육운동과 문학활동을 교육사적인 관점에서 통합적으로 기술해 내어 교육사와 문학사를 따로 기술하는 종래의 서술체계를 극복하고자 하는 필요성을 제기한다는 데 있다. ② 이해조 교육활동의 교육사상적 의의는 천품의 덕성은 변하기 않지만 학력(學力)으로 덕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이른바 동도서기적 교육관의 실천에 있다. 그것은 수신과 처세에서 수신은 전통적 교육을 지키며 처세는 근대적 변용을 수용하는 절충주의적 교육관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이해조 교육활동의 교육사상적 시사점으로는 서구적 교육체제에 대한 대안으로서 동도서기적 제3의 교육 체제의 가능성을 타진해 볼 수 있겠다. 근대교육제도의 반성으로 새로운 교육이 모색되고 있는 현재의 시점에서 이해조의 수신과 처세의 동도서기적 융합은 새로운 창조적 발상을 가능하게 할 수 있겠다. ③ 이해조 교육활동의 교육제도적 의의는 민간교육단체의 교육사업과 연관된다. 국민교육회 등 민간에서 개명된 지식인층들에 의한 교육단체를 구성하여 밑으로부터의 교육적 수요를 민간 스스로 학교를 제도화하여 민족교육이라는 목표를 달성하려 하였다. 이해조 교육활동의 교육제도적 시사점으로는 1905년에서 1910년 사이에 우리의 근대적 민족교육형성의 내부적 에너지는 민간의 사립학교 설립 운동과 민간의 교육단체들의 자발적인 활동에 의존했음을 확인한 것으로부터 현재의 사립학교의 발전모델도 국가 주도에서 민간주도의 지원 체제로 전환하는 것을 제시할 수 있겠다. This study explores the educational thought of Lee Hae Jo(1869-1927), a renowned new-style novelist in the modern era. In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modern education, his educational thought was approached by investigating his academic activities and educational insight of his works. This study will explore the historical, ideological, and systemic meanings and the implications of Lee Hae Jo's educational thought by analyzing discourse of his work, 'the educational salvation', and looking into his educational activities which was in the front line of the education movement during the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This research reveals the historical connection of the "education movement of the modern era" through inner-causal approach, and mainly used historical approach in order to inquire his educational meaning of his activities, specially from a viewpoint of Korean modern history of education. The conclusion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Lee Hae Jo's academic activities were the educational reformism of the day, the modern educational enterprise of the Christians, the establishment of the modern academic system of the citizens through educational reformation of the year 1895, and the development of private school system. Second, Lee's thought of education understood by the analysis of 'the educational salvation' in his work 'Jayujong'. In the deep structure, there are the theories of the social evolution, nationalism, Eastern ways and Western frames(東道西器論), education of women, correspondent theory of speech and thought(語文思想一體觀), and the public viewpiont of children(子女公物論). In the surface structure, there are theories of national strenuous effort, national spirits, Confucian reform, gender equality, nationalism of language, and mandatory education, successively. Third, Lee Hae Jo‘s pedagogic interpretation and significance of his educational activities can be presented by 1) history of education, 2) thought of education, 3) system of education. 1)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his educational activities are the private school establishment movement, the establishment of schools and compilation of textbooks, and the country-wide spreading of the Enlightenment movement through novels. Through his educational activities, he suggests the integration of the history of education and literature in the educational perspective so to overcome the traditional system of description which recorded them separately. 2) The significance of his educational thought is the practise of 'Eastern ways and Western frames' view on education. That means nature of moral characters are not changed, but virtue can be built through education. It is based on 'eclecticism of Eastern ways and Western frames' that impies moral traning guards the traditional education wheras conduct of life accepts the modern change. At this point of time when new education is needed in reflection of the modern educational system, eclecticism of 'moral traning and conduct of life' can open a new creative way of education as third education system. 3) The significance in the educational system through his academic activities is related to the educational enterprise of nongovernmental educational organization. It strived to reach its goal of a national education by making the national education committee from the intellectuals of the public to systematize schools on their own based on the academic demand. His educational activities confirms that the internal energy of forming national education was dependent on voluntary activities of nongovernmental educational organization in 1905 to 1910 and that the present private school development model is to be changed from government-led to nongovernment-supported.

      • 김교신의 민족교육사상

        최윤정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우리교육을 논할 때 자주 등장하는 단어가 '위기'이다. 교육위기의 정점에는 교육의 목적과 수단이 도치되어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교사 역할 수행으로서 생의 대부분을 보낸 '김교신'이라는 역사적 인물의 사상을 살펴봄으로써 이 시대 참다운 교육의 목적이 무엇이어야 하는지를 살펴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김교신은 일제 식민기에 자신이 가진 종교적 신념의 바탕위에서 약15년간 평교사로 활동한 민족의 교육자이다. 그는 1901년 태어나 3·1운동이 일어났던 1919년 일본으로 유학을 떠났고, 그곳에서 박물(지리)학을 공부했다. 그는 일본 유학을 통해 기독교신앙을 접하게 되고 그것으로 삶의 중심을 삼게 된다. 1927년 귀국 후에는 함흥의 영생여자고등보통학교를 시작으로 42년까지 교직에서 평교사로 활동하면서, 동시에 월간 신앙 잡지인 《성서조선》의 주필로서의 활동을 겸하게 된다. 그는 자신이 주필로 있었던 《성서조선》의 창간사에서 "우리 마음의 전부를 차지하는 것은 '조선'이라는 두 글자이고, 조선이라는 애인에게 보낼 최고의 선물은 '성서1권'뿐이라 여겨 성서조선을 만들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그가 자신의 마음의 전부를 차지하는 것이 '조선'이라고 표현한 것을 보면 그의 15년간의 학교에서의 교육활동과 민중을 계몽하기 위한 현장 교육가로서의 그의 삶이 오직 '민족' 안에서 이루어졌음을 가늠할 수 있다. 실제로 그는 일본의 지속적인 탄압정치에 대해 조국의 독립을 암시하며, 학생들에게 조국의 해방과 내면적 승리에 대한 희망을 품게 하였으며, 엄동설한의 연못 속 개구리가 죽지 않고 봄을 맞이하는 것처럼 이 민족이 다시 살아 부활할 것을 굳게 믿는 교육자이며 문필가였다. 일제에 대한 지속적인 저항 때문에 교직에서 쫓겨나게 된 그는 흥남의 질소비료공장에서 소외된 자들과 일하면서 그들의 복리, 후생, 교육을 위해 투신하다가 발진티푸스라는 전염병에 감염되어 그토록 염원하던 해방을 4개월 앞두고 서거하게 된다. 김교신은 신앙도 나라를 위해 있는 것이라고 생각했고, 교육 또한 애국하는 길, 참 도덕자로서의 길로 연결되어야 한다고 믿었다. 그러므로 김교신이 전개한 교육은 단순히 가르치는 직업인으로서의 교사가 아니라, 조선에 필요한 참사람을 길러내기 위한 민족교육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는 인간의 귀중함을 무시하는 대량 생산적인 속성의 교육방법을 비판했으며, 스승과 제자와의 인격적 만남을 중시했고, 그 인격적 만남을 통해 자기 내면을 깊게 성찰하도록 교육했다. 그 성찰은 수난 받고 있는 조국의 현실을 바로 바라볼 수 있는 안목을 가진 인간을 양성시켰으며, 기계적이고 피동적인 사람이 아니라 스스로 생각하고 느끼며 도덕적으로 행동하는 실천적이고 전인적인 사람을 길러내기에 충분했다. 그의 이러한 인간적이고 도덕적인 교육의 바탕에는 조선에 부여된 신의 섭리를 확고하게 믿는 섭리사적인 의식이 자리 잡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김교신이 '조선지리소고'라는 자신의 논설문을 통해 '극동의 중심은 조선이다'라고 외치며, 한반도는 섬약(纖弱)하지 않고, 오히려 대륙과 대양을 잇는 무한한 발전의 요충지라고 주장한 것은 나라 잃은 민족이 가질 수밖에 없는 열등감과 자포자기한 의식에 희망을 주는 주체적이고 긍정적인 지리관이었으며, 당시 일본이 조선 지배를 정당화시키고자 했던 반도적 숙명론과 같은 식민사관에 정면으로 저항했던 애국정신의 발로였다. 그는 한반도에 부여된 섭리를 바로 인식함으로써 식민지로 얼룩진 민족의 영혼을 소생시키고, 더 나아가 세계사에 기여하는 관용적인 민족이 되기를 희망했던 것이다. 조선근대사 특히 일제통치하 36년의 기간 중 조선민족 최대의 과제는 독립을 달성하는 것이고, 이 민족적 과제에 대하여 다양한 운동과 투쟁이 있었다. 이러한 가운데서 김교신이 행한 교사로서의 교육활동이나 기독교신자로서의 종교 활동, 현장교육자로서의 활동 등은 직접 독립을 달성하기 위한 운동이라기보다는 오히려 독립을 위해 준비하고 그것을 달성할 수 있는 조선 사람을 육성하고자 하는 기초적인 민족교육운동이었다고 볼 수 있다. 김교신의 교육사상에 대한 고찰을 통해서 필자가 의의점으로 삼고 싶은 것은 크게 4가지이다. 첫째, 그는 희망적인 지리관과 역사관을 가지고 쓰러져가는 조선을 보듬어 안았다는 것이다. 둘째, 그는 분명한 역사의식을 가지고 시대를 외면하지 않는 실천적 프락시스의 삶을 살았다는 것이다. 셋째, 그는 교육이 추구해야 할 최고의 가치를 신의(信義) 있는 진실한 인물출현으로 삼았다는 점이다. 넷째, 그는 지식만을 가르치는 교사가 아니라 인간이 되는 길, 도덕적으로 사는 길을 순수한 눈물로 가르쳤던 교사였고, 학생들을 위해 늘 기도하는 교사였다는 점이다. 그가 보여준 민족교육자로서의 본보기는 물질적인 것에 치중하여 정신적 풍요를 잃어가고, 개인적 가치만을 중시하여 민족과 공동체를 경시하는 현대사회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입시나 출세가 교육의 목표가 되어버린 안타까운 현대 우리 교육의 현실을 바로 잡는 노력은 민족에 대한 열정 안에서 시대의 아픔을 극복하고자 했으며, 신의를 지닌 진실된 인물이 배출되는 것만이 조선의 희망이라고 역설했던 김교신의 민족교육사상을 바로 알아가는 것에서 출발해야 할 것이다. When we consider the present state of education in korea, 'crisis' comes to mind. The purpose and means of education have become distor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kim kyosin's ideas of what education should be and what it meant to the nation. Kim kyosin is a significant historical figure. He was a 'national educator' during the era of Japanese colonization. He had strong religious beliefs and spent his entire life promoting his ideas of what education should be. Born in 1901, he went to study in Japan in 1919, majoring in Geography. He was there he discovered christianity which become the basis of his teaching. He was also during this time that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occurred. After returning to korea, he taught at Yong Saeng Girls School where he was also eidtor of the 'SeongSeo Choseon', a montly religious magazine. In the first issue of 'SeongSeo Choseon', he declared that "Our herats are filled with Choseon nationlism, and that the best gift to give one's lover is the Bible." Kim kyosin spent his 15 years as a teacher promoting korean nationalism to his students in the hope of one day overcoming the oppression of the Japanese occupation and gaining korea's Independence. He was eventually dismissed from his post in 1942 because of his beliefs, but continued to spread his ideas by taking up various causes for the people's welfare, education, and well being. He continued to work until his sudden death from typhus fever, 4 months before korea's liberation from Japan. Kim kyosin was deeply religious. He believed that the purpose of education was two fold, to make one a moralist and a patriot and religion was what connected the two. The system of education he envisioned was not merely one that taught students but also instilled moralism and a sense of national pride which made for more moral, practical, and well rounded individuals. He critcized the teaching methods of the day for being mechanical and promoting passivism while ignoring the moral influence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nd the encouragement of self inflection. On the basis of his humane and moral education, the trust in Divine Providence give to Choseon lied in his consciousness. By recognizing this he wanted to revive the nation's soul which was hurt by colonization. Before kim kyosin, the people's outlook of and independent Korea was bleak at best. Through 'Choseon Jirisogo', his editorial, he exclaimed that choseon was the center of the Far East and the korean peninsula was not fragile. Instead, the country was the center point that connected continents and oceans. It was his subjective and positive geographical view that gave hope to the consciousness of the people who could not help but to feel inferior and desperate. His educational and religious activities were the fundamental national education for fostering people who would build up resistance against the Japanese and would eventually achieve independence after 36years of colonization. After examing kim kyosin's thoughts about education, I could find four significant facts. First, he had an undying love for Choseon, and maintained a positive view of its history and geographical location. Second, he was conscious of the problem, facing society and through practical teaching encourage students to confront them. Third, he regarded producing a sincere man of character and faith as the most important value which education had to pursue. Fourth, he was an extremely passionate teacher who prayed for his students in order to demonstrate how to be a decent man and live morally. Looking back on his achievements, one can soon discover the positive effects his ideals could have on modern day society where materalism is valued above all else, including the community and the nation. To chance this we need refer to his ideas and apply them to the current educational system.

      • 존 듀이의 경험 교육사상 연구

        정은찬 고신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John Dewey의 철학은 프래그마티즘으로서 경험의 철학이고 개조의 철학이며 방법과 과정의 철학이다. 그의 철학의 배경에는 경험이 기본적 토대를 이루고 있으며, 경험 중에서도 질적 경험, 즉 교육적 경험의 생성과 형성원리가 그 근본적 구조를 이루고 있다. 그는 질적 경험을 모든 문제상황에 있어서 평가의 도구로 사용하였으며, 학문에 대한 그의 모든 시각을 경험의 기준에서 과거의 철학과 사상을 개조하고 비판하여 현재를 직시하고 과거를 현재 속에 흡수하면서 새로운 미래의 삶의 세계를 개척하려고 하였다. 듀이는 퍼어스로부터 인간의 행동 그것이야말로 바로 인간 사상의 전부라는 것을 깨달았으며, 제임스의 심리학으로부터 의식의 흐름(stream of consciousness)을 분석하여 경험과 관계를 맺고 생명과 환경과의 관계를 맺어보고자 노력하였다. 헤겔로부터 그는 주관과 객관, 물질과 정신, 신과 인간 등 양분된 이원론을 극복할 수 있는 변증법적 방법을 즉 과정과 발전의 방법을 습득하였으며, 그리고 다아윈으로부터 진화론에 의한 변화와 과정의 철학 즉 의식적이고 지성적인 변화와 인간의 향상적 발전의 전개의 가능성과 향상적 변화를 습득하게 되었다. 이와 같이 듀이는 미국내외의 선철로부터 직접간접으로 영향을 받으면서 미국의 종합사상 혹은 철학이라고 할 수 있는 프래그마티즘을 완성시켰다. 개괄적으로 본 논문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는 미국과 우리나라를 포함한 세계 나라에서 비판과 논의가 되고 있는 듀이의 교육사상에 있어서 언급하면서 연구의 동기와 목적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목적한 바는 듀이철학의 핵심이 경험으로서 그 경험을 통하여 교육의 모든 것을 설명하는 환언주의적인 시각을 기독교적으로 재조명하고자 하였다. 제2장에서는 듀이의 교육사상 형성에 영향을 주었던 성장배경과 사회적 배경, 철학적 배경 등을 살펴보았다. 그의 교육사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철학을 고찰함으로써 경험교육사상의 근본 이론을 분석하여 그의 교육사상에서 설명하고자 하는 바를 명확히 파악하는데 도움을 얻고자 하였다. 제3장에서는 듀이 교육사상의 핵심인 경험을 이론적으로 구명하면서 경험의 본질은 능동적 요소와 수동적 요소로 구성되었으며, 경험의 가치는 그 경험이 얼마나 사물의 관계 또는 계속적으로 인식시키며 질적 경험을 형성하느냐에 따라 결정되어진다. 경험이란 인간이 생각하고 있는 것들의 총계와 사고가 일어나고 내적 상태와의 결합이다. 따라서 경험이란 내적 상태의 실재와 경험의 실재는 하나가 된다고 볼 수 있다. 경험은 단순히 대상을 대상으로서만 감지할 수는 없는 것이고 내적 실재와 관계를 가질 때에 경험이 성립되는 것이다. 또한 듀이는 경험은 「해보는 일(trying)」과「당하는 일(undergoing)」, 즉 능동적인 면에서 시험하는 일과 수동적인 면에서의 당하면서 관계를 맺어가는 일과의 결합이며, 이 두 가지의 결합 정도나 결과가 경험의 성과 또는 가치를 측정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경험이란 능동적 요소인 관념과 수동적 요소인 감각이 함께 인간의 행위 속에 통일되어 행동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와 같이 상태, 즉 경험은 자연적이고 동적이며 주관과 객관의 통일이며 노동적 상태이다. 듀이는 경험의 구조 속에서 두 가지 원리 즉 상호작용의 원리와 계속성의 원리를 들고 있다. 상호작용의 원리란 공간적 측면으로서 개인과 환경과의 상호작용에서 오는 여러 가지 관계를 말한다. 즉 내부적 상황(개인의 욕망, 요구, 능력)과 객관적 상황(환경, 사물)의 상호작용이며, 이 상호작용은 평등한 관계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 다른 한 가지로 계속성의 원리는 시간적 측면으로서 과거의 경험을 전달하는 것이다. 그것은 단순한 과거의 전달이 아니고 학습을 의미하며 현재의 활동과의 결합을 의미한다. 과거와 현재의 결합뿐만 아니라 현재의 활동이 미래를 지적할 수 있는 경지에까지 전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위와 같은 두 가지 경험의 원리에 의하여 듀이는 경험획득의 과정을 성장발달의 단계로 구분하고 있다. 첫째는 충동적 경험이며, 둘째는 시행착오적 경험이고, 셋째는 반성적 경험의 단계로 구분하면서 교육적 원리에까지 접근하고 있다. 사고는 경험의 본질에서 논한 바와 같이 경험과 분리해서는 생각할 수가 없다. 경험이 사고의 연결이나 관계없이 존재할 수는 없다. 사고는 미지성과 미완성의 세계에 돌입한다. 미지의 세계와 미완성의 세계에 몰입하기 때문에 거기에는 변화가 있고 동적이며 위험성이 개재하여 경험을 창조하고 있는 것이다. 경험의 창조는 사고가 사고로서 기능을 다할 때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사고에 의한 경험은 위험성이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인간은 끊임없이 조사와 탐구의 과정을 밟아야 한다. 사고는 논리적 방법과 과학적 방법에 최고의 도구역할을 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제4장에서는 듀이의 경험교육사상을 인간관과 종교적 동인의 관점에서 기독교 세계관적으로 재평가하였다. 유기체적인 생물학적 관점에서 인간은 기독교적인 인간관과 본질적으로 그 출발점을 달리하며, 인간을 하나의 생물로서 진화론적인 존재로 주장하고 있으며, 인간의 행동과 사고의 모든 생활의 동인을 듀이는 경험으로서 설명하고 있다. 기독교 세계관적으로 설명되어지는 인간은 하나의 유기체적인 존재가 아니라 전인적이며 다차원적인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된 피조물이며, 인간의 움직이는 종교적인 동인은 경험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중심으로 형성하고 있는 다양한 법적 양상임을 주장하였다. 듀이는 인간이 지식을 획득하고 확대하는 과정을 규명하여 '교육은 경험의 계속적인 재구성 또는 재조직'이라고 정의하였다. 이러한 개념은 결국 교육이 경험을 재구성 또는 재조직하는 방법에 관련되어져서 결국 교육은 사고방법이나 지력의 함양에 관련된 것임을 인식하게 된다.또한 듀이의 교육개념은 지식과 문화가 정적인 사회가 아니라 급격하게 변화하고 성장하는 사회를 반영한 교육의 개념이다. 그것은 교육을 기존의 지식을 전달하는 것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현재 사회와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인간이 새로운 지식을 습득하며 사회에 적응하고 스스로를 형성해 나가는 과정으로 보기 때문이다. 교육은 인간이 사회생활을 하는 데에 필요한 도구이다. 필요한 도구로서의 교육은 의사소통에 의한 경험의 전달로서 이루어진다. 경험의 전달로서 얻어진 모든 것은 사회공동소유물로 된다. 이와 같은 공동소유물은 사회성원들의 심적 동향을 변화시키며 개신시키며 정화시킨다. 교육의 발현은 경험의 전달로부터 이루어졌다. 그가 태어난 사회에 있어서 공동소유물은 개인이 존재하고 있는 특수한 환경 속에서 조화를 이루어야 하며, 언제나 공동소유물이라는 전체경험 속에 동화되어야 한다. 공동소유물로서의 경험은 개인에게는 사회규범이 되어야 한다. 인간이 비록 본능이나 노동적 행위를 할지라도 그것은 사회규범과 일치하는 것이다. 인간의 본능이나 행동은 전체경험 속에서 어떤 특수한 목적이나 규범 위에 집중시키고 행동을 계속적으로 질서있게 지도하여 주는 것이다. 듀이는 시종일관하여 경험을 그의 사상의 근본으로 삼고 인간의 삶과 교육 또한 경험의 기저 위에서 파악하려고 하였다. 듀이의 경험교육사상은 철학적인 인본주의 사상에서 시작되었으며, 그의 종교사상은 기성종교의 초자연적인 초월적인 신에 대한 도전으로부터 시작되었다. 그의 종교 개념은 초자연적이거나 구체적인 신앙을 거부하고, 종교적인 경험을 통한 종교적 태도를 종교적인 것으로 보고 있다. 듀이는 신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이 실제로 갈구하는 이상에 불과한 것이라고 했다. 이런 신관을 가지고 있는 그는 종교적인 경험을 중요시했다. 이 경험은 인간의 경험에서 이루어지며 자연적인 환경 속에서 자기반성을 자각하는 상태를 말하고 있다. 듀이의 교육사상은 실제로 교육전반적인 분야에 큰 영향을 미친 것은 사실이지만 하나님 중심의 교육을 지향하는 기독교교육의 입장에서 볼 때 뿌리 없는 교육의 열심일 수밖에 없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오늘날의 교육의 실천은 인간 중심의 철학적인 경험론에 근거한 한시적이고 부실한 경험교육사상을 의지하는 것이 아니라 영원하고 재생산적인 하나님 중심적인 교육을 추구하며, 오직 하나님께 영광을 돌려야 한다는 분명한 교육목적과 방향성을 가진 진정한 교육사상을 연구하고 실천함으로, 타락한 인간을 하나님의 형상으로 회복시킬 수 있는 올바른 기독교 교육을 재정립하는데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 민세 안재홍의 성인교육활동과 온정적 합리주의 리더십 연구

        황우갑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민세 안재홍의 학습경험과 성인교육 활동 및 성인교육사상과 온정적 합리주의 리더십을 탐색하는 것이었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안재홍의 생애 주요 학습경험의 특성은 무엇인가 ? 둘째, 안재홍 성인교육 활동과 사상의 내용 및 시대별 변화 양상은 어떠하였는가? 셋째, 온정적 합리주의 리더십 관점에서 본 성인교육자 안재홍의 리더십 특성은 무엇인가 ? 연구 방법은 시간의 흐름 속에서 발생하여 독특하게 계속되는 개인들, 사건들, 상황들, 아이디어들에 대해 연구하는 역사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학습경험과 활동, 성인교육사상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1차 자료로 안재홍이 남긴 저서와 신문, 잡지 등에 실린 논설, 시평, 기행문 등을 활용하였다. 또한 안재홍의 온정적 합리주의 리더십 탐색을 위해 1차 자료 이외에 가족과 지인들이 남긴 회고 자료와 생존인사의 안재홍 관련 증언녹취 자료 등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안재홍은 3가지 독특한 학습경험을 가지고 있었다. 소년시절까지 전통 유학을 공부하다가 17세 이후 서울 유학을 통해 학습 시야를 넓히고 일본 유학을 통해 신학문을 받아들여 항일의 정신적 자산을 쌓았다. 그는 9번에 걸쳐 7년 3개월의 감옥생활에도 부단한 독서를 통해 배움을 지속했으며 14차례 걸쳐 국내외 답사를 통해서 민족수난의 현실을 알리고 민족의식 고취에 힘썼다. 둘째, 안재홍의 성인 교육 활동과 사상의 변천 추이를 살펴보았다. 안재홍은 서울중앙학교 학감, 중앙YMCA 간사, 여자의학전문학교 설립 추진, 고향 평택에서의 간이 야간학교 운영, 국학전문학교 대학 승격을 위한 ‘지성회’ 조직 활동, 서울중앙농림대학 설립 등 성인교육 활동을 했다. 그리고 태평양문제연구회, 조선사정조사연구회, 조선교육협회, 조선어학회, 신간회, 조선교육연구회, 조선교육심의위원회 등의 학습조직과 사회단체를 통해 성인교육 활동도 했다. 안재홍은 일제강점기 일제 식민지 교육을 비판하고 조선인 본위의 교육론을 강조했으며, 민중기초교육의 필요성과 문맹퇴치론을 역설했다. 또한 농민교육, 여성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농민대학, 가정부인학교와 같은 대안을 제시하고 덴마크 선진교육 수용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안재홍의 성인교육 사상은 일제강점기 제국주의를 비판하며 개방적․복합적 사고에 기반을 둔 민세주의에서 해방 후 신국가건설 시기에 지력평등의 교육을 강조하는 신민족주의로 구체화되었다. 그는 모두가 함께 말하고 모두가 함께 잘사는 다사리 교육과 원진미선(圓眞美善) 교육을 강조했다. 셋째, 온정적 합리주의 리더십의 8개 요소를 바탕으로 안재홍의 리더십 실천 사례를 제시했다. 안재홍은 훈련된 성실을 바탕으로 선구자적 자세를 가지고 이성적 판단에 기초해 현실을 분석하고 다양한 상황에 적합한 리더십을 발휘했다. 또한 자기희생을 바탕으로 타인과 시대를 이해하며 시종일관 따스한 리더십을 실천했다. 이 연구를 통해 독립운동가, 언론인, 역사학자, 정치가 등으로 알려진 안재홍이 성인교육자로도 다양한 학습경험과 폭넓은 활동을 했으며 일관된 성인교육 사상과 온정적 합리주의 리더십을 가지고 일제 식민지배 극복과 해방 후 통일국가수립에 노력했음을 확인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Minse Ahn Jae Hong’s learning experience, adult education activities, adult education conception, and compassionate rationalism leadership.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main learning experiences the adult education activities in Ahn Jae-hong's life? Second, what were the content of Ahn Jae-hong’s adult education activities and adult education conception ? Third, what is the characteristic of adult educator Ahn Jae Hong’s leadership viewed in terms of compassionate rationalism leadership? In the research method, the historical research method was applied, which studies the individuals, events, situations, and ideas that occur in the lapse of time and continue uniquely. In order to examine changes in learning experiences and activities, and adult education conception, we utilized editorials, comments on current events, and travel essays which were published in newspapers, magazines, etc., including books written by Ahn Jae-hong, as primary materials. Furthermore, in order to explore Ahn Jae-hong’s compassionate rationalism leadership, other than the primary material, we used retrospective data, left by his family members and acquaintances, and tape-recorded testimony data related to Ahn Jae-hong by surviving figure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hn Jae-hong had three unique learning experiences. He studied traditional Confucianism in his boyhood, widened his mental vision of learning through studying in Seoul after he was 17, and then accumulated the spiritual assets of anti-Japan struggles by accepting modern sciences through studying in Japan. He steadily continued his learning through constant reading even during nine times of his prison life for seven years and three months; he made efforts to inform of the reality of national sufferings and to raise the national consciousness, through 14 domestic and international expositions. In addition, he carried out activities for adult education, such as serving as a dean at Seoul Central School and an assistant administrator of Jungang YMCA, promoting establishment of Women's Medical College, operating a temporary night school in Pyeongtaek of his hometown, organizing and working for 'Jiseonghoe' to make the Korean Study Specialized School grow to university status, establishing Seoul Central Agricultural University, etc. Second, the adult education activities and characteristics of Ahn Jae-hong’s adult education conception were examined. he also conducted adult education activities through learning organizations and societies, such as the Pacific Issues Study Society, the Joseon Status Study Society, the Joseon Education Association, the Korean Language Association, Shinganhoe, the Korea Education Study Society, the Korean Education Deliberation Committee, and so on. Ahn Jae-hong criticized Japanese colonial educat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emphasized the Joseon people-centered educational theory, and stressed the necessity of basic education for the people and the anti-illiteracy crusade theory. He also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peasant education and women's education and proposed alternatives, such as the farmers’ university, the housewives’ school, etc., and put stress on the need for accepting the Danish advanced education. His Adult Education Conception was embodied from ‘Minse’ Principle (the People-Era Principle), which criticized imperialism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was based on open and complex ideas, to the Neo-nationalism emphasizing the education of intellectual equality in the time of building a new country after liberation. He emphasized ‘Dasari’ education, through which everyone could speak together in the same way and live together well, and ‘Wonjinmiseon’ education (meaning that only the complete truth is beautiful and good). Third, the practical cases of Ahn Jae-hong's leadership were presented based on eight factors of Compassionate Rationalism Leadership. He had a pioneering position based on the trained sincerity, analyzed the reality based on his rational judgment, and displayed leadership fitted to a variety of situations. In addition, based on self-sacrifice, he understood the other people and the times and consistently practiced his compassionate leadership. Throughout the study, I could confirm that Ahn Jae-hong, known as a fighter for independence, a journalist, a historian, a politician, etc., experienced various learning experiences and widely worked as an adult educator, striving to overcome the Japanese colonialism and to establish a unified nation after liberation with a consistent adult education conception and Compassionate Rationalism Leadership.

      • 북한 인민학교 교과서에 나타난 정치사상교육 내용의 변화 분석

        이은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통일을 준비하는 과정의 일환으로, 북한의 인민학교 교과서에 나타난 정치사상교육의 내용이 1996년의 북한 교육과정 개정 시점을 전후로 하여 어떠한 변화를 보여 주는지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의 교육은 어떠한 배경 속에서 형성, 발전되었는가? 둘째, 북한의 정치사상교육의 일반적 특징은 무엇이며 그 변천과정은 어떠한가? 셋째, 북한의 인민학교 교과서에 나타난 정치사상교육 내용의 특징은 무엇인가? 넷째, 북한의 인민학교 교과서에 나타난 정치사상교육 내용은 1996년의 교육과정 개정을 기점으로 어떻게 변화되고 있으며, 그러한 변화의 원인은 무엇인가? 첫째와 둘째 연구문제를 탐구하기 위해서는 북한의 교육이념과 목표, 교육정책 변천 과정 및 배경, 교육과정의 변천과정, 정치사상교육의 주요 내용과 변천과정을 살펴보았다. 셋째와 넷째 연구문제를 탐구하기 위해서는 1996년 교육과정 개정 전후에 발행된 인민학교 국어교과서와 김일성, 김정일 교과서에 나타난 정치사상교육의 내용분석을 통해 북한의 정치사상교육이 실제 교육현장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있으며, 변화하고 있는가를 규명해 보았다. 그리고 북한을 둘러싼 환경을 살펴봄으로써 정치사상교육의 변화원인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어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1996년 개정 이전의 교과서에서는 정치사상성이 있는 단원이 전체의 약 70%, 국어 본래의 영역인 문법, 어휘, 문장 등 언어생활에 관한 단원은 약 30%를 차지하고 있었다. 정치사상성이 있는 단원 가운데서도 김일성 일가 우상화 교육이 57.1%, 북한사회를 찬양하고 공산주의적 인간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내용은 42.9%를 차지하였다. 국어교육의 본래의 목적인 언어생활에 관한 단원은 가장 많은 비중으로 다뤄지고 있었지만 전체 단원의 3분의 1에 불과했다. 1996년 개정 이후 국어교과서에서는 정치사상성이 있는 단원이 전체의 92.0%, 국어 본래의 영역인 문법, 어휘, 문장 등 언어생활에 관한 단원이 전체의 8.0%를 차지하였다. 그리고 정치사상성이 있는 단원 가운데 김일성 일가의 우상화 교육은 45.5%를 차지하였으며, 북한사회를 찬양하고 공산주의적 인간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내용은 54.5%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어교육의 본래의 목적인 언어생활에 관한 단원이 전체단원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8%에 불과했다. 둘째, 국어 교과서의 주제영역은 김일성 우상화 영역, 김정일 우상화 영역, 김일성 일가 우상화 영역, 적대투쟁·혁명의식 고취 영역, 공산주의 도덕교육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1996년 개정 이후 김일성 우상화 영역은 24.2%에서 15.5%로 감소, 김정일 우상화 영역은 11.2%에서 21.5%로 증가하였다. 김일성 일가 우상화 영역은 4.4%에서 4.8%로 거의 변화가 없었으며, 적대투쟁·혁명의식 고취 영역은 13.7%에서 16.3%로 증가하였고, 공산주의 도덕교육 영역은 16.1%에서 33.9%로 크게 증가하였다. 우상화 영역에 있어서는 개정 이전의 교과서가 김일성 중심의 우상화에 주력했던 것에 비해 1996년 이후의 교과서는 김정일의 계승을 정당화하고 그에게 충성을 다짐하는 김정일 우상화 내용에 주력하고 있는 특징을 보였다. 그리고 공산주의 사상에 관련된 영역은 1996년 개정 이후 더욱 강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996년 개정 이후 교과서 내용상의 질적 변화는 우선 김일성 우상화 영역에서는 김일성을 초자연적인 능력을 가진 신적인 존재로 묘사하는 내용과 그에 대한 영원한 충성을 다짐하는 내용이 등장하였다. 그리고 김일성에 대한 우상화 내용을 결국은 김정일에 대한 우상화로 연결하는 내용도 등장했다. 김정일 우상화 영역에서는 1996년 개정 이전에는 그의 혁명계승 전통성에 대한 내용이 가장 강조되었으나 개정 이후에는 김정일의 인품을 칭찬하고, 그의 뛰어난 자질을 칭찬하면서 충성다짐을 하자는 내용을 가장 강조하고 있었다. 김일성 일가 우상화 내용에서는 개정 이전의 교과서에서 김정숙의 혁명투쟁 이야기가 강조된 반면 개정 이후에는 이와 더불어 김정숙이라는 인물자체에 대한 찬양내용이 등장하였다. 반면에 적대투쟁·혁명의식 고취 영역과 공산주의 도덕교육 영역에서는 내용의 전개방식이나 진술방식에 있어서 특별한 변화를 찾을 수 없었다. 국어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북한은 국어 교과서를 국어 본래의 목적보다는 북한의 인민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김일성 부자에 대한 충성심을 고취시키고 공산주의 사상으로 무장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1996년 개정 이후에는 이러한 경향이 더욱 강해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교과서 내용변화의 가장 큰 원인은 김정일 체제 구축과 대내외적 환경변화에의 대응으로 나타났다. 1996년 개정 이후 교과서에 나타나는 김일성 부자의 우상화 내용의 변화는 북한 주민들이 김일성의 카리스마와 우상화 교육 때문에 무조건적인 충성을 해왔으나 김일성에 비해 카리스마가 부족하고 정통성이 부족한 김정일 체제가 안정을 찾기 위해서는 김일성과의 일체성을 계속 강조함으로써 김정일의 지도력을 강화시키려는 의도에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반면에 대외관계 내용에서는 특별히 질적인 변화를 보이지는 않고 있었으나 단원이 차지하고 있는 비중은 절반으로 감소하였다. 이처럼 단원이 감소한 이유는 북한의 외교적 고립상황, 극심한 경제난 등 대내외적 환경의 변화를 겪게 되면서 이러한 위기상황을 탈피하기 위해 이러한 내용이 감소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공산주의 도덕교육 내용에 있어서는 특히 집단주의 의식고양의 내용이 강조되었는데, 이는 부분적인 개방정책을 추구하게 됨에 따라 일어날 수 있는 사상적인 동요와 해이 현상을 막기 위해서는 단결심과 복종심을 심어주고, 나아가서는 사회와 국가에 대한 응집력과 충성심을 길러주는 집단주의 교육이 중요하다는 것을 깨닫고 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넷째, 김일성과 김정일의 어린 시절 교과서는 김일성에 대한 충성다짐 영역, 김일성의 인품 칭송 영역, 어버이 풍모 칭송 영역, 김일성 일가 우상화 영역, 적대투쟁·혁명의식 고취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김일성 어린 시절 교과서의 경우 김일성의 인품과 어버이 풍모를 칭송하는 내용과 적대투쟁·혁명의식 고취 내용이 강조되었고, 김정일 어린 시절 교과서의 경우에는 김정일의 인품을 칭송하는 내용과 어버이 풍모를 칭송하는 내용이 강조되고 있었다. 이 두 교과서는 공통적으로 김일성과 김정일의 인품과 어버이 풍모를 가장 강조하고 있었으며, 차이점이라면 김일성 교과서의 경우는 항일투쟁 이야기나 혁명업적을 강조함으로써 그의 정통성을 강조하고 있는 반면에 김정일 교과서의 경우는 그의 혁명업적이 부족하기 때문에 김일성에 대한 효심을 매우 강조함으로써 정통성을 강조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북한 인민학교 교과서에 제시된 교육 내용에서는 정치사상교육이 매우 강조되고 있었으며, 1996년 교육과정 개정을 기점으로 살펴봤을 때 개정전보다 개정 이후에 더욱 그 내용이 강조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처럼 정치사상교육이 매우 강조되고 있는 이유는 탈냉전 시대 도래에 따른 외교적 고립, 폐쇄적인 자립적 민족경제정책에 의한 경제낙후성 심화, 극심한 식량난, 김일성 사망 이후 정권의 정당성약화에 의한 김정일 체제의 불안정성 등 북한의 대내외적 위기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국 북한에서 교육은 국가에 의해서. 국가를 위해서 제공되고 있으며, 김일성 부자의 정치적 권력을 유지하고 그들에게 유리한 사회질서를 재생산하는데 이용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some changes of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curriculum revision on Jun 1996 in North Korea for preparing the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search educational background of North Korea to plan and develop 2) to find general characteristics of political ideology education of North Korea 3) identify characteristics of textbook of elementary school in North Korea 4) provide some changes appeared textbook of elementary school in North Korea after the curriculum revision on Jun 1996 and these causes. In order to study first and second purposes, this study searched the education idea and goal, change and background of education policy, change of curriculum, main contents and change of political ideology education in North Korea. To research the third and forth purpose, this study analyzed "Korean", "the childhood of dear chief, Kim Il Sung, big sovereign", and "The childhood of the great leader Kim Jung Il, sovereign" of elementary school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curriculum revision on Jun 1996 for finding reasons to change curriculum and text of political ideology education how to embody their ideology. There were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s follow: First, the component ratio of chapters of "Korean" published before the curriculum revision on 1996 had about 70% related to political ideology education through analyzing "Korean", just 30% consisted of grammar, vocabulary, and writing etc. 57.1% of chapters appeared political ideology organized education idolized the Kim Il Sung and the others to admire North Korea Society and to train children to be communitarians. However, the component ratio of chapters of "Korean" published after the curriculum revision increased 22% related to political ideology and decreased 22% consisted of grammar, vocabulary, and writing etc. Second, the subject of "Korean" divided five areas-the idolized Kim Il sung, the idolized Kim Jung Il, the idolized the Kim Il sung, and a aroused hostile struggle revolutionary consciousness, analyzed, and met with following results. In a text before the curriculum revision on 1996 the area idolized Kim Il sung decrease from 24.2% to 15.5%, the area idolized Kim Jung Il improved form 11.2% to 21.5%, the area idolized the Kim Il sung changed a just little from 4.4% to 4.8%, a aroused hostile struggle revolutionary consciousness increased form 13.7% to 16.3%,and the area of communistic moral education also developed form 16.1% to 33.9%. the area of idolized before the curriculum revision on 1996 stressed on the idolized Kim Il Sung, but the idolized Kim Jung Il after on 1996 and centered the justification of inheritance in textbooks. After the curriculum revision on 1996 the contents stressed on communism and deification of Kim Il Sung. Also it indirectly connected with the idolized Kim Jung Il. The area of the idolized Kim Jun Il highly emphasized the legitimate of succession before on 1996 and his personality for holding the faithfulness of him after on 1996. The content of the idolized the Kim Il sung highlighted a story of Kim Jung Sook before the curriculum revision, however after the curriculum revision on 1996 stressed on the commendation of herself. The area of communism moral education and enhance of hostile struggle could not find any change. Korean used to uphold the devotion of Kim Il Sung and his son and solidification of communism and after on 1996 emphasized it more and more. Third, The major reason of change of textbook's contents was the system construction of Kim Jun Il and the correspondence of chang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surroundings. In the curriculum revision on 1996, Kim Jung Il who needed some charisma tired to support his system with a unification which his father, Kim Il sung was very similar with him. The content of international connection did not modify a little, but quantitatively decreased by a half because of North Korea's diplomatic isolation and heavily poverty etc. The contents of communism moral education especially emphasized of enhance of collectivization for holding the unite and obedience, and exalting faithfulness of Kim Jung Il. Finally, it took about 95% in the childhood of textbook of Kim Il sung to admire a charter, fatherly appearance, and antagonistic works of Kim Il sung. The others took about 5% in it to confirm the devotion for Kim Il Sung and to idolize the Kim Il sung. It took about 90% in the childhood of textbook of Kim Jung Il to admire a charter, fatherly appearance, and antagonistic works of Kim Il sung. The others took about 10% in it to confirm the devotion for Kim Jung Il and to idolize the Kim Jung Il. A common point of two textbooks highly emphasized a character and father's feature of Kim Il sung and Kim Jung Il. A difference point between the textbook of Kim Il sung and Kim Jung Il laid how to emphasize the orthodox which were a story related to the conflict of anti-Japan or a revolutionary work in a textbook of Kim Il sungor the devoted for his father in a textbook of Kim Jung Il. In short the contents of the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 in North Korea strongly emphasized the politic ideology education and it were more highlighted after than before the curriculum revision on 1996. Also, It alluded to a change in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environments of North Korea.

      • 茶山의 牧民心書에 나타난 敎育改革思想 硏究

        정영 圓光大學校 2005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다산 정약용의 「목민심서」에서 교육개혁 사상과 그것이 갖는 현대교육사적 의의를 찾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일반적으로 교육개혁사상이란 ‘교육 개혁에 관한 사고체계’를 지칭하지만, 여기서는 ‘교육의 이상적인 상태를 지향하는 실천 활동의 사고체계’로 정의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된 하위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산의 생애와 학문이 교육개혁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를 밝힌다. 둘째, 다산의 교육개혁의 개념적 특징이 무엇인가를 밝힌다. 셋째, 다산의 교육개혁사상의 본질을 규명한다. 넷째, 다산의 교육개혁사상이 오늘의 교육에 시사하는 바가 무엇인가를 찾아본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논의는 다음과 같다. 하나, 다산의 생애와 학문은 부국양민을 위한 교육사상의 전개이었다. 다산은 18년간의 긴 유배생활 속에서 다양한 실학저술 활동을 전개했는데 그 중에서 『목민심서(牧民心書)』는 적어도 지방의 행정책임을 맡은 관리인 수령(守令)이 목민자(牧民慈)로서 위민사상(爲民思想)을 제기함으로써 백성을 양민화 하여 부국을 구현하려는 의도를 담고 있다. 따라서 다산의 생애와 학문적 접근은 부국양민(富國良民)을 위한 교육개혁사상의 전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둘, 다산의 교육개혁의 개념은 교관이 위민의 교육실제 작용을 변화 발전시키는 것이라고 정의 할 수 있다. 셋, 다산의 교육개혁은 교관이 목민자로 만민을 양민화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넷, 다산의 교육개혁이 오늘의 교육에 시사하는 바는 영재교육에는 과예교육(課藝敎育)과 아울러 예의교육(禮義敎育)을 병행하여 장차 부국양민 하도록 한 점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educational reform thought of Tasan(茶山) in his works, the Mok-Min-Sim-Seo(牧民心書). Generally speaking, educational reform means educational reform thought system, but it means an systematic thought of practical activity for ideal state of education. For this purpose of this theses, the sub-contents of this paper will be presented of this as follows. First,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reform thought and Tasan's life, academic activity ? Second, What are the conceptual characteristics of Tasan`s educational reform thought ? Third, What is the essential elements of Tasan's educational reform thought ? Fourth, What are the implications of Tasan's educational reform thought on modern educat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presented as follows. Firstly, Tasan`s(茶山) life and academic activity relate with the development the Ideal of educational reform for people to be rich and people to be learned. Secondly, The concept of the educational reform will be defined as the transformed and developed practical acttivities for the service of people by the teacher. Thirdly, Tasan's educational reform let the people to be rich and to be learned. through the service of people by the governor as a teacher. Fourth, The practice of educating people in Mogminsimseo(牧民心書) suggest a lot now. Fifthly, The actual implications of Tasan's educational reform, according to the canon of manner(禮典) at the Mokminsimseo(牧民心書), is to cultivate talented people for the people's mind at rest by the etiquette and justice through the service of people and the special genius education by the governor as a teacher.

      • 조선시대 제주오현 교육사상 연구

        강동호 제주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조선시대 제주의 사액서원인 귤림서원에 배향된 제주오현(충암 김정·규암 송인수·청음 김상헌·동계 정온·우암 송시열)의 교육사상을 규명하고, 제주오현 교육사상의 사상사적 의미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오현이 과연 어떠한 교육사상을 지닌 인물이며, 그들이 제주와의 관련성이라는 일차적 특성 외에 어떠한 측면 때문에 제주 귤림서원에 배향되었는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들의 교육사상과 삶을 이해할 수 있어야만 제주유림들이 200여 년 동안 이념적 푯대로 추숭(追崇)했던 제주오현의 모습이 온전히 드러날 수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주오현의 교육사상을 밝히고, 제주오현 교육사상의 특징을 분석하였으며, 제주오현 교육사상의 사상사적 의미를 파악하였다. 제주 귤림서원은 1519년(중종 14) 기묘사화로 인해 제주에 유배되었다가 1521년(중종 16) 사사(賜死)된 충암 김정을 기리기 위해, 1578년(선조 11) 조인후 판관이 충암묘(冲庵廟)를 건립한 것이 발단이었다. 이후 제주유림 김진용의 건의로 1660년(현종 1) 이괴 목사에 의해 장수당(藏修堂)이 건립되었고, 1667년(현종 8) 최진남 판관이 충암묘를 장수당으로 옮기면서 제향 공간과 강학 공간을 모두 갖춘 서원이 성립되었고, 귤림서원이라 현액하였다. 1669년(현종 10) 안무어사였던 청음 김상헌과 유배인 동계 정온을 추향하였으며, 1678년(숙종 4) 제주목사였던 규암 송인수를 추배하였고, 1682년(숙종 8) 사현(四賢) 서원으로 사액(賜額)되었다. 1695년(숙종 21) 유배인이었던 우암 송시열을 배향함으로써 제주오현이 완성되었다. 충암 김정은 조광조와 함께 지치주의(至治主意)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노력했던 기묘사림이었다. 충암 김정은 천인합일(天人合一)의 교육목적을 바탕으로 모든 공부의 본체적 의미로 ‘경(敬)’을 강조하였으며, 『소학』과 『근사록』을 중시하였다. 성균관의 개혁과 현량과의 설치, 향약의 실행 등 적극적인 교육개혁을 실시하였다. 제주에서는 김양필과 문세걸 등의 제주유림과 종유(從遊)하였으며, 제주인의 윤리·도덕적 교화를 위해 불교의 활용을 용인하는 등 현실주의적 교육담론을 제시하였다. 규암 송인수는 제주목사로 약 3개월간 재임했으며, 제주목사의 체임(遞任)이 문제가 되어 경상도 사천으로 유배되었다. 따라서 그동안 규암 송인수의 제주오현 배향의 정당성과 배향 이유에 관해 부정적인 인식이 지배적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사료를 통해 규암의 제주목사 부임과 사임의 과정을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 짧은 제주목사 생활을 할 수밖에 없었던 상황임을 확인하였다. 규암 송인수는 수기치인(修己治人)의 교육목적을 바탕으로, 『소학』과 『대학』을 중시하였으며, 충암 김정과는 달리 학문을 통한 배움을 강조하였다. 성균관 대사성 재임 때에는 유생들에게 도학(道學)과 의리(義理)를 강론하였고, 전라도 관찰사 재임 시 『소학』을 적극적으로 보급하였으며, 평생 중의경리(重義輕利)의 삶을 추구하였다. 규암은 조선 전기사림과 후기사림을 잇는 시기의 학자로서 제주오현과 다양한 인적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충암 김정과는 은진송씨 삼현(三賢)으로, 청음 김상헌과는 임당 정유길, 상촌 신흠을 통해 영향 관계가 형성된다. 동계 정온과는 남명 조식을 매개로 영향 관계가 형성되며, 우암 송시열은 규암 송인수의 종증손(從曾孫)이다. 이러한 규암 송인수의 다양한 학적 네트워크로 인해 귤림서원 오현의 영향 연관이 설명될 수 있었다. 청음 김상헌은 1601년(선조 34) 안무어사로 파견되어 제주와 인연을 맺었다. 청음 김상헌은 존천리거인욕(存天理去人慾)의 교육목적을 바탕으로 『소학』과 『예기』를 통한 근본을 강조하였다. 청음 김상헌 역시 규암 송인수와 마찬가지로 거경(居敬)의 수양론보다는 학문을 통한 도문학(道問學)의 측면을 강조하였다. 청음 김상헌은 평생 의리적 삶을 살아온 선현(先賢)을 추숭하였으며, 시를 통한 함양과 고요함 속의 공부론을 추구하였다. 제주에서는 민본주의와 애민정신을 바탕으로 제주인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등을 통해 제주인에게 모범적인 스승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안무어사의 임무 중 하나인 별시시취(別試試取)를 통해 제주에서는 최초로 별시 문과 합격자를 배출하였다. 따라서 청음 김상헌이 제주에서 보여준 긍정적이고 직접적인 교육적 영향만으로도 귤림서원에 배향하기에 충분한 자격을 갖추었다고 평가하였다. 동계 정온은 1614년(광해 3) 영창대군을 살해한 강화부사 정항을 참수하고 영창대군을 대군의 예로 장례 지낼 것을 요청하는 「갑인봉사(甲寅封事)」로 인해 제주에 유배되었다. 인조반정으로 해배될 때까지 약 10년간 위리안치 생활을 하였다. 동계 정온은 명인륜(明人倫)의 교육목적을 바탕으로 수양론으로서의 ‘지경(持敬)’을 매우 강조하였다. 『소학』과 『심경』을 중시하여 마음 다스림의 교과서로 활용하였다. 평생 독실하게 독서와 저술 활동에 힘썼으며, 제주유배 생활에서 이러한 모습이 더욱 두드러진다. 동계 정온은 제주오현 중 유일하게 남명학파와 퇴계학파의 영향을 모두 받은 영남 출신의 학자이다. 따라서 동계 정온의 귤림서원 배향은 제주오현 교육사상의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고, 후대에까지 영남학파의 학풍이 제주에 전파되는 역할을 하였다. 우암 송시열은 1689년(숙종 15) 세자 책봉을 반대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제주에 유배되어 약 110일을 보내고, 서울로 압송되어 가던 중 정읍에서 후명(後命)을 받고 사사(賜死)되었다. 우암 송시열은 성심을 다하여 거짓이 없음을 뜻하는 직(直)을 평생의 신념으로 삼았으며, 이러한 ‘직’ 사상은 그의 교육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우암은 거경(居敬)과 궁리(窮理)의 병진(竝進)을 강조하는데, 독서를 통해서도 치지(致知)와 존심(存心)의 상호작용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따라서 우암 송시열도 규암 송인수, 청음 김상헌과 같이 수양론의 경(敬)보다는 도문학(道問學)의 영역을 강조하였다. 우암은 『소학』과 『가례』를 학문의 입문처로 보고 중시하였으며, 이는 율곡 이이와 사계 김장생의 독서 차제(次第)를 수용한 것이었다. 우암은 평생 주자를 신봉하고, 벽이단(闢異端)을 자신의 사명으로 삼았다. 따라서 주자 성리학을 철저하게 분석하여 벽이단의 기준으로 삼고자 하였다. 이러한 우암의 철저한 분석적 학문 태도는 제주유배 생활에서도 한결같았으며, 우암의 이러한 학문적 태도에 제주 유림은 감발흥기(感發興起)하였을 것이라 판단된다. 제주오현의 교육사상을 모두 살펴본 결과 큰 틀에서 성리학의 공부론에서 벗어나지 않았다. 가치론적 측면에서 ‘천인합일’의 교육목적을 지향하였으며, 심성론 또는 공부론의 측면에서 볼 때 ‘존천리거인욕’의 교육목적을 추구하였다. 그러나 제주오현은 공부론의 방법론에서는 강조점의 차이가 있었다. 충암 김정과 동계 정온은 수양론적 측면의 ‘경(敬)’을 매우 중시하였으며, 규암 송인수, 청음 김상헌, 우암 송시열은 상대적으로 학문을 통한 궁리(窮理)의 측면을 강조하였다. 제주오현 모두 일관되게 『소학』을 중시하였는데, 수신서(修身書)로서 『소학』을 내면화하여 위기지학(爲己之學)을 추구하였다. 한편 교화의 교육과정으로 『소학』을 강조하기도 하였다. 제주오현은 사변적 학문 탐구를 추구한 학자적 삶보다 수기치인의 교육목적을 바탕으로 실천적 삶을 살았던 인물들이었다. 그들의 실천적 삶은 도학자(道學者)의 전형이었다. 특히 일상적 삶에서도 도학적 의리사상을 실천했지만, 죽음을 무릅쓰고 행했던 대의(大義)를 위한 의리사상의 실천은 그들을 제주오현에 배향하게 한 결정적인 이유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그들의 도학적 삶과 의리정신의 실현은 성리학을 통해 배운 내용을 실제의 행동으로 옮긴 것으로 지행병진(知行竝進)의 전형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서원에 향사된다는 것은 ‘선생’으로 표시되는, 만인(萬人)이 수긍하는 교육적 인간상이라는 뜻과 같다. 따라서 제주 유림은 귤림서원에 가면, 엄연히 제주오현을 보는 듯하여 제주오현처럼 되고자 하는 마음이 일어나게 되어, 덕성과 학문의 함양 의지가 발현되었을 것이다[入其堂儼然若見其人]. 이로써 제주의 문풍(文風)이 진작되었으며, 그 결과 귤림서원을 기점으로 공부한 제주유림의 과거 합격자가 매우 증가하였다. 그리고 제주오현의 소학지도(小學之道) 중시 경향이 제주에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제주오현의 의리사상은 제주의 위정척사운동과 항일운동의 사상적 토대가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제주오현의 교육사상과 특징, 그리고 제주에 끼친 영향을 밝혀냄으로써 제주오현이 오랫동안 제주의 사표로 추앙받아온 이유를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제주오현의 귤림서원 배향이 제주와 중앙의 상호 작용의 결과라는 것이 충분히 드러났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가 조선시대 제주교육사상사의 이해의 폭을 넓히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This research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the educational thought of Jeju Ohyun, Chungam Kim Jeong, Kyuam Song Insu, Chugeum Kim Sangheon, Dongye Jeongon and Wooam Songsiyol, who had been glorified in Gyulim Seoweon, one of the bestowed Seoweon schools, and revealing the meaning of educational thought of Jeju Ohyun in the context of history of ideas. This research aimed at investigating Jeju Ohyun with respect to their educational thoughts and the additional reason why they were glorified in Gyulim Seowon excluding their relation to Jeju as the primary fundamental feature. The reason is that only by understanding their education thoughts and life can lead to the complete exhibition of Jeju Ohyun whom Confucian scholars in Jeju had worshiped(追崇) as ideological idea for 200 years. There in Jeju had worshiped(追崇) as ideological idea for 200 years. Therefore, this research revealed the educational thoughts of Jeju Ohyun,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ducational thoughts of Jeju Ohyun and identified the significance of them in the context of history of ideas. The establishment of Gyulim Seowon in Jeju had started initially as Cho Inhoo who was a judge established Chungam shrine(冲庵廟) in 1578 (11th year of King Seonjo) to praise Chungam Kim Jeong who had been exiled to Jeju due to Gimyosahwa and been executed(賜死) in 1521 (16th year of King Jungjong). After this, Changsoo academy(藏修堂) was established by the local governor Igoat in 1660 (First year of King Hyeonjong) because of the proposal made by Jeju Confucian scholar Kim jinyong. In 1667 (8th year of King Hyeonjong) the judge Choi Jinnam relocated Chungam shrine to Changsoo academy leading to the establishment of Seowon with the ritual place and academic place lastly naming it as Gyulim Seowon. In 1669 (10th year of King Hyeonjong) Chugeum Kim Sangheon who was government official and Dongye Jeongon who was an exile were praised, Kyuam Song Insu who was the local governor of Jeju was praised in 1678 (4th year of King Sukjong, and it was lastly bestowed(賜額) in 1682 (8th year of KIng Sukjong). In 1695 (21th year of King sukjong), Wooam Songsiyol who was an exile was praised and Jeju Ohyun which means five sages in Jeju led to the completion. Chungam Kim Jeong was Gimyo sarim who struggled to realize the ideal of ultimate governance(至治主意) with Jo Gwangjo. On the basis of holism(天 人合一) as educational purpose, Chungam Kim Jeong emphasized ‘Kyeong’(敬) as fundamental aspect of all kinds of studies, and laid stress on Sohak and Geunsarok. He also executed active educational reforms such as reformation of Sungkyunkwan, instituion of the exam Hyunranggwa and implementation of the instituion Hyangyak. In Jeju, he got acquainted with Kim Yangpil and Moon Syegeol who were Jeju Yulim, and proposed practical educational discourse such as approval of Buddhism for the purpose of ethical and moral edification for people in Jeju. Kyuam Song Insu served as local governor in Jeju for 3 months but he was soon to be exiled to Sacheon in Gyeongsang province for dismissal(遞 任). For this reason, meanwhile public opinion on the justification of praise on him and the reason for praise was dominantly negative. In this research, through analysis on various historical records, his appointment and dismissal as local governor in Jeju was investigated, which revealed that he was obliged to rule for such a brief time. On the basis of self-cultivation and ordering of of society(修己治人) as educational purpose, Kyuam Song Insu put importance on Sohak and Daehak and on the contrary to Chungam Kim Jeong emphasized learning itself through studies. During his time as Sungkyunkwan Daesasung, he gave a lecture on Dohak(道學) and Uiri(義理) to students and during his service as local governor in Jeollado province actively disseminated Sohak while pursuing Joongikyungri(重義輕利) during his lifetime. As a scholar connecting Sarims in early and late Joseon dynasty, solid networking between him and Jeju Ohyun could be established. Influencing relationship was formed with him and not only Chungam Kim Jeong through Eunjin Song Family relationship but also with Chungeum Kim Sangheon through Imdang Jeong Eugil and Sangchon Shin Heum. With Dongye Jeongon, relationship is formed via Nammyeong Cho shik. Wooam Songsiyol is a great-grandson of his brother. On this context, interconnection of influences of Ohyun of Gyulim Seowon can be elucidated. Chungeum Kim Sangheon started to have relation with Jeju since he was sent to Jeju as goverment official in 1601 (34th year of Seonjo). On the basis of Confucius Joncheonliguinyok(存天理去人慾) as educational purpose, he emphasized fundament through Sohak and Yegi. As with Kyuam Song Insu, he put importance on aspects of Domunhak through studies rather than self-cultivation. He worshiped precedent sages living life as Uiri during his whole life time and also pursued theory of study through poetics. In Jeju, he manifested himself as exemplary teacher to people in Jeju exhibiting positive attitudes on the basis of Minbon thought and Aemin spirit. In addition, through Byulsisichi(別試試取) he produced outstanding individual who was the first successful applicant to Byulsi, which was one of the duties given to government official. Therefore, he was appreciated as a respectful figure who could be glorified in Gyulim Seowon without any dispute even only with his educational and positive influence in Jeju. Dongye Jeongon was exiled to Jeju in 1614 (3th year of Gwanghae) for Gabinbonsa(甲寅封事) requesting execution of government official Jeong Hang in Gangwha who murdered Yeongchangdaegun and having a funeral with the rights that he deserved as Daegun. He lived suffering Wirianchi for 10 years until he was set free from that through Injobanjeong Dongye Jeogon emphasized Jigeong as theory of self-cultivation on the basis of Myunginrun (明人倫). He also utilized Sohak and Daehak as mind-calming material putting a lot of importance on those. During his whole life time, he put efforts on reading and writing, which were prominently exhibited during his exile in Jeju. He is the only scholar bearing Yeongnam as origin being influenced by both Nammyeong school and Toegye school. Thus, sanction on praise on him in Gyulim Seowon could lead to securement of diversity of educational thoughts of Jeju Ohyun while functioning as intermediate propagating academic traditions of Yeongnam school to Jeju even to after ages. Wooam Songsiyol spent approximately 110 days in Jeju during his exile because of his proposal of the opposition on the installation of prince, later being executed(賜死) in Jeongeup on his transfer to Seoul. During his lifetime, Wooam Songsiyol pursed Jik(直), which means being sincerely truthful, and the thought of 'Jik' was his educational goal. Wooam emphasized Gurgyeong (居敬) and Byeongjin(竝進) while appreciating that through reading Chiji(致知) and Johnshim(存心) interacts. Therefore, as with Kyuam Song Insu and Chungeum Kim Sangheon, he emphasized the aspects of Domunhak rather than Kyung of theory of self-cultivation. Wooam appreciated Sohak and Garye as an introduction to study, which was under the influence of reading procedure of Yulgok Lee Yi and Sagye Kim Jangsaeng. Wooam worshiped Zhu Xi for his lifetime and regarded excluding heresy as his duty. Therefore, he analyzed vigorously Neo-Confucianism of Zhu Xi, from which he determined standards for excluding heresy. His vigorously analytical attitude on study was the same even in his exile, which can be interpreted as inspiration to Jeju Yurim. Taking an overview of educational thoughts of Jeju Ohyun, it was revealed that they were not largely deviating from idea of study in Neo-Confucianism. In axiological aspect, holism was pursued as educational aim. In aspect of mentality theory or theory of study, Joncheonliguinyok(存天理去人慾) was pursued as educational goal. However, methodological viewpoints on theory of study were different among those of Jeju Ohyun. Chungam Kim Jeong and Dongye Jeongon largely emphasized 'Kyung' in self-cultivating viewpoint. On the other hand, Kyuam Song Insu, Chugeum Kim Sangheon and Wooam Song Siyol relatively put an emphasis on pursing knowledge through study. Jeju Ohyun consistently emphasized Sohak regarding it as Sooshinseo(修身書) to be internalized and seeking for Wikijihak(爲己之學). Meanwhile, they also highlighted Sohak as curriculum for edification Jeju Ohyun were figures with practical acts on the basis of self-cultivation and ordering of of society not like other sages who longed for speculative academic investigation. Their life is a model of scholars of Do. Particularly, not only for their practice of Uiri in daily life, their practice of Uiri on great cause on behalf of their lives is the primary reason why they were glorified in Jeju Ohyun. In this context, their life pursuing Do and their practice of Uiri can be appreciated as the exemplary model of Jihaengbyungjin(知行竝進) which means acting what one comes to know in Neo-Confucianism. Being praised in Seowon signifies that one is the educational figure everyone respects being called 'Seonsaeng'. Thus, Yulim in Jeju might have been inspired just to be like Jeju Ohyun when they went to Gyulim Seowon like they are facing them virtually(入其堂儼然若見其人). By this, academic fashion was motivated in Jeju, leading to production of many passers of the state examination since establishment of Gyulim Seowon. Also, trend on utilizing Sohak which Jeju Ohyun emphasized seemed to influence Jeju. On top of that, their idea of Uiri came to be ideological foundation for Wi eongchucksa movement and anti-Japanese movements in Jeju. Through this research, revealing education thoughts of Jeju Ohyun, their characteristics and influence on Jeju, the reason why they were worshiped as sage in Jeju for a long time could be concretely idnetified. Also, it can be sufficiently justified that glorification of Jeju Ohyun in Gyulim Seowon is the interaction between Jeju and the central government. This research seemd to pave foundation for extension of understanding on history of educational thoughts in Jeju in Joseon dynas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